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경상북도 경주시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대학로, 북촌
    대학로 이런 길 저런 길을 걷고, 생각하고, 느끼고 하는 것이 도시민들의 빼놓을 수 없는 즐거움이다. 걸어서 도시를 음미하는 사람에게 대학로처럼 다양한 삶의 무대가 펼쳐지는 길보다 더 매력적인 것은 없을 것이다. 대학로는 서울의 삶의 결을 더욱 더 따뜻하게 해주고 있다. 대학로의 역사는 192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본은 이 때 동숭동과 연건동에 경성제국대학을 짓고, 이화동, 동숭동, 연건동에 일본인 교수들의 사택 촌을 만든다. 서울에 최초로 조그만 대학마을이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던 것이 해방이후 서울대의 문리대, 법대, 의대, 미대 캠퍼스가 동숭동 주변으로 포진하면서 현대식 대학가로서의 외관을 갖추어 나간다. 지금 말하는 캠퍼스 타운인 셈이다. 서울대가 관악으로 이전하기 전 까지 문리대 캠퍼스는 토론, 비판, 항거, 낭만이 숨쉬는 공간이었다. 서울 문리대라는 문화적 요소가 동숭동이란 공간을 만들어 낸 것이나 다름없다. 그래서 대학로는 동숭동이라는 테두리 속에서 태생된 것이다. 서울이라는 도시에서 살아야 하기 때문에 대학로와 같은 거리에 대한 애착이 강할 수밖에 없다. 1980년대에 들어와 대학로는 커다란 탈바꿈을 강요받는다. 계획적인 설계에 의해 시민들의 다양한 활동을 담을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기 위한 시정부의 노력이라고나 할까. 대학로는 도시설계가인 양윤재 교수의 도시설계 철학과 의지가 농축된 작품이다. 튀는 젊음과 일반시민들의 문화적 욕구에 대한 공간적 수용, 그리고 전통건물과의 조화 등의 설계요소를 적절히 반영시킨 설계이다. 도시와 건축학도들이 성지순례 하듯이 반듯이 들리는 곳이 되었다. 대학로가 어색하지 않고 친근히 다가오는 것은 아마 설계자의 글로벌 스탠다드에 가까운 안목일 것이다. 오늘의 대학로가 애당초에 도시설계자가 구상했던 대학로의 모습인가? 많은 거리감이 있을 것 같다. 이렇게 까지 천박한 자본이 밀려들어올지는 아마 설계자도 예상 못했을 것이다. 길을 걸으며 내 스스로 말한다. “참을 수 없이 가벼운 도시의 정신”,“아 안타깝다”, “전통은 죽어 가는데 이 곳에는 천한 상업주의만 홀로 살아남았나?”. 그러면서도 “다양한 문화를 아우르는 대학로의 넓이와 폭에 푹 빠져 버렸다”. 북촌 잿빛 기와지붕 위에 시커먼 먹구름이 무겁게 가라앉는다. 서울 600년 역사의 고유한 정취가 북촌을 껴안으면서 한옥보존 동네와 맞닥뜨리는데, 아! 하는 탄성이 나오기 마련이다. 개화사상의 산실인 박규수의 집터, 근대산업의 터전인 풍년상회, 김옥균, 손병희의 집터, 그리고 윤보선의 옛집 등을 만나면서 파란만장한 근대사와 그 속의 인물들과 조우한다. 여기서는 실제 사람의 체취가 밴 고택들과 숨결을 같이 할 수 있다. 근세가 남기고 간 힘으로 버티는 동네, 북촌. 북촌은 예로부터 경복궁과 창덕궁, 종묘 사이에 있는 전통 주거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경복궁과 창경궁은 도선성리학 사상에 의해 설계된 궁궐로서 도선왕조의 자연관과 세계관이 설계에 녹아들어가 있다. 이 두 궁궐 사이에 끼어있는 공간에 귀족들의 주거를 위한 주거지역이 형성된 것이다. 한옥은 우리의 문화유산이다. 이 한옥마을을 가꾸기 위한 시민적 공감대는 이미 오래전부터 이루어져 왔다. 1977년 이 지구를 최고 고도지구로 정하여 한옥보다 높은 건축물이 들어서지 못하게 하였으며, 1983년에는 집단 4종미관지구로 지정하여 관리를 해왔다. 개보수 금지와 건축규제 일변도의 한옥보존정책은 거주민들의 생활환경을 악화시키기에 이르렀다. 90년대에 들어서자 일부 한옥거주자들의 반발이 있었다. 지원과 혜택이 없이 규제위주의 시 행정에 대해 반기를 든 것이다. 1991년 서울시의 규제완화를 계기로 한옥이 헐리고 다세대와 다가구 주택이 들어서면서 한옥의 숫자도 급격히 줄어들었다. 그동안 눌려왔던 개발에 대한 욕구가 봇물 터지듯 솟아 난 것이다. 2003년 현재 19만 5천 평의 북촌지구에 약 2천2백 여동의 건축물 중 40%인 860 여동의 한옥이 남아있다. 도시에서의 전통주거지는 이방인에게는 등대이기도 하다. 그 도시의 전통을 보면 현재의 도시를 가늠해 볼 수 있다는 의미일 것이다. 서울시의 끈질긴 설득과 대화로 한옥마을을 보존하기 위한 시도가 자리를 잡아가고 있지만 한옥마을이 아직 풀어야 할 과제도 산적해 있다. 지난 2000년부터는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의 주도로 북촌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주민 스스로 북촌마을 보존에 앞장서도록 유도하고 있다. 북촌프로젝트의 핵심은 전통주거문화를 계승하기 위한 시 정부의 지원책들이다. 예컨데, 한옥 등록제, 소공원조성에 대한 보조금지원, 주차장 건설, 등록된 한옥의 개보수 비용에 대한 부분 보조, 한옥 신축 시 비용의 일부 지원 등 다양하다. 북촌사업을 추진하면서 문제가 여러가지로 나타나고 있다. 원 제 무 Won, Jaimu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교수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중국 산수화의 경전
    - 계림의 리강, 곤명의 석림, 장가계의 무릉원 - 중국인들은 역사적으로 자기중심적 사고, 또는 과시적 기대표현을 즐겨 사용하여 왔다. 흔히 이야기되는 중화사상(中華思想)으로 "세계적", "중국의 몇 대(大)…"라는 비유로 설명하거나 희망적 목적지향을 추구한다. 그래서 역사문화나 인물 혹은 자연경관까지도 과대한 수사력(修辭力)에 놀랄 때가 많다. 각 지역의 유명 산들을 방위에 따른 오악(五岳)등으로 구분, 예찬하고 있는데 즉 명산의 위치에 따라 산동성의 태산(泰山)을 동악, 섬서성의 화산(華山)을 서악, 호남성의 형산(衡山)을 남악, 산서성의 항산(恒山)을 북악, 하남성의 숭산(崇山)을 중악으로 불리워 왔다. 그중 동쪽의 태산은 계절상 봄이라 하여 가장 친근하게 생각하여 왔고, "오악지장(五岳之長)", "오악독존(五岳獨尊)"이라며 천하제일의 명산으로 믿어왔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9대명산중의 하나인 황산(黃山)의 아름다움을 으뜸으로 강조하기도 한다. 명나라때 저명한 지리학자이며 여행가였던 쉬
  • 이스탄불(2)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길동자연생태공원의 운영방향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전남 목포시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충남 천안시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경남 진주시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한국조경사회 2003중국 곤명지역 답사기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Chelsea flower show 2002
    Introduction-Garden fever 일반적으로 영국엔 계절이 없다고 하는 것이 영국의 기후를 대변해 줄지도 모른다. 그 이유인 즉 8월의 청명함 빼고 항상 회색조의 하늘과 부슬부슬 내리는 비에 우울증에 빠지기 쉬운 날씨이기 때문이다. 이곳 런던에서 한국의 뚜렷한 계절의 변화를 느끼기 어렵다. 그래서 영국인들에게 이런 날씨 속에서 그 우울함을 달래는 최고의 취미 생활이 ‘가든에 대한 열정’이 아닌가 한다. 여기서 ‘가든에 대한 열정’이라 함은 단지 육체적 노동을 말하는 가드닝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집의 내부 주거 공간과 연결된 떼어 놀 수 없는 하나의 외부(exterior)공간으로써 가든을 두고 집주인에 취향에 맞게 컨셉을 만들고 디자인을 하고 장식품을 갖다 놓고 식물을 가꾸는 등과 함께 삶의 환경을 만들어 가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단지 조경인에게만 국한 된 것이 아니라 영국에 살고 있는 사람 모두에게 해당된다. 이런 이들이 열정을 표면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것이 바로 Royal Horticulture Society 주관 하에 런던 Chelsea에서 열리는 첼시플라워쇼이다. 물론 영국엔 일년 중에 수많은 Flower & Garden Show 가 국가적 지역적으로 열린다. 그 중에 첼시플라워쇼는 그 중에 highlight 이며 가장 세계적이라 할 수 있다. 이 쇼는 일년에 한번 개최되고, 5월 중순에 열려서 4일간 지속되는 동안에 발 디딜 틈이 없는 상황이 벌어지는 모습은 웬만한 세계적인 무역 박람회하고 비교할 수 없다. Royal Horticulture Society 은 1804년에 설립된 영국의 gardening charity 이면서 세계적인 원예 본부와 같은 곳으로 세계 원예 산업을 리드하고 있다. 그리고 2004년이면 200년 생일을 맞게 된다. RHS의 head patron은 여왕인 엘리자베스 2세이다. 이런 확실한 Patron과 일반인의 membership으로 운영되는 이 조직은 30만명 이상의 후원 멤버를 갖고 있다. 런던 시장 Ken Livingston은 이 멤버수가 어떤 정치 당의 당원 수 보다 훨씬 더 많으며 진정한 membership이 될 것이라 한다. 런던의 하이드 파크, 리전트 파크 같은 수많은 공공 공원, 공동주택 정원, 그리고 20% 이상의 런던 시민이 소유하는 정원의 크기가 120 평방 마일을 넘는 걸 보면 RHS의 역할과 사회적, 문화적으로 원예 산업에 얼마나 영향이 큰지 예측 할 수 있을 것이다. RHS는 설립된 이후 Gardner들과 원예 산업을 촉진, 발전시키고 원예에 관한 정보 및 그 밖의 가든에 관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는 목적과 함께 자선단체로써 1862년 RHS’s Great Spring Show가 런던 Kensington에서 처음 시작한 이래로 1913년 까지 Embankment의 Temple Garden에서 쇼를 열었다. 그 이후 지금의 Chelsea로 그 전시장이 고정되어 영국은 물론 세계적으로 RHS의 flower show로 자리 잡게 된다(2차 세계대전 당시 이 장소가 폭격기를 쏘는 대포 설치 장소로 쓰기 위해 중단된 경우를 제외하고). 1988년 이래로 쇼는 붐이 일어 21세기 현재 이 쇼는 열리는 4일 동안 그 인원을 150만 명으로 제한하기 까지 하게 되었다. Contents 전시되는 가든의 카테고리 1. Show garden : 쇼가든은 첼시의 가장 하이라이트로 최고의 디자인과 plantsmanship을 선보여 준다. 런던 중상층이 사는 타운 가든 크기로 8 x 18m 정도 된다. 이 가든의 카테고리에 지원하는 디자이너들은 대부분이 세계적인 명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주가 된다. 쇼에서 금상을 타는 가든은 영광을 얻을 뿐더러 그 해 영국이 가든의 새로운 유행과 역사를 만들게 된다. 2. Small Garden : Small Garden은 대부분의 영국의 어느 집 앞이나 아주 작은 가든을 대상으로 실질적인 관심이 집중되는 부분이다. 2000년도까지는 대학의 College나 RHS와 관련된 단체에게만 지원 가능하였는데 2002년부터 Small Garden 부분을 다양하게 세분화함으로써 더 다양하고 폭넓은 참여자의 지원을 가능케 했다. 작년부터 전문가뿐만 아니라 아마츄어에게도 참여할 기회가 제공되기 시작하였다. 이로 인해서 첼시 플라워쇼의 역사에 새로운 획을 긋게 되었다. 작년 2002년에 디자인이 어떻건 간에 40개의 small garden이 전시되었는데, 이 가든들은 Show 가든이 낭비적인 비용과는 다르게 예산들이 극히 작다는 걸 고려해 볼 때 가장 실질적이고 적용 가능한 디자인을 볼 수 있는 기회를 준다 할 수 있다.Chic garden : 전시장 외부와 파빌리온 안에 군데군데 세워지는데 그 크기는 5 x 4.5 m 이다. 이 디자인의 분류는 도시환경에 맞는 새로운 소재, 아이디어, 식물들과 창조적이고 첨단적인 기안을 허용함으로써 혁신적이고 대담한 가든 디자인을 볼 수 있다. Brown 의 ‘A forgotten future’는 소비과잉으로 넘치는 외부의 미래 환경을 표현한 작품이다. 그 소재의 선택에 있어서 버려져 썩어가는 철재의 Frame과 가장 원초적인 planting을 택하여 방문객들에게 현실을 직시하게 해준다. City garden : 도시가든 역시 쉭 가든 처럼 도시의 생활을 반영하는 도시 가든이나 지붕위의 Roof Garden을 소개하는 부분이다. 바쁘고 모던한 삶에서 가든 안에서 휴식을 하고 즐길수 있는 새로운 스타일을 제공하는 장르이다. Courtyard garden : 전시장 사이드 숲에 자리잡아 전시되는데, 도시보다 도시외곽과 시골의 작은 크기의 가든 디자인의 한 장르로 그 크기는 4.5 x 3.5 m 이다. 이 장르에서는 다른 가든과 달리 실용성이 강조 되는 만큼,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또 실질적으로 가든 디자인하는데 영감을 주게 된다. 3. Floral pavilions : 전시장 중앙에 크게 두 군데 세워지는 대형 임시 전시장으로 영국 RHS 등록된 nursery에서 각 식물원에서 특화된 식물들을 가지고 전시를 하는데, 여기서 뽑혀 수상되는 식물 역시 그 해 가장 잘 팔리는 식물이 될 것이다. 4. Floral Arrangement : Chelsea 쇼에서 선보이는 꽃꽃이 부분의 전시는 가든과 Floral Pavilion부분에 비해 극히 작다고 볼 수 있다. 20평정도 규모의 작은 천막에서 쇼가 전시가 된다. 5. Market Place : sundries 각종 가든에 관련된 제품들이 선보이는 부분으로 잔디깎는 기계에서부터 연못 설비 등 각종 다양한 신종 설비, 식물을 위한 pot들, 조각, 가구, 라이트(등), 온실등의 시장이 선다. 6. Junior Displays : 학교 관련 부스가 전시장에 섬으로써 가든 관련 학교 소개며 디자인이 전시된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전 연 선 Jeon, Youn Sun ·WALSE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