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유정 ([email protected])

[환경과조경 신유정 기자] 옥상녹화 활성화를 위해서는 거버넌스 중심의 커뮤니케이션 등의 소통방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녹색서울시민위원회 생태분과위원회가 지난 24일 오후 3시 서울시청 3층 대회의실에서 ‘2022년 제1차 서울생물다양성 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은 ‘옥상녹화를 통한 생물다양성 증진’을 주제로 인공지반의 생물다양성, 도시의 생물다양성 등을 살펴보고 앞으로 나아갈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포럼은 ▲김진수 랜드아키생태조경 대표가 ‘옥상녹화와 생물다양성’ ▲한규희 어번닉스 대표가 ‘일본 도시재생기구 친환경단지의 생물다양성’을 주제로 발표했다.
주제 발표가 끝난 후 이어진 토론은 김진홍 녹색서울시민위원회 생태분과위원장을 좌장으로 ▲이현삼 시 푸른도시국 팀장 ▲김원주 서울연구원 안전환경연구실 연구위원 ▲김태한 상명대학교 교수 ▲김부식 조경신문 대표가 패널로 참여했다.
토론에서 김원주 연구위원은 “사실상 재건축 등 환경영향평가에서는 자연지반율이 얼마나 되느냐 정도의 양적인 측면만 보고 있다. 생물다양성 측면이나, 질적인 측면은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그런 부분들을 어떻게 타개할 수 있는지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조경과 근접해 있는 건축법·제도 측면에서도 고민해 볼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옥상녹화의 역할을 공격적으로 추진해야 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앞으로 법·제도적 측면에서 나아가야 할 숙제가 ‘우리에게 있다’라는 것도 다시 한번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태한 상명대학교 교수는 “김진수 대표가 발표에서 공유한 뉴욕의 ‘기후동원법’ 같은 정책이 국내에서도 충분히 이뤄져야 한다. 특히 옥상녹화를 도시 인프라·산업적 관점에서 봤을 때, 도시의 회복탄력성을 제고한다는 측면에서 이를 기반으로 거버넌스 중심의 커뮤니케이션 등의 소통방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한 청중은 “옥상녹화의 적극적인 홍보와 현재 70%인 자치구·공공기관·민간건축물 옥상녹화 보조금 지원 비율을 상향 조정해 달라”고 이현삼 팀장에게 요청했다.
이에 이현삼 팀장은 “2008년부터 2012년도까지 100개소씩 옥상녹화를 추진했지만, 최근에는 많이 침체된 상황이다. 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현재 중앙부처와 협업 관계를 유지해 공공시설 무료쉼터 400개소에 대해 옥상녹화를 활성화할 예정이다. 현실적인 녹지확보 대안, 생태징검다리 역할 등의 효과를 목표로 옥상녹화 홍보에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