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유정 ([email protected])
[환경과조경 신유정 기자] 정부가 오는 2027년까지 도시농업 참여자 수를 300만명으로 늘리고, 도시농업 공동체를 1000곳으로 확대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6일 이 같은 내용의 ‘제3차 도시농업 육성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농식품부는 앞으로 ▲탄소중립과 생태환경 보전 ▲스마트한 도시농업▲일상생활 속 도시농업 확산 ▲상생과 협력 확대를 중점 추진할 예정이다.
먼저 도심에서 탄소중립 실천과 생태환경 보전을 위해 생활권, 건축물 내 공간을 활용, 수요자 맞춤형 텃밭을 조성하고, 생태교육을 운영하며 텃밭 부산물, 커피 찌꺼기 퇴비화 등 자원순환 재배기술을 지자체·민간에 확산할 수 있도록 실용화한다.
또한 최근 관심이 높아지는 반려식물은 식물 추천부터 구매까지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사물인터넷 등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학습 교구·콘텐츠를 미래세대 중심으로 보급해 농업의 인식 변화를 유도한다.
이와함께 생애주기별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준비해 다양한 연령층이 도시농업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직장 내 모임, 아파트 주민, 어르신들 대상으로 공동체 프로그램도 운영해 지역사회의 참여를 이끌어낼 예정이다.
아울러 기업의 환경·사회·투명 경영(ESG)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시농업 모델을 발굴하고, 도시농업 활동을 귀농·귀촌의 선행단계로 활용하는 방안도 모색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3차 종합계획은 1, 2차를 통해 확대된 도시농업의 외연을 기반으로 도시농업이 갖는 환경·사회적 가치 등을 활용한 활동을 통해 도시민, 농업인, 기업이 상생하는 체계를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