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광주 IFLA 기조강연 셋째날 - ⑦] “조경, 공간 만들어 내는 디자인 과정의 산물”
김정윤 하버드 디자인대학원 교수, 제58회 세계조경가대회서 기조강연 진행
  • 입력 2022-09-05 14:26
  • 수정 2022-09-05 14:26
김정윤.jpg
김정윤 하버드 디자인대학원(GSD) 교수가 제58회 세계조경가대회에서 기조강연 진행하고 있는 모습



[환경과조경 신유정 기자] “조경가가 제시하는 결과물은 최종 제품이 아닌, 공간을 만들어 내는 긴 디자인 과정의 산물”


58차 세계조경가대회 마지막 날인 지난 2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다목적 1홀에서 김정윤 하버드 디자인대학원(GSD) 교수(오피스박김 대표)의 기조강연이 진행됐다.


김정윤 교수는 ‘How Thinking Like a Landscape Architect Can Help Save the World?’주제로, 지구적인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조경가의 역할과 전략을 설명했다. 


특히 지난 여름 한국에도 막대한 피해를 준 홍수에 대비해서 조경가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하버드 GSD 스튜디오에서 진행한 작품과 서울 강남을 사례로 이야기했다.


실제 오피스박김에서 진행한 양화 한강공원, CJ 블로썸 파크, 탄천‧한강 일대의 국제지명설계공모 작품을 사례로 설명했다. 특히 탄천 프로젝트에서는 도시 하천의 회복탄력성을 위해 수리 전문가와 협업한 결과물에 대해 설명했다. 


김정윤 교수는 “기후변화시대에 조경가가 이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조경의 방식과 역할이 중요하다. 조경가는 과학자는 아니지만, 조경 전문가로서 가지고 있는 도구와 지식을 통해 설계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며 “양화 프로젝트와 같이 조경가가 제시하는 결과물은 최종 제품이 아닌, 공간을 만들어 내는 긴 디자인 과정의 산물”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 방법으로 “‘소우주적 규모에서 대륙적 규모로 확대, 축소해야 할 수 있어야 한다’, ‘엔지니어 및 과학자와 협력하기 위해 타 분야 소통해야 한다’, ‘조경가는 입체적인 차원에서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고 말했다.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
  • 환경과조경 2023년 12월
  • 최신개정판 CONQUEST 조경기사·조경산업기사 필기정복
  • 조경의 미래를 묻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