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린이 놀이시설의 안전성
세계 각국에서 어린이 안전 확보를 위하여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전세계 어린이들의 안전을 위해 모두가 노력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 이에 세계 각국에서는 어린이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어린이에게 안전하고 신체 및 정서발달에 효과가 높은 놀이시설물 개발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와 더불어 어린이 안전에 엄격한 규정을 적용하여 예기치 못한 위해로 부터 보호하고 아이들이 안전하고 마음껏 놀 수 있게 주변 안전보호구역 또한 명확히 지정하고 있다. 국내의 상황은 아직 이러한 문제에 대해 토론이나 개선을 위한 제도적 장치나 안전 기준이 선진국에 비해 극히 미비한 실정이다. 이러한 위험으로부터 안전에 대한 테스터나 시험 검사를 받기 위해서는 외국으로 제품을 보내 국제인증시험소에서 다시 엄격한 테스터를 거쳐 심사를 통과해야 하는 실정이다. 대표적인 놀이시설물 분야의 국제안전규격으로 TUV, GS-Mark, EN1176, DIN7926, ASTM, CPSC, AS, NZS 등을 들 수 있는데, 이 규격들의 주요 목적은 어린이들을 사전에 예측할 수 없는 위험요소로부터 보호하는데 있다. 특히 GS-Mark는 안전성 테스트(Geprufte Sicherheit)를 의미하며 이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제조업자들이 반드시 독일 연방노동부에 의해 승인받은 실험실에서 적절한 제품테스트를 받아야 한다. 또한 공인된 인증기관으로서의 TUV(기술감독기관) Product Service는 고용자 상호손해배상 협회의 사고방지법, DIN/EN 규격 및 기타 제반엔지니어링 조항을 담은 독일장비 안전법(German Equipment Safety Act, GSG)에 의해 제품을 평가하므로, 일단 평가의 모든 요구조건을 성공적으로 만족시키면 제조업자들은 제품에 GS-Mark 의 부착을 허용하는 인증서를 수여받게 된다. 그러나 이들을 통해 제품검사를 할 경우 모든 제반사항이 중소기업들에게는 상당한 비용을 초래하게 한다. 그렇지만 어린이들의 안전을 위한다면 필히 거쳐야 하는 과정이다.
※ 키워드 : 어린이 놀이시설, 놀이시설 국제안전규격, 그네안전규정, TUV, GS-Mark, EN1176, DIN7926, ASTM, CPSC, AS, NZS
※ 페이지 : 138~143
-
접시정원
접시정원은 미니어처가든을 꾸미기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평평한 용기에 장식토와 자갈을 자연스럽게 매치시켜 정원의 넉넉한 풍경을 그대로 축소해서 연출하면 되는데, 접시뿐 아니라 납작한 수반을 이용해도 되고 이가 빠진 사기접시나 쓰지 않는 장독뚜껑 등을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남의 집을 방문할 때, 혹은 색다른 선물을 하고 싶을 때 유용하게 쓰일 수도 있다.
-연출시 고려사항
가능하면 모든 방향에서 감상이 가능한 곳에 두는 것이 좋으나, 사정에 따라 특정방향에서만 볼 수 있게 배치해도 무방하다.
재질은 유리, 플라스틱, 토분, 수반, 장독뚜껑 등 선택의 폭이 넓다.
-식물선정
수분과 광 요구도가 유사한 식물들을 선택하면 관리가 용이하다. 중간식물은 주제식물을 돋보이게 잘 받쳐줄 수 있는 식물을 선택한다.
·주제식물 : 곧셰피아나, 스파티필름, 안스리움, 천량금, 테이블야자, 파키라
·중간식물 : 마란타, 나비란, 아스파라가스, 싱고늄, 대곡도
·지피식물 : 핏토니아, 왜란, 셀라지넬라
·꽃식물 : 바이올렛, 카랑코에
-만드는 법
·용기바닥에 배수층을 깐다(퍼라이트, 숯, 스티로폼, 자갈 등).
·식물을 배치한 다음 주제식물부터 배양토를 넣어가며 섞는다.
·이끼를 다듬어 전체를 덮는다.
·장식돌과 자갈을 깔아 자연스런 분위기를 만든다.
·바닥이 얕은 접시에 흙을 쌓게되면 흘러내리기 쉬우므로 마무리하는 단계에서 표면을 이끼로 잘 덮어주어 꼭꼭 눌러준다.
※ 키워드 : 접시정원, 디쉬가든, 미니어처가든
※ 페이지 : 76~77
-
‘묻지마개발’에 무너지는 농촌경관
옛부터 우리 선조들은 우리의 산하를 가리켜 삼천리 금수강산’이라고 표현했다. 그만큼 우리 강산은 아름다웠고 선조들의 생활방식 또한 자연에 거스르는 것이 없었다. 그러나 근대화와 산업화를 거치면서 자연에 대한 우리의 태도는 거칠어져 갔고 아름다운 산과 강은 몸살을 앓고 있다. 논이건 밭이건 야산이건 가리지 않고 아파트가 빼곡히 들어서서 우리의 시야를 가리고 있다. 언론에서는 이를 가리켜‘묻지마 개발’이라 한다. 자연이 인간에게 주는 선물이라 할 수 있는 오픈 스페이스는 이제 우리 스스로에 의해 사라져 가고 있다. 이같은‘묻지마 개발’은 자연경관만을 빼앗아가는 것이 아니다. 개발업자는 이윤 보따리를 챙겨 떠나고, 아파트 입주자와 주변 사람들에게는 불편함만 남는다. 이러한 현상이 대도시를 중심으로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고 특히 수도권에서는 더욱 심각하다.
이러한 현상은 사실 준농림지역제도가 도입되기 이전에는 미약했다. 그러나 토지의 공급이 확대되면 지가가 안정되고 경제성장에 도움이 된다는 이유로 지난 1994년 준농림지역제도가 도입되었다. 보전가치가 상대적으로 낮은 땅을 준농림지역으로 지정하여 국민경제생활에 필요한 토지를 원활히 공급하고 토지이용을 자유롭게 하자는 취지였다. 하나뿐인 국토를 경제적인 수급논리와 시장에 맡긴 채, 국토의 자유실험이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그 결과 전국토의 4분의 1이나 되는 준농림지역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가들의 이윤창출의 주무대가 되었다. 이는 어느 국토공간보다 토지이용이 자유롭고 토지가격이 저렴하면서도 계획없이 개발이 가능한 무계획공간(non-plan area)이었기 때문이다.
※ 키워드 : 묻지마개발, 준농림지역
※ 페이지 : 116~117
-
조경용 목재방부제의 이용과 문제
목재 조경시설물, 구조물의 보존·보호를 위해 사용하는 목재 방부제 ZKF(CCFZ), KD(AAC), CCA 등의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방부액의 원활한 침투를 위하여 목재 수분 함수율 30%이하로 건조시킨 후 방부처리하고, 방부 목재 건조 후 감독원의 입회하에 검측한다. 목재의 구멍뚫기, 따내기, 모다돌기 등의 1차 가공을 한 다음 방부 처리를 하여 방부제의 흡수율을 건설교통부 유희 시설물(조경용시설물)에 준하게 하며, 침윤도는 목재의 변재 부위에 약 90%이상 침투시켜야 한다. 방부제투입량의 확인을 위하여 주약관에 부착된 계측기의 분석표와 처리된 목재를 감독원 입회하에 추출하여 시험기관인 한국 화학시험 연구원이나임업 연구원에 의뢰하여 시험 성과표를 교부받아 첨부하면 된다.
가압식 방부 처리를 한 후에는 목재 전용 방부·방수 성분의 도료를 사용하여 마감 처리를 해야 한다. 그 필요성은 KS1701에 공시된 ZKF(CCFZ), KD(AAC), CCA 등의 목재 방부제는 목재를 파괴시키는 갈색 부후균, 백색 부후균, 연부후균 등의 공시균에는 효력이 있을지 모르나, 자외선으로부터 변색, 퇴색 등 내·발수성의 성분이 없어 1년이나 2년이 지나면 변색되어 미관상 보기 흉할 정도로 퇴색되기 때문이다. 이에 목재 전용 도료를 사용하여 목재의 수명 연장과 내구성 강화 및 목재가 갖고 있는 자연스러운 나뭇결이 가지고 있는 아름다움을 유지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키워드 : 목재방부제, ZKF, CCFZ, KD, AAC, CCA
※ 페이지 : 78~79
-
천년의 문 & 서울문 모작시비
지난 2월 16일 국립현대미술관에서는 새천년준비위원회(위원장 이어령)가 기획하고 (재)천년의 문이 주관하는‘천년의 문’설계경기의 당선작이 발표되어 세간의 관심을 끌었다. 당선작에는 총 36개의 응모작이 치열한 경합을 벌인 가운데‘원’을 기본형태로‘화해’와‘상생’의 개념을 형상화한 건축사사무소 오퍼스(대표 우대성, 공동응모 이은석 경희대 건축공학과 교수)의 작품이 결정되었다. 그러나 일주일후 2월 23일자 동아일보에 소개된 모작시비와 관련한 기사는 조경계는 물론 건축계에도 적지않은 파문을 일으켰다. 성균관대 김유일 교수는 천년의 문 당선작이, 1997년 서울시 여의도광장 공원화계획의 일환으로 실시한‘여의도공원 현상설계경기’에서 본인이 중앙개발(주)와 공동으로 출품, 우수상을 받은 작품내용중‘서울문’기념조형물과 흡사하므로 모작의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당선자측은 김교수의 설계안을 본 적도 들은 적도 없고 단지 형태적인 유사함만을 가지고 모작이라고 하는 것은 무리
한 주장이며, 그 형태가 담고 있는 내용이 중요한 것이라며 이를 일축했다.
※ 키워드: 문, 모방, 모작, 표절
※ 페이지 : 40 - 43
-
인도문화기행 ; 갠지스강에서 슨 편지
인도 갠지스강에서 K형에게 쓴 문화기행 편지. ‘나’라는 존재는 무엇이며,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고 있는지, 삶의 목표는 무엇이 되어야 하고, 무엇을 추구하며 살아가야 하는 것인지, 나만이 아닌 우리, 나 자신이 아닌 남을 위하는 봉사와 희생정신이 얼마나 필요한 것이며 덕을 쌓는 일인지를 생각하게 한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 키워드: 해외, 인도, 기행 ※ 페이지 : 108 - 113
-
조경에 젊음을 바치고 ;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의 식재와 조경공사
공사를 추진함에 있어서 건축·토목 설비는 조경을 고려하여 지원하였고 조경은 건물을 생각하는 자세로 작업이 진행되었다. 지형조성, 동선, 옹벽, 기단, 석축, 계단, 바닥처리, 팔각벤치, 평상벤치, 조명등, 음수대, 안내판, 등책 등의 옥외시설물들을 한국적으로 디자인하고, 인간과 최선의 관계가 유지되도록 전체적으로 관련지어 옥외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도록 하였다. 신국범 건축과장은 조경적인 감각이 뛰어나 각종 시설물의 디자인에 특히 공로가 컸다.
※ 키워드: 캠퍼스, 시공
※ 페이지 : 120 - 127
-
톨레도 ; 중세가 숨쉬고 있는 스페인의 고도
"스페인에 머무르는 시간이 하루 밖에 없다면 반드시 톨레도(Toledo)를 보아야 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톨레도는 스페인의 정신적 지주이자 심장에 해당하는 역사의 고도(古都)이다. 역사도시 톨레도는 마드리드(Madrid)의 중심부에서 남쪽으로 버스로 1시간 정도의 거리에 위치해 있는데, 16세기에 이미 정치와 경제의 중심은 현 수도인 마드리드로 옮겨 갔지만, 현재 인구 10만이 채 미치지 못하는 톨레도에는 전통의 무게를 느끼게 해주는 옛 역사의 숨결이 고스란히 남아 있어, 이 도시에 들어서면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중세로 들어온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킨다. 스페인에서 가장 고풍스러운 도시로 알려져 있는 톨레도의 역사는, 이 지역에 이베로(Ibero)족의 한 부류인 카르페타노(Carpetano)인들이 정착하면서 시작된다.
※ 키워드 : 해외 ※ 페이지 : 114 -119
-
우리시대의 설계언어 ; 프랑스 - 경관의 족보(族譜)
미셸 코낭은 오랫동안 정원 관련 고서들을 연구하여 경관의 개념에 관한 일종의 족보를 만드는데 기여했다. 그에 의하면 현대적 경관 개념은 지나치게 시각적이고 리얼리즘에 입각한 탓에 경관이 주는 다양한 즐거움을 상실하고 있다. 따라서 경관과 인간의 진정한 관계를 회복하기 위하여 과거의 경관 개념들을 살펴볼 필요가 있고 시각뿐만 아니라 후각, 미각, 촉각, 청각 등 모든 감각을 동원하여 경관을 파악하는 과거 여행자들의 글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과연 그가 찾아낸 중세 또는 르네상스 시대의 순례기나 시(詩)들을 보면 지금보다 훨씬더 다양한 경관 개념들을 만날 수 있다. 또한 그 시대에는 돌아다니며 사진기로 찍는 것이 아니라 글로 기록함으로써 시각뿐만 아니라 모든 감각을 통해 느낀 경관을 그대로 기록할 수 있었고 그런 다양한 경험에서부터 경관의 개념이 형성되었으므로 경관 문화가 훨씬 더 폭넓게 발전될 수 있는 여건이었다고 말한다.
※ 키워드 : 해외, 프랑스, 설계언어 ※ 페이지 : 50 - 55
-
개벚지나무
학명 Prunus macckii Ruprecht, 과명 장미과. 머지않아 우리 주변을 화려하게 수놓을 벚나무류(Prunus)는 봄을 알리는 대표적인 조경수목으로서 왕벚나무, 벚나무, 수양벚나무, 산벚나무 등이 친숙하다. 이에 비해 개벚지나무는 가짜라는 뜻의 개자가 붙은 벚나무로 우에게 낯설지만 그만큼 가치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수종이라고 할 수 있다. 개벚지나무는 다 자랐을 때 키가 10~15m에 달하는 아담한 크기의 낙엽활엽교목으로서 둥근 수관을 형성하고, 햇빛을 좋아하는 양수성 수종이다. 지리적인 분포범위는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산골짜기에서 간혹 볼 수 있으며, 이북지방과 멀리 만주지방까지 자란다. 따라서 내한성이 매우 강한 수종이자 백두대간의 지표종이라 할 수 있다.
※ 키워드: 식물
※ 페이지 :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