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입력 2024-12-02 17:58
  • 수정 2024-12-02 17:58
정원학회 ㅂㄷ.jpg
한국정원디자인학회와 일본정원학회가 국제적인 정원문화의 이해와 진흥을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한국정원디자인학회 제공)

 

 

[환경과조경 신유정 기자] 한국정원디자인학회와 일본정원학회가 국제적인 정원문화의 이해와 진흥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정원디자인학회는 지난달 30일 일본 도쿄시 시부야조원회관 녹색회의실에서일본정원학회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홍광표 정원디자인학회 고문(동국대학교 명예교수), 이혁재 정원디자인학회 회장(동국대학교 교수), 홍승훈 정원디자인학회 총무이사(가든인 대표), 사사키 쿠니히로(佐々⽊邦博) 일본정원학회 회장(신슈대학교 명예교수), 스즈끼 마코토(鈴⽊誠) 일본정원학회 이사(동경농업대학교 명예교수), 마쓰모토 요시키(松本恵樹) 일본정원학회 이사(춘추설계사무소 대표)가 참석했다.


주요 협약 내용으로는 양 학회에서 발간하는 학회지에 논문을 게재할 수 있는 자격 부여, 상호 간의 정보 교류, 업무협약의 목적 달성을 위해 필요한 사항 등이며,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상호 간의 협의를 통해 결정하기로 했다.

 

이혁재 학회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양국 간의 정원문화에 대한 학술교류와 정보교류, 인적교류를 통해 국내 정원문화의 세계화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사사키 쿠니히로 학회장은 “업무협약이 앞으로 양국 간 정원문화 확산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홍광표 고문은 “향후 중국, 싱가포르 등과도 정원문화 협력을 통해 아시아 정원문화의 진흥에 노력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스즈끼 마코토 이사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양국의 정원문화가 한층 성숙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양 학회는 매년 공동학술회의를 개최하는 것으로 합의했으며, 우선 내년에는 일본정원학회의 전국대회(오이타5월10일~11일)에서 공동학술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


한편 이번 업무협약은 새로운 10년을 준비하는 정원디자인학회의 비전인 ‘한국의 정원문화, 세계화로 진흥한다’의 첫 성과이기도 하다.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
정원과 도시, 지속가능성을 꿈꾸다
[환경과조경이형주기자]국가와서울시차원에서기후위기에대응하는녹색정책과미래비전을공유하는자리가마련됐다. 한국조경협회는지난22일서울삼성동코엑스B홀중앙무대에서‘2025대한민국조경·정원박람회특별초청시리즈–2025정원이야기’를개최했다.이날행사에서는임영석국립수목원장과이수연서울시정원도시국장이각각국가와서울시차원의녹색정책과미래비전을공유했다. 사회를맡은이호영한국조경협회수석부회장(HLD대표)은이번조경박람회의취지와중요성을소개하며“오늘의발표가정원과도시가나아가야할방향을모색하는데큰도움이될것”이라고말했다. 이어임영석국립수목원장이첫번째연사로나서‘숲과정원의나라,포레스트코리아’를주제로발표했다. 임영석원장은대한민국의산림과숲이치산녹화의성공에서더나아가숲과정원의나라로발돋움하고있음을강조했다.그는“우리나라국토의64%를차지하는산림은단순히녹화의성공을넘어,이제는생물다양성을보전하고정원문화와연결하는중요한자원이되었다”고말했다.그는광릉숲을중심으로한생물권보전지역의가치를설명하며“560년동안이어진보호의역사는오늘날생물다양성보존의기반이되고있다”고덧붙였다. 특히기후변화와생물다양성위기에대응하기위해식물의현지내외보존을강화하고도시재생과연계한정원연구를지속하고있음을밝혔다.그는“기후위기가생물다양성을심각하게위협하고있지만,정원과숲은우리가할수있는최고의대응책중하나다.우리의조경과정원문화가더큰역할을해야한다”라고강조했다. 그는숲과정원이인간에게제공하는다양한혜택을설명하며,생물다양성의가치와생물종보존의중요성을강조했다.또한DMZ자생식물원의역할과미래에대한비전을통해“식물연구와보존을통해한반도의생태계를연결하고통일이후를준비해야한다”고제안했다. 이어지는발표는이수연서울시정원도시국장이맡았다.그는‘정원으로시민과지구가행복한도시’라는주제로,정원이단순히아름다움을넘어서시민행복과도시매력,그리고기후변화에대응하는중요한요소임을설명했다. 이국장은서울이바이오필릭시티(자연친화도시)로변모하기위한노력을소개하며,“정원은단순한장식이아니라도시생태계를복원하고기후위기에대응하며시민에게행복을주는핵심공간이다”고역설했다.그는또한자연과인공구조물이유기적으로결합된도시계획의필요성을언급하며,“서울이라는거대한도시가다시하나의거대한정원으로변모할수있다.정원은단순히녹지를넘어삶의질을높이는공간이될것이다”고말했다. 그는정원도시서울의비전을구체화하며매력적이고기능적인정원조성을통해시민삶의질을높이고자하는다양한정책과프로그램을소개했다.특히정원박람회와가드닝클래스,시민참여형정원조성프로그램을통해“정원문화가서울의주요도시경쟁력으로자리잡을것이다.시민과전문가가함께만들어가는정원이서울을세계적인정원도시로도약하게할것이다”고강조했다. 이번발표에서는정원과숲이단순히환경적가치에그치지않고,도시경제,사회문제해결,관광산업과연계될수있는잠재력도논의됐다.두발표자는모두기후위기와생물다양성위기에대응하기위한정원과숲의역할이앞으로더욱중요해질것이라고입을모았다. 두발표자는조경및정원전문가들이단순한디자인을넘어지속가능성과생물다양성증진에기여하는방향으로나아가야한다고조언했다.임영석원장은“우리가만드는조경과정원은디자인을넘어생물다양성을지키고기후위기를완화하는공간이되어야한다”고강조했다.이수연국장역시“정원은인간과자연이공존하는플랫폼이다.이제는정원을통해기후와생태계문제를해결할수있다는믿음을가져야한다”고덧붙였다. 이번특강은국가와서울시차원에서도시와자연그리고사람의조화로운공존을꿈꾸는새로운비전과구체적인실천방향을제시해참가자들에게호응을얻었다.
  • 환경과조경 2025년 2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