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템플대학교 앰블러 수목원
Ambler Arboretum of Temple University
펜실베이니아 여성원예학교에서 시작된 조경·원예 교육의 메카 템플대학교 앰블러 수목원은 필라델피아에 있는 템플대학교 본교에서 40분가량 떨어진 앰블러에 위치하고 있다. 원예와 조경디자인에서 아주 오랜 역사를 지닌 템플대학교 앰블러 캠퍼스는 1910년 펜실베이니아 여성원예학교(Pennsylvania School of Horticulture for Women)로 처음 설립되었고, 1958년 템플대학교의 일부가 되었다. 그 후 1988년에는 조경설계 및 원예학부가 마련되었으며, 2000년에 공식적으로 수목원으로 지정되었다. 현재 템플대학교 앰블러 수목원은 75만 제곱미터에 이르는 면적에 자연 지역과 조경디자인 지역이 함께 공존하고 있으며, 공공 정원으로서 대학교와 지역 공동체를 위한 영감의 원천이자 살아있는 교육을 위한 옥외실험실로서 기능하고 있다. 앰블러 수목원의 미션은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과 정원의 건강한 이익들, 원예, 농업, 그리고 디자인에 있어 여성의 역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캠퍼스 자체가 곧 수목원인 이곳에 아기자기하게 꾸며진 정원들은 다른 여느 식물원 못지않은 높은 완성도를 보여주며, 캠퍼스 부지의 짜임새 있는 공간 분할을 통해 다양한 분위기의 정원들을 색다른 느낌으로 감상할 수 있게 해준다.
원예와 조경디자인에 있어서 여성의 역사제인 보웬 헤인즈(Jane Bowne haines)와 브린 마(Bryn Mawr)에 의해 설립된 펜실베이니아 여성원예학교의 첫 번째 학생들이 이곳 앰블러 지역에 모인 것은 1911년 2월이었다. 이는 원예와 농업에 있어서 새로운 경력을 갖추고 직업에 대한 기회를 넓히길 원했던 젊은 여성들에 대한 교육을 목표로 한 선구적인 아이디어였다. 특히 이 학교는 대학을 졸업하고 결혼을 하기보다 직업을 갖고 활동적으로 일하기를 원하는 여성들에게 크게 부각되었다.
우리의 비전은 신실한 여성들이 살며 꿈꿀 수 있는 곳, 다시 말해 여성들이 가사를 하도록 기대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모든 시간을 유능한 스승들 밑에서 배우는 데 바쳐 유능한 직업인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_ 제인 보웬 헤인즈(Jane Bowne Haines), 1910
제인은 학생들이 단지 교실에서만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지식을 학교 정원과 농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캠퍼스에 살며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는데, 여기에는 꽃과 과일, 관상용 식물, 관엽, 채소류의 생산과 이용에 대한 수업뿐 아니라 양봉, 통조림 제조, 목공, 농장 경영, 토양학, 가축사육, 그리고 1차 세계대전 후에는 경영학과 조경설계까지 포함되었다. 작은 규모와 제한된 기금으로 인해 이 여성학교를 졸업한 여성들은 수백 명에 불과했지만 그 영향력과 파급력은 실로 대단했다. 1914년에는 가든 클럽의 여성들을 중심으로 전미여성농장가든협회(Woman’s National Farm & Garden Association)를 설립하기에 이르렀고, 1920년대에는 교수와 학생들이 『파머스 다이제스트(Farmer’s Digest)』라는 월간 저널을 창간하기도 하였다. 펜실베이니아 여성원예학교는 전 미 지역뿐 아니라 아시아 지역에까지 영향을 미쳤는데, 1929년에는 도쿄의 외곽지역에 이 여성학교를 모델로 한 케이시엔(Keisien) 학교가 설립되기도 하였다.
미국에서 여성들의 활동적인 역사와 영향력의 발자취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템플대학교 앰블러 캠퍼스에는 오늘날 조경설계 및 원예학부를 비롯한 다양한 학위과정이 개설되어 있으며 3,500여 명의 학생들이 재학 중이다. 앰블러 캠퍼스 내에는 영국풍의 숙근초원이 있는가 하면, 자생식물을 이용한 정원, 허브원, 지피식물원, 우드랜드, 습지원 등이 있다. 또한 침엽수원을 비롯한 캠퍼스 곳곳의 다양한 수목류는 흔치 않은 컬렉션으로 눈길을 사로잡는다. 오래된 나지막한 건물들 역시 너무나 자연스럽게 캠퍼스의 조경과 잘 어우러지고 있다. 100년이 넘는 역사에 걸맞은 고즈넉함이 있고, 이름 높은 조경디자이너들이 정원의 설계에 참여하였으며, 거기에 조경설계 및 원예학부 학생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들이 지속가능하고 현대적인 정원디자인으로 수목원의 전시에 큰 몫을 하고 있다. 특히 조경설계의 생태학적인 접근은 지속가능한 공동체센터(Center for Sustainable Communities)를 중심으로 꾸준히 관심이 늘어가고 있는데, 앰블러 수목원의 정원들은 현대적인 생태학 원리에 근거한 전통적인 조경설계 디자인의 예시들을 잘 보여주고 있다.
-
신정3지구 국민임대주택단지 생태저류지
사업위치 _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동 787번지 일원면적 _ 32,579㎡(연계공원 포함)공사기간 _ 2009년 4월~2011년 12월발주처 _ SH공사복원시공 _ (주)LS(LEED Society)생태환경 + 현대건설(주)종합코디네이팅 _ 변찬우 교수(상명대 융합생태환경센터장)
지난 2011년 12월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동 일원에 조성된 신정생태환경저류지는 기존 홍수조절 및 저류기능에만 치중한 택지 내 저류지와 달리 생태환경적 측면에서 다양한 분야의 융복합적 접근을 통한 단지 내 발생유량산정 및 수리·수문적 검토를 바탕으로 하여 저류지의 저류 및 홍수방재기능은 물론 생태적 수질정화, 생태복원, 친수경관적 기능까지 제공할 수 있게 된 국내 최초의 사례라고 볼 수 있다. 본 생태환경저류지는 상명대 대학원 변찬우 교수(상명대학교 융합생태환경센터장)가 분산형 저류지의 입지선정에서부터, 계획, 설계, 복원시공, 생태환경복원 시스템개발, 모니터링에 이르기까지 생태환경공학적 접근을 통해 종합코디네이팅을 하였다.
-
<환경과조경> 30주년 기념 가족음악회
서른, <환경과조경> 지난날을 돌아보다
오랜 가뭄 끝에 내린 단비‘<환경과조경> 30주년 기념 가족음악회’가 개최되었던 지난 6월 30일에는 아침부터 많은 비가 쏟아졌다. 비가 와서 주말 나들이길이 다소 거추장스러울 수 있지만, 메말라가던 조경수들이 목을 축일 것을 생각하니 한시름 덜었다며 기쁨을 나타내는 이들도 있었는데, 오랜 가뭄 끝에 함께한 비 소식에 행사의 분위기가 한결 유쾌해졌다.파주출판도시 아시아출판문화정보센터 다목적홀에서 진행된 ‘<환경과조경> 30주년 기념 가족음악회’는 당초 ‘가족’ 중심의 소규모 행사로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지금의 <환경과조경>이 있기까지 힘써온 조경인들에게 감사를 표하고자, 전·현직 직원 및 그 가족뿐만 아니라 올해의조경인 모임, 자문위원, 편집위원, 라펜트 운영위원, 협력업체 관계자들을 초대하여 <환경과조경>의 지나온 30년을 자축하고 다가올 앞날을 기원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기획부터 홍보, 인쇄, 기념 웹페이지 제작, 기념영상, 행사진행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직원들만의 힘으로 준비함으로써 행사에 의미를 더했다.
-
복 타워 가든
Bok Tower Gardens플로리다의 자연을 노래하는 에드워드 복의 꿈의 정원
복 타워 가든(Bok Tower Gardens)은 세계평화주의자이자 출판편집인, 퓰리처상을 수상한 작가 에드워드 복에 의해 설립된 정원이다. 네덜란드 출신 이민 가정에서 자란 그는 미국에서 큰 성공을 이룬 뒤, 자신의 꿈을 이루게 해준 미국에 대한 일종의 보답으로 이 정원을 만들었다. 1929년 복 타워 가든은 준공 후 제30대 미국 대통령 캘빈 쿨리지(Calvin Coolidge)의해 헌납되어 미국역사기념물(National Historic Landmark)로 지정되었다.
에드워드 복과 옴스테드 정원에드워드 복의 이야기는 가난과 역경을 딛고 일어나 최고의 성공을 이룬 대표적인 사례이다. 1863년 네덜란드 덴 헬더(Den Helder)에서 태어난 그는 6살 때 가족과 함께 뉴욕 브룩클린으로 이주했고, 초등학교 교육밖에 받지 못할 만큼 어려운 가정 형편 속에서도 신문팔이와 청소부로 열심히 일한 끝에 1884년 브룩클린 매거진(The Brooklyn Magazine)의 편집인이 되었다. 1889년 필라델피아로 이사한 후 레이디스 홈 저널(Ladies Home Journal)로 직장을 옮겼는데, 그 이후로 30년간 레이디스 홈 저널의 편집인으로 왕성한 활동을 펼쳤다. 매일 매일의 사회적 이슈를 다루었던 이 잡지는 그가 몸을 담았던 당시 백만 명의 구독자를 가진 첫 번째 잡지가 되기도 했다. 1896년 복은 사이러스 커티스(Cyrus Curtis)의 딸인 메리 커티스(Mary Curtis)와 결혼했다. 사이러스 커티스는 필라델피아에 수많은 종류의 신문과 잡지들을 발행하여 이른바 언론 왕국을 세운 인물이었다.편집인으로 크게 성공한 에드워드 복은 미국의 많은 유명 인사들과도 두터운 친분을 쌓게 되었고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책 『에드워드 복의 이민기(The Americanization of Edward Bok), 1920』로 1921년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1923년 복은 미국 평화상(American PeaceAward)을 창안했고, 그의 부인인 메리 루이스 복은 1924년 필라델피아에 커티스 음악원(Curtis Institute of Music)을 설립했다. 은퇴 후 에드워드 복은 플로리다에 복 타워 가든을 만들기 시작했다. 정원의 설계는 당대 최고의 조경가 중 한 사람이었던 프레드릭 옴스테드 주니어(Frederick Law Olmsted Jr.)가 맡았는데, 그의 아버지 프레드릭 옴스테드는 미국의 저널리스트이자 사회비평가, 그리고 조경가로 뉴욕의 센트럴 파크 등 주요 도시 공원을 설계하였고 미국 조경설계의 아버지로 불렸던 인물이었다. 옴스테드 주니어 역시 아버지와 함께 조경과 관련된 많은 프로젝트에 참여하였고, 나중에는 옴스테드 브라더스 조경회사를 운영하며 미국의 수많은 주요 도시공원과 대학교 캠퍼스 등의 조경설계를 진행한 조경계의 거장이었다. 1923년부터 옴스테드 주니어는 에드워드 복이 매입한 플로리다의 모래 언덕을 미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정원이자 자연보호구역으로 만들기 위한 일에 착수하였다. 그후로 5년 동안 옴스테드 주니어와 그의 팀은 지역 자생식물을 외래식물과 함께 조화롭게 사용하 여 세상에 길이 남을 정원을 만들어 나갔다.
-
보이지 않는 싱가포르의 문화 용광로: 게이랑 지역
Singapore’ Geylang Red Light District“중국 여자들이 비싼 가방이나 옷을 사기 위해 이곳에 와서 일하진 않아요…” 태국계 싱가포르 감독인 에카차이 우에크롱탐(Ekachai Uekrongtham)의 2007년작 영화 ‘쾌락 공장(Pleasure Factory)’에 나오는 대사의 한 대목이다. 논픽션 다큐멘터리식으로 찍은 이 영화는 싱가포르의 유명한 홍등가이자 상업 관광지인 게이랑(Geylang) 거리에서 실제 길거리 캐스팅을 통해 섭외한 몇몇 일반인을 캐스팅해 찍은 영화로서 홍등가 이면에 있는 각기 다른 사람들의 내면을 섬세히 표현해 칸 영화제에서 주목을 받기도 했다.
싱가포르 게이랑 지역은 매춘이 합법화된 싱가포르에 있는 유일한 홍등가이자 상업지역이다. 지난 100여 년 이상의 싱가포르 지역문화 및 다민족의 역사와 말레이를 비롯해 중국계 건축양식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대표적 상업 관광지이며, 다양한 민족이 각기 다른 목적을 가지고 방문하거나 삶의 터전으로 삼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또한 홍등가 외에도 중국, 인도, 태국, 말레이 등 각 나라 고유의 음식 맛으로 정평이 난 식당들이 곳곳에 즐비해 있어 많은 싱가포르 거주민 및 해외 관광객들이 방문하는 곳이기도 하다.이 글에서는 홍등가가 있는 상업지역이지만 싱가포르의 지난 역사, 다양한 다민족 문화와 독특한 건축양식 그리고 다양한 계층의 다민족이 모여 사는 이곳에 대한 소개와, 중요 도시 건축 요소인 샵하우스 및 현재 논쟁이 되고 있는 홍등가의 개발보전 측면에서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게이랑 위치 및 도심 풍경홍등가가 위치한 게이랑은 창이공항과 다운타운을 연결하는 게이랑 도로(Geylang Road)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홍등가 및 상권 거리는 대략 3㎞ 정도이고 이 축을 중심으로 게이랑 도심 블록들이 남북으로 나뉜다. 말레이어로 로롱(Lorong)이라 불리는 작은 일반통행 도로들이 게이랑 도로를 향해 직각으로 연결되어 각 구획을 만든다. 게이랑 도로의 북쪽은 도로이름이 3, 5, 9 등의 홀수로 되어있으며 남쪽은 짝수로 되어있어 구역을 쉽게 나눌 수 있다. 북쪽의 홀수로 표시된 로롱(Lorong 3, 9, 11 등) 거리들은 과일상점, 종교시설, 상업시설 및 몇몇 싼 호텔들과 공용 임대주택 그리고 일부 새롭게 분양된 콘도 아파트들로 형성되어 있으며, 남쪽은 상업 및 식당가와 저가 호텔들 그리고 싱가포르 정부에 등록된 윤락가가 들어서 있다. 각각 일방통행으로 되어있는 거리들은 저녁이 되면 도심에서 퇴근해 쏟아져 나오는 차량과 일을 마치고 저녁을 먹으려 몰려나오는 다국적 노동자들, 유명 식당들에 저녁이나 모임을 위해 나오는 주민들, 성매매를 위해 거리로 나온 여자들 그리고 이를 찾아 나선 사람들, 싱가포르에 놀러온 관광객들이 함께 섞여 도로를 매우며 요란한 네온사인으로 번쩍이는 게이랑 거리는 싱가포르의 깨끗하고 잘 정돈된 이미지와는 상반되는 독특한 캐릭터와 문화적 에너지를 쏟아낸다.
-
창녕 아석헌
Changnyeong Aseokheon아석헌은 경상남도 창녕군 대지면 석리 322번지 일원에 위치하며, 면적은 9,042㎡로, 아석공 성규호(1832~1889)와 그의 후손 성윤경(1903-1975)에 의해 조영된 근대한옥 및 별원의 대표적인 곳이다. 현재 안채, 별당채, 행랑채, 지당 등이 자연과 인공이 화합하는 순응의 미학을 공간적, 지형적으로 연계시키고 있으며, 2004년 7월 1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55호로 지정되었다.
Changnyeong Aseokheon which is located in 322, Seok-ri, Daeji-myeon, Changnyeong-gun, Gyeongsangnam-do is 9,042m2 area. It was constructed by Ahseokgong Seong Gyuho1832~1889 and Seong Yoongyeong1903~1975 and is the representative the upper class’s house and garden of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 aesthetics of adaptation is connected spatially, topographically and functionally with Anchae, Sarangchae, Byeoldangchae and the pond. It was appointed as Important Traditional Cultural Material of Gyeongsangnam-do no.355 in 1st, July, 2004.
-
2012 대한민국 조경박람회
대중과의 소통 위한 다양한 시도 돋보여
조경 산업의 성장동력 문을 열다조경 산업 성장의 발판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 ‘2012 대한민국 조경박람회’가 지난 5월 22일부터 26일까지 5일에 걸쳐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었다. 조경인과 대중이 만나는 소통 창구로서의 역할을 강조한 이번 박람회는 예년에는 시도되지 않았던 신선한 프로그램들이 다각도로 준비되어 시작 전 부터 많은 이들의 기대를 한껏 끌어올렸다. 실제로 개막 첫날 오후부터 관람객 숫자가 눈에 띠게 증가하였으며, 박람회 기간 동안 예년보다 많은 인파가 몰려들어 성황을 이루었다. 한편 ‘2012 대한민국 조경박람회’는 (사)한국조경사회와 리드엑스포가 공동주최하고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서울특별시, 경기도, 한국도로공사, K-water, LH, SH공사가 후원하였으며, ‘하우징브랜드페어’와 동시에 개최됐다.손범수 아나운서의 사회로 진행된 개막식 행사에는 참가업체 담당자들이 메인플라자를 가득 메워 박람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함께 기원하였으며, 이민우 (사)한국조경사회 회장과 최신 현 조직위원장(대한민국 조경박람회 조직위원회)이 조경박람회 개최를 위해 힘쓴 이들의 노고에 감사를 전하고, 성공적인 박람회 개최를 염원하였다. 박람회 개막식에는 이상정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장, 민기원 (재)경기농림진흥재단 대표이사, 강성익 대한건축사협회 회장이 참석해 축하를 전했으며, 개막식 준비를 추진한 장경천 운영분과장(조직위원회)은 “대중에게 인지도가 높은 손범수 아나운서의 개막식 진행 등 다양하게 형식의 변화를 시도하였는데, 많은 참여와 성원 덕에 무사히 첫 테이프를 끊은 것 같다.”고 전하여 이번 박람회가 중점을 둔 ‘대중과의 소통’을 위해 세심한 부분까지 신경 쓴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개막식 당일에는 컨퍼런스룸(북) 208호에서 ‘용산공원 설계 국제공모전’의 출품작 발표회도 함께 진행되었는데, 설계사들을 통해 직접 작품설명을 들으며 각 작품들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들여다 볼 수 있어 많은 호응을 얻었다. 출품작들의 설계를 맡았던 담당자들이 참석하여 각각의 작품들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으며, 이후 안승홍 교수(한경대)를 좌장으로 한 토론회는 작품을 되짚어보고 조경 설계의 발전을 위한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
2012 서울정원문화박람회
정원문화의 저변 확대를 위한 첫발 내디뎌‘행복을 키우세요’ 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올해 첫발을 내디딘 ‘서울정원박람회’가 서울 양재동 aT센터 전시장에서 지난 5월 17일부터 20일까지 4일간 열렸다.(주)한국조경신문대표 김부식 주최로 열린 이번 박람회는 ‘힐링가든’을 컨셉으로 주제관, 기획관, 체험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하여 관람객에게 정원문화를 알리고 직접 정원을 꾸미고 가꿀 수 있는 기회도 제공했다.먼저 주제관은 ‘리디아의 정원’ 이야기를 주제로 삭막한 공간에 꽃을 심어 정원으로 조성했을 때의 차이를 관람객에게 보여주며, 정원의 중요성과 가치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등 삭막한 도시를 변화시키는 ‘치유정원’을 체험하게 했다.다음으로 기획관에 꾸며진 ‘함께 만드는 정원’은 정원 전문가와 사전에 접수·지원한 푸르네가든 볼런티어 50여 명과 함께 빈 공간에 정원 조성을 시연해 관람객들의 발길을 붙잡았다. 관람객들은 정원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이성현푸르네 대표 해설사의 설명으로 지켜볼 수 있었으며, 완성된 정원에서 송인규 쉐프가 직접 수확한 채소로 만든 음식을 먹으며 즐거운 관람을 하기도 했다.
-
용산공원 설계국제공모 당선작 활용을 위한 심포지엄
긴 호흡갖고 시민과 공감대 확보해야지난 6월 12일, ‘용산공원 설계국제공모 당선작 활용을 위한 심포지엄’이 SETEC 국제회의실에서 개최되었다. 이 심포지엄은 당선작 ‘미래를 지향하는 치유의 공원’의 활용방안과 조경, 도시, 건축 등 다양한 분야의 시사점을 도출하여 기본설계에 반영하기 위해 추진되었다.시작에 앞서 이우종 (사)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회장은 축사를 통해 “용산공원이 민족의 터전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오늘을 시작으로 더 많은 일을 해야 하며, 이를 토대로 역사적, 생태적, 정서적으로 치유될 수 있는 공원이 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본 행사에서 양병이 서울대 환경대학원 명예교수는 국제공모 추진 개요와 추진경과, 결과를 발표하였으며, 이번 공모의 당선사인 West 8의 최혜영 팀장은 “남산과 한강을 연결하며 가장 한국적인 경관을 조성하고자 노력했으며 이 디자인으로 자연, 역사, 문화의 치유가 되길 바란다”며 웰빙, 에너지 등의 부분에서 미래지향적 공원으로 조성하고자 한다는 포부를 밝혔다.
-
2012 디자인 대구 페스티벌
대구, 디자인 통해 공생을 말하다
지난 6월 5일부터 12일까지 8일간 대구스타디움 일원에서 대구광역시의 주최로 ‘2012 디자인 대구 페스티벌’이 펼쳐졌다. 이번 행사는 지난 12월에 개최되었던 ‘2011 디자인 대구 행사’의 참가대상의 범위와 행사내용을 더욱 확대하여 ‘공생’이란 주제로 다양한 각도에서 대구를 새롭게 디자인하고, 이 과정과 결과를 체험할 수 있는 축제로 계획되었다.디자인 대구 페스티벌의 마지막 날인 12일에는 대구스타디움 VIP 라운지에서 ‘공생(共生), 함께하는 도시’라는 주제로 ‘2012 디자인 대구 포럼’이 개최되어 관련분야의 전문가와 지역전문가로 구성된 패널 및 시민들이 인식을 공유하고, 디자인 대구 페스티벌을 돌아보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행사의 피날레를 장식했다.
‘디자인 대구 페스티벌’과 연계하여 개최되었던 ‘제4회 컬러풀 대구 도시디자인 공모전’의 시상식도 이날 함께 진행되었는데, 일반부 19명, 학생부 24명으로 총 42명이 상을 받았으며, 대구광역시 행정부시장인 김연수 의원이 시상했다.‘디자인 대구 포럼’은 계명대학교 생태조경학과 김수봉 교수의 사회로 진행되었으며, “대구가 디자인을 통해 공생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고 마련될 수 있기를 바란다.”는 (사)한국조경학회 영남지회 장병관 회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행사의 막이 올랐다. 김연수 행정부시장은 “가고 싶고 투자하고 싶은 대구가 될 수 있도록, 앞으로 대구가 크게 성장하여 나라발전에 공헌할 수 있길 바란다.”고 인사말을 전했으며, 대구광역시의회 이윤원 부의장은 “시민 모두가 따뜻한 마음으로 손을 맞잡고 더불어 살아가는 아름다운 대구를 디자인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이 모색되기를 바란다.”고 축사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