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물속에서 자라는 매화, 내일의 생명문화재
    매화마름은 미나리아재비과 매화마름속에 들어있는 희귀식물이다. 환경부에서 멸종 위기식물로 지정한 6종의 법정 보호식물 중 하나로, 현재 강화도에서만 겨우 명맥을 유지해 가는 아주 귀한 식물이다. 특별한 보호조치가 없으면 오래지 않아 사라질지도 모른다. ※ 키워드 _ 매화, 매화마름, 멸종위기식물 ※ 페이지 _ 116~117
  • 차도로 내몰린 보행자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전주 덕진공원 현수교, 광섬유로 단장 ; 260m 다리에 다양한 조명 연출, 야간 볼거리 제공
    전주에서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잘 알려진 덕진공원. 그중에서도 가장 인기있는 곳으로 유명한 260m의 현수교가 광섬유 경관조명으로 단장되면서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흰색, 녹색, 빨간색, 파란색 등 4가지 빛깔의 조명이 어둠속에 묻혔던 현수교의 형체를 시시각각 아름답게 드러내자 이곳을 찾는 시민들의 발길은 오히려 저녁무렵에 더욱 분주해지고 있다. 특히 현수교 주변으로는 밤이면 사진 촬영사들이 아예 자리를 잡고 앉아 유료촬영을권하고 있어 이곳 야간조명의 인기를 실감하게 한다. ※ 키워드: 덕진공원, 샘라이팅, 이익흔 ※ 페이지 : 73
  • 때죽나무
    때죽나무는 생태지리적으로 우리나라 중부, 남부(제주도 포함)지방에 걸쳐 인가근처의 저지대에서 해발 1000미터 부근까지 자라며, 계곡부의 습하고 그늘진 곳에서부터 능선사면이나 산불이 난 곳의 척박하고 햇빛이 강한 입지까지 광범위하게 적응할 뿐 아니라 추위에도 매우 강한 자생수종이다. ※ 키워드 _ 때죽나무, 꿀풀과 수목, 관상수 ※ 페이지 _ 106
  • 조경기술사 시험 기출문제와 경향
    59, 60회 조경기술사 시험에 대한 정보와 몇몇 기술사 시험문제의 복원을 통해 앞으로의 기술사 시험 경향을 분석해 보았다. ※ 키워드 _ 조경기술사 시험 기출문제, 조경기술사 시험, 시험정보 ※ 페이지 _ 144~145
  • 사법부가 지킨 세계적 자연 자원/제주 송악산
    송악산은 제주섬 서남쪽 끝 바다로 돌출된 작은 반도이다. 이곳에 서면 발밑으로 펼쳐져 있는 푸른 코발트색 바다와 일렁이는 파도가 마치 바다 한 운데에 있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기도 하는데, 멀리 서북쪽으로는 한라산이 아련히 누워있다. 한라산 앞의 아름다운 오름들은 마치 어미 돼지의 젖을 빠는 듯이 정겹게 보인다. 바로 발밑으로는 다정한 돌섬 형제(형제도)가 장난하듯 속삭이고 하얀파도를 기다리는 전설깃든 산방산이 허리굽혀 파도를 껴안 고 있다. 그리고 큰섬 제주도 남쪽 서귀포 앞바다에 버티고선 범섬과 제주도 서쪽끝 수월 봉과 차귀도가 아련스레 이쪽을 쳐다보듯 누워있다. 그런가 하면 한곳에 서서 바다에서 힘 차게 불끈 솟아오르는 해를 보고 한낮을 놀다보면 서쪽 바다로 새로운 아침을 기약하며 바 다속 잠자리에 드는 아름다운 해지기를 볼 수 있다. 이토록 아름다운 곳을 세계 어느곳에서 찾아볼 수 있을까? ※ 키워드: 제주송악산, 신상범 ※ 페이지 : 86-87
  • 수경재배
    물가꾸기’라고도 불리는 수경재배는, 흙을 구하기 어렵거나 흙 작업을 번거롭게 생각하 는 사람들이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실내조경 방법이다. 투명한 유리 용기를 사용하면 뿌리 부분까지 감상할 수 있고 청량감을 더해주어, 여름철 실내를 장식하는데 안성맞춤이다. 수경재배 용기를 좀더 아름답게 꾸미려면, 유리구슬, 색이끼, 조약돌, 조개껍질, 굵은 모래, 하이드로볼, 난석 등을 사용하면 되는데, 식물의 모양이 단순할수록 컬러풀한 재료가 잘 어울린다. 그러나 화려한 식물에는 단순한 색과 모양의 장식 재료를 쓰는 것이 좋다. ※ 키워드: 수경재배, 전용숙 ※ 페이지 : 66-67
  • 도시녹지 관리체계의 개선안
    급격한 도시화의 진전과 함께 도시내의 녹지가 현저히 감소하고, 각종 개발로 인하여 도시내의 자연환경이 날로 악화되고 있어, 도시민의 쾌적한 생활공간뿐 아니라, 도시내 생태계의 서식처가 사라져가고 있다. 또한 도시내에서 도시민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도시 공원녹지는 이용자의 질적, 양적 욕구수준에 부응하지 못하고, 기존의 산림과의 연계나 녹지 네트워크의 개념보다는 단순히 도시계획시설로서만 개발되고 있으며, 기존의 양호한 산림을 훼손하면서 설치되거나, 도시 전체, 혹은 도, 국가 전체의 광역적인 공원녹지 체계를 생각하지 못하고 단순히 점적인 요소로만 조성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내의 공원녹지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도시내의 녹지확대를 통하여 쾌적한 도시환경을 만들기 위한 계획의 수립과 도시내의 생태계 서식처를 보호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개발뿐 아니라 도시민들의 환경교육장으로의 역할을 기대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각종 개발에 따르는 녹지의 훼손시나, 도시내 공원과 녹지의 조성시 효과적인 조성전략 및 녹지보호를 위한 계획대안의 수립이 절실하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배경하에 현재 우리나라 도시녹지의 관리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도시내의 녹지확대와 관리의 개선을 통하여 쾌적한 도시 환경을 만들기 위한 도시녹지 관리체계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키워드 _ 도시녹지, 도시내 녹지관리, 녹지확대방안, 녹지 ※ 페이지 _ 124~129
  • 조경? 건축과 도시관광
    새로운 도시를 접하게 될 때, 먼저 시야에 들어오는 것은 건축물들로 이루어진 물리적 경관과 나무와 꽃과 그리고 하늘, 사람 등으로 이루어진 자연경관들일 것이다. 특히 도시에서의 첫인상은 물론 사람들과 유·무형의 이문화(異文化)와 맞닥뜨리면서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되겠지만,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우선적으로 조경, 건축물들이 그 도시의 이미지를 결정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도시관광의 대상이 되고 있는 조경, 건축의 관광자원화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 키워드 _ 도시관광, 조경, 건축, 도시, 조경관광, 건축관광 ※ 페이지 _ 136~139
  • 우리시대의 설계언어 프랑스 ; 배경의 좁은문 - 안 코클랭
    안코클랭은 미학자로서 저명한 현대미술 비평가이자 경관이론가이다. 그녀의 이론은 미학자의 이론답게 학문적으로 정교하고 어느 면에서는 감동적이기까지 하다. 특히 경관을 정원의 좁은 문에 의해 열리는 외부 세계라고 정의하는 것은 소설이나 시를 읽을 때 느끼는 감동을 전하려 하는 듯하다. 다시 말해 경관을 문학적 상상과 은유의 개념으로 풀어나가고 있으며, 이것은 경관에 대한 그녀만의 독특한 정의, 즉 “여러 세대를 거치며 모양을 다듬고 크기를 정한 그런 이미지들, 구성과 문법 체계를 갖춘 언어와 유사한 법칙을 가진 익숙한 이미지의 세계”라고 정의하는 데에서 명료하게 드러난다.※ 키워드: 안코클랭, 박정욱 ※ 페이지 : 60-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