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uncheon Bay Garden Expo 2013 D-1 year International Symposium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D-1년 맞이 국제심포지엄‘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가 1년 앞으로 다가온 지난 3월14일 전남 순천시 문화건강센터에서 ‘정원박람회와 지역사회의 미래’라는 주제로 한 국제심포지엄이 개최되었다.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주관하고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조직위원회’가주최한 이번 심포지엄에는 20세기 최고의 포스트모더니즘 건축가이자 조경가인 찰스 젱스가 내한해 기조강연을 맡아 관심을 모았으며, 뿐만 아니라 한국보다 앞서 국제정원박람회를 개최한 일본과 대만의 대표 기획자들과 2016터키박람회조직위원회의 운영매니저를 맡은 안일일마즈터키가 발표자로 참석하여 성공적인 박람회 개최를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
Samsung Everland Design Lecture Series Ⅴ
삼성에버랜드(주) E&A 디자인그룹 디자인렉처 시리즈 Ⅴ삼성에버랜드㈜ E&A 디자인그룹의 주관으로 지난해부터 시작되어 많은 이들의 관심을 모았던 Design Lecture Seres가 지난 3월 5일 피터 워커(Peter Waker)의 강연을 시작으로 2012년 강연의 포문을 열었다. 강연 일정이 학생들의 개학시즌과 맞물리고 월요일에 진행된 강연임에도 불구하고 약 550여 명의 학생과 실무자들이 참석하였다. 피터워커의 강연을 듣기 위해 하루 일정으로 지방에서 올라온 사람이 있는가하면 군인의 신분으로 휴가를 이용하여 강연을 들으러온 장병 등을 통해 그 열기를 실감할 수 있었다. 이번 Design Lecture Seres의 강연자로 나선 피터 워커는 20세기 중반 현대 조경디자인에서 고전주의와 모더니즘, 미니멀리즘을 한데 엮는 작업을 계속해온 인물로 철학과 문화의 차원에서 오는 표현을 더욱 다원적으로 나타내고자 하였으며 다른 사람들이 생각하지 않은 독특한 방법으로 표현한 작가이다.
고전적 개념의 자유로운 형태를 현대적인 표현양식으로 재현하면서 다양한 작품을 선보이며 세계무대에서 활동하는 그는 버클리대학교에서 조경학을 전공하고 하버드대학교에서 조경학 석사학위를 취득한후 1957년부터 SWA를설립하여 실무와 학계에 종사하며 작품활동을 하였다. 1983년 Peter Walker and Partners를 설립하였으며, 2005년에 세계조경가협회IFLA가 수여하는 제프리 젤리코상Geoffrey Jellcoe Award의 첫 번째 수상의 영광을 안기도 하였다. 또한 그는 이번 강연과 더불어 몇 년전 한국에서 진행된 서초 삼성타운 프로젝트에서 자신이 담당했던 조경디자인의 현재 모습을 확인하기 위해 내한을 결정하게 되었다고 한다. 자신이 참여했던 작품은 대부분 완공된 모습을 확인하는데, 서초 삼성타운 프로젝트 당시에는 완공을 보지 못하고 귀국했었기에 이번 내한을 통해 사람들이 그공간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고.
-
Philadelphia International Flower Show
2012 필라델피아 국제 플라워쇼하와이: 알로하의 섬기나긴 겨울의 터널을 지나 막 봄의 문턱을 넘어서기 시작하는 3월 초가 되면 필라델피아 지역은 플라워쇼의 들뜬 분위기로 봄기운을 한껏 북돋아 올리며 다시 또 시작되는 성장의 계절을 맞이할 준비로 바쁘다. 올해도 어김없이 필라델피아 국제 플라워쇼가 ‘하와이: 알로하의 섬(Hawaii: Islands of Aloha)’이라는 주제로 펜실베이니아 컨벤션센터에서 3월 4일부터 11일까지 열렸다. 올해로 183회를 맞은 필라델피아 국제 플라워쇼는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실내꽃박람회로, 펜실베이니아원예협회(PHS) 주관으로 매년 3월 초에 개최되며, 8일간 약 25만 명의 관람객이 플라워쇼를 찾는다. 플라워쇼를 위한 실내 전시장의 규모는 약 4만 제곱미터로 축구장 면적의 여섯 배에 이르고, 전시장은 꽃이 활짝 핀 나무들과 각종 화훼 장식을 비롯하여 아주 작은 고산식물부터 구근류와 숙근초, 선인장, 다육식물, 난초류, 토피어리, 분재, 테라리움 등 식물과 원예와 관련된 거의 모든 종류의 전시물들로 가득 찬다. 플라워쇼의 전시는 보통 2~3년 전부터 수립된 계획에 의해 준비되는데, 보통 60개가 넘는 메인 전시와 수백 가지의 경쟁 부문별로 전체 약 5,000점이 넘는 출품작이 전시, 심사가 이루어지며, 이 모든 과정에는 3,500명이 넘는 자원봉사자들이 참여한다.
필라델피아 국제 플라워쇼는 1827년 미국 최초의 원예협회인 펜실베이니아원예협회가 창립되고 난 후, 1829년 처음으로 개최되었다.첫 플라워쇼에는 25명의 협회 회원들이 참가한 가운데 ‘과일, 꽃, 식물’을 주제로 목련류와 중국으로부터 온 작약류, 인도 고무나무, 아라비아의 커피나무, 서인도의 사탕수수 등 외래 식물을 비롯한 자생식물을 하루 일정으로 전시하였다. 1927년부터 1960년대 중반까지 플라워쇼의 실질적인 운영은 묘목업자들과 재배가들로 이루어진 전문가 그룹인 필라델피아 플라워쇼 주식회사가 맡았고, 이 기간 동안 원예협회는 아마추어 경쟁 부문을 만들어 이것이 오늘날까지도 플라워쇼의 주요 구성 부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1968년부터는 펜실베이니아원예협회가 공식적인 주관을 맡게 되었고, 1996년부터는 현재 플라워쇼가 열리고 있는 펜실베이니아 컨벤션센터로 자리를 옮겨 세계 최대 규모의 실내 꽃 박람회로 명성을 떨치게 되었다.
-
서울 사직단
Seoul Sajikdan사직단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동 1-28번지 일원에 위치하며, 태조 4년(1395)에 국태민안(國泰民安)을 기원할 목적으로 조성된 단묘시설로, 국가의 대사(大祀) 중 하나인 사직대제를 행하고 있다. 현재 43,855㎡(13,289여 평)일원에 사단, 직단, 유원과 유문, 주원과 신문, 신실, 안향청 등에서 자연과 인공이 화합하는 순응의 미학을 공간적, 지형적으로 연계시키고 있다. 1963년 1월 21일 사적 제121호로 지정되었다.Seoul Sajikdan which is located in 1-28 Sajik-dong, Jongno-gu, Seoul. After constructed in the 4th year of King Taejo's reign(1395), it was used for religious service to spirit of land and cereals. And it has spatial organization significance as one of national ceremonial place. Currently the area 43,855㎡(13,289py) in the whole area Sadan and Jikdan, Yuwon(壝垣) and Yumun(壝門), Juwon(周垣) and Sinmun(神門), Sinsil, Anhyangcheong, etc. The aesthetics of adaptation is connected spatially, topographically and functionally. It was appointed Historical Site no. 121 in 21, January, 1963.
-
2011 The Awards Ceremony for Landscape Architecture Criticism Contest
2011 대한민국 조경비평대상 시상식조경비평문화의 활성화와 미래 조경비평문화를 적극적으로 선도해 나갈 신진조경비평가 발굴을 위해 <환경과조경>이 주최한 ‘2011 대한민국 조경비평대상’ 시상식이 지난 2월 10일 본사 사옥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공모전엔 2011년 8월부터 11월 20일 마감일까지 총 13편의 원고가 접수되어 ‘한국 현대 조경에 대한 문제의식과 비판 정신, 비평 형식과 내용의 논리적 구성 및 그 완성도, 글쓰기와 조직화의 능력, 필자 고유의 조망 체계, 비평의 구체성, 필자가 추후 조경비평가로 계속 활동할 가능성과 능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놓고 조경, 건축, 미술 등 전문비평가들이 엄격한 심사를 벌인 끝에 당선작 없는 가작 4편을 선정하게 되었으며, 상격조정에 따라 100만원으로 상금을 조절, 시상하였다.
오휘영 발행인은 환영사를 통해 “늘 ‘조경분야도 비평문화가 좀 더 활성화 되어야 분야 발전에 기여 하겠다’라는 생각을 해왔다. 비평, 평론문화는 이미 다른 분야에서는 깊이 정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정치평론이라든지 문학평론 등은 아카데믹Academic한 분야로 편입된 지 오래다. 그런데 우리 조경분야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이 처음 창립되어 인재를 양성하기 시작한 지 40년이 지났지만 아직 가야할 길이 멀다. 분야가 꼭 협소해서 그런 것 같진 않은데 비평하면 잘못된 것을 비판하고 들춰내고 지적하고, 그 과정에서 긍정적이지 않은 얘기가 나오니까 자칫 주변에 누가 될까하는 우려가 있는 것 같다. 사실 평론이나 비평문화는 꼭 그런 것은 아니다. ‘조경분야의 미래에 대한 비전은 무엇인지’하는 것과 ‘우리가 등대 역할을 하고 앞으로 어떻게 발전해 가야겠다’라고 하는 것에 대한 분명한 메시지를 제시하는 것 또한 비평의 중요한 몫일 것이다. 이를 위해서라도 앞으로 비평문화를 더욱 활성화시키는 노력에 많은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여러분들에 대한 기대가 크다. 지금까지 많은 노력을 해왔겠지만 앞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조경비평문화가 학문적으로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여러분들의 탁월한 필력과 날카로운 판단력을 가지고 조경분야를 바라봐 주시길 부탁드린다. 다시 한 번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린다는 인사로 환영사를 마쳤다.
이어서 진행된 시상식에서는 ‘대형공원에 나타나는 현대공원 설계의 쟁점’ _ 박선희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학 전공, ‘조경, 느슨한 경계’ _ 유시범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조경, 통하였느냐’ _ 이성민토문엔지니어링, ‘지금 여기, 아름답고 신비하고 신묘하다-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의 희망적 시간’ _ 이명준서울대학교 대학원 통합설계미학연구실에 대해 상장과 상금, 꽃다발 수여식과 수상자들의 수상소감이 이어졌다.
-
제7회 조경실무아카데미
조경인들의 최신 실무정보 교류와 친목 도모를 위한 (사)한국조경사회 주최의 ‘제7회 조경실무아카데미’가 2월 8일부터 10일까지 서울유스호스텔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조경실무아카데미에는 약 40여 명의 조경인들이 참석한 가운데, 강좌 뿐만 아니라 조경실무아카데미 2박 3일 동안 ‘동고동락’하면서 짧은 만남이지만 인맥을 쌓고 멘토를 정하는 사귐의 장이 되기도 하였다.
첫날 입학식의 사회는 한국조경사회 서영애 위원장교육위원회이 맡았으며, 유의열 고문의 개회사를 통해 실무아카데미의 문을 열었다. 유의열 고문은 “인적네트워크를 키우고 자기 분야에서 전문성으로 최고가 되는데 노력하라”고 전하며 조경실무아카데미를 통해 만난 사람들을 미래의 자산으로 삼음으로써 이번 프로그램의 강좌 뿐만 아니라 인적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장이 되기를 기대했다. 환영사에서 한국조경사회 이민우 회장은 “필살기들이 모이면 자기 자신의 전문성이 된다. 과거부터 현재까지도 조경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전문분야이다. 지금은 우리가 조금 더 현실에 집중해야 하는 시기인 것 같다.”고 말하며 강좌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켰다.
한국조경사회에서는 조경실무에 종사하는 조경인들에게 최신이론 및 실무지식을 습득하고 정보교류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연 1회 조경실무아카데미를 진행하고 있으며, 2006년 시작된 조경실무아카데미는 올해로 7회째를 맞이했다. 하나의 프로그램이 7년 동안 꾸준하게 이어져 왔다는 것은 상당히 의미가 있는 부분이며 그만한 이유가 있음이다. 그동안 유수의 조경계 명사들이 초대되어 강연을 이어왔으며, 또한 수많은 실무자들이 조경실무아카데미를 거쳐 갔다. 조경실무아카데미를 거쳐간 많은 이들이 실무에서 자신들의 역량을 발휘하고 있으며, 어느덧 7년이라는 시간이 흘러 조경실무아카데미는 실무자들의 배움의 장이 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에 실무자들에게 더욱 내실 있는 교육의 장이 되기 위해서는 참석자들의 소리에 세심하게 귀를 기울여볼 필요가 있을 듯하다. 조경실무아카데미가 과연 실무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쳤고 앞으로의 과제는 무엇인지 프로그램 참가자들의 이야기를 통해 들어보았다.
-
마운트 쿠바 센터
Mt. Cuba Center마운트 쿠바 센터는 라모트 듀퐁 코플랜드Lammot du Pont Copeland 부부가 1935년부터 공을 들여 조성하기 시작하였다. 맨 처음 코플랜드 부부는 델라웨어 주 그린빌 부근의 마운트 쿠바에 위치한 농장 부지를 매입하였고, 척박한 언덕 위에 콜로니얼 양식의 하우스와 테라스, 정형식 정원을 만들었다. 여기에는 필라델피아의 이름난 조경가였던 토머스 시어스Thomas W. Sears의 도움이 있었고, 그 후 1950년대에 디자이너 마리안 코핀Marian Coffin이 몇몇의 작고 귀중한 정원들을 추가하였다. 다방면에 관심이 많은 원예가였던 코플랜드 부인은 그 후 버려진 목장과 숲지대를 매입한 후 우드랜드 가드닝에 대한 열정을 쏟아부었다. 그리고 1965년에는 조경가 세스 켈시Seth Kelsy와 함께 연못 조성과 관람동선 설계 등 본격적인 정원 조성을 시작하였다.
켈시가 1970년 마운트 쿠바를 떠난 후 코플랜드 부부는 그들의 목표를 다시 점검하게 되었고, 델라웨어 대학교의 교수이자 롱우드 대학원 석사과정Longwood Graduate Program의 코디네이터였던 리처드 라이티Richard W. Lighty의 조언으로 그들은 피드먼트 지역의 자생식물 수집에 초점을 맞추기로 결정했다. 당시 앨라배마로부터 거의 뉴욕시에 이르기까지 해안 평원 지대와 애팔래치아 산맥 사이로 뻗어 있는 구릉에 자리 잡고 있던 자연 서식지들은 농업과 상업의 확장, 그리고 교외 지역의 개발로 인해 지속적으로 위협을 받거나 파괴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코플랜드 부부는 자연 서식지에서 자생식물이 사라지고 그와 함께 생태계가 파괴되는 것을 더욱 우려하게 되었다. 1985년 라이티는 마운트 쿠바 센터의 첫 번째 디렉터가 되었고, 마운트 쿠바 센터는 이 지역의 자생식물을 보전하고 뛰어난 야생화 품종을 선발하여 전문 재배농가에 보급하는 등 정원식물 발굴을 위한 일을 시작하게 되었다. 1998년 은퇴하기까지 그는 마운트 쿠바 센터에 수천 종의 식물 데이터를 구축하였고, 컴퓨터를 이용한 수집종의 매핑작업을 시작하였으며, 수백 종의 자생식물을 새롭게 정원에 도입하였다. 코플랜드 부부가 세상을 떠난 이후 마운트 쿠바는 개인 사유지에서 공공정원으로 전환되어 일반인들에게 개방되었고, 현재 디렉터인 릭 르완도스키Rick Lewandowski를 중심으로 코플랜드의 뜻을 이어받아 전시, 교육, 연구를 통한 자생식물과 환경의 보전에 애쓰고 있다.
-
피노키오 공원
Parco di Pinocchio동화와 현실의 교차점에메랄드 빛 바다, 지중해에 위치한 이탈리아Italia. 수채화로 그린 것 같은 아름다운 경관을 가진 토스카나주의 피노키오 공원은 여느 공원과는 다르다. 울긋불긋하게 치장된 여러 테마가 여기저기 산재된 정체모를 놀이동산은 흔하게 볼 수 있지만, 이 공원처럼 예술가 작품들이 마치 한 작가의 손에 의해 계획된 듯하고 자연을 닮았으며 아이와 어른이 모두 즐길 수 있는 곳은 아직까지도 드물다. 공원의 오솔길을 따라 가다보면 동화책을 읽어 주는 사람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이야기 속으로 빠져 들어 간다. 아마도 생텍쥐페리Saint-Exupery의 ‘어린왕자’를 읽는 느낌과도 비슷할 것이다. 아이가 아니라도 충분히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그런 소설 말이다.
작가 Carlo Collodi 본명은 Carlo Lorenzini에 의해서 탄생된 동화 속의 피노키오는 공원이 품고 있는 예술작품으로 표현된 장소와 방문객의 상상력에 의해 되살아난다. Collodi라는 예명藝名은 모친의 고향인 작은 도시 이름에서 나온다. 가난한 가정에서 자라나고, 많은 형제들 중 운 좋게 살아남은 그는 유년시절부터 글쓰기를 무척 좋아했다. 어느 날 문학경연대회에 출품 된 피노키오의 일부 이야기가 한 출판사의 눈에 띄어 전체적인 줄거리가 잡지에 연재되고 좋은 반응을 얻게 된다.
위치 _ Toscana, Collodi Pescia(PT)조경 _ Marco Zanuso, Pietro Porcinai조성 시기 _ 1972년면적 _ 15,000m²
-
진주 용호정원
Jinju Yongho Garden용호정원은 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 옹산리 25-2번지 일원에 위치하며, 1922년 용강 박헌경 龍岡 朴憲慶, 1872~1937이 심성도야를 목적으로 무산십이봉을 조성해 신선의 세계를 표현한 정원이다.현재 10,618㎡ 일원에 있는 용호정, 용호지, 무산십이봉, 용산재 등에서 자연과 인공이 화합하는 순응의 미학을 공간적, 지형적으로 연계시키고 있다. 1990년 12월 20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76호로 지정되었다.
-
2011 대한민국 조경비평대상 수상자 발표
2011 Winners Unveiled for Landscape Architecture Criticism Contest월간 <환경과조경>에서는 신진 조경비평가 발굴과 조경 비평 문화의 지평을 개척하고자 “2011 대한민국 조경비평대상”을 개최하였다. 이번 공모전에는 2011년 11월 20일 마감일까지 총 13편의 원고가 접수되었는데, 이 중 공모 요강의 응모작 기준에서 현격히 위배되는 3개 작품을 제외한 10개 작품을 대상으로 심사를 진행하였다. 심사위원단은 건축, 미술, 조경을 대표하는 각 분야의 비평가 1인씩 3인의 비평가로 구성되었다. 심사는 1차 ‘심사위원 개별 심사’와 2차 ‘심사위원단 회의’로 이루어졌는데, 1차에서는 심사위원 2인 이상의 추천을 받은 작품을 본선작으로 선정하고, 2차 ‘심사위원단 회의’에서는 합의제를 통해 수상작을 선정하게 되었다. 1차 ‘심사위원 개별 심사’를 통해서 총 4편이 본선작으로 선정되었으며, 2011년 12월 10일 개최되었던 2차 최종 심사에서는 심사위원 간격론을 벌인 끝에 당선작 없는 가작 4편을 선정하게 되었다.
결과 발표
가작
대형공원에 나타나는 현대공원 설계의 쟁점 _ 박선희
조경, 느슨한 경계 _ 유시범
조경, 통하였느냐 _ 이성민
지금 여기, 아름답고 신비하고 신묘하다 -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의 희망적 시간 _ 이명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