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진수 한국인공지반녹화협회 부회장 ([email protected])
요 며칠 사이에 조경을 하는 사람이나 건축을 하는 사람들에게 화제가 될 만한 뉴스가 있었다. 쓰촨성 청두(Chengdu)에 있는 30층짜리 8개동의 ‘숲아파트’가 그 화제의 중심에 있었다. 2018년에 완공된 그 아파트의 정식 이름은 ‘Qiyi City Forest Garden’이다. 즉 많은 기대감을 가지고 완판된 아파트가 현재는 826가구 중에 불과 10여개의 아파트에만 주민이 산다는 것이었다. 가장 큰 이유는 모기 때문이었다. 몬순기후가 있는 청두에 우기철에 모기가 많은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그리고 모기뿐만 아니라 화단에 물을 주게 되면 하중으로 다른 문제가 발생할 것을 우려한다는 내용도 있었다. 하지만 그 비싼 아파트를 모기나 하중 때문에 입주하지 못한다고 하니 믿을 수 없을 정도의 난센스라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이 기사의 댓글들을 보면 대부분 “그럴 줄 알았다, 쓸데없는 짓을 하였다, 중국이 그렇지 뭐” 등 부정적이고 편향적이었다.
문득 이런 뉴스가 옥상녹화에 대해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가져오지 않을까 우려가 되었다.
당연하지만 인간은 경험의 동물이다. 단순히 책으로 배운 것이나, 어깨 너머로 배운 것들은 쉽게 잊기 마련이나, 경험을 통해 배운 것은 잊지 않는 법이다. 조경분야의 오래된 공무원이나 공사의 직원들을 만나보면 의외로 옥상녹화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진 경우가 많았다. 옥상녹화를 한 이후에 식재에 대한 하자나 유지관리문제, 방수에 대한 문제로 곤란한 일을 많이 겪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 이유에 대해 정확하게 분석을 하고 대처를 하면 될 일이다. 과거에 비해 옥상녹화의 기술이 발달하였고, 적합한 식물의 소재가 늘어났다. 그리고 전문회사도 많이 생겨났다. 옥상녹화가 실패한데에는 여러 가지 다른 요소도 있을 수가 있는 것이다.
타산지석이라고 청두의 ‘숲아파트’의 부정적 기사를 계기로 수직숲건물 및 옥상녹화에 대해 성공사례를 알아보고 실패한 이유에 대해서 분석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청두의 ‘숲아파트’는 2014년 이탈리아 밀라노에 스테파노 보에리(Stefano Boeri)가 건축한 Bosco Verticale에서 그 아이디어를 따온 것이다. 스테파노 보에리는 이 프로젝트로 하루아침에 전 세계에서 가장 핫한 건축가의 반열에 올랐다. 현재도 그는 전 세계에 Bosco Verticale와 유사한 프로젝트를 수없이 진행하고 있다. 다음은 Bosco Verticale의 사진(2018년)과 홈페이지에 소개된 관련된 프로젝트들이다.
뉴욕의 하이라인도 유사한 프로젝트들에 많은 영향을 주었기에 ‘The High Line Effect’라는 단어가 생겼는데, 이 정도면 ‘The Bosco Verticale Effect’라는 단어가 생겨도 이상할 것이 없을 것이다. 그리고 관심 있는 사람들만 아는 것은 Bosco Verticale 프로젝트의 성공에는 로라 가티(Laura Gatti)라는 식물전문가의 공동설계가 큰 역할을 하였다는 것이다. 이렇듯 이런 프로젝트는 치밀하게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업해야 성공할 수가 있다. 2015년 4월 터키의 이스탄불에서 열렸던 ‘IGRA(International Green Roof Accociation) Congress2015’에 참석하였던 그녀를 본 적이 있다. 그 Congress에서 당연 최고의 화제는 Bosco Verticale였으며 그녀는 그 프로젝트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하였다. 그녀는 다음과 같은 단 문장으로 그 건축물의 가치를 설명하고자 하였고 그처럼 적절한 표현은 찾기 힘들 정도였다.
“밀라노를 방문할 10가지 이유 중에 하나가 Bosco Verticale를 보는 것이다!”
그렇다 Bosco Verticale는 이렇게 밀라노의 새로운 상징이 되었다.
Bosco Verticale의 성공요인은 이것만이 아니다. 그들은 태풍에 대비하기 위하여 미국의 플로리다에서 수목에 대한 태풍모의실험을 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안전에 대비할 수 있었다. 즉 뿌리분을 고정시켜 수목이 전도되지 않도록 한 것은 물론이거니와 수간을 별도로 고정하여 태풍에 부러지더라도 지상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고려하였다. 그리고 수목의 사계절 색상을 고려하였으며, 잎의 색이 독특한 수목들을 곳곳에 배치하여 경관적요소를 고려하였다. 즉 수목식재의 패턴도 가드닝에 야생화를 식재하는 기법과 마찬가지로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색상을 고려하였다. 이렇듯 몇 가지만 보아도 그들이 얼마나 치밀하고 완벽하게 이 프로젝트를 준비하고 실행했는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Bosco Verticale는 성공한 아파트가 되어 고가에 거래가 되고 모델, 연예인, 스포츠스타 등 유명한 사람들이 거주하는 명품건물이 되었는데, 청두의 ‘숲아파트’에는 도대체 어떤 일이 생긴 것일까? 단순하게 모기의 문제가 대부분일까? 우선 Bosco Verticale의 사례를 추가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스테파노 보에리는 홈페이지에서 이 건물을 만든 이유를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 인간뿐만 아니라 다른 종들 사이의 관계를 회복시키려 했다.(생물다양성을 고려한 것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간 생각이다)
-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수직적 건물이 평면적 확장을 억제한다는 뜻일 것이다)
- 습도 조절 및 이산화탄소 저감, 미세먼지 제거 등 도시열섬현상을 완화시키는 환경적 역할을 한다.(옥상녹화의 여러 가지 장점들이다.)
- 인간, 나무, 새가 함께 사는 공간을 조성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기적이며 총체적인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고려하였다.
- 계절적으로 변하는 식물의 색이나 형태를 이용하여 그 아름다움으로 이 건물이 도시의 랜드마크적 역할을 하도록 고려하였다.
- 에너지를 절감하는 역할도 고려하였다.
그리고 당연하지만 그와 로라 가티는 조성에만 초점을 둔 것이 아니라 건축 후의 유지관리도 촘촘하게 고려하였다.
- ‘Flying Gardeners’라는 전문가들이 건물을 타고 내려오면서 유지관리를 하도록 하였다.
- 모든 관수 및 영양관리는 중앙에서 IoT시스템을 통하여 제어한다.
- 옥상의 태양광시스템과 재처리된 건물 폐수를 이용하여 관리하도록 하였다.
- 유지관리에 용이한 식물들을 선정하였으며 지속가능성을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 식물의 하자를 줄이기 위하여 각 플랜터에 들어갈 수목을 수 년 전에 미리 맞춤 재배하였다.(건축기간에 시간적 여유가 있었다. 우리의 경우는 그러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청두의 ‘숲아파트’는 어떠할까? 당연히 위와 같은 치밀한 설계 및 시공이 되지 않았을 것이다. 겉만 따라해서는 실패할 확률이 높다. 아무래도 청두의 ‘숲아파트’는 스테파노 보에리와 협업하지 않은 것 같다. 그는 중국의 상하이와 류저우 등 여러 곳에서 관련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데 청두의 이름은 찾을 수가 없었다.
또한 이 ‘숲아파트’의 실패이유에 대해서 뉴욕식물원의 대릴 베이어스(Daryl Beyers)는 다음과 같은 의견을 제시하였다.
- 유지보수를 고려하지 않았다.
- 잘못된 설계 및 디자인의 문제다.
- 조성 후 방치되었고 전문가의 관리가 없었다.
- 발코니에 물이 고였고 이것이 모기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 발코니의 배수를 고려하지 않았다.
- 당초 연간 4회의 관리계획이 있었으나 이 정도의 인공지반조경이면 거의 매주 관리를 해줄 필요가 있다.
- 건축가, 조경설계가, 원예가, 구조전문가의 협업이 부족했다.
그렇다. 옥상녹화는 치밀한 설계와 시공을 통해 Bosco Verticale처럼 엄청난 성공을 거둘 수도 또는 ‘숲아파트’와 같이 세계적 뉴스가 될 정도의 실패를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단순하게 지역적 기후의 문제는 아니다. 위에 언급된 여러가지 고려와 실패이유도 있지만 다음의 이유도 실패의 원인이며 결과일 것이다.
- 조경기술의 문제(식물소재 선정, 유지관리시스템의 부족 등)
- 구조의 문제나 방수의 문제에 대한 건축과 구조 등과 협력 부족
- 병충해의 문제는 토양 및 식물의 선정 등 다른 방안으로 미리 고려해야함
- 너무 높고 우거진 나무만이 좋은 것은 아닌데 수목의 성장과 함께 증가되는 하중 및 큰 수목으로 인한 광량 및 집안으로 들어오는 햇볕 등에 대한 연구가 미흡
- 옥상녹화에 특화된 식물재배 방식 등을 통해 새로운 기법의 설계를 해야 함
- 당초부터 디자인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고, 홍보를 위한 특색에 너무 중점을 둔 느낌이 있음
- 방수 및 기타 다른 요인들도 입주를 꺼리는 요인일 수 있음. 토양 및 냄새, 기타 등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경우 성공한 옥상녹화가 많지 않고 대부분의 법적조경만을 위한 옥상녹화가 실패하는 원인도 이와 연관이 있지 않을까? 그렇다. 누누이 이야기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도 옥상녹화의 대부분이 실패하는 나라이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고 생각한다.
- 법적조경의 한계: 적은 비용으로 법적조경만 하려는 경우가 많다. 지상조경은 그래도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거나 발생하더라도 하자보수가 용이하다. 하지만 옥상녹화의 경우 문제발생의 우려가 많고 하자의 비용이 크다.
- 유지관리의 한계: 법적조경만 겨우 충족시킨다면 당연히 유지관리가 어려워진다. 비용을 줄이기 위한 낮은 토심과 낮은 식재 밀도, 옥상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시공으로 하자발생이 높아지고 유지관리를 위한 비용을 인정하지 않으려 한다.
- 설계기술의 문제: Bosco Verticale의 성공사례에서 보듯이 설계단계에서 옥상녹화를 위한 여러가지 협력이 필요하고 고려할 사항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이런 설계를 보기가 어렵다. 또한 제대로 설계가 되지 않아 제대로 시공이 되지도 않는다. 상업건물의 옥상녹화 설계도는 대부분 전문성이 떨어지며 정확도도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 제도의 미비: 법적조경은 단순하게 면적 및 토심, 수목의 크기나 수량만 고려하기 때문에 옥상녹화의 실패를 막지 못한다. 인공지반에 적합한 설계와 시공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며 조성 후의 유지관리문제를 고려하고, 유지관리가 되지 않는 경우에 대한 제도마련도 필요하다.
인공지반의 역할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대가 되었다. 하지만 아직 그것을 위한 여러 가지 여건은 미약하다. 갈 길이 멀지만 가야만 하는 길이다.
덧붙여, 우리나라에 가장 잘못된 번역으로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이 있다. “악화(惡貨)가 양화(良貨)를 구축(驅逐)한다”라는 영국의 경제학자 토머스 그레샴의 경제이론이다. 도대체 이게 무슨 말인가? 특히 한문을 모른다면 전혀 이해할 수 없는 외국어에 가까운 이 말에서 가장 어려운 말은 ‘구축한다’이다. 이 말은 ‘몰아내고 쫓아낸다’라는 뜻이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구축함도 이 한자에서 유래된 것이다. 순도가 낮은 금화와 순도가 높은 금화가 시장에서 함께 유통될 때 결국에는 시장에 순도가 낮은 금화만 남는다는 말이다. 이 이론을 견강부회하자면 올바른 설계와 시공을 하는 회사가(순도가 높은 금화)가 점점 사라지고 저렴하고 조악한 설계와 시공을 하는 회사만(순도가 떨어지는 금화) 살아남는 지금의 이 조경 시장을 꼬집어 말하고 싶다.
“악화(惡貨)가 양화(良貨)를 구축(驅逐)한다.”
김진수 인공지반녹화협회 부회장 / 랜드아키생태조경 대표
*기고문은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