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그린비전 서울2000 ; 마을마당 조성계획
    중랑구 신내동, 도봉구 방학동, 관악구 봉천동, 서토구 양재동, 강남구 포이동, 송파구 송파동, 강동구 천호동의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 키워드: 마을마당, 계획 ※ 페이지 : 118 - 123
  • 도성과 문루
    서울은 왕도이며 수도였다. 조선조 태조가 1394년 한양으로 도읍을 옮기면서 한양방어를 위해 1395년에 조선괄도에서 장정 20만명을 동원해 흙과 돌을 섞어 쌓았다. 그러나 짧은 기간에 급히 쌓느라 부실한 곳이 많아서 세종 4년(1422년)에 고쳐 쌓았다. 이때 장방형 마름돌을 사용했으며, 그후 숙종 30년(1704년)에 정방형 돌을 깍아 다시 한번 크게 보수하였다. ※ 키워드: 전통 ※ 페이지 : 132 - 133
  • 미국 국립공원의 이용개발과 보전관리
    미국에 있어서는 국립공원의 합리적인 이용을 위한 홍보 계도의 기능으로서 교육 유도적인 방법과 계도 강제적인 방법의 양면체제를 지니고 있는데 두드러진 것은 교육 유도적인 노력이라 할 수 있다. 주당 55시간 노동제가 실시되어 유급휴가제도가 극히 적었기 때문에 이용자는 연간 36만여명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10년 후인 1926년에는 231만여명으로 증가하였고, 1936년에는 120만여명, 1946년에는 2,170만여명 1966년에는 3,308만여명으로 격증하였다. 반면에 관리인의 숫자는 지난 1980년 1인당 5만명이던 탐방객수에 비해 1994년에는 9만 4천명에 이르러 20년 동안 최악의 상태에 도달했으며 각 공원마다 도로가 파손되고 쌓이는 쓰레기더미로 인해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 키워드: 국립공원, 해외, 미국, 보전 ※ 페이지 : 134 - 139
  • 자연보호와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독일의 환경정책- 생물다양성 보존정책을 중심으로
    독일에는 현재 약 7백 50개의 상이한 소생활권형(Biotope) 이 나타나고 있다. 독일의 자연적 생활공간 내지는 생활공동체는 온천 암석 소택지 밀물때 물에 잠기는 모래톱 산림 고산지역과 같은 근본적으로 비교적 소면적이 있으며 이들은 물질오염을 통하여 침해되고 있다. ※ 키워드: 생태, 독일, 자연, 해외, 환경 ※ 페이지 : 140 - 147
  • 한국조경연합회 조경살리기 나섰다 - 조경살리기 한마음운동본부 결성으로 대대적인 모금운동
    올 한해 조경계와 관련한 가장 큰 이슈는 무엇보다 건설산업기본법 개정에 따른 특수면허폐지 라는 것에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조경계는 이 문제에 대해 전문과 종합이 내부적으로 몇차례 접촉을 가졌지만 결국 지난 9월 건교부에 각각 2가지 안을 제출 한몸 뚱아리 두 목소리의 흉한 모양새만 또 드러냈다. 11월 18일 현재 건설교통부의 최종안이 완성되어 국회건설교통분과의 심의를 앞둔 상태로 조경의 앞날을 어느 누구도 점칠 수 없는 분위기이다. ※ 키워드: 단체 ※ 페이지 : 126 - 127
  • 국내우수잡지 선정방법 및 심사기준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어머니품에 안기듯 달려가고픈 곳 - 삶의 정을 포근하게 느꼈던 외금강 온정리
    연기자 박규채가 풀어 놓는 고향, 금강산에 대한 이야기. ※ 키워드: 금강산, 박규채 ※ 페이지 : 180 - 181
  • 그린비전 서울2000 ; 서울시, 공원녹지기획관 조경과 신설로 푸른도시 박차
    서울특별시 환경관리실은 요즘 축제분위기로 매일 시끌벅적하다. 지난 8월 29일 조순 서울시장이 종합적인 공원녹지 대책을 마련함에 따라 한결같이 “이제 제대로 일다운 일, 하고자 했던 일을 할 수 있게 됐다”며 모두가 똘똘뭉쳐 활기찬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기 때문이다. 업무를 담당할 인력확충 및 사무실 이전, 사무기기 설치 등으로 눈코뜰 새 없는 나날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10월 1일 카운트다운에 들어간 서울시 환경관리실은 더 이상의 녹지 감소를 막고 대대적인 녹지확충사업을 벌여 2000년에는 서울의 녹지환경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것이 기본 목표. 4대 분야 52개 사업의 획기적인 푸른 서울 청사진이 제시됨에 따라 가장 큰 변화로 볼 수 있는 것은 공원녹지기획관과 조경과의 신설이다. ※ 키워드: 그린비전 서울, 서울시청, 공원녹지, 조경과 ※ 페이지 : 144-146
  • 조경용수목 _ 서향, 유카
    서향 _ 이 나무는 중국원산이며 봄 일찍 개화시에 대단히 좋은 향기가 멀리까지 풍기는 이름난 꽃나무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세는 주로 남부지방에서 정원수 또는 공원수로 널리 식재되고 있으며 중부지방에서는 실내나 온실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들어온 연대는 명확하지 않으나 비교적 오래전부터 도입되어 식재되고 있으며 유럽에는 1771년에 들어갔다는 기록이 있고, 최근에는 세계 각국에서 좋은 관상수로 널리 재배되고 있다. 유카 _ 북미남부 원산으로 원산지는 난대에서 열대에 걸쳐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 도래된 유래는 밝혀지지 않으나 일본을 통해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열대산 식물로는 비교적 내한성이 강해 우리나라 중부이남 지역에서 월동이 가능하다. 이 나무는 특이한 수형과 무성한 꽃이 아름다워 예로부터 관상수로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세계 각지에서 조경수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 키워드: 서향, 유카, 팥꽃나무과, 용설란과 ※ 페이지 : 168-173
  • 경북 김천시 조마면 장암동 _ 배병휴 매일경제신문사 전무
    경북고속도로 정중간지점인 추풍령휴게소에서 내려다보면 나지막하고 단조롭게 눈에 들어오는 시골도시가 경상도 김천땅. 해방이후 지금껏 크게 변한게 없다시피 잠자코 있는 듯한 저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