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공원연결 구름다리 겸용 상징탑 모형수상작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4 .19묘역 성역화 사업 현상설계 수상작
    e-메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한국청소년 중앙공원 현상설계 수상작
    최우수작_종합건축사 사무소 진원. 토우주어진 대지는 혹성산을 바라보며 현독립기념관 우측 동곡(東谷)으로 산자락이 두세가닥 내려와 있고 기본 자연환경 및 생태계가 우수하여 에워싸여 있으면서도 신야는 터져 있어 진입부터 시작해 점진적으로「정말 자연」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이 약 36만 7천여평 땅에 1만3천여명의 연구 ·개발 ·행정시설, 연수 ·수련시설 및 생활관시설등의 건축물과 각종 야외수련 시설등을 담을 안(案)을 계획하였다. 우수작_(주)건원국제건축 종합사무소+(주)삼우기술단청소년들의 자발성, 자율성에 기초한 능동적 삶의 실현을 돕고, 선진 ·민주 ·통일조국에 대비하여 청소년의 자질을 함양할 수 있으며, 아울러 보다 나은 학습의 기회를 부여할 수 있는 청소년 성장의 요람으로 조성하고자 한다. ※ 페이지: 149~160※ 키워드: 한국청소년 중앙공원, 설계 당선작, 진원, 토우, (주)건원국제건축 종합사무소
  • 제8회 한국조경작품전 추천작
    옥산지구 주거환경계획 _ 옥산지구는 경북 경산시 외곽지역의 택지개발사업에 의해 개발되고 있는 주거지로 약 16만평 정도가 되는 부지다. 부지 서남측에 성암산 일대가 부지를 병풍처럼 감싸고 있어 산악경관이 부지에 제공하는 녹지량이 적지 않다. 그러나 경부선 철도가 인접한 까닭에 인접부지에서는 80dB 정도의 소음이 들리는 바 이에 대한 고려사 설계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하남 고층아파트 단지 재계획 _ 본 계획의 목적은 기존 고층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잃어버린 이웃과 자연을 되찾는 주거단지의 재설계에 있다. 계획목표는 첫째, 주민간의 공동체적 유대의식을 강화시킬 수 있는 공동체 공간의 창출이며, 둘째로는 메마른 환경에 자연성을 불어 넣는 것이고, 셋째로 보행자 위주의 공간체계 수립이다. 보행자들은 접근성을 고려하여 승강장이 있는 단지 서편에 주로 접근하게 하였고 차량들은 남쪽에서 진입하게 한 본 계획은 대규모의 중심녹지를 진입구와 주구 중심에 이른 녹도로 연결시켰다. ※ 키워드: 조경작품전, 설계작품, 옥산지구, 하남지구 아파트※ 페이지 : 168-173
  • 제8회 한국조경작품전 추천작
    1. 금마 고도문화 휴양단지 개발 계획출품자 : (전주 우석대 조경학과) 김미숙, 김선영, 이민숙, 임흥식, 최경옥작품평 : 박재철 교수본 계획에 참여한 학생들은 전통과 휴양을 결합시키고 창조적으로 계승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고심한 흔적이 역력히 보이고 있다.2. 전주시 보행자 안내체계출품자 : (전북대 조경학과) 이미숙, 김춘미, 정소영, 홍희숙, 김선화도시인이 느끼고, 생각하고, 생활하는 장소인 도시환경은 도시인들이 편리하고, 쾌적하고, 풍요로운 삶이 보장될 수 있게 조성되어야 한다. 이제 Sign은 도시 미관을 가꾸는 여러 방법중에서 정비사업의 일환으로 복잡하고 생소한 도시를 확실하고 체계적인 안내를 하여 거주자에겐 생활의 편리성을 내외 방문자, 여행자에게는 지역을 전달하여 그 도시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주요 수단으로 계획하고자 한다.3. 에덴의 묘비-이제 더 이상 그곳의 공포와 신비는 없다출품자 : (청주대 조경학과)류호경, 연진, 이미정, 이윤홍, 정재만, 황미애작품평 : 장태현 교수오늘날 우리세대의 해결할 과제로서 깊이 인식되는 대상으로 더욱 진행 발전시켜야 할 사명을 느끼는 작품이다. ※ 키워드 : 특별기획, 한국조경작품전, 추천, 금마, 전주우석대, 전주, 전북대, 에덴, 청주대※ 페이지 : 196-204
  • 제8회 한국조경작품전 추천작
    1. 금마 고도문화 휴양단지 개발 계획출품자 : (전주 우석대 조경학과) 김미숙, 김선영, 이민숙, 임흥식, 최경옥작품평 : 박재철 교수본 계획에 참여한 학생들은 전통과 휴양을 결합시키고 창조적으로 계승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고심한 흔적이 역력히 보이고 있다.2. 전주시 보행자 안내체계출품자 : (전북대 조경학과) 이미숙, 김춘미, 정소영, 홍희숙, 김선화도시인이 느끼고, 생각하고, 생활하는 장소인 도시환경은 도시인들이 편리하고, 쾌적하고, 풍요로운 삶이 보장될 수 있게 조성되어야 한다. 이제 Sign은 도시 미관을 가꾸는 여러 방법중에서 정비사업의 일환으로 복잡하고 생소한 도시를 확실하고 체계적인 안내를 하여 거주자에겐 생활의 편리성을 내외 방문자, 여행자에게는 지역을 전달하여 그 도시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주요 수단으로 계획하고자 한다.3. 에덴의 묘비-이제 더 이상 그곳의 공포와 신비는 없다출품자 : (청주대 조경학과)류호경, 연진, 이미정, 이윤홍, 정재만, 황미애작품평 : 장태현 교수오늘날 우리세대의 해결할 과제로서 깊이 인식되는 대상으로 더욱 진행 발전시켜야 할 사명을 느끼는 작품이다. ※ 키워드 : 특별기획, 한국조경작품전, 추천, 금마, 전주우석대, 전주, 전북대, 에덴, 청주대※ 페이지 : 196-204
  • 가작 “내가 알던 어둠은”
    까만 빗방울 흩어지는 싸늘한 거리에, 떨리우는 몸뚱이 파리한 두 손으로 감싸안으며 가슴깊이 저며드는 외로움 느끼기엔 나는 아직 네가 좋은데, 주위를 둘러보던 온통 너뿐이지만 내가 느낄 수 있었던 너는, 어디에도 없구나! (후략) ※ 키워드 : 제2회 작품공모전, 문예부문, 가작 ※ 페이지 : 86
  • 우수상 “자연의 웃음” -장미꽃과 개구리-
    얼마전 학교 건물 뒤뜰에 두평 정도의 밭을 일구어서 상추를 심은 일이 있다. 지금은 괴물같은 트렉터가 갈아 엎어버려서 그 흔적조차 찾을 수 없게 되었지만, 한동안 아침마다 화장실에서 호스를 빼내 물을 주고, 점심시간이면 그 곁에 쪼그리고 앉아 상추가 자라는 모습을 보며 나는 커다란 즐거움을 누릴 수 있었다. 한달 정도의 짧은 기간이었지만 나는 생각지 않았던 많은 즐거움을 얻을 수 있었는데 그 즐거움이란, 태어나서 처음 심어 본 상추가 죽지 않고 용케도 잘 자라주어서 얻게된 어쩌면 이기적이고 인간적인 이 첫째요, 하나의 생명이 자라기 위해 필요한 여러가지 조건들의 복잡하지만 조화로운 연결해주는 어떤 다리역할을 해 주었다고 생각한다.(후략) ※ 키워드 : 제2회 작품공모전, 문예부문, 우수상 ※ 페이지 : 84~86
  • 전국조경작품전개최 대상 ; 천안시 대학촌 정비계획
    대학촌 시설이 가장 취약하고 열악한 천안시 3개 대학(단국대, 상명여대, 호서대)주변에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취라 및 시설물에 대해 계획적 정비를 유도하고 미래지향적인 대학촌 건설로 인구 분산책에 부응하고 쾌적한 면학분위기를 조성하며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대상지의 지형은 대체로 남동향으로 일조가 양호하며, 다양한 수종선택이 용이하며 넓은 경사지로 시설물 입지가 용이하다. 3개 대학의 학생 17000여 명 중 60%이상이 서울출신으로 하숙 및 자취 등의 시설이 매우 필요하며 문화 및 상업, 레크레이션시설도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그리고 대학촌의 지원시설로 지역주민 주거단지의 조성도 요망된다. 또한 천안시내의 문화, 체육, 휴식공간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점도 대학촌의 지속적인 활성화를 위해서는 도움이 되는 현상이다. ※ 키워드 : 천안 대학촌, 전국조경작품전, 서울시립대 ※ 페이지 : p68~p71
  • 85 IFLA 총회기념 세계조경설계작품공모 당선작
    제 23회 I. F. L. A(International Federation of Landscape Architects) 일본대회가 1985년 5월 26일부터 6월 1일까지 동경과 고베시에서 개최되었는데 “환경의 창조”라는 주제를 놓고 총 140개국에서 참가하였다. 본 조경설계 공모전의 취지를 살펴보면, 첫째, 일본대회를 기념하고 기법의 향상, 도시환경의 개선은 물론, 도시공원으로써 사회적 인식을 고양하고, 둘째, 21세기에 어울리는 공원으로 계획함과 동시에 지역발전에 핵이 되는 공원을 계획하며, 셋째, 오오사카시를 국제적이고 문화적인 도시로 만들고 자연환경에 조화를 둔 매력있는 도시로 계획함에 그 취지가 있다. 최우수작에는 (주)Site Design 연구소의 小澤一雄, 우수작에는 (주)Oriental Consuluant 오오사카지사와 (주)리오설계사무소의 大橋 淳治郞과 (주)京央造園設計事務所의 小形 硏三, 가작으로는 (주)地球號의 中見 哲 이 입상하였다. ※ 키워드 : IFLA, 설계, 공모, 일본, 오사카, 환경, 공원, 이준석 ※ 페이지 : 56-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