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형석 ([email protected])
[환경과조경 박형석 기자] 우상봉 가람ENG 대표가 녹조를 친환경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수중녹조처리기 개발에 성공했다.
녹조는 농업지역에서 나오는 농약, 비료, 퇴·액비와 가축의 분료, 도시지역의 생활하수나 음식물 쓰레기 등이 호우 시 하천으로 유입되면서 남세균 등 식물플랑크톤을 형성해 페인트처럼 걸쭉해진 현상을 말한다.
녹조현상은 수중으로 햇빛을 차단시켜 물의 용존산소량이 줄어들게 하는데, 이렇게 되면 물고기와 수중생물이 죽고 악취가 나며, 그 수역의 생태계가 파괴돼 사회적·경제적·환경적 측면에서 많은 피해가 생긴다.
또한 이 현상의 가장 심각한 문제는 유독 조류가 생산하는 독소인데, 이로 인해 동물이 폐사한 사건이 보고되며, 가축이나 야생동물의 피해가 발생한 적이 있다. 최근에는 상수원으로 이용되는 호수에서 녹조가 대량 발생하면서 남조류의 독성이 농작물에 침투해 우리가 먹는 농산물에서 검출되기도 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자체나 수자원공사, 환경부 등 각 부처는 녹조를 제거하기 위한 방안으로 심층수 표층 순환방식과 황토 살포, 녹조 수거, 약품 살포, 수차 산소 발생, 나노 산소 기포 발생기, 전기촉매 모듈 이용 등 많은 방법으로 제거를 해왔지만 많은 양의 녹조를 제거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번에 가람 ENG에서 개발한 수중녹조처리기는 ‘마이크로 나이즈 그라인딩 기술’을 이용한 친환경적 녹조 사멸 침전 방식으로, 수중 위에 떠 있는 녹조를 분당 30만 번 이상의 고속·고압력 충격 방식을 통해 제거한다.
이는 녹조를 처리기로 유입시켜 분쇄 후 침수를 거쳐 유기물로 환원시키는 강제 자연순환 사이클 방식이다.
이때 수중녹조처리기를 거쳐 나온 녹조는 플랑크톤과 어류들의 먹이로 사용되며, 녹조 제거 시 나오는 약품이 없어 2차 오염원이 없고, 비를 통해 하류로 이동하면서 토양에 흡입되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가람 ENG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고창 수동저수지와 수원 왕송저수지에 실증시험을 진행했다. 녹조가 가장 많은 지난해 7월부터 9월까지 총 4차례 걸쳐 진행한 결과, 수동저수지에 수중녹조처리기를 처음 사용했을 때 녹조가 76%가 개선됐으며, 왕송저수지는 93%가 개선됐다.
이 시험은 맑은 날 뿐만 아니라 궂은 날에도 진행했는데, 고창저수지에 장마가 왔을 때는 녹조가 95% 개선됐고, 수동저수지에는 92%가 개선됐다. 또한 태풍의 영향으로 인한 저수율 상승 시기에도 두 곳 모두 70% 이상 개선되는 효과를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인증받았다.
가람 ENG가 개발한 수중녹조처리기는 지난 2017년부터 2019년, 2021년, 2022년까지 꾸준하게 특허를 받으며 발전했고, 2022년 8월 1일부로 완벽한 제품으로 특허 인증을 받았으며, 2021년 10월에 조달청 벤처 나라에 납품을 시작했다.
이에 우상봉 가람 ENG 대표는 “이번에 개발한 수중녹조처리기는 마이크로 나이즈 그라인딩 기술을 통해 적은 전기료와 다른 장비보다 저렴한 가격을 실현했으며, 원격 조정 가능한 처리기를 통해 관리가 쉬워 인건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며 “다른 방식들도 녹조 제거에 도움은 되지만 녹조를 유입시켜 분쇄해 제거하는 방식이 제일 효율적이다”라고 말했다.
더불어 “녹조는 무게가 가벼워 한곳에 머물기보다 군데군데 밀집돼 있는데, 큰 저수지에 한 곳만 녹조 제거를 하는 방식은 효과가 별로 없다. 이번에 개발한 처리기는 빠른 녹조 제거와 인건비 및 많은 전기세 관련 문제를 손쉽게 처리 가능하며, 물을 순환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기계 내부를 청소해 더욱 오래 사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우상봉 대표는 “환경에 관심이 많은 여러 지자체와 각 부처, 기업 등이 녹조 제거를 위해 힘쓰고 있지만, 아닌 곳도 많다”며 “국가에서 녹조 제거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예산을 편성해 농업인들과 그걸 먹는 국민, 생태계 등에 더 큰 피해가 가는 걸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우담희
2023-03-20 (10:53)
- 수정
- 삭제
댓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