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중앙광장(가칭) 현상공모
Design Competition for Busan Central Plaza
부산광역시는 부산의 주교통축으로서의 위상 회복과 부산의 상징적 도심 이미지를 확보하고 친환경 및 보행 중심의 지속가능한 도시 구현을 위해 부산중앙광장(가칭)조성사업을 추진하였다. 시는 각계 전문가와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지난 5월 10일부터 설계 현상공모 및 부산중앙광장(가칭)의 미래 비전을 주제로 한 심포지엄을 개최하였으며,지난 8월 5일 18개 업체에서 작품을 접수받아 최적의 작품을 선정하기 위해 도시계획, 공원녹지계획, 조경, 도시설계, 도로, 경관미학, 교통 등 각 분야별 전문가를 선정하였다. 당선작으로 선정된‘흐름과 소통 그리고 미래광장’은 부산의 도심가로를 광장의 성격과 그린웨이의 성격이 동시에 드러나도록 하면서 부산중앙광장의 상징성을 잘 표현하였다.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존 교통체계의 개선 및 녹지공간 확보와 보행자의 유기적인 연계성, 시민참여 아이디어, 장애인을 위한 개념 등을 보여주었다.-편집자주-
당선작흐름과 소통 그리고 미래광장(주)두인D&C + (주)디자인유즈 + (주)부경종합기술단
설계참여자 _ (주)두인 D&C(차욱진 대표, 최형길, 양건석, 김봉준, 박수정, 양선희, 김성기, 이윤지, 신용하, 윤인상) + (주)디자인유즈(장대수 대표,김재화,이형주, 오유미, 최경진) + (주)부경종합기술단(황주연 대표, 신호, 김철민, 전정홍)
우수작板creative screen(주)새한전시 + 기단조경사기술사사무소(주) + (주)정인 기술단 + (주)그룹한 + 정욱주
-
제8회 농촌어메니티 환경설계공모전
The 8th Rural Amenity Environment Design Competition농촌진흥청과 한국농촌계획학회가 주최한 제8회 농촌어메니티 환경설계공모전의 당선작이 지난 9월 1일 발표되었다. “인간·문화·자연이 소통하는 아름다운 농촌마을”을 주제로 열린 이번 공모전은 아름답고 풍요로운 강촌마을 설계 및 탄소저감 기술 기반의 살기 좋은 농촌마을 설계와 같은 ‘환경설계 분야’와 전통주택정원에 어울리는 ‘환경시설물 디자인 분야’로 나눠 진행되었다. 총 206점의 작품이 출품된 가운데 환경설계분야 대상을 받은 ‘바람의 숲, 치유의 신(Scene)을 만나러 가는 길’은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성황림 마을을 산림자원과 수자원을 활용한 저탄소 기술 기반의 살기 좋은 에너지 재생 마을로 설계한 아이디어가 돋보이며, 환경시설물 디자인분야 대상을 받은 ‘희희낙락 - 재미로 즐기는 우리의 것’은 소쿠리와 전통문양, 떡살문을 모티브로 정글짐, 벤치, 시소 등과 같은 시설물을 디자인해 전통주택정원에 어울리는 소박한 모습을 잘 담아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에 대상 수상작을 소개한다.
환경설계 분야대상바람의 숲, 치유의 신(Scene)을 만나러 가는 길 홍세미, 정다운, 박지명(서울산업대학교)환경시설물 디자인 분야대상喜喜樂樂희희낙락: 재미로 즐기는 우리의 것이길주((주)이디스넷), 이정원(서울대학교)
-
화성남양뉴타운 도시개발사업 조경설계공모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Competition for Namyang Newtown in Hwaseong고향의 봄당선_서안알앤디 조경디자인㈜설계참여자 _ 신현돈 소장, 박지현, 조현준, 안용재, 송영민, 김정화, 김재영, 우창현, 최웅재, 이지혜, 김소영고향의 봄은 남양뉴타운의 새로운 그린네트워크를 구현하며 시민들에게 향수 어린고향의 안온함과 푸르름을 제공합니다.생태저류지 체육공원은 저관리, 무비용의 멀티필드로 주민에게 활용되며건강채원, 텃밭, 유실수원 등은 토속적인 문화의 경험을 줄 것입니다.천수답 습지와 방죽 물놀이터 등은 생태, 문화의 서정적 경관을 연출하며녹색도시로서 가치를 더할 것입니다.이는 저탄소 녹색성장과 환경적으로 건강하고 지속가능한Environmentally Sound & Sustainable Development 공원녹지체계의 미래상을 보여주는 청청도시로 재탄생 될 것입니다.
-
서부산권 창조마을 아이디어 공모전
서부산권, 교육과 창의가 넘쳐나는 곳으로 변모 꿈꿔부산시는 동부산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발전이 더딘 서부산권의 발전 요구가 증대되고 도시발전의 패러다임이 생산성의 시대에서 창조성의 시대로 변화됨에 따라 새로운 도시발전방향을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 이에 도시균형발전을 위해 부산시내 북구, 사하구, 사상구 전역에 걸쳐 취약한 주거 및 생활환경을 개선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역사·문화·환경 등의 지역자원을 개발하여 자생적 경쟁력 강화 및 지역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3월 1일(월)부터 6월 30일(수)까지 서부산권 창조마을 아이디어를 공모하였다. 모집유형은 특정지역 또는 계층을 대상으로 창의적이고 실행 가능한 프로젝트로서 전통과 현재, 미래의 공존가치 창출을 위한 역사·문화 복원 분야, 도시재생 차원의 생활환경 개선에 공공디자인 개념을 도입한 도시경관·디자인 분야, 상징가로 및 골목길 재생 분야, 창조커뮤니티조성 분야, 사회적 기업 활성화 및 지역연고사업 분야 등을 대상으로 제안하였다. 이번 아이디어 공모에서 대상으로 선정된 팀은 사상구의 새로운 교육 센터를 제안해 기존 학장동의 환경 개선 정책들과 시너지 효과,센터를 중심으로 주변 골목길과 주거 벽면의 개선, 주민들의 자발적 역량강화 등을 보여주었으며, 서부산권에 대한 작은 희망과 향후 부산시가 이끌어갈 창조도시‘부산’의 미래를 제시해 주었다. 편집자주
대상사상구의 새로운 ‘창조교육 마을’ 학장동 E-Co 프로젝트 류영진, 이승윤, 안성배(부산대학교 사회학과)자료제공_ 부산광역시, 금강공원사업소
-
보편과 특수: 마리보르 EPK 드라바 2012 공모전
Maribor EPK DRAVA 2012두 개의 딜레마지난 2009년 12월 슬로베니아의 마리보르라는 도시를 무대로 국제 아이디어 공모전이 열렸다. 공모전의 주제는 마리보르의 중심을 흐르는 드라바(Drava) 강에 대한 다양한 건축적, 조경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공모전은 크게 세부분으로 나뉘어졌다. 첫 번째 주제는 드라바 강의 호안, 두 번째는 강을 건너는 새로운 보행자 다리, 세 번째는 강변에 세워질 마리보르 미술관이었다.
마리보르는 슬로베니아에서 두 번째로 규모가 큰 도시이지만, 인구는 10만이 조금 넘는 정도의 소도시이다. 지리적으로 슬로베니아의 수도보다도 오스트리아의 대도시들과 더 가까우며 역사적으로도 오랫동안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를 받아온 이 도시는 마치 독일이나 오스트리아의 도시처럼 보인다. 사진으로 볼 수 있는 마리보르는 중세 시대부터 만들어졌을 것 같은 오래된 도시 조직이 그대로 살아있는 아름다운 유럽의 작은 도시의 모습을 갖고 있다.
우리는 마리보르에서 보편과 특수라는 딜레마를 다시 접하게 된다. 첫 번째 딜레마. 과거의 정체성이 그대로 살아있는 아름다운 소도시 마리보르는 표면상으로는 리쾨르가 저주한 조잡스러운 이류 문명의 질병에 아직 걸리지 않은 듯하다. 마리보르는 새로운 것을 더하지 않더라도 지금 모습 그대로 아름답고 정갈하다. 그렇다면 마리보르는 그 문화적 자원과 정체성을 보존하기 위해 18세기의 모습 그대로 머물러야 하는가? 두 번째 딜레마. 정체성이 이미 비어있는 쥐덫이며 역사의 존재가 현대의 거대 도시에서 관광 상품, 혹은 향수 이상의 의미가 없다는 것을 인정하자. 굳이 지역적 맥락 속에서 과거의 정체성을 존중하는 건축적 양식이 무의미하며 심지어는 우스꽝스럽다는 것에도 동의하자. 그러나 마리보르는 렘 콜하스의 묵시록에 나오는 거대 도시가 아니다. 50년 만에 인구 천오백만의 거대 도시로 성장한 선전(Shenzhen)과 1500년 동안 거의 변화하지 않은 마리보르는 같은 종류의 도시가 아니다. 과거가 소진되지 않고 현재의 토대를 구성하고 있다면 건축은, 조경은, 그리고 도시는 과거에 대해 어떠한 입장을 취해야하는가?
-
화성남양뉴타운 도시개발사업 조경설계공모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Competition for Namyang Newtown in Hwaseong고향의 봄당선 _ 서안알앤디 조경디자인㈜설계참여자 _ 신현돈 소장, 박지현, 조현준, 안용재, 송영민, 김정화, 김재영, 우창현, 최웅재, 이지혜, 김소영
-
서울강남 보금자리지구 조경설계공모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Competition for Gangnam Residential District흥이 넘치는 길과 어우러진 풍광만들기구비풍경
당선_동인조경 마당설계참여자 _ 황용득 소장, 김성진, 한지숙, 김병만, 도여형, 이상복, 김종찬, 김선주, 정푸름, 한승지, 이재민, 이유경, 심승기, 이행하, 한준희, 윤미경
-
제2회 대전광역시 공공디자인 공모전
즐거운 상상으로 신나는 어린이 놀이터 및 톡톡 튀는 가로시설물 디자인 선보여
대전광역시는 “즐거운 상상, 신나는 공간, 아름다운 도시”를 주제로 제2회 대전광역시 공공디자인 공모전을 열고 지난 6월 24일 최종 수상작을 발표하였다. 어린이공원과 일반 가로시설물 중 자전거 보관대, 교통카드 충전소를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공모전에는 전국 64개 대학 관련학과 대학생 및 일반인을 포함 총 689명이 참여했으며, 357개 작품이 출품되었다. 이중 1차 심사를 통해 77개 작품을 수상작으로 확정했으며, 2차 최종 작품판넬 심사를 통해 경북대 이정희 씨가 제출한 “개구리의 세상구경”을 영예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 외 금상은 김대웅, 이지영 씨의 “Green Bicycle Shed”, 은상은 홍익대 김한욱, 박한글 씨의 “Green Network Flow”, 청주대 손병훈 씨의 “Kinetic Energy Light”를 선정하였다
대상개구리의 세상구경 | 이정희(경북대학교)
금상Green Bicycleb Shed | 김대웅, 이지영(일반)
-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 조경설계공모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Competition for Gwangju-Jeonnam Innovation City한국토지주택공사(사장 이지송)는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 조경설계공모전”을 개최하여 지난 7월 8일 당선작을 선정하였다. 이번 공모전은 기존의 대한주택공사와 한국토지공사가 통합하여 한국토지주택공사(LH공사)로 출범한 이후 처음 개최된 조경설계공모전으로서, 전라남도 나주시 금천면, 산포면 일원에 위치한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를 대상으로 자연에 순응하는 도시환경을 조성하고, 21세기형 지식단지와 지역 혁신체계의 미래형 도시환경에 적합한 창의성, 예술성, 독창성 등을 확보한 공원·녹지 설계를 위해 참신하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모집하고자 개최되었다.
1등작녹색도시 Green Energypia(주)CA조경기술사사무소 + (주)그룹한 어소시에이트 + (주)도화종합기술공사설계참여자 _ (주)CA조경기술사사무소(진양교 대표, 김재환, 정원령, 김복희, 조용준, 이정종, 안주리, 김동현, 남지인, 민경찬, 김유진, 김희수, 유수환, 강보람, 김지현)+ (주)그룹한 어소시에이트(박명권 대표, 최은경 소장, 서남규 부소장, 우주선) + (주)도화종합기술공사(문상규 상무, 김철홍 상무, 마동욱 부장)
2등작베메불휘사람과 사람, 사람과 자연, 도시와 농촌이 상생하는 Green Energypia (주)선진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 유림조경기술사사무소 + NEXUS 환경디자인연구원설계참여자 _ (주)선진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양동민, 허은, 이정언, 김도한, 이상호) + 유림조경기술사사무소(김은성 대표, 남은희, 조근영, 이형채, 조혜정, 이재승) + NEXUS 환경디자인연구원(조동길 원장, 최지은, 이지현, 송봉근)
3등작羅·飛·野나비야(주)동명기술공단 + 기술사사무소 동인조경마당 + (주)성호엔지니어링설계참여자 _ (주)동명기술공단(정주현 전무, 김종국 이사, 이종원 이사, 김웅범, 이재인) + 기술사사무소 동인조경마당(황용득 소장, 김선주, 이유경, 이재민, 한승지) + (주)성호엔지니어링(이유경 사장, 최기호 부사장, 박병현 팀장, 권진온, 조성원, 최재범)
-
동탄2신도시 워터프론트 설계공모
Design Competition for Waterfront in Dongtan2 Newtown경기도시공사(사장 이한준)는 경기도와 국토해양부와 함께‘동탄2신도시 워터프론트 설계공모전’을 개최하였다. 국내외 조경설계사무소 및 건축·도시분야 컨소시엄 5팀이 지명, 초청된 가운데, 동탄2신도시 내 특화단지 중 워터프론트 콤플렉스를 대상으로 경기도 화성시 동탄면 산척저수지 및 송방천 일대 (약 164만1천㎡)에 워터프론트와 커뮤니티가 어우러진‘거점형복합도시공간’의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번에 당선작으로 선정된 최신현(주)씨토포스팀의 청림정현은 대상지의 자연을 고려하여 접근하면서 생태를 위해 기존 토지이용계획을 개선, 변경한 점에서 이목을 끌었다. 워터프론트는 이미 선진 국가에서는 개발이 활성화된 장소로 대표적인 자연친화 공간이다. 동탄2신도시가 이번 공모전을 통해 워터프론트에 대한 많은 혜안을 얻길 바라며, 한국의 대표적인 자연친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기대해 본다.
1등작청림정현(주)씨토포스 + Turenscape + (주)정림건축 + (주)건화설계참여자 _ (주)씨토포스(최신현 대표, 김윤제, 이창원, 이대영, 고태영, 이상국, 최정은, 이현정, 황광호, 김지환, 오세민, 이윤영) + Turenscape +(주)정림건축 +(주)건화
2등작溪流都市계류도시Valley Urbanism - 한국정원이 도시를 만들다오피스박김 + (주)제공건축사사무소 + (주)다산컨설턴트 + John Hong(하버드대 교수)설계참여자 _ 오피스박김(박윤진, 김정윤, 손동현, 김민서, 박연희, 강한솔, 김민지, 김진환, 김기홍) + (주)제공건축사사무소(윤웅원, 박주현) + (주)다산컨설턴트(박노천) + John Hong(Jinhee Park, Jiseok Park of SsD)
참여작연지緣地(주)그룹·한 어소시에이트 + (주)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 (주)도시건축 소도 + AECOM + Niall G. Kirkwood설계참여자 _ (주)그룹한 어소시에이트(박명권 대표, 송영탁, 송병언, 최이규) +(주)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정영균, 유승종, 한여경) +(주)도시건축 소도(정경상 대표, 위재송, 백영준, 윤희재) + AECOM(Sarah Haga, 차태욱, Te-Hsuan Liao) + Niall G. Kirkwood (하버드대 디자인대학원)
참여작수향도시水香都市 New Waterfront Lifestyle(주)동심원조경기술사사무소 + (주)신화컨설팅 + (주)선진엔지니어링 + 최정인설계참여자 _ (주)동심원조경기술사사무소(안계동 소장, 김영아 실장, 안원영, 이소은, 이남진)+ (주)신화컨설팅(최원만 사장, 문성혜 소장, 이지선, 전진현, 이현식) + (주)선진엔지니어링(윤여갑 소장, 강민구 부장, 김현숙, 김연정, 변재희) + 최정민 교수(순천대학교)
참여작Cultivated CommunityChanneling Natural Flows, Planting CulturalSeeds, Harvesting Diverse Community.조경설계 서안(주) +(주)디지오즈 건축사사무소 + (주)평화엔지니어링 + (주)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설계참여자 _ 조경설계 서안(주)(정영선 대표, 이진형 실장, 김미연 차장, 명성준 팀장, 신광순 팀장, 송유진, 김경희, 김현희, 김민식, 김현, 박만식, 강지영, 이혜민, 김소산, 이기연, 박마리, 남현주) + (주)디지오즈 건축사사무소(신승수 소장, 김수희 소장, 최윤진)+(주)평화엔지니어링(박승자 부사장, 이완융 이사, 문상민, 유재웅) + (주)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김성원 전무, 윤준도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