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유정 ([email protected])

[환경과조경 신유정 기자] 도심의 가로녹지가 1m에서 1.2m 정도일 때 보행자가 공기 오염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가장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서울기술연구원 400가지 유형을 비교한 결과 차도와 보도를 나누는 울타리 수목의 높이가 1∼1.2m 수준으로 촘촘히 조성됐을 때 보행자의 호흡 높이에서 오염물질 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시는 그동안 가로녹지 사업을 하면서 사업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의 가로녹지를 조성해왔다.
가로녹지는 공기를 분산하고 식물에 오염물질을 흡착, 정화할 수 있는 기능으로 대기오염물질을 저감하고, 식물의 증발산 기능과 태양복사 열의 차단을 통해 열 저감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제대로 심지 않으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해 보행 도로에서 대기 오염물질 농도가 오히려 증가하고, 열 저감에도 효과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
서울기술연구원은 가로녹지 유형 400개 데이터를 대상으로 가로녹지 조성에 사용되는 수목의 높이와 밀도가 대기오염 물질 차단에 미치는 영향을 가상공간 안에서 실험했다.
그 결과 나무 울타리의 높이가 1.0~1.2m 수준의 높이일 때 보행자에게 공기 오염물질의 피해 노출이 낮았으며, 수목의 밀도를 촘촘히 해 조성했을 때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철나무와 같은 생울타리(나무울타리) 수목의 높이와 밀도가 대기오염 물질을 줄이는데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기술연구원은 더욱 효과적인 식재 방법을 찾아내기 위해 태양 복사열과 땅과 건물에서 뿜어져 나오는 복사열, 바람, 습도 등의 요인들을 모두 종합해 분석했다.
그늘이 조성되는 큰 수목과 낮은 나무가 조화롭게 식재될 경우 열 쾌적성이 65% 이상 향상됐다. 이는 한여름에 보행자가 매우 덥게 느낄 때, 가로수와 녹지가 적절하게 식재된다면 두 배 이상 쾌적성이 높아지고, 편안하게 느껴지는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풍공학회지에 게재, 한국조경학회에 발표돼 객관적 검증을 거쳤다.
또한 폭염과 대기오염과 물질에 효과적인 식재방법 및 식물종을 제시했다. 2차선 혹은 3·4차선 도로의 규모별로 폭염을 저감할 수 있는 수목 식재의 우선순위 등급 기준도 함께 마련했다.
시는 향후 학교 통학로, 업무 가로 등 다양한 가로 유형에 해당 식재 방안을 적용할 예정이다.
임성은 서울기술연구원 원장은 “가로녹지는 폭염과 대기오염 물질에서 시민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대응 등 탄소저감을 위한 근본적 해결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며 “안전하고 푸른 서울을 위해 시와 협업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