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형석 ([email protected])

[환경과조경 박형석 기자] 서울환경연합이 지난 25일 오전 10시, 참여연대 2층 아름드리홀에서 ‘서울, 공원의 위기’를 주제로 긴급토론회를 개최했다.
26일 서울환경연합에 따르면, ‘서울, 공원의 위기’ 긴급토론회는 여의도공원의 제2세종문화회관의 목표는 무엇인가와 파크골프장이 과연 제 역할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해 토론을 진행했다.
토론회에서 첫 발표를 한 최영 서울환경연합 생태도시팀장은 “시민들이 공원을 찾는 이유는 자유로움이라는 매력 때문”이라며, “서울의 공원 정책의 기조는 전 공원의 랜드마크화이다. 이에 데크길과 전망대는 공원의 공공성을 훼손하고, 수종갱신을 통해 공원 생태계를 교란하는 사업들이 많으며, 과도한 민간개발을 통해 공원을 활성화 하는 방식도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어서 발표를 한 배정한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교수는 “여의도 공원이 사실 인기가 없다”며 “매력을 끌지 못하는 공원 중 하나이다. 그러나 현재 추진되는 제2세종문화회관 계획은 그레이트한강 계획과 얽히면서 무엇이 가장 큰 목적인지, 불분명한 목표를 내세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진우 서울환경연합 생태도시전문위원이 좌장을 맡아 진행한 토론회에서, 첫 토론자로 나선 온수진 서울시 양천구 공원녹지과장은 “서울시는 수변랜드마크에 대한 욕심이 있다”며 “초고령화 시대에 파크골프장의 수요가 많지만 자치구 단위로 볼 게 아니고, 서울시가 중장기적으로 수요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장성암 백련근린공원 파크골프장 건설반대 주민대책위원회 위원장은 “모든 사람들이 파크골프라는 소수의 운동을 좋아할 순 없다”며 “주민들은 파크골프 자체에 관심이 없고, 심지어 민폐라고 생각하는 이도 있다. 이러한 주민들과의 갈등 없이 운동을 즐기고 싶다면 인근 주민들과의 상생과 공감이 전제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맹지연 환경운동연합 자연생태위원은 “근린공원에 파크골프장을 조성하는 것은 문제이다”라며 “어르신들이 양보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맹지연 위원은 “여의도공원은 시민이 찾아올 수 있는 공원이 돼야 한다”며 “시민들의 더 많은 관심을 바탕으로 우리가 원하는 대로 만들어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민성환 생태보전시민모임 대표는 “공원을 생명의 공간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그러나 “지금 서울의 공원 곳곳에서 일어나는 사태는 위기의 본질을 보여 준다. 서울시 차원에서 바람직한 공원관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공론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성환 대표는 “대표적인 예로 성미산과 봉산공원, 백련근린공원에서 보듯 누가 어떤 방식으로 의사결정을 하는지 모르겠다면서, 공원을 조성하고 관리할 때 숙의에 기반한 민주적인 의사결정을 했으면 좋겠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