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필암서원
    Piram Seowon造營_ 필암서원은 조선시대 김인후1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선조 23년(1590), 변성운 등이 그가 살고 공부하며 제자를 가르쳤던 장성읍 기산리에 사우祠宇를 짓고 그의 위패를 모셨다. 이것이 1597년 정유왜란 때 소실되자 인조 2년(1624) 그가 태어난 황룡면 증산동에 다시 사우를 지었다. 이후 현종 3년(1662)에는 유생들의 요청에 따라‘필암’2 이라 는 액호를 하사받고 서원으로 승격되었다. 이후 현종 13년(1672) 서원의 입지조건이 수해를 입을 우려가 있다고 하여 다시 지금의 추산秋山으로 옮겨 지어졌고, 1786년 그의 제자이자 사위인 고암 양자징鼓巖梁子徵(1523〜594)도 함께 모셔졌다. 그 후 1868년 대원군의 서원 철패령 때에도 훼철되지 않았으며, 현재는 보물 제587호로 지정된 고문서3와 인종이 하서 선생에게 하사했다는 묵죽도, 하서유묵 등 60여 건의 자료가 남아있다. 매년 4월에 하서 김인후를 기리는 춘향제春享祭가, 9월에는 추향제秋享祭가 열린다. 立地_서원은 축령산을 조산으로 증산을 배경으로 평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원 내 우동사, 내삼문, 청절당, 확연루가 서원 앞 들판으로 이어져 자연과 합일하고 있으며, 한편 앞쪽으로는 장수호에서 연계된 아곡천이 흐르고 있는 전형적인 배산임수의 경관구조를 가진다. 주변 환경으로는 백양사, 홍길동 생가, 흥법사지 석탑, 가산서원, 두동사, 표의사, 진원현 이척산성, 삼성산성 등이 있다.1. 김인후(1510〜560)는 자는 후지(厚之), 호는 하서(河西)·담재(澹齋)이며 장성 출생으로 1531년 성균관에 입학하였으며, 그 후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퇴계 이황과 교우가 매우 두터웠다. 1540년 권지승문원(權知承文院) 부정자(副正字)를 시작으로 홍문관박사(弘文館博士)·부수찬(副修撰)·현감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가 일어나자 장성으로 낙향하여 학문에만 몰두하였다. 그는 문집인《하서집(河西集)》과《주역관상편(周易觀象篇)》《,서명사천도(西銘事天圖)》등을 남겼다. 정조 20년(1796)에 문묘(文廟)에 배향되었으며 필암서원 외에도 옥과 영귀서원(玉果詠歸書院), 노봉서원(露峰書院)에 배향되었다.참고로 문묘(文廟)에 배향(配享)된 우리나라 18현을 열거하면 신라의 설총(薛聰)과 최치원(崔致遠), 고려의 회헌 안향(晦軒 安珦. 후에‘裕’로 개명), 포은 정몽주(圃隱 鄭夢周), 조선조의 한훤당 김굉필(寒暄堂 金宏弼), 일두 정여창(一鄭 汝昌), 정암 조광조(靜庵 趙光祖), 회재 이언적(晦齋 李彦迪), 퇴계 이황(退溪 李滉), 율곡 이이(栗谷 李珥), 하서 김인후(河西 金麟厚), 우계 성혼(牛溪 成渾), 사계 김장생(沙溪 金長生), 신독재 김집(愼獨 齋金集), 중봉 조헌(重峯 趙憲),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 동춘당 송준길(同春堂 宋俊吉), 현석 박세채(玄石 朴世采)이다.2. 연재 송병선(宋秉璿, 1836~1905)이 고종 9년(1872)에 쓴 필암서원 묘정비문에 의하면, 필암서원이 창건된 기산 동구(洞口)의 바위가 깎인 듯이 서 있는 것이 마치 붓처럼 예리한 형상을 했으므로 붓바위, 즉 필암으로 사액했다고 한다.
  • 제20회 2010대한민국 조경인 체육대회
    스무살 맞은 우정과 화합의 큰잔치(사)한국조경사회가 주관하는 제20회 대한민국 조경인 체육대회가 5월 14일 한강시민공원 광나루 제3축구장에서 개최되었다. ‘함께하는 조경, 하나 되는 조경인’이라는 타이틀 아래 진행된 이번 행사에는 57개사 700여 명의 조경인이 한 자리에 모여 우정과 화합을 다지는 한마당 잔치로 펼쳐졌다.유난히도 맑은 5월, 조경인들이 회사별로 돗자리를 깔고 오손도손 다과를 나누며 담소하는 모습은 바쁘게 돌아가는 일상 속에서 오랜만에 찾게 된 여유로움이었다. 어떤 이는 추억 속 운동회와 봄소풍 같은 학창시절의 향수에 빠져들기도 할 것이며, 어떤 이는 오랜만에 반가운 이들과 얼굴을 마주하는 동창회 같은 특별한 느낌을 받기도 할 것이다. 올해로 20회를 맞이한 조경인 체육대회는 이런 설레임 가득한 모습으로 시작되었으며, 도전팀, 사랑팀, 우정팀, 희망팀 총 4개 팀으로 나누어 다채로운 경기와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 부산대 조경학과 도시조경포럼 100회 맞아
    전국 조경학과에서 유일, 단일 프로그램으로 100회라는 진기록 세워조경담론의 열린 공간이 되고자 부산대학교 조경학과가 지난 2003년부터 매학기 마다 개최해온 도시조경포럼이 지난 4월 29일로 100회를 맞았다. 대학이 아닌 학과 단위 조직에서 단일 프로그램을 100회 동안이나 지속적으로 개최해온 것은 그 자체만으로도 남다른 의미가 있으며, 더욱이 수도권이 아닌 지방에서 조경을 매개로 지역의 학교는 물론 관계, 업계 모두의 정보교류와 소통의 구심점이 되어왔다는데 그 역할을 높이 평가할 만하다. 100회 기념식을 겸해 부산대학교 장전캠퍼스 10·16기념관에서 오후 7시부터 시작된 이날 행사에는 이유직 교수의 사회로 부산대 조경학과 학생과 대학원생, 교수를 비롯해 동아대와 영남대 등 인근 영남권 대학의 학생들과 지역의 공무원, 업계 종사자 등 약 200여 명이 참석하여 도시조경포럼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알 수 있었다.시작에 앞서 부산대 조겸례 부총장은 축사를 통해“도시공간에서 조경의 중요성이 점차 더해가고 있는 요즘, 전국 40여 개 조경학과 중에서 단일프로그램으로 이렇게 오랜 전통을 세워온 것은 부산대 조경학과가 거의 유일하며, 무려 8년에 걸쳐 100회를 맞이한 것은 포럼에대한 애정과 학문에 대한 열정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라고 치하하고, “앞으로 도시조경포럼이 학문적·인간적 교류의 지속적인 장이 되길 기대한다”라고 전해 앞으로 대학 차원에서도 지속적인 관심을 보일 뜻을 내비치기도 했다. 이어서 100회를 기념해 학과장인 최송현 교수를 비롯해 조경학과 전체 교수와 학생대표, 포럼 공동주최측인 부산대 지역개발연구소의 소장이 단상에 올라 함께 기념떡을 컷팅하였다. 가르침과 배움에 대한 열정이 세운 기록지난 2003년부터 시작된 도시조경포럼은 모든 지식정보와 자본, 인재 등이 수도권으로만 집중되는 것에 대한 부산대 조경학과 교수들의 안타까움에서 출발하였다. 지방의 학생들에게도 지식정보에 대한 동등한 기회가 주어졌으면 하는 바람에서 조경을 중심으로 도시와 건축, 자연과 환경, 문화와 예술 등 다양한 주제의 강연과 토론이 펼쳐지는 장을 마련한 것이다. 초창기에는 일반 외부인사 특강 형식으로 진행되어오다 좀 더 발전시켰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2004년부터는 이유직 교수가 코디네이터를 맡아 포스터 및 안내문을 제작하여 전국의 조경학과 및 업계에 발송하는 등 본격적인 틀을 갖추게 되었다. 한 학기에 6명 정도의 특별 강연으로 진행되는데 보통 대학교수와 조경 분야 및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각각 2명씩 초청되어 강연하는 것으로 진행된다. 부산대 조경학과 학생들뿐만 아니라 관심 있는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열린 특강으로 진행되어 그동안 최신 정보에 목말라 있던 지역의 학생은 물론 공무원, 실무 종사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초기에는 소식을 듣고 알음알음 찾아오던 공무원들 사이에서 점차 도시조경포럼이 공무원연수로 인정될 만큼 그 가치를 인정받게 되자 많은 인원이 참석하게 되었으며, 회를 거듭할수록 토목과 건축분야에서도 찾아올 만큼 포럼의 인지도가 높아졌다.최근에는 포럼 자체에 대한 고정팬까지 생겨나 관심이 가는 주제의 강연에는 꼭 참석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실제로 울산에서부터 달려오던 회사원들 중에는 강연에 너무 심취한 나머지 대학원 진학으로까지 이어지기도 했다. 100회의 기록은 이런 가르침에 대한 열정과 배움 에 대한 열망이 있었기에 가능하지 않았을까. 임승빈 교수, 21세기 한국 조경의 비전 제시100회 기념 특별강연의 강사로 초빙된 임승빈 교수(서울대 조경·지역스시템공학부)는 “조경이 만드는 도시”라는 주제의 강연에서 21세기 한국 조경의 과제를 무상(無常: 현상), 무이(無二: 이념), 무애(無碍: 실천)의 관점에서 친환경적 도시, 친인간적 도시, 친경관적 도시가 가져야할 지향점에 대해 설명하였다. 특히 21세기에는 ‘도시 내의 공원’이 아닌 ‘공원 내의 도시’로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공원이 도시의 일부가 아닌 도시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요소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조경의 영역을 미리 정해놓고 이를 수동적으로 지키려고만 하지 않고 지구 및 인간환경 전반을 보고 능동적으로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 고민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했다. 궁극적으로 환경 및 사회적 변화에 대비한 전략을 세워야 하며(無常), 인간환경과 사회에 대한 이분법적 사고가 아닌 융합적 사고를 지니고(無二), 장애가 없는 자유자재한 인간환경과 사회를 만드는 것(無碍)이 21세기 한국조경의 과제이자 패러다임이라고 제시해 큰 박수갈채를 받았다.
  • 국격 건축도시 통합디자인정책 포럼
    디자인의 통섭적인 접근과 정책마련에 힘써야지난 4월 23일 대한건축학회, 한국공간디자인단체총연합회, 대한건축사협회, 대한국토도시 계획학회, 한국건축가협회, 한국공공디자인학회, 한국도시설계학회, 한국조경학회, 조선일보, 서울산업대학교가 주최하고 대한건축학회가 주관하는 ‘국격 건축도시 통합디자인정책포럼’이 서울산업대학교 서울테크노파크에서 열렸다. 박병규 서울산업대학교 주택대학원 원장의 개회사로 시작된 이번 포럼은 각각 ‘국격과 디자인’, ‘건축도시 통합디자인정책’으로 주제를 나누어1, 2부로 진행되었다.
  • 용산공원 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 기본구상 국제세미나
    첫 국립도시공원이 될 용산공원에 대한 다양한 비전 제시용산공원 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 기본구상 국제세미나(이하 용산공원 세미나)가 지난 5월 12일 코엑스홀 E5호에서 국토해양부 용산공원조성추진기획단의 주최로 개최되었다. 이 자리는 지난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개최한 ‘아이디어 공모전’의 내용을 토대로 작년 11월부터 6개월여에 걸쳐 조경·도시·교통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마련한 용산공원의 기본구상과 조성방향을 소개하고 국내외 저명한 공원전문가 및 국민들로부터 다양한 의견 및 요구를 청취하여 개선사항을 발굴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날 세미나는 ‘용산공원’ 자체의 조성 방향(켄 스미스, 김아연 교수)과 ‘용산공원 주변지역’에 대한 연계방안(조나단 바넷, 최창규 교수) 등 두 가지 중점사항을 중심으로 주제발표가 진행되었다. 먼저“대형공원 계획: 오렌지카운티 그레이트 파크로부터 배울점”을 주제로 발표한 켄 스미스(Ken Smith 소장, 켄 스미스 조경사무소)은 용산공원의 계획을 위해 고려할 주요사항으로 ‘생태적 인프라로서의 공원’, ‘역사와 장소성을 가진 공원’, ‘휴식처로서의 공원’, ‘다양한활동과 문화프로그램을 수용하는 공원’, ‘생산하는공원’ 등 5가지를 제시하였다. 이 중에서도 생산성을 가진 공원으로 조성되어야만 스스로 자생하는 공간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자신이 마스터플랜을 수립한 오렌지카운티 그레이트 파크의 사례를 통해 지역민의 공원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는 공원조성과정에서 지역사회와 함께 소통하는 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아연 교수(서울시립대 조경학과)는 그동안의 연구성과를 토대로“최초의 국립도시공원, 용산공원의 비전Vision for the first national urban park”이라는 제목 하에 용산공원의 기본구상안에 대해 들려주었다. 우선 공원의 골격을 세우는 전략으로 국가의 상징성과 지역적 정체성을 살리기 위해 한국적 경관요소인 숲, 들, 호수, 하천, 습지의 경관을 재현하고, 남산-용산-한강을 잇는 생태/경관축을 형성하는 안을 제시했다. 더불어 공원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의 개발요소와의 효율적 네트워크를 통해 공원이 도시로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진단하고, 소통의 회복과 녹색교통을 실현하는 것이 공원의 기본골격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공원 프로그램과 관련해서는 용산공원은 단일한 성격으로 규정할 수 없는 대단위 면적임을 감안해 장기적으로 진화할 수 있는, 공원 속에 다양한 공원이 공존하는 ‘United Park’를 제안하고, 미래의 유연한 대처가 공원의 기본 골격 자체를 흔들지 않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다양한 방식의 국민 참여를 통해 조성·운영·관리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공원조성의 촉매방안의 하나로 용산공원에서의 국제행사 개최를 제안하기도 했다. 세 번째 발표자로 나선 조나단 바넷(Jonathan Barnett 교수, 펜실베이니아대)는 “용산공원이 가져올 도시디자인의 가능성”에 대해 발표했다. 그는 용산공원의 古지도와 현재 위성지도를 비교 분석해 과거의 경관을 재현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자연환경을 일부 복원할 수 있는 기회도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미국 워싱톤 D.C에 있는 Rock Creek Park를 예로 들며, 도시 내에도 접근이 용이한 자연공간을 재현할 수 있음을 설명하며, 용산 또한 일부구간에는 남산을 비롯한 자연과 유사한 환경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간이 걸리더라도 자연복원에 힘써야 할 것을 당부했다. 또한 도시와 공원이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현재 가로막혀 있는 남-북, 동-서간의 연결 동선이 필수적이며, 다만 센트럴 파크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공원에서 차량이 보이지 않고, 차량에서 공원 내 사람들이 보이지 않도록 디자인 되어야 하며, 한강과의 연결에 있어서도 단순한 보행자용 다리보다는 뉴욕의 하이라인처럼 즐거움을 주는 공간 마련이 반드시 제안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용산주변지역을 위한 도시디자인 컨셉”에 대해 발표한 최창규 교수(한양대)는 용산공원의 인접지역 관리를 위해 경계부, 인근지역, 주변부 등의 차별화된 관리전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한강과의 연결을 위한 오버브릿지와 지하도로 등과 수계를 연결하는 수로 조성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또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경계부의 접근로 계획을 마련할 것과 서울시 교통체계를 고려한 도로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공원내부 교통시스템으로는 자전거 등의 녹색 교통 위주로 계획될 예정이며, 자가용의 활용은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 조경 드로잉 마스터하기: 보기, 생각하기, 만들기
    알리스테어 맥인토시(ASLA)의 조경스케치조경가 알리스테어 맥인토시(Alistair McIntosh, 이하 맥인토시)의 갖가지 스케치북들이 작업준비를 위해 책상에 놓여있다. 색연필, 먹칼, 흑연, 목탄, 붓, 노란 트레이싱지 뭉치, 몽블랑 만년필, 그리고 제도용 스케일도 함께 보인다. 작은 계산기와 블랙베리 휴대폰만이 여기에 어울리지 않는 유일한 전자장치이다. 화면을 완성해주고 있는 커피 한 잔과 두 개의 사과가 하루를 위한 영양소이다. 그의 책상에 보이는 작은 포켓 크기에서부터 풍경화 판형에 이르는 다양한 크기의 네다섯 개의 스케치북들은 그가 그의 동료들이나 더 나아가 세계 조경가들이 하는 일과 다른 독특함을 만들어 준다. 그리고 컴퓨터 화면과 함께 다른 사람이 출력해놓은 캐드 도면들도 책상의 한켠을 채우고 있다. 그는 과거에서 해왔던 스케치와 연습 방식을 통해서 세심하고 계획적으로 작업을 진행한다. 필자는 그가 과거 수세기 동안 조경가, 화가, 그리고 다자이너들이 해왔던 전통적인 방식을 따르면서 그것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형태로 변화시켜 묘사가 가능한 디자인 도구나 미래를 위한 프로세스로 삼음으로써, 조경 설계의 진보 적이고, 객관적인 견해를 대변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그림 1). The many and varied sketchbooks of landscape architect Alistair McIntosh lie open across his desk ready for work alongside collections of colored pencils, ink pens, graphite sticks, charcoal, brushes, rolls of yellow trace, Mont Blanc fountain pens and drafting scales. A small calculator and a blackberry cell phone are the only electronic devices intruding on the scene. A cup of coffee and two green apples for nourishment during the day complete the ensemble. But it is the four or five sketchbooks of all sizes from pocket to landscape format that mark his desk as quite different from his colleagues and indeed unique from many landscape architects working around the world. There is little sign of a computer screen, although printed construction CAD drawings by others also litter his desk. He is giving studied attention to the daily work of landscape architecture through the ancient act of personal sketching and study. He represents, in my opinion, a forward looking and projective view of landscape design as one that still follows in the traditions of landscape architects, painters and designers from previous centuries yet manages to transform it into a personal yet accessible form of communication and representational design tool and set of processes for the future.(Figure 1)
  • 무성서원
    Museong Seowon무성서원은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500에 위치하며, 면적은 5,507㎡으로 고려시대에 고운 최치원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창건한 태산사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이후 조선조 숙종 22년(1696)에 신잠의 사당과 병합하여 “무성武城”이란 이름으로 사액된 이후 신개, 정극인, 안세림,�정언충, 김약묵, 김관 등의 위폐가 봉안되는 등 필암서원, 표충서원과 함께 호남을 대표하는 서원으로 자리 잡았다. 현재 경내에는 태산사, 현가루, 명륜당, 강수재, 전사청 등이 자연과 인공이 화합하는 순응의 미학을 공간적, 지형적으로 연계시키고 있다. 1968년 12월 19일에 사적 제166호로 지정되었다. Museong Seowon which is located in 500, Museong-ri, Chilbo-myeon, Jeongeupsi, Jeollabuk-do is 5,507㎡ area. It origins from Taesansa that was constructed to praise Choi Chi-Won, and it was merged with the shrine of Shin Jam in the 22th year of King Sukjong’ reign(1696) and was named “useong” Shin Gae, Jeong Guk-In, An Se-Rim, Jeong Eon-Jung, Kim Yak-Muk, Kim Gwan is enshrined in Museong Seowon, and it represents Jeolla province with Piram Seowon and Pyochung Seowon. The aesthetics of adaption is connected spatially, topographically, and functionally with Hyeongaru, Myeongnyundang, Gangsujae and Gojiksa. It was appointed as national historical relics no.166 in 19th of December, 1968.
  • 제26기 환경과조경 통신원 간담회
    가슴 뛰는 우리들의 힘찬 행보를 위해지난 4월 3일 경기도 파주출판도시에 위치한 환경과조경 사옥에서는 2010년‘<환경과조경>제26기 통신원 간담회’가 환경과조경, (주)랜트의 주관아래 개최되었다. 이번 간담회는 오 휘영 환경과조경 편집인 겸 발행인을 비롯 전국 31개 대학의 신임 통신원과 전임 통신원, 환경과조경 및 랜트 주식회사 직원 등 약 7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었다. 지난 2월 신년회 모임 이후 두 번째로 갖는 모임이었지만, 모든 통신원들이 참여한 첫 공식행사 였다.오전 11시, 서울역에 집결한 26기 통신원들은 미리 대기하고 있던 버스에 탑승하여 행사 장소인 파주출판단지로 향했다. 처음 보는 설레임과 다시 만난 기쁨 속에서 서로에게 정다운 인사를 나누었다. 이후 파주출판단지에 도착하여 4조로 나뉜 26기 통신원들은 손석범, 강진솔 기자의 인솔아래 파주출판도시에 대해 간략히 설명을 듣고 1시간 동안 답사를 하였다.답사를 마친 후에 환경과조경 사옥으로 향했으며 사옥에 도착해서는 잠깐의 휴식을 가진 후 조별로 편집·출판기획실, 총무·관리실, 업무기획실, 인터넷사업부, 디자인부 등을 차례로 이동하면서 사옥을 견학하였다. 우리가 매달 접하는 월간 <환경과조경>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또 어떻게 우리들 손에 들어오게 되는지를 직접 볼 수 있었던 뜻 깊은 시간이었다.
  • 차기 회장에게 듣는다
    (사)한국조경학회 차기회장(제20대) 양홍모전남대학교 조경학과 교수<환경과조경〉독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2010년 3월 26일 (사)한국조경학회 이사회에서 차기 학회장에 당선된 전남대학교 교수 양홍모입니다. 차기 학회장으로 선출해 주신 학회 고문, 임원, 회원 여러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조경학회 회원 여러분들과 한국조경의 비전을 공유하고 열린 마음으로 소통하면서, 조경의 큰 꿈을 나누는 장을 마련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저의 임기 중에 회원 여러분과 함께 하고자 하는 중요한 일들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사)한국조경사회 차기회장(제16대) 이민우(주)가원조경기술사사무소 대표이사(사)한국조경사회(이하 조경사회)의 고문, 임원들을 비롯한 회원들의 격려와 성원 속에 차기 회장직을 맡게 되었습니다. 조경에 대한 식견이 아직 미흡한 저를 믿고, 열심히 일하란 뜻으로 밀어주신 여러분께 송구스럽지만 미약하나마 최선을 다해 봉사와 희생으로 보답하겠습니다. 그동안 전임 회장들의 활동을 보면 조경사회의 회장은 아무나 할 수 있는 자리가 아니라고 생각했었습니다. 부회장, 수석부회장을 마치고 현재 감사직을 수행하면서 조경사회를 이끌고 나가는 회장단의 노고를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회장이라고 해서 모든 문제를 다 해결할 수 있는건 아닙니다. 조경계 선후배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도움 속에서만이 조경사회의 발전을 이룰 수가 있습니다. 취임 전까지 남은 기간 동안 지금까지의 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30년을 바라보며 차근차근 발전전략을 세워 나가겠습니다.
  • 옥산서원
    Oksan Seowon옥산서원은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158에 위치하며, 면적은 26,075㎡로 선조 5년(1572) 경주 부윤 이재민李齋閔(1528~1608)과 유림의 공의로 문원공 회재晦齋이언적李彦(1491~1553)을 배향하기 위해 서원의 입지가 정해지고, 선조 6년(1573) 경주의 서악西岳향현사鄕賢祠에 있던 위패를 모셔와 창건하였다. 이후 선조 7년(1574“) 옥산玉山”이름으로 사액된 이후, 주향자인 이언적이 동방 5현의 한 사람으로 문묘에 종사되는 등 도산서원과 함께 영남 남인을 대표하는 2대 서원으로 자리 잡았다. 현재 경내에는 체인묘, 구인당, 민구재, 암수재, 무변루, 역락문 등이 자연과 인공이 화합하는 순응의 미학을 공간적, 지형적으로 연계시키고 있다. 1967년 3월 8일 사적 제154호로 지정되었다. 造營_ 조선조 선조 5년(1572) 경주 부윤인 서간 이재민과 유림의 공의로 회재1 이언적2을 배향하기 위해 창건하였으며, 선조 7년(1574) 선조로부터 사액을 받게 되었다. 이후 조선왕조의 서원 진흥책에 힘입어 발전을 보게 되었으며, 특히 주향자인 이언적이 동방 5현의 한 사람으로 문묘에 종사되자, 그 영향력은 크게 증대되었다. 동서·남북 분당 이후 이언적이 이황과 함께 남인의 정신적 지주로 부상하자, 옥산서원은 도산서원과 더불어 영남 남인을 대표하는 서원으로 자리 잡았고, 남인의 세력이 약화된 인조반정, 갑술환국 이후에는 집권 서인 또는 노론계에 비해 세력이 많이 위축되었다. 옥산서원이 중앙정계로부터 다시 주목받게 된 것은 영·정조 때이다. 이후 서원의 남설濫設과 부패로 고종 5년(1868) 대원군이 서원을 철폐할 당시에도 훼철되지 않고 존속하게 된 서원이 47개가 있는데 그중에 옥산서원도 포함이 된다.3 현재 서원 내에는 정문인 역락문亦樂門, 이언적의 위패를 봉안한 체인묘體仁廟, 화합·토론 등 서원 내의 여러 행사 때 사용하는 강당인 구인당求仁堂,제기를 보관하는 제기실祭器室, 유생들이 거처하면서 학문을 닦는 곳인 민구재敏求齋·암수재闇修齋, 유생들의 휴식공간인 무변루無邊樓, 이언적의 신도비神道碑를 모신 신도비각神道碑閣, 내사전적內賜典籍과 이언적의 문집 및 판본을 보관하던 경각經閣·판각板閣4 등이 있다.立地_ 옥산서원은 동북쪽의 화개산華蓋山이 주산, 서쪽의 무학산舞鶴山, 북쪽의 자옥산紫玉山으로 둘러싸인 지형적인 조건과 전망 때문에 서향을 하고 있으며,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자계5 내 징심대와 세심대 일원에 입지하고 있다. 주변 환경으로는 양동마을, 독락당6 등이 있다. 空間構成_ 1)配置形式서원의 배치는 전면에 강학처講學處를 두고 후면에 사당을 배치한 전형적인 서원 건축구조로 되어 있는데, 중심축을 따라서 문루·강당·사당이 일직선을 이루며, 중심축선상의 마당을 중심으로 공간감을 가지며, 각각의 고유의 영역을 구성하면서, 소박하면서도 간결한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전체적인 배치의 구심점이 되는 무변루, 구인당, 체인묘 일대의 공간을 핵으로 하며, 경각, 문집판각, 신도비각, 고직사 등이 지반의 차이를 두며 개별적인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7 특히 서원을 둘러싸고 있는 담은 사람 키보다 높지 않게 조성되어 아늑한 위요감을 주며, 한편으로는 건축물과 자연 사이의 완충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를 공간 전이적인 면에서 보면, 서원의 진입로에서 먼저 측면의 담장과 함께 고직사로 통하는 문이 보이고, 우측에는 1972년 새로 건축된 청분각이 보이며, 좌측의 자계계곡과 함께 서향의 정문인 역락문 앞의 넓은 공간이 사야에 들어온다. 역락문을 통해 들어서면 앞으로 작은 내가 흐르고 이곳을 건너면 무변루라는 누각이 나타나고, 이어서 계단을 오르면 마당이 펼쳐진다.8 정면에는 구인당이란 당호의 강당이 있고, 좌우에는 원생들의 기숙사격인 민구재, 암수재가 강당의 기단보다 낮은 단 위에 있으며, 동·서 재실은 서로 마주보며 대청과 온돌방의 위치가 좌우 대칭을 이루고 있다. 강당 앞마당에는 야간조명을 위하여 관솔불이나 기름을 올려놓고 태우던 정료대가 위치하고 있다. 한편 강당을 옆으로 돌아서서 뒤로 가면 이언적의 위패가 모셔져 있는 체인묘라는 사당이 나타나는데, 사당의 주변에는 장판각·전사청·신도비 등이 있다. 주석1.“회재(晦齋)”라고 한 것은 주희의 호인 회암(晦菴)의 학문을 따른다는 견해를 보여주는 것으로, 회재의 성리학은 퇴계에게 이어져 영남학파의 선구가 되었다. 한편 회재의 시호인“문원(文元)”은 조선조 도학의 선구자임을 나타낸다.2. 이언적은 중종 때의 성리학자이며, 문신으로 본래 이름은 적(적)이었는데, 후에 중종의 명으로 언(彦)자를 덧붙여 언적으로 되었다고 한다. 한편 이언적은 주희의 주리론(主理論)적 입장을 성리학의 정통으로 밝힘으로써, 조선 성리학의 방향과 성격을 정립하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그는 설서(說書), 이조 정랑, 홍문관 교리, 직제학, 전주 부윤, 이조, 예조, 형조판서 등을 역임했으며, 명종 2년(1547) 이른 바“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무고하게 연루되어 강계(江界)에 유배된 후 그곳에서 생을 마감하였다.3. 일반적으로 서원에는 연혁을 간단하게 기록한 고왕록(考往錄)이 있는데, 옥산서원의 경우 19세기「고왕록 1집(1816-1873)」만이 전하고 있는 바, 최초 창건 당시 전사청 및 고직사 부분에 대한 기록이 없으며 최초 40여 칸이었다는 것과 1816년 고청에 대한 중수기록이, 1835년에는 판각(板閣)에 대한 개축이, 1839년에는 강당에 불이 나 이듬해 중건하였다는 기록이 있다.4. 옥산서원은 현존하는 서원 문고 가운데 많은 책들을 보관하고 있는 곳으로, 현재 두 곳에 나누어 관리하고 있다. 하나는 서원 경내에 있는 어서각(御書閣) 소장본이고, 다른 하나는 이언적의 사저에 있는 독락당에 있는 소장본이다. 보관된 책 중에서 1513년에 간행된《정덕계유사마방목(正德癸酉司馬榜目)》은 현재까지 발견된 활자본으로는 가장 오래된 책으로 보물 제524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 밖에《삼국사기》《해동명적》《이언적수필고본일괄》등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5. 서원은 앞으로 흐르는 자계(紫溪)의 너럭바위 위에 위치하며, 너럭바위는“세심대(洗心臺)”라고 불리는데, 계곡물이 이루는 폭포에서 떨어지는 물로 마음을 씻고 자연을 벗 삼아 학문을 구하는 곳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6. 독락당(獨樂堂)은 회재 이언적이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에 돌아와 지은 집의 사랑채이다.�조선 중종 11년(1516년)에 건립된 독락당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집으로 온돌방(1칸×2칸)과 대청(3칸×2칸)으로 되어 있다. 특이사항으로는 독락당 옆쪽 담장에 살창을 달아 대청에서 살창을 통하여 앞 냇물을 바라보게 한 특출한 공간구성과, 독락당 뒤쪽의 계정 또한 자연에 융합하려는 공간성을 보여준 것이다.7. 역락문에서 체인묘까지는 크게 4개의 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심에 강학공간인 구인당이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배치는 낮은 단부터 진입공간, 강학공간, 제향공간으로 1개의 축에 놓여있어, 상, 중, 하의 위계성이 확연하게 드러나고, 정신적으로도 제일 높은 곳에 사묘를 두어 성현에 대한 존엄과 외경심을 높이기 위함으로 여겨진다. 이는 성리학의 근본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경(敬)”의 공간이 위계적 질서체계로 자리 잡은 것으로 볼 수 있다.8. 역락문과 마당과의 1.6m의 단 차로 인해 루 하부의 문을 통해서도 마당 전체가 시야에 들어오지 않으며, 누하(樓下) 진입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무변루의 중간쯤에 이르렀을 때 비로소 강당인 구인당이 시야에 들어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