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경준 경북대학교 통신원

[경북대학교 = 민경준 통신원] 국내 정원 전문가 3인이 모여 정원에 대한 경험과 노하우를 시민들과 학생들에게 공개하는 자리가 열렸다.
지난 6일 제1회 대구정원박람회 사전 행사로 경북대학교 글로벌플라자 경하홀에서 ‘정원을 가꾸는 마음’이라는 주제로 대구정원박람회 정원토크쇼가 진행됐다.
이날 행사는 ▲최병원 대구시 산림녹지과장 인사말 ▲강연 ▲청중 오픈 토크쇼 ▲저서 증정 순으로 진행됐다.
토크쇼는 ▲김봉찬 더가든 대표 ▲박원순 국립세종수목원 전시원 실장 ▲이병철 보성그룹 부사장이 강연자로 초청됐다.
최병원 과장은 인사말을 통해 “5000만 그루의 나무를 심어 대구의 쓰레기 매립장을 변화시켰다. 회색도시가 녹색도시로 변화했으나 여전히 2% 정도 모자람을 느끼고 있다. 이를 정원으로 채울 생각이다. 좋은 정원 공간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첫 번째로 강연을 진행한 김봉찬 대표는 여미지 식물원과 평강 식물원에서 정원 실무를 경험했으며, 한라산 식생을 꾸준히 연구해 왔다. 국내 최초 서식처 기반 정원인 이탄 습지와 고산 암석원을 조성하기도 했다. 2010년에는 더가든을 설립해 자연주의 정원인 베케와 아모레 성수의 정원 작업을 선보이는 등 국내 자연주의 정원의 대가로서 꾸준히 그 작업을 이어 나가고 있다.
김봉찬 대표는 ‘자연에서 배우는 정원’이라는 주제로 ▲장소의 혼 ▲건조지대의 풍경 ▲습원의 풍경 ▲스스로 복원된 주차장 ▲비움의 가치 ▲틈과 틈 사이 ▲400년 된 베케 ▲일 년 된 빌딩 내 중정 ▲중첩 ▲911 메모리얼 파크 ▲정원은 자연을 배우는 창 ▲물리적 깊이 ▲시각적 깊이 ▲미환경 ▲공간의 연결 ▲폐허 정원 ▲장소성의 오류 ▲점,선,면 ▲작은 것의 힘 ▲안정감과 변화감 ▲글로벌플라자 키워드로 여러 자연과 정원의 모습을 보여주며 강연을 진행했다.
김봉찬 대표는 “정원이 자리할 땅과 하늘을 어떻게 더 신비롭게 할 것인지 고민하는 태도가 정원을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될것”이라며 “좋은 정원을 만들고자 한다면, 다른 사람이 만든 정원을 보러 다니는 것에서 그치지 말고, 내가 지닌 땅이 최고가 되게 노력하라”고 강조했다.
두 번째 강연을 맡은 박원순 실장은 원예학을 전공한 뒤 출판사에서 에디터로 일하던 중 제주도의 식물과 자연에 매료돼 여미지 식물원에 근무했다. 이후 미국 델라웨어 대학원에서 정원을 공부하고, 롱우드 가든과 에버랜드에서 실무 경험을 쌓아 현재 세종수목원에 근무 중이다.
박원순 실장은 ‘정원의 발견: 상상 그 이상의 정원’이란 주제로 ▲에덴동산 ▲봉래산 ▲이집트 정원 ▲공중정원 ▲중세 시대 ▲풍경식 정원 ▲픽처레스크와 가드네스크 ▲자연주의 ▲칼푀르스터 ▲마샤 슈와츠 ▲나이젤 더넷 ▲킴 윌키 ▲스티브 마티노 ▲레드 샌드 가든 키워드를 통해 정원의 역사를 훑어보며 정원 안에서의 상상력이 어떻게 발현되는지 설명했다.
이와 더불어 미국 롱우드 가든과 에버랜드에서의 경험을 소개하며, 정원 실무자의 업무를 상세하게 알아볼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
박원순 실장은 “정원을 조성할 때 어느 요소 하나에 초점을 맞추기보단, 어떻게 하면 정원을 통해 다양한 문화를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을 한다”며 “근무하고 있는 국립세종수목원은 국민행복에 기여하는 정원 문화를 만들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마지막 강연을 진행한 이병철 부사장은 아침고요수목원 조성 업무를 맡아왔으며, 현재 정원도시 솔라시도 등 다방면의 프로젝트를 담당하고 있다. 저서 ‘가든 플랜트 콤비네이션’을 저술한 조경 전문가다.
이병철 부사장은 ‘정원의 해석’을 주제로 ▲미켈란젤로 ▲괴테 ▲모네 ▲헤르만헤세를 언급하며 “정원을 통해 예술을 이야기할 수 있고, 네 명의 예술가가 정원과 관련이 있다는 것은 그 뿌리가 정원과 관련돼 있다”고 말하며 강연을 시작했다.
이어 ▲사그라다 파밀리아 ▲시애틀 스페이스 미들 타워 ▲솔라시도 ▲부차트 가든 ▲스토우 가든을 소개하며 정원의 예술성과 각 장소만의 특색을 소개하며 정원에서 나오는 다양한 매력을 이야기했다.
또한 아침고요수목원 설립의 의미를 설명하며 “한국 정원을 만들고 싶었는데, 30년 전 ‘가든’은 고깃집의 대명사였다. 이 때문에 정원(가든)이란 말을 붙일 수 없었다”며 수목원의 이름에 대한 재미있는 뒷이야기를 풀기도 했다.
이병철 부사장은 강연을 마무리하며 “아침고요수목원과 솔라시도 등 K-가든이라는 것을 내세우며 정원 붐업을 일으키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우리만의 리그인 것 같다”며 “정원이라는 큰 나무 밑에 여러 다양성이 깃들 수 있게 하려면 사회 다양한 곳에서 정원과 다양한 요소들과 접목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강연이 끝난 후 남기준 환경과조경 편집장이 사전에 준비한 질문을 세 강연자에게 던지며 청중들과 함께하는 ‘청중 오픈 토크쇼’가 진행됐다. 토크쇼에는 대구정원박람회 시민정원참가자, 대구정원박람회 학생정원참가자, 조경학과 학생, 일반시민 등이 참여했다.
남 편집장은 “정원에 관심이 있고, 정원 조성을 앞둔 사람들이 많다. 정원 분야 선배로서 해줄 수 있는 조언을 무엇일까?”라는 공통 질문을 던졌다.
이에 이병철 부사장은 “만들고 싶은 정원이 모네의 정원인지, 헤세의 정원일지 깊은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남의 정원을 따라 만드는 것보다 나만의 정원을 만드는 게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답했다.
박원순 실장은 “과욕은 금물이다. 처음에는 작게 시작하는 것을 추천한다. 땅이 넓어도 일부 구역만 작업해 보면 해야 할 일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또한 꽃을 선택할 때는 자기 자신의 취향에 집중하고, 꽃에 대한 공부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봉찬 대표는 “우리나라는 사실 이제 정원이 시작된 것이나 다름없다. 그래서 더 어려운 것 같다. 너무 성급하게 하려고 하지 말고, 너무 빨리 유명해지려고 하지 말았으면 좋겠다. 20년 이상 미래를 보며 꾸준하게 작업한다면 훌륭한 정원가가 될 기회가 올 것이다”고 조언했다.
또 다른 청중은 이 부사장에게 “아침고요수목원을 만들기 위한 땅을 직접 찾아 나섰다고 들었다. 본인도 정원을 조성하려 준비 중인데, 땅을 찾을 때의 당부나 애로사항 등에 대해 듣고 싶다”며 질문했다.
이에 이 부사장은 “인공적인 구조물들이 시야에 전혀 들어오지 않는, 오로지 한국의 자연을 정원에 담을 수 있는 그릇을 찾고자 했다”며 아침고요수목원의 부지 선정 기준에 관해 이야기했다.
더불어 “길은 사람이 만들면 되지만, 경관은 사람이 만들 수 없다. 그러므로 경관적인 것을 해석해 부지를 고르는 것이 중요하다. 본바탕이 좋아야 정원을 길게 바라볼 수 있다” 강조했다.
토크쇼가 끝난 후 마지막 순서로 세 강연자가 정원을 가꾸면서 가장 행복했던 일화에 관해 이야기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이후 세 강연자의 저서를 토크쇼 청중들에게 선물하는 시간을 가지며 정원토크쇼가 마무리됐다.
한편 대구정원박람회는 내달 13일부터 17일까지 ‘파워풀 대구, 정원과 함께하는 미래도시’라는 주제로 대구 북구 노곡동의 하중도에서 개최된다. 가족정원, 학생정원, 시민정원, 초청정원, 기업협력정원 등 다양한 정원이 조성될 예정이며, 정원산업전과 국화 전시회가 열리는 등 대구의 정원문화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