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입력 2016-10-03 00:10
  • 수정 2016-10-03 00:10

한국조경사회가 개최한 제3회 아름다운 조경·정원사진 공모전에서 '고운 선율이 흐르는 숲'이 대상에 선정됐다.

 

 

금상에는 ‘눈꽃밭’이란 작품이 선정됐으며, ‘폴짝폴짝’, ‘한방족욕체험장’, ‘까꿍’ 3개 작품이 은상을 수상했다.

 

 

동상은 ‘메밀꽃 필 무렵’, ‘보라매공원의 밤’, ‘즐거운 하루’, ‘올림픽공원의 가을’, ‘장밋빛 세레나데’, ‘테마공원의 겨울’, ‘실개천은 놀이터’, ‘휴식같은 정원’, ‘아들아 천천히’, ‘반곡지 반영’ 등 10개 작품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으며, 이외에 ‘도시의 쉼터’, ‘일상에서의 힐링3’, ‘트래킹’, ‘봄의왈츠’, ‘언니들의 화려한 외출’, ‘대형 조명분수’, ‘아빠와 함께’, ‘봄빛샤워’, ‘호수공원의 봄’, ‘정원의 휴식처(2)’, ‘누가 제일 빠르나’, ‘여름을 이기는 방법’, ‘정원나라’, ‘추억만들기’ 등 14개 작품이 입선을 받았다.

 

 

대상에는 국토교통부장관상 및 상금 100만 원이 수여되며, 금상에는 산림청장상과 50만 원의 상금이 주어진다. 이외 ▲은상은 한국조경사회장상 및 상금 각 30만원 ▲동상은 한국조경사회장상 및 상금 각 10만원 ▲입선은 한국조경사회장상과 상품권 1만 원이 부상으로 주어진다.

 

 

올해로 3회째를 맞는 조경·정원사진 공모전은 일반 국민들에게 조경을 알리고 친숙한 분야임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경사회가 지난 2014년부터 개최한 공모전이다.

 

 

이번 공모에는 약 500여 개의 작품이 출품됐으며, 조경사회는 그중 총 29개 작품을 수상작으로 선정했다.

 

 

 

 

한편 이번 공모전에서 수상한 작품들은 ‘2016 경기정원박람회’ 일환으로 오는 7일부터 9일까지 성남 시청 1층 로비에서 열리는 ‘제3회 아름다운 조경정원사진 공모전 사진전시회’에 전시될 예정이다.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
정원과 도시, 지속가능성을 꿈꾸다
[환경과조경이형주기자]국가와서울시차원에서기후위기에대응하는녹색정책과미래비전을공유하는자리가마련됐다. 한국조경협회는지난22일서울삼성동코엑스B홀중앙무대에서‘2025대한민국조경·정원박람회특별초청시리즈–2025정원이야기’를개최했다.이날행사에서는임영석국립수목원장과이수연서울시정원도시국장이각각국가와서울시차원의녹색정책과미래비전을공유했다. 사회를맡은이호영한국조경협회수석부회장(HLD대표)은이번조경박람회의취지와중요성을소개하며“오늘의발표가정원과도시가나아가야할방향을모색하는데큰도움이될것”이라고말했다. 이어임영석국립수목원장이첫번째연사로나서‘숲과정원의나라,포레스트코리아’를주제로발표했다. 임영석원장은대한민국의산림과숲이치산녹화의성공에서더나아가숲과정원의나라로발돋움하고있음을강조했다.그는“우리나라국토의64%를차지하는산림은단순히녹화의성공을넘어,이제는생물다양성을보전하고정원문화와연결하는중요한자원이되었다”고말했다.그는광릉숲을중심으로한생물권보전지역의가치를설명하며“560년동안이어진보호의역사는오늘날생물다양성보존의기반이되고있다”고덧붙였다. 특히기후변화와생물다양성위기에대응하기위해식물의현지내외보존을강화하고도시재생과연계한정원연구를지속하고있음을밝혔다.그는“기후위기가생물다양성을심각하게위협하고있지만,정원과숲은우리가할수있는최고의대응책중하나다.우리의조경과정원문화가더큰역할을해야한다”라고강조했다. 그는숲과정원이인간에게제공하는다양한혜택을설명하며,생물다양성의가치와생물종보존의중요성을강조했다.또한DMZ자생식물원의역할과미래에대한비전을통해“식물연구와보존을통해한반도의생태계를연결하고통일이후를준비해야한다”고제안했다. 이어지는발표는이수연서울시정원도시국장이맡았다.그는‘정원으로시민과지구가행복한도시’라는주제로,정원이단순히아름다움을넘어서시민행복과도시매력,그리고기후변화에대응하는중요한요소임을설명했다. 이국장은서울이바이오필릭시티(자연친화도시)로변모하기위한노력을소개하며,“정원은단순한장식이아니라도시생태계를복원하고기후위기에대응하며시민에게행복을주는핵심공간이다”고역설했다.그는또한자연과인공구조물이유기적으로결합된도시계획의필요성을언급하며,“서울이라는거대한도시가다시하나의거대한정원으로변모할수있다.정원은단순히녹지를넘어삶의질을높이는공간이될것이다”고말했다. 그는정원도시서울의비전을구체화하며매력적이고기능적인정원조성을통해시민삶의질을높이고자하는다양한정책과프로그램을소개했다.특히정원박람회와가드닝클래스,시민참여형정원조성프로그램을통해“정원문화가서울의주요도시경쟁력으로자리잡을것이다.시민과전문가가함께만들어가는정원이서울을세계적인정원도시로도약하게할것이다”고강조했다. 이번발표에서는정원과숲이단순히환경적가치에그치지않고,도시경제,사회문제해결,관광산업과연계될수있는잠재력도논의됐다.두발표자는모두기후위기와생물다양성위기에대응하기위한정원과숲의역할이앞으로더욱중요해질것이라고입을모았다. 두발표자는조경및정원전문가들이단순한디자인을넘어지속가능성과생물다양성증진에기여하는방향으로나아가야한다고조언했다.임영석원장은“우리가만드는조경과정원은디자인을넘어생물다양성을지키고기후위기를완화하는공간이되어야한다”고강조했다.이수연국장역시“정원은인간과자연이공존하는플랫폼이다.이제는정원을통해기후와생태계문제를해결할수있다는믿음을가져야한다”고덧붙였다. 이번특강은국가와서울시차원에서도시와자연그리고사람의조화로운공존을꿈꾸는새로운비전과구체적인실천방향을제시해참가자들에게호응을얻었다.
  • 환경과조경 2025년 2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