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원 철새마을 ‘철새협동鳥합’ 전시회
사라진 경계, 진화하는 마을만들기 프로세스지난 6월 1일, 서울 아트선재센터에서 “철새협동鳥합 전시회”의 개전식과 동명의 서적 출판을 알리는 기념식이 개최됐다. 이 전시회에서는 DMZ 부근 철원군의 철새마을에서 조경가, 건축가, 생태학자, 환경교육 전문가, 커뮤니티 디자이너, 지역 브랜딩 디자이너가 2년 여 동안 마을 주민들과 함께 작업한 협동 디자인 결과물을 선보였다.전국 각 지역의 수많은 공공건축물들이 탄탄한 준비과정 없이 단기간에 지어진 후 정작 제대로 운영이 되지 않아 골칫거리가 되는 경우가 많은 현실에서, 철새협동鳥합은 ‘느리지만 탄탄한 계획과정’으로 새로운 공공건축 계획과 마을만들기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있다.
총괄계획을 맡았던 조경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공간 환경을 다루는 분야와 마을만들기같은 프로젝트는 실천적인 작업의 성격상 늘 현장이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정작 개별 프로젝트의 실현 과정을 꼼꼼하게 다룬 사례가 드물었다. 이번 전시회를 통해 철새마을이란 구체적인 사례를 기반으로, 하나의 프로젝트가 여러 방식으로 중재 되고 진화되는 프로세스를 솔직하게 드러내고자 했다.”고 밝혔다.철새마을 프로젝트의 연구책임자 김아연 서울시립대 교수는 “프로젝트의 기록이 담겨있는 『철새협동鳥합』에는 재능기부를 한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을 통해 그간 겪은 시행착오를 공유하고, 이번 사례처럼 좋은 공간이 앞으로도 더 나왔으면 좋겠다.”는 소감을 전했다. 이어 김아연 교수는 ‘프로세스 디자인’이란 개념으로 협동 디자인의 과정을 보여주는 자료들을 소개했다.
-
의성 소우당
Uiseong Sowoodang의성 소우당은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산운리1 171-3번지 일원에 위치하며, 면적은 4,589㎡로 소우(素宇) 이가발(李家發)이 터를 잡고 그 증손 이장섭이 1890년대 조영한 조선 말기 상류가옥 및 별원의 대표적인 곳이다. 현재 안채, 사랑채, 별당, 연지 등이 자연과 인공이 화합하는 순응의 미학을 공간적, 지형적으로 연계시키고 있으며, 2000년 1월 7일 중요민속문화재 제237호로 지정되었다.
Uiseong Sowoodang which is located in 171-3, Sanun-ri, Geumseong-myeon, Uiseong-gun, Gueongsangbuk-do is 4,589m2 area. It was picked out the site by Sowoo Lee Ga-Bal and constructed by Lee Jang-Seob, the grandson of Lee Ga-Bal, in 1890’s. It is the representative the upper class’s house and garden of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 aesthetics of adaptation is connected spatially, topographically and functionally with Anchae, Sarangchae, Byeoldang and the pond. It was appointed as Important Traditional Cultural Assets no.237 in 7th, January, 2000.
-
의성 소우당
Uiseong Sowoodang의성 소우당은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산운리1 171-3번지 일원에 위치하며, 면적은 4,589㎡로 소우(素宇) 이가발(李家發)이 터를 잡고 그 증손 이장섭이 1890년대 조영한 조선 말기 상류가옥 및 별원의 대표적인 곳이다. 현재 안채, 사랑채, 별당, 연지 등이 자연과 인공이 화합하는 순응의 미학을 공간적, 지형적으로 연계시키고 있으며, 2000년 1월 7일 중요민속문화재 제237호로 지정되었다.
Uiseong Sowoodang which is located in 171-3, Sanun-ri, Geumseong-myeon, Uiseong-gun, Gueongsangbuk-do is 4,589m2 area. It was picked out the site by Sowoo Lee Ga-Bal and constructed by Lee Jang-Seob, the grandson of Lee Ga-Bal, in 1890’s. It is the representative the upper class’s house and garden of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 aesthetics of adaptation is connected spatially, topographically and functionally with Anchae, Sarangchae, Byeoldang and the pond. It was appointed as Important Traditional Cultural Assets no.237 in 7th, January, 2000.
-
알프스의 자연을 뜨개질한 ‘아르테 셀라\'
Arte Sella아름다운 알프스 산맥의 동쪽에 위치한 이탈리아 영토인 돌로미티(Dolomiti) 위에 예술가, 아마추어 작가들이 모여 자연에서 얻은 재료로 뜨개질한 ‘Arte Sella’가 있다. 어쩌면 이러 한 모습들은 굳이 거창하게 예술을 거론하지 않고서도 교외로 조금만 나가면 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 농부가 쌓아 놓은 짚동, 나무꾼이 가지런히 눕혀 놓은 장작, 포도주가 익어가는 술독, 향수에 젖게 하는 옛 농기구, 대장간의 연장들 속에서도 묘한 공감대를 찾게 된다. 일상생활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는 생각에서인지 처음엔 이 마을 주민들의 반응도 별로 좋지 않았다고 한다.
그렇다면 무엇이 사람들을 이 깊은 산골 마을까지 발걸음을 옮기게 하는 것일까? 이 작품들은 일상생활에서는 무용지물이고 정말 기막히게 아름답다고 말하기에도 조금은 무색해지기 마련이다. 일부러 찾지 않는다면 그 의미 또한 없어지고 결국엔 소멸된다. 마치 아름다운 꽃이 꿀벌을 기다리는 것처럼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뜻으로 모인 작가들은 자신이 생각하는 세계를 표현하기 시작하였고 그 조용한 작품들이 좋은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알프스 산이 가지고 있는 마법의 힘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작품들은 분명 이 산에서 뿌리를 박고 태어났고, 나비의 환상적인 몸짓을 기다리는 애벌레처럼 보이기도 하며 하나의 거대한 산을 닮은 대성당을 보는 것 같기도 하다.
1986년 철학과를 졸업한 오스트리아인인 카를로타 스트로벨레(Carlotta Strobele)는 상인이자 마을의 예술가인 엠마누엘레 몬티벨레르(Emanuele Montibeller)와 건축가이자 화가인 엔리코 페라리(Erico Ferrari)와 함께 예술과 자연에 대한 사랑을 ‘Arte Sella’로 표출하는데 그 뜻을 같이했다. 그들의 주요 목표는 자연 예술에 대한 생각을 통해 지역발전에 힘쓰고 같은 맥락에서 새로운 문화를 만들며 동시대 예술가 단체로서 도덕성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기 위한 협회 설립에 있었다. Arte Sella가 추구하는 바는 ‘Arte povera빈(貧)한 예술. 제르마노 첼란트(Germano Celant)가 만든 용어’와 그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1960년 중반에 이탈리아에서 일어난 예술 운동으로 전통 예술학교의 조각부에서 다루는 우아한 재료인 대리석, 청동 등에 비해 보잘것없다고 여겨지는 재료인 흙, 목재, 철, 천 조각, 플라스틱, 산업폐기물 등을 이용해 작품 그 자체보다도 제작자의 의도나 과정을 은유적으로 나타내는 개념 예술(Conceptual art)을 지향한다.
위치 _ Borgo Valsugana (Tn), Italy주최 _ Carlotta Strobele, Emanuele Montibeller, Enrico Ferrari개원 _ 1986년
-
웨이브힐
Wave Hill뉴욕 허드슨 강변의 아름다운 수채화
뉴욕주의 동부에 남북 방향으로 길게 흐르는 허드슨 강변에는 깎아지른 듯한 절벽, 이른바 팰러세이즈(Palisades)를 배경으로 아름답게 조성된 정원이 있다. 수많은 차들과 높은 건물들로 늘 북적이는 뉴욕시에 이런 천혜의 풍경을 볼 수 있는 곳이 있다는 것이 신기할 정도다. 웨이브힐(Wave Hill)이라는 이름의 이 정원은 뉴욕시의 중심가 맨해튼의 북쪽 브롱크스 자치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센트럴 파크, 뉴욕 식물원, 브루클린 식물원, 퀸즈 식물원 등과 함께 뉴욕의 주요 정원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허드슨 강을 배경으로 펼쳐진 113,000제곱미터의 정원은 유서 깊은 하우스들과 함께 한 폭의 그림 같은 풍경을 연출한다. 정원의 곳곳에는 강을 바라보며 의자에 앉아 책을 읽거나 잔디밭에 앉아 평화로운 한때를 보내는 사람들이 있어 이 정원의 풍경을 더욱더 아름답게 만들어 주고 있다. 웨이브힐은 생각보다 그리 넓지 않은 면적으로 전체를 둘러보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진 않는다. 오히려 마치 전망 좋은 휴양지처럼 조용하고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기에 좋은 분위기다. 하지만 웨이브힐의 정원은 매우 집약적으로 철저하게 관리되고 있으며, 선택된 식물들과 수종 역시 다른 데서 쉽게 볼 수 없는 것들이 많다. 플라워 가든, 드라이 가든, 와일드 가든 등 특별한 주제를 가진 정원들과 온실, 그리고 우드랜드는 마치 뉴욕이라는 거대한 도시 속의 보석과도 같이 연중 아름다움과 평온함을 전해준다. 웨이브힐은 정원과 조경의 예술성과 유산을 기리고, 수려한 자연경관을 보전하며, 원예, 교육, 예술에 관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인간과 자연을 연결시키는 것을 그 미션으로 삼고 있다.
-
도시농업과 정원문화가 만나는 새로운 패러다임
‘2012 경기정원문화박람회’ 개최기념 심포지엄
지난 5월 3일,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 대강당에서 경기도와 수원시가 주최하고 경기농림진흥재단, 경기도농업기술원, (사)한국조경사회가 주관하는 ‘2012 경기정원문화박람회’ 개최 기념 심포지엄이 개최되었다. 이번 심포지엄은 ‘생활 속 정원 확대 및 도시농업 확대를 통한 도시 미화운동의 재점화’라는 박람회의 의의를 홍보하고 국민들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예창근 경기도 행정2부지사는 개회사에서 “경기정원문화박람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각계 전문가들을 통해 정원문화의 선진 사례를 들어보고 좋은 대안을 만들기 위해 심포지엄이 마련되었다.”고 전하며, “경기도는 앞으로도 정원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여 생활 속에 푸른 정원문화가 확산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을 약속했다. 또한 경기농림재단 민기원 대표이사는 “박람회를 통해 수원시의 도시브랜드 위상이 한층 높아지고, 서호공원이 대한민국 도시의 대표공원으로 발전할 것을 기대한다.”면서 박람회가 도시이미지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하여 이번 박람회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켰다.심포지엄에 앞서 예창근 경기도 행정2부지사, 염태영 수원시장, 민기원 경기농림진흥재단 대표이사, 이민우 (사)한국조경사회 회장 등 4개 기관장은 ‘2012 경기정원문화박람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으며, 이재준 수원시 행정2부시장의 박람회 마스터플랜 발표와 함께 본격적인 심포지엄 행사에 들어갔다.
-
Expo 2012 Yeosu Korea
2012 여수세계박람회 개막, 93일간의 대장정 돌입‘살아 있는 바다, 숨 쉬는 연안’을 주제로 Big-O쇼 등 볼거리 풍성그늘막, 수경 시설 등 조경시설로 쾌적한 박람회장 구현지난 5월 11일 개막한 2012 여수세계박람회(EXPO 2012 YEOSU KOREA)가 12일 공식 개장식을 통해 93일간의 대장정에 돌입했다. 여수세계박람회는 바다를 주제로 한 첫 박람회로 ‘살아 있는 바다, 숨 쉬는 연안’을 주제로 하고 있다. 박람회의 주제를 부각시키며 관람객들로 하여금 쾌적하고 즐거운 체험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박람회장 전시관 외부공간을 축제분위기로 조성하고 있다. 행사장은 전시 면적 25만㎡와 종사자 숙박시설, 환승주차장, 공원, 녹지 등 지원시설을 포함해 174만㎡ 규모이며, 바다, 땅, 숲, 바람의 공간 등 4가지 테마로 구성해 ‘해양과 육지, 인류와 자연, 과거와 미래의 조화’를 구현해 놓았다.
‘빅오쇼’ 등 다양한 볼거리 가득한 여수세계박람회 전시시설은 크게 4대 특화시설과 체험 전시실, 주최국 전시관, 참여 전시관으로 구분된다. 4대 특화시설은 국내 최대 아쿠아리움, ‘거대한 바다(Big Ocean)’라는 뜻으로 박람회장 앞바다의 방파제를 육지와 연결하여 꾸민 해상 무대 빅오(Big-O), 세계에서 가장 큰 소리(138.4dB)를 내는 파이프오르간 복스 마리스(Vox maris)가 설치된 스카이 타워, 국제관 양쪽을 연결한 천장에 설치된 LED스크린 엑스포디지털갤러리(EDG)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매일 밤 여수 밤바다를 화려하게 수놓으며 여수세계박람회의 하이라이트라 불리는 빅오쇼는 세계 최초로 홀로그램 영상을 구현한 리빙스크린을 통해 거대한 워터 스크린 위에 바다를 탐험하는 소녀의 이야기를 보여주며 관람객들의 흥미를 끌고 있다. 빅오는 지름 35m 규모의 O형 구조물인 ‘디오(The O)’, 초대형 해상분수, 자유자재로 물속에 잠겼다 떠올랐다 하는 해상무대인 ‘이어도’ 등으로 구성되어있으며 디오와 해상분수는 국내 수경시설 전문업체 플러스파운틴(주)가 실시설계 하였다. 또한 여수세계박람회 국제관에는 104개 나라가 직접 기획한 독특한 컨셉의 국가관들이 관람객을 기다리고 있다. 4개의 건물로 이루어진 국제관은 엑스포디지털갤러리 지붕으로 연결돼 있다. 한낮의 뜨거운 태양빛을 가려주며, 환상적인 디지털 영상까지 볼 수 있는 공간이다.
-
남한산성 행궁
Haenggung of Namhansanseong남한산성 행궁은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935-1번지 일원에 위치하며, 면적은 19,256㎡로 전쟁중이나 내란 등 유사시 후방의 지원군이 도착할 때까지 한양 도성 궁궐을 대신할 피난처로 사용하기 위해 조선 인조4년(1626)에 조영되었다. 행궁 중 종묘와 사직을둔 유일한 행궁으로 한남루(漢南樓), 외행전(外行殿), 내행전(內行殿), 좌승당(坐勝堂), 이위정(以威亭), 정전(正殿), 영녕전(永寧殿) 등이 자연과 인공이 화합하는 순응의 미학을 공간적, 지형적으로 연계시키고 있다. 2007년 6월 8일 사적 480호로 지정되었다.
-
도시농업과 정원문화가 만나는 새로운 패러다임
‘2012 경기정원문화박람회’ 개최기념 심포지엄지난 5월 3일,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 대강당에서 경기도와 수원시가 주최하고 경기농림진흥재단, 경기도농업기술원, (사)한국조경사회가 주관하는 ‘2012 경기정원문화박람회’ 개최 기념 심포지엄이 개최되었다. 이번 심포지엄은 ‘생활 속 정원 확대 및 도시농업 확대를 통한 도시 미화운동의 재점화’라는 박람회의 의의를 홍보하고 국민들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예창근 경기도 행정2부지사는 개회사에서 “경기정원문화박람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각계 전문가들을 통해 정원문화의 선진 사례를 들어보고 좋은 대안을 만들기 위해 심포지엄이 마련되었다.”고 전하며, “경기도는 앞으로도 정원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여 생활 속에 푸른 정원문화가 확산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을 약속했다. 또한 경기농림재단 민기원 대표이사는 “박람회를 통해 수원시의 도시브랜드 위상이 한층 높아지고, 서호공원이 대한민국 도시의 대표공원으로 발전할 것을 기대한다.”면서 박람회가 도시이미지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하여 이번 박람회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켰다.심포지엄에 앞서 예창근 경기도 행정2부지사, 염태영 수원시장, 민기원 경기농림진흥재단 대표이사, 이민우 (사)한국조경사회 회장 등 4개 기관장은 ‘2012 경기정원문화박람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으며, 이재준 수원시 행정2부시장의 박람회 마스터플랜 발표와 함께 본격적인 심포지엄 행사에 들어갔다.
-
Expo 2012 Yeosu Korea
2012 여수세계박람회 개막, 93일간의 대장정 돌입‘살아 있는 바다, 숨 쉬는 연안’을 주제로 Big-O쇼 등 볼거리 풍성그늘막, 수경 시설 등 조경시설로 쾌적한 박람회장 구현지난 5월 11일 개막한 2012 여수세계박람회(EXPO 2012 YEOSU KOREA)가 12일 공식 개장식을 통해 93일간의 대장정에 돌입했다. 여수세계박람회는 바다를 주제로 한 첫 박람회로 ‘살아 있는 바다, 숨 쉬는 연안’을 주제로 하고 있다. 박람회의 주제를 부각시키며 관람객들로 하여금 쾌적하고 즐거운 체험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박람회장 전시관 외부공간을 축제분위기로 조성하고 있다. 행사장은 전시 면적 25만㎡와 종사자 숙박시설, 환승주차장, 공원, 녹지 등 지원시설을 포함해 174만㎡ 규모이며, 바다, 땅, 숲, 바람의 공간 등 4가지 테마로 구성해 ‘해양과 육지, 인류와 자연, 과거와 미래의 조화’를 구현해 놓았다.
‘빅오쇼’ 등 다양한 볼거리 가득한 여수세계박람회 전시시설은 크게 4대 특화시설과 체험 전시실, 주최국 전시관, 참여 전시관으로 구분된다. 4대 특화시설은 국내 최대 아쿠아리움, ‘거대한 바다(Big Ocean)’라는 뜻으로 박람회장 앞바다의 방파제를 육지와 연결하여 꾸민 해상 무대 빅오(Big-O), 세계에서 가장 큰 소리(138.4dB)를 내는 파이프오르간 복스 마리스(Vox maris)가 설치된 스카이 타워, 국제관 양쪽을 연결한 천장에 설치된 LED스크린 엑스포디지털갤러리(EDG)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매일 밤 여수 밤바다를 화려하게 수놓으며 여수세계박람회의 하이라이트라 불리는 빅오쇼는 세계 최초로 홀로그램 영상을 구현한 리빙스크린을 통해 거대한 워터 스크린 위에 바다를 탐험하는 소녀의 이야기를 보여주며 관람객들의 흥미를 끌고 있다. 빅오는 지름 35m 규모의 O형 구조물인 ‘디오(The O)’, 초대형 해상분수, 자유자재로 물속에 잠겼다 떠올랐다 하는 해상무대인 ‘이어도’ 등으로 구성되어있으며 디오와 해상분수는 국내 수경시설 전문업체 플러스파운틴(주)가 실시설계 하였다. 또한 여수세계박람회 국제관에는 104개 나라가 직접 기획한 독특한 컨셉의 국가관들이 관람객을 기다리고 있다. 4개의 건물로 이루어진 국제관은 엑스포디지털갤러리 지붕으로 연결돼 있다. 한낮의 뜨거운 태양빛을 가려주며, 환상적인 디지털 영상까지 볼 수 있는 공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