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새책] 조경개념사전
조경 관련 용어 126항목의 기본 개념 정립
  • 입력 2023-04-30 18:59
  • 수정 2023-04-30 18:59
표지 ㅂㄷ.jpg
김순기 외 5인 지음 / 도서출판 집 펴냄 / 524쪽 / 3만 원

 


[환경과조경 신유정 기자] 조경 관련 용어 126항목의 기본 개념을 정립한 ‘조경개념사전’이 발간됐다.


신간 ‘조경개념사전’은 현재 통용되고 있는 조경 관련 용어의 기본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고, 새로이 떠오르고 있는 조경개념 및 정책 관련 어휘까지 함께 소개하고 있다. 


단순한 용어 정의나 낱말 풀이식의 책이 아닌 하나의 용어에 담겨 있는 다중적인 가치와 미래 전망을 함께 전달할 수 있도록 했다.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조경전문가, 연구자, 조경 관련 행정 담당자는 물론 미래의 조경 현장을 이끌 학생들이 참조할 수 있도록 했다.


조경학의 기본 갈래를 ▲조경총론·조경설계 ▲조경계획 ▲한국역사경관 ▲시각경관계획 ▲경관생태계획 ▲조경운영관리 6개의 기본 영역으로 구분했다. 

 

가나다순 차례와 함께 영역별 차례를 넣어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조경전문가, 연구자, 조경 관련 행정 담당자는 물론 미래의 조경 현장을 이끌 학생들이 필요에 따라 찾아보기 쉽게 구성했다.


‘조경 총론·조경설계’, ‘조경계획’, ‘한국역사경관’은 핵심 실무영역으로 조경설계 산업 및 조경미학, 조경역사 및 양식 연구와 긴밀히 연관돼 있다.


‘시각경관계획’, ‘경관생태계획’은 전통적인 경관 연구의 양대 분야로 조경이론연구의 기초분야이며, 앞으로 확장성이 예상되는 영역이다. 서구 조경계에서 ‘랜드스케이프’는 크게 ‘시각적 경관’과 ‘물리적 토지·환경’이라는 두 갈래로 각각 발전돼왔다. ‘시각경관계획’이 전자라면 ‘경관생태계획’은 후자의 연구영역으로 볼 수 있다.


‘조경운영관리’는 특히 거버넌스 시대에 부응하는 사회과학적 접근으로 최근에 도시와 농촌환경의 재생과 관련해 도시공원 운영관리, 커뮤니티 디자인, 주민참여를 통한 지역환경의 계획·조성·운영의 통합방법론으로 수요가 확장되고 있는 분야다.


한편 사전에서는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매뉴얼 성격의 책이 적합한 조경재료와 식물, 시공 등 기술적 세부영역은 포함하지 않았다. 이 분야의 책은 이미 국내·외에 다수 출간돼 있다. 책 제목이 ‘조경용어사전’에서 ‘조경개념사전’으로 수정된 이유도 같은 맥락이다.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
  • 환경과조경 2023년 12월
  • 최신개정판 CONQUEST 조경기사·조경산업기사 필기정복
  • 조경의 미래를 묻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