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마드리드 ; 태양과 정열의 나라 스페인의 수도
    강렬한 태양과 뜨거운 정열의 나라 스페인(Spain). 스페인은 유럽대륙의 서쪽 이베리아(Iberia) 반도의 85%를 차지하고 있는 거대한 국가로, 북동쪽에는 피레네(Pyrenees)산맥이 남쪽으로는 시에라 네바다(Sierra Nevada)산맥이 중앙에는 해발 600m이상의 황량한 평원이 끝없이 펼쳐지는 고원지대(高原地帶)가 자리잡고 있다. 나라가 큰 만큼 지역에 따라 기후가 큰 차이를 보이는데, 중부는 기온의 차가 극심하고 매우 건조한 대륙성기후를 북부는 비가 많은 해양성기후를 남부는 연중 온난다습한 지중 해성기후를 나타내고 있다. 국가를 이루는 민족들도 매우 다양한데, 바르셀로나(Barcelona)를 중심으로 한 동부의 ‘카탈루냐(Catalonia)지방’과 북부의 ‘바스크(Basque)지방’그리고 남부의 ‘안달루시아(Andalucia)지방’등의 일부 지방은 지금도 분리독립을 주장하고 있을 정도로 지방색이 대단히 강한 나라이다. 중부지방의 중심도시이자 현 수도인 마드리드(Madrid)는 인구가 4백만명에 이르는 스페인 최대의 도시로, 유럽국가의 수도들 중에서는 가장 높은 해발 650m의 고원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한동안 이슬람(Islam)이 지배했던 스페인의 역사에서 마드리드는 톨레도(Toledo)·그라나다(Granada)·코르도바(Cordoba)·세비야(Sevilla)와 같은 유서깊은 도시들에 비하면 그 역사가 비교적 짧은데, 1561년 펠리페(Felipe) 2세에 의해 수도로 정해지기 전까지는 한갓 초라한 시골마을에 불과했다. 마드리드의 탄생은 이슬람이 지배했던 대략 9세기경에 시작된다. 회교도인 무어인(Moor)들이 당시의 중심도시였던 톨레도 인근의 만사나레스(Manzanares)강 유역에 성벽을 쌓았는데, 톨레도의 변방으로 만사나레스강을 따라 성벽이 축조된 지역이 현재 마드리드가 입지한 곳이다. ‘마드리드(Madrid)’라는 지명은 ‘성채(城砦)’ 를 뜻하는 아랍(Arab)어의 ‘마헤리트(Magerit)’에서 유래된 것이다. 회교도에 저항했던 기독교도의 국토회복운동(國土回復運動)인 ‘레콩키스타(Reconquista)’로 1085년 카스티야(Castilla)왕국의 알폰소(Alfonso) 6세에 의해 마드리드가 탈환되었는데, 카스티야왕국의 세력이 커짐에 따라 마드리드도 점차 확장되었다. 그러나 당시의 수도였던 톨레도의 위상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었다. 1492년 통일국가 스페인이 성립된 이후 마드리드는 오스트리아(Austria)의 합스부르크(Hapsburg)왕조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1561년 펠리페 2세에 의해 “이베리아반도의 한가운데이자 당시 계획중이었던 엘 에스코리알(El Escorial)왕궁에 근접해 있다”는 지리적 장점에 힘 입어 통일국가의 수도가 됨으로써 비로소 비약적인 발전을 하게 되었다. 18세기에는 프랑스(France)의 부르봉(Bourbon)왕조의 지배를 받게 되어 마드리드는 합스부르크시대의 양식과 부르봉시대의 양식이 혼재하는 2가지 모습을 지니게 되었는데, 특히 카를로스(Carlos) 3세가 통치하던 시기에는 수많은 건축물들의 축조와 함께 시가지가 대규모로 정비되었다. 1808년 나폴레옹(Napoleon)의 침공과 1936년에 발발한 스페인내란 등으로 스페인 전역에는 혼란의 시대가 계속되었지만, 수도로서의 마드리드는 정치·경제·문화 등 모든 면에서 그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증대되었고, 교외에 대규모 공업단지가 들어서는 등 급격한 인구유입으로 도시의 영역은 대규모로 팽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키워드: 마요르광장, 아르메리광장, 스페인광장, 마드리드 ※ 페이지 : 128~133
  • 우리시대의 설계언어 : 프랑스 ; 경관이란 이름의 허구 : 앙리 퀴에코
    경관은 본질적으로 또한 역사적으로 예술의 영역에서 개발되고 성숙되어 왔으므로 조경설계는 이를 반영해야 한다. 그러나 자본주의에 지나치게 편승하다 보면 그와는 반대 방향으로 발전하여 스스로를 부정하는 조경이 될 수도 있다. 조경 설계가 산업적 가치의 창출과 함께 반드시 예술과 연관하여 작업될 필요가 여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점에서 끊임없이 경관론에 관심을 가져온 화가 앙리 퀴에코의 관점을 이해하고 그 관점에 대해 곱씹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의 이론을 요약하여 읽어보기로 하자. ※ 키워드: 앙리 퀴에코, 조경설계가, 프랑스 조경가, 조경이론 ※ 페이지: 54~59
  • 꽃무릇
    특성 및 용도 상사화속의 꽃무릇은 추기 출엽형 식물로서 9월 초중순경에 출엽하며 이듬해 5월 중순경 잎의 하고 현상이 발생, 8월 하순경 붉은색의 화려한 꽃을 개화한다. 잎은 겨울철에도 푸르므로 삭막한 동절기의 지면을 녹화시킬 수 있는 좋은 소재다. 꽃과 잎은 서로 마주 대할 수 없는 특이한 식물. 5월 하순경부터 8월 하순까지는 하고현상으로 잎이 없어 식재지의 경관에 지장을 주므로 다른 식물과 혼식을 하여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예를들면 꽃무릇+비비추, 꽃무릇+은방울꽃, 꽃무릇+매미꽃 등. 동일지역의 식재지에서 계절이 다른 두가지의 꽃을 피워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조원이 가능하며 번식법으로는 분구, 실생이 가능하다. Chipping, Notching에 의한 방법이 대량 증식에 많이 이용된다. 뿌리(구근)부분은 한방에서는 석산이라 하여 거담, 이뇨, 소종 등에 이용되며 물에 충분히 우려내어 녹말을 추출하여 식용으로 이용된다. ※ 키워드: 꽃무릇, 대한종묘원 ※ 페이지 : 68
  • 대구 담장허물기 운동 본격화 ; 새로운 도시환경 창조와 커뮤니티 형성
    최근들어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담장허물기 사업이 전개되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 시초는 대구광역시(시장 문희갑) 서구청의 담장개방인데, 경북대학교 환경녹지연구소(소장 김용수 교수)가 제안한 설계안을 바탕으로 지난 1996년 3월 서구청이 시범사업을 추진, 높기만 하던 관공서의 담장이 개방·정비되기에 이른 것이다. 서구청 지역은 공단지역으로 공원녹지가 부족하고 생활환경이 다른 지역에 비해 열악한 상태였는데, 담장을 허물어낸 공간에 벽천을 포함한 수경시설을 도입하고 녹지와 휴게시설을 조성함으로써 지역주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았다. ※ 키워드: 담장, 대구서구청 ※ 페이지 : 78-85
  • 물속에서 자라는 매화, 내일의 생명문화재
    매화마름은 미나리아재비과 매화마름속에 들어있는 희귀식물이다. 환경부에서 멸종 위기식물로 지정한 6종의 법정 보호식물 중 하나로, 현재 강화도에서만 겨우 명맥을 유지해 가는 아주 귀한 식물이다. 특별한 보호조치가 없으면 오래지 않아 사라질지도 모른다. ※ 키워드 _ 매화, 매화마름, 멸종위기식물 ※ 페이지 _ 116~117
  • 차도로 내몰린 보행자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전주 덕진공원 현수교, 광섬유로 단장 ; 260m 다리에 다양한 조명 연출, 야간 볼거리 제공
    전주에서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잘 알려진 덕진공원. 그중에서도 가장 인기있는 곳으로 유명한 260m의 현수교가 광섬유 경관조명으로 단장되면서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흰색, 녹색, 빨간색, 파란색 등 4가지 빛깔의 조명이 어둠속에 묻혔던 현수교의 형체를 시시각각 아름답게 드러내자 이곳을 찾는 시민들의 발길은 오히려 저녁무렵에 더욱 분주해지고 있다. 특히 현수교 주변으로는 밤이면 사진 촬영사들이 아예 자리를 잡고 앉아 유료촬영을권하고 있어 이곳 야간조명의 인기를 실감하게 한다. ※ 키워드: 덕진공원, 샘라이팅, 이익흔 ※ 페이지 : 73
  • 때죽나무
    때죽나무는 생태지리적으로 우리나라 중부, 남부(제주도 포함)지방에 걸쳐 인가근처의 저지대에서 해발 1000미터 부근까지 자라며, 계곡부의 습하고 그늘진 곳에서부터 능선사면이나 산불이 난 곳의 척박하고 햇빛이 강한 입지까지 광범위하게 적응할 뿐 아니라 추위에도 매우 강한 자생수종이다. ※ 키워드 _ 때죽나무, 꿀풀과 수목, 관상수 ※ 페이지 _ 106
  • 조경기술사 시험 기출문제와 경향
    59, 60회 조경기술사 시험에 대한 정보와 몇몇 기술사 시험문제의 복원을 통해 앞으로의 기술사 시험 경향을 분석해 보았다. ※ 키워드 _ 조경기술사 시험 기출문제, 조경기술사 시험, 시험정보 ※ 페이지 _ 144~145
  • 사법부가 지킨 세계적 자연 자원/제주 송악산
    송악산은 제주섬 서남쪽 끝 바다로 돌출된 작은 반도이다. 이곳에 서면 발밑으로 펼쳐져 있는 푸른 코발트색 바다와 일렁이는 파도가 마치 바다 한 운데에 있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기도 하는데, 멀리 서북쪽으로는 한라산이 아련히 누워있다. 한라산 앞의 아름다운 오름들은 마치 어미 돼지의 젖을 빠는 듯이 정겹게 보인다. 바로 발밑으로는 다정한 돌섬 형제(형제도)가 장난하듯 속삭이고 하얀파도를 기다리는 전설깃든 산방산이 허리굽혀 파도를 껴안 고 있다. 그리고 큰섬 제주도 남쪽 서귀포 앞바다에 버티고선 범섬과 제주도 서쪽끝 수월 봉과 차귀도가 아련스레 이쪽을 쳐다보듯 누워있다. 그런가 하면 한곳에 서서 바다에서 힘 차게 불끈 솟아오르는 해를 보고 한낮을 놀다보면 서쪽 바다로 새로운 아침을 기약하며 바 다속 잠자리에 드는 아름다운 해지기를 볼 수 있다. 이토록 아름다운 곳을 세계 어느곳에서 찾아볼 수 있을까? ※ 키워드: 제주송악산, 신상범 ※ 페이지 : 86-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