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유정 ([email protected])
[환경과조경 신유정 기자] 팬데믹시대 자연에 푹 빠진 요즘, 사계절 다른 꽃을 피운다는 우리꽃 연구소에 다녀왔다.
김진호 가수의 ‘엄마의 프로필 사진은 왜 꽃밭일까’라는 노래 중 “피어있는 꽃들을 보면 아직도 걸음 멈추는 사람~ 엄마의 사진엔 꽃밭이 있어~ 꽃밭 한가운데 엄마가 있어~ 그녀의 주변엔 꽃밭이 있어~ 아름답게 자란 꽃밭이 있어”라는 가사가 있다. 꽃은 피어있는 시간은 짧지만, 그 기간동안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힘이 있다.
봄날, 엄마와 함께 가고 싶은 ‘우리씨드그룹 우리꽃연구소’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 내 위치하고 있는 우리씨드그룹 우리꽃연구소 정원에 방문했다. 정원에는 작약, 붓꽃 등 다양한 품종의 꽃들로 가득했다.
연구소에서 만난 박공영 우리씨드그룹 대표는 정원에 대해 사계절 내내 다른 꽃을 피워 하루도 빠짐없이 꽃을 감상할 수 있도록 조성했다고 설명했다.
우리씨드그룹은 약 100여 종의 품종 보호 식물을 개발해 네덜란드, 일본, 이탈리아 등 전 세계로 로열티를 받고 수출하는 기업이다. 5만 평 이상의 대규모 농장에서 야생화 연구부터 향토녹화용종자, 산림종자, 지피식물 묘종 등 생산, 개발, 판매, 유통까지 진행하고 있다.
현재 개발된 우리 야생화 개량에서 멈추지 않고 꾸준히 국내외 식물의 유전자원을 수집해 소비자가 찾는 우수한 품종을 만든다는 철학으로 다양한 신품종을 개발하고 있다. 이 밖에도 생태적, 경관적 식재 트렌드를 주도하는 기업으로 인정받고 있다.
박공영 대표와 정원투어를 함께하며 5~6월에 만날 수 있는 꽃들에 대해 알아봤다. 정원에 만개한 붓꽃, 꽃파, 작약, 사계패랭이, 레페타 등 아름다운 꽃들을 볼 수 있었다.
박공영 대표에 따르면, 붓꽃은 산과 들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잎과 꽃봉오리가 붓글씨 쓰는 붓을 닮은 게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붓꽃류의 식물을 두고 창포나 아이리스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사실 단옷날 머리 감는 창포와 붓꽃류는 전혀 다른 식물이다. 붓꽃의 영문 이름인 아이리스는 그리스 신화의 무지개의 여신인 이리스에서 유래됐으며, 아이리스란 서양 이름은 세계가 함께 부르는 붓꽃류를 총칭하는 속명이다.
최근 붗꽃은 공원, 자연학습장, 일반 정원 등에 많이 식재되고 있다. 특히 습지나 하천 변, 도심 속 냇가 등처럼 물이 많은 곳 주변에 심으면 잘 어울리는 식물로 인기가 많다. 붓꽃은 종자에 휴면성이 없기 때문에 완전히 성숙한 뒤 따서 뿌려도 발아가 잘 된다. 종자를 저온보관해서 연중 어느 때 파종해도 좋다. 비교적 빛을 좋아하는 식물이지만 약간 그늘진 곳에서도 잘 견딘다.
또한 꽃이 아름다워서 관상용으로 심기도 하지만 한방에서는 소화불량이나 배가 부풀어 오르는 증세, 체증이 오래돼 덩어리지는 증상 등을 치료하는 약재로 쓴다. 그 외에도 인후염, 주독, 폐렴, 촌충, 편도선염, 등을 치료하는데 다른 약재와 함께 처방해 사용한다.
꽃파, 멋과 맛으로 식욕을 돋우는 ‘꽃’
보라색으로 활짝 핀 모습의 꽃파는 30cm 길이의 꽃대가 잎 사이 끝에서 3~4cm의 동그란 모양의 꽃이 붉은 보라색으로 피며, 파의 일종으로 키가 작고 잎이 가늘며 짧은 품종이다. 먹는 순간 파 냄새가 많이 나지 않고 똑 쏘면서도 향긋해서 식욕을 돋우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뿌리·잎·꽃에 독특한 향미와 매운맛이 있다.
요리에 향신료로 사용하면 생선이나 육류의 냄새를 없애 주고 풍미를 더해 준다. 꽃은 붉은 보라색으로 아름다워서 샐러드의 장식용으로 쓰이거나 드라이플라워 장식용·화단의 관상용 화초로도 손색이 없다.
특히 강장작용, 혈압을 내리는 방부제 역할도 한다. 유럽에서는 과수원에 심으면 부패병을 예방한다 해 즐겨 심었으며, 철분이 풍부해 빈혈예방·정혈작용에 좋고 칼슘이 많아 손톱·치아의 성장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작약, 약으로도 좋은 ‘풀’
작약은 모란과 목단이 있다. 모란은 낙엽 관목인 나무이기 때문에 최대 2미터 정도의 큰 크기로 나무에서 피어나며, 가을이 되면 일반 나무들처럼 낙엽이 지게 된다. 나무에 피는 꽃이기 때문에 꽃이 달려 있는 가지 또한 갈색이다. 특히 꽃이 크고 화려해 풍요, 부귀의 상징이다. 중국이 원산지로 관상용이나 약초로 재배되며, 물 빠짐이 좋은 비옥한 토양을 좋아한다.
박 대표에 따르면, 요즘은 개량 품종이 많이 생겨서 다양한 색으로도 많이 나온다. 꽃잎을 자세히 살펴보면 더욱 쉽게 구분을 할 수 있게 되는데 모란은 잎사귀에 광택이 나지 않으며 오리의 발을 닮았다고 한다.
작약은 낮게 자라며 한 포기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식물이다. 즉 나무가 아닌 풀인 것이다. 잎은 광택이 나면서 좀 더 삐죽하고 3개의 잎사귀가 모여있는 형태다. 꽃 색은 빨간색, 흰색, 분홍색 등으로 다양하게 피어난다.
농촌진흥청의 설명에 따르면, 약용으로 재배되는 작약의 종류는 의성, 다호, 사곡 등이 있으며, 약용과 화훼 둘 다 겸용할 수 있는 종류는 거풍·마강·태백 등이 있다. 요즘은 점점 품종계량을 많이 해서 약용과 화훼용 둘 다 사용할 수 있는 품종이 점점 많아지는 추세다.
작약은 단순히 한 가지 효능이 아닌 여러 가지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작약에 들어있는 아스파라긴 성분은 통증을 완화 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사계패랭이, “당신의 정원에 사계절 피는 꽃 어떠세요?”
사계패랭이는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들과 산 가장자리에 진분홍색이 피어나는 꽃으로 높이 10~30cm 정도다. 꽃이 활짝 피면 마치 옛날에 남자들이 쓰던 모자 패랭이를 뒤집어 놓은 것처럼 생겼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패랭이는 많은 종류의 재배종이 있다. 은은한 향기가 좋아 향기파랭이라고도 불리며, 흔히 도로변에 관상용으로 심어진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누구나 좋아하는 꽃 모양·화사한 색감·키가 크지 않아 화단 및 분화용으로 많이 이용된다. 또 추위에 강해 전국 어디서든 월동에 별문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카네이션과 같은 석죽과 식물로 이 속 식물은 약 300여 종이 유럽의 남부, 중부, 동부지역과 아시아 북부 등지에 주로 분포하며 미국에도 딱 한 종이 자생한다. 우리나라에는 패랭이꽃·갯패랭이꽃·난쟁이패랭이꽃·술패랭이꽃 등이 있으며, 백두산에는 구름패랭이가 자생하고 있다.
파랭이 꽃은 잎에 사포닌이 함유돼 있고 쓴맛을 내어 소화를 촉진하는 효과도 있다. 딱딱한 것을 무르게 하는 효과가 있어 목구멍에 생선뼈가 걸렸을 때 패랭이꽃 씨를 달여 먹으면 곧 생선뼈가 부드러워져서 내려가는 효과가 있다.
레페타, 은은한 보랏빛 꽃과 상큼한 ‘레몬 향기’
레페타는 수상화서로 피는 장기개화종으로 레몬 향기가 나는 관상용 허브다. HERB(허브)란 지구상에 자생하는 식물중에 식용, 미용, 약용, 방향제, 방충제, 방부제, 소취제 등 Health(건강), Eatable(식용), Refresh(신선함), Beauty(미용)의 복합어로 쓰이기도 한다.
특히 양지에서 잘 자라며 옮겨심기를 한 후에 순지르기를 한번 하면 꽃대의 수를 많게 할 수 있다. 귀엽고 청초한 청자색의 꽃이 모여 피며, 꽃잎 가운데 진한 보라색 반점이 특징이다. 이 반점의 무늬는 활주로 역할을 해 벌과 나비가 많이 접근하는 밀원식물이다.
또한 노지에서 월동하고 더위에 잘 견디는 것이 특징이다. 배수가 잘 되고 적당한 습기가 있는 토양에서 잘 자란다. 강장·거담·발한·이뇨·해열·혈액 정화 효능이 있으며, 두통·방광염·수종·신장결석·위염·이명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다.
박공영 대표는 KBS 다큐인사이트에 소개된 오산 서랑호수 부근에 위치한 ‘아내의 정원’을 예로 들며, 요즘은 여가생활, 지역공동체 형성,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정원과 가드닝분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원은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기후변화 대응을 선도하는 모델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