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께하는 창덕궁 나무가꾸기”
‘참나무 시듦병’ 심각올조회, 나무살리기 캠페인 앞장서
창덕궁 후원은 서울의 숲을 대표함과 동시에 가장 오래된 도시숲으로 꼽힌다. 비원으로도 불리는 창덕궁 후원은 사적 제122호로 지정된 조선시대 궁중 정원으로 정자와 연못, 괴석 등이 자연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최소 50년 이상 성장한 숲에서만 산다는 청딱따구리를 비롯해 무수한 야생동식물이 살고 있는 삶의 터전이다. 비원은 그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어 199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다. 규장각과 더불어 영화당, 주합루, 서향각, 영춘루, 소요정, 태극정, 연경당 등 여러 정자와 연못들 그리고 물이 흐르는 옥류천이 보존되어 있다. 또한 수백 종의 나무들이 26,000그루 이상 심어져 있다. 그런데 최근 몇 년간 창덕궁 후원 내에 발생한 ‘참나무 시듦병’이 점차 심각해져 100년 가까이 된 고목들이 베어지고 있어 그 방제가 시급한 실정이다.
사실 참나무 시듦병이 국내에 발생하기 시작한 것은 지난 2004년으로 약 10년 가까이 그 방제가 뚜렷하게 되지 않고 있고 또 명확한 방제법도 없어 주변의 안타까움만 사고 있다.이에 조경계 리더들의 모임인 올조회(올해의 조경인 기수상자 모임)는 지난 2013년 식목주간을 맞아 4월 6일 창덕궁 후원존덕정 일원에서 ‘함께하는 창덕궁 나무가꾸기’ 행사를 통해 참나무 시듦병에 대한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 ‘참나무 시듦병’ 방제법 소개 및 창덕궁 사진이 담긴 엽서를 시민에게 전달하는 홍보 캠페인을 직접 벌였다.
이날 올조회는 참나무 시듦병 예방을 위한 롤 트랩과 홍보용 사진엽서 등을 포함한 약 300만 원의 기부금을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에 전달했으며, 문화재청은 올조회에 김영택 화백의 펜화로 보답했다. 한편, 생태적으로나 역사적으로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창덕궁 내 참나무의 시듦병은 수년간 지속되고 있으며 정부의 예산 부족과 그 뚜렷한 방제법이 없어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LA CHINA』 주최, 중국 조경가 내한
선유도공원, 서서울호수공원 등 한국의 조경 답사
분야를 막론하고 이제 중국은 거대한 시장임에 틀림없다. 또한 지난해에는 한국과 중국의 조경교류 20주년을 맞이하여 보다 실질적인 협력의 방법을 모색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중국과의 교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시점, 중국에서 반가운 손님들이 한국을 방문했다. 바로 중국의 조경잡지 『LA CHINA』에서 모집한 한국답사단이었다. 답사단은 중국의 조경 실무자, 학생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서서울호수공원, 선유도공원을 비롯해 인사동, 이화여대, 디큐브시티 등을 4월 5일부터 6박 7일간 답사하였다. 특히 이들이 서서울호수공원과 선유도공원을 답사할 때에는 설계를 담당했던 씨토포스와 조경설계 서안(주)에서 이대영 소장, 이진형 실장이 직접 안내와 설명을 해주었다.
『LA CHINA』 佘依爽 편집장 미니인터뷰Q. 서서울호수공원과 선유도공원을 둘러보았는데 이 두 공원에 대해 어떤 인상을 받았습니까?A. 한국 조경가가 가지고 있는 ‘공간의 다양성 창출’에 대해 깊은 인상을 받았습니다. 예를 들면 두 공원에서 모두 정수지였던 곳을 허물고 보다 재미있고 다양한 공간을 조성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단조롭고 작은 공간을 보다 풍부하게 만드는 것들은 아주 재미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렇게 한국 고유의 공간문화를 이어나가면서도 한편으로는 과거의 존재 형식을 변형시키는 양면성을 보이며 발전하고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습니다.
-
이제 다시 정원이다
It is Time for Gardens, Again
행복이야말로 인간이 추구하는 최고의 가치일 것이다. 누구나 행복하기 위해 노력한다. 내일의 행복을 위해서 오늘 힘든 것도 참아 낸다. 그런데 그렇게 참아낸 끝이 행복하지만은 않다는 데에 오늘 우리의 고민이 있다. 왜 그런가? 무얼, 어떻게 해야 하는가?
심오한 철학적 해답 대신에 필자는 정원을 주목한다. “정원이란 인간이 행복의 개념을 자연 속에 새겨 넣으려 한 것”이라는 어느 서양학자의 말이 아니더라도 정원은 인간다운 삶을 위한 원초적 장이다. 그 곳에는 치유와 안식이 있다. 연약한 식물을 보살피면서 우리는 스스로를 돌보게 된다. 땅을 파고 거름과 물을 주면서 자신도 모르게 마음에 위무를 얻는다. 광속으로 변화하는 시대에 작은 식물에서 발견하는 경이가 내 마음을 붙잡게 되는 것이다. ‘불안과 불확실의 시대’에 마지막 푸른 희망처로서 정원의 의미는 크다. 이미 헤세가 간파한대로 정원은 ‘영혼의 안식처’인 것이다. 나무 몇 그루가 가정 폭력을 저감시키고, 잘 가꾸어진 정원이 폭력적 행동을 억제하는 기제로 작용하는 것은 정신건강 지킴이로서 정원의 효용을 잘 입증해 준다. 에덴에서 추방된 이래 인간이 기쁨을 만끽하는 “낙원적 평화”의 장이 바로 정원인 것이다. 정원을 비롯한 녹지에의 접근성 정도가 질병율 및 사망률과 의미 있는 상관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으니, 정원을 질병조차 인간에게 침범하지 못하는 곳으로 신성시했던 고대 수메르인들은 일찍이 혜안이 있었던 셈이다.
정원의 효용은 한 개인의 정서 차원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공동체에서 정원은 사회적 접촉을 촉발시키는 현장이다. 사회적 유대감이 높은 공동체 구성원은 질병에 걸릴 가능성이 낮으며, 취약한 사회적 관계는 흡연과 비만, 고혈압보다도 더 해롭다는 흥미로운 연구결과도 있다. “인류의 미래를 의지할 바는 오로지 정원사의 손밖에는 없다.”는 스탠퍼드대 해리슨 교수의 주장이나, “인간이 이뤄낼 가장 위대한 마지막 완성작이 건물이 아니라 정원”이라는 베이컨의 말은 결코 빈 말이 아님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컴퓨터와 텔레비전, 인터넷, 그리고 핸드폰이 이미 일상을 지배한 우리 사회에 한 뼘 땅과 식물의 효험이 얼마나 될지 의구심을 가질 수 있겠다. 그러나 게임과 사이버 폭력 등 온갖 자극과 스트레스가 자극의 역치를 넘어선 우리 사회에 정원은 생명수가 될 수 있다. 사이버와 스펙터클이 우리 아이들의 전두엽 성장을 저해하고, 정신을 황폐하게 만들기 전에 서둘러 해독제를 찾아야 한다. 작게는 정원, 크게는 자연이 그 해답처라고 필자는 확신한다. 한 줄기 뺨을 스치는 미풍, 포근하게 얼굴을 쬐는 햇볕, 상쾌한 새벽 공기를 폐부 깊숙이 느낄 곳으로 정원만한 곳이 어디 있는가? 디지털과 기계문명이 아무리 발달해도 온몸으로 만끽하는 자연과의 아날로그적 교감을 대체할 수가 없지 않은가. 그러니 조지 워싱턴, 토머스 제퍼슨, 제임스 매디슨 등 미국의 초창기 대통령들이 정원 가꾸기에 힘썼고, 영국의 찰스 황태자가 오랜 경험 끝에 정원에 관한 책을 쓴 것도 별로 놀랄 일이 아니다.
지금 한참 힐링이 대세다. 그 만큼 상처 입은 이들이 많다는 증거일 것이다. 바쁘게, 열심히, 힘들게 살아온 우리에게 그 상처를 보살피는 일만큼 중요한 것이 없다. 물질이 마음까지 행복하게 해주지 못함을 우리는 뼈아프게 학습해왔다. 행복해지기 위해서 우리는 이제 정원을 되찾아야 한다. 더 늦기 전에 온갖 자극이 넘쳐나는 우리 삶의 환경에서 정원을 되찾아야 한다. 정원이란 인간의 꿈과 이상을 자연에 구축한 것이니 곧 인간으로서 꿈꾸기를 되살리는 것과 같다. “그래도 정원을 가꾸어 나가야 한다”는 볼테르 말은 온갖 세속적 질곡 속에서도 끝까지 잃지 말아야할 인간 삶의 희망과 구원이 정원에 있음을 역설해 주지 않는가?
마침 우리나라 첫 국제정원박람회가 순천에서 열린다. 순천만이라는 천혜의 자연이 만든 생태정원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원들이 펼쳐진다. 아무리 바쁘더라도 남도의 풍경 속에 펼쳐진 정원 속을 거닐며 삶을 되돌아보는 재충전의 기회를 꼭 가지기를 바란다.
The pursuit of happiness is, without doubt, the most significant value in people’s lives. Everybody strives to be happier, and endures the pain of life for the better future. Unfortunately, it’s not always a happy end. What’s the reason, and what should we do?
Instead of reflecting on some serious philosophical solutions, I would like to keep my eye on a garden. A Western scholar once said “a garden is displaying a human effort to inscribe the idea of happiness on the nature.” A garden is truly a space that helps us to live like a human being, with its own healing and soothing qualities. We start to care for ourselves by caring for plants, and unconsciously relieve ourselves by digging a ground for planting trees. A small wonder found in a tiny plant touches the hearts of us who have been living in a society changing at the speed of light. A garden has an important meaning to us in this ‘age of anxiety and uncertainty.’ As Sullivan and Kuo points out, a few trees can help prevent domestic violence, Donovan maintains that a well-managed garden controls violent behaviors. As there is an evidence that the access to green space including a garden has a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he rates of disease and death, Sumerians in ancient times must have been knowledgeable enough to believe that a garden was a sacred place where humans could be protected from illnesses.
A garden is not only useful to individuals. According to Kuo et al, a garden works as a place promoting a social connection in a community. According to a research by Putnam in 2000, members of a community with a strong social tie are less likely to become diseased, and a weak social connectedness is more harmful than smoking, obesity, and high blood pressure. Professor Harrison at Stanford University said “it could be hands of a gardener that we can rely on for the future of humankind,” and Bacon wrote “the final achievement of a human race would not be a building but a garden.”
You probably doubt how useful a small piece of land or plants could be in a society already dominated by computers, television sets, Internet, and cellphones. Nevertheless, a garden will provide life-giving water to a community where people always feel stressed out because of excessive amount of stimulus and violence in cyberspace. We must protect our children from stress and violence leading to mental deterioration. I’m sure that a garden or nature can be a solution to the problem. Could you find any other place than a beautifully grown garden where you can breathe fresh air in the morning and feel warm sunshine in the afternoon? No matter how much the digital and mechanical technologies might be developed, they can never replace our interactions with nature. That must be one of the reasons that the early presidents of the Unites States including George Washington, Thomas Jefferson, and James Madison made great efforts for gardening, and Britain’s Prince Charles wrote a book on gardening after several years of experience.
Many people are talking about healing recently, which, in turn, suggests that there are lots of people out there hurt and wounded. We need to care about those people. We have learned that material affluence doesn’t necessarily guarantee happiness. In order to be happy, we need to regain our rights to a garden. It shouldn’t be too late. A garden is the realization of our dreams and ideals in nature, so constructing a garden is starting to dream again.
The first international garden expo is going to be held in Suncheon, where you can experience a variety of gardens in the wonderful landscape of Suncheon Bay. I suggest that you visit the exhibition, having a chance to recharge yourself and enjoying the beautiful scenery of the southern province.
-
그림일기: 정기용 건축 아카이브
소외된 것들에 관심을 가졌던 낭만적 건축가故정기용의 건축 드로잉 작품전
국립현대미술관이 건축가 故정기용(1945~2011)의 드로잉 작품들을 공개했다. 2월 28일부터 9월 22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제5전시실에서 ‘그림일기: 정기용 건축 아카이브’ 전이 열린다. 이번 전시는 국내 건축전문 큐레이터 1호인 정다영 씨의 주도로 기획됐다. 작고 2주기를 맞는 정기용이 생전에 기증한 약 2만여 점의 자료를 바탕으로 2년여의 시간동안 연구·분류하여 2천여 점을 선별해 정기용 아카이브를 구축했다.
정기용은 한국에서 미술을 전공했다. 이후 프랑스에서 유학하며 건축과 도시계획을 공부했다. 이때 접한 풍부한 문화 담론들은 그에게 건축에서 삶의 문제를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68혁명을 이끈 푸코, 아날트 콥 등 신지식인들의 영향을 많이 받아 고착화된 기존 제도를 거부하고, 무가치한 것들에서 건축의 의미를 찾고자 했다. 귀국 후에는 자연스럽게 한국의 사회 현실과 구조로 시선을 옮기게 되었고, 우리 땅의 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다.
(중략)
“우리들이 농촌을 몰라도 너무 모른다. 건축가는 해결사가 아니다. 사람들의 삶을 보살피고 공간적으로 조직해주는 직업이다. 특히 공공건물이 그렇다. 건물을 사용할 사람에게 물어봐야 한다.” _ 정기용
정기용은 현대건축 2세대에 속하는 건축가이다. 이종건 교수(경기대학교)에 따르면 2세대에 속한 대부분의 건축가들은 건축을 페티시(fetish)하게 생각한다. 건축을 지나치게 과대평가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반면 정기용은 건축의 한계를 알고, 건축을 통해서 삶을 좀 더 낫게 하려했던 사람으로 평가되고 있다.김봉렬 교수(한국예술종합학교)는 “낭만은 현실에 뿌리가 없는 이상적인 것이기 때문에 어려운 것이다. 하지만 사회를 변화시키는 가장 큰 힘이 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소외되는 것들에 관심을 가졌던 정기용이 이러한 낭만적인 사람이라고 표현했다.
-
오희영(현대산업개발 前 상무)
Oh, Hee Young
“새로운 길 위에 서서”
짙은 녹색의 편안한 복장이 여유로워 보였다. 처음 평상복을 입고 인터뷰를 갖는다는 오희영 前 상무현대산업개발이다. 대형 건설사 조경직으로 30년여 묵묵히 한 길을 걸어온 그가 2012년을 끝으로 회사생활을 마감했다. 누구의 권유가 아닌 자신의 결정이었다. 맡은 업무량도 상당했고, 사내에서도 두터운 신망을 받는 그였기에, 모두가 퇴사 결정에 의아해 했다. 그러나 오희영 前 상무의 대답은 명료했다. ‘조경다운 마무리를 하고 싶었다.’
“모든 건설공종의 마침표는 조경이 찍는다. 조경으로 이용자가 쾌적한 환경 속에서 삶을 영위할 수 있다. 많은 분들이 더 남아 있어도 되지 않는냐는 말씀을 하신다. 건설사 내에서도 아직 해야 할 일, 할 수 있는 일이 많지만, 조경쟁이답게 정갈하게 마무리 하고 싶었다. 멋진 마무리라고 응원해 주는 주변분도 있어 마음이 한결 편하다”
쉽지 않던 건설사 입사초기건설사 조경직에게 오희영 이름 석자가 의미하는 것은 크다. 그는 대형 건설사 최초로 조경직을 독립시켰고, 임원 자리까지 오른 장본인이다. 건축, 토목에 비해 조경의 사업적 비중이 크지 않았기 때문에, 오 前 상무가 대기업에서 조경직을 독립시킨 것은 조경분야뿐만 아니라 인접분야에서도 하나의 사건이었다. 다른 건설사 조경직도 그의 행보를 보며 희망을 그렸다. 그래서 그의 이름 앞에는 ‘건설사 조경직의 대부’라는 수식이 따라붙는다.그런 오희영 前 상무지만, 경력직으로 현대산업개발에 입사한 1984년, 그의 앞에 닥친 상황은 녹록치 않았다. 전 회사에서 현장소장(숭인공원, 석촌호수 등) 하던 사람이 각종 심부름을 도맡아 하였고, 조경 관련 사무도 모두 그의 몫이었다. 회사의 유일한 조경직이었기 때문이다. 특히 중동개발이 붐을 타며, 그의 앞에 놓이기 시작한 생소한 해외설계설명서와 도면더미는 좌절감까지 맛보게 했다. 하지만 오희영 前 상무는 관련 전문가를 수소문하고, 직접 찾아다니며, 새로운 해외 조경프로젝트를 완수해 냈다.
“입사 초기, 사실 후회를 많이 했다. 국내 조경공사만으로도 충분한 대우를 보장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새로운 일이 있으면 알아보고, 직접 찾고야 마는 성격이어서 해외건축부 당시의 기억이 많이 남고 보람도 있다. 새로운 길을 찾는 것은 산사람 기질이 배인 것 같다.”
-
옛 그림, 물을 철학하다
Water is expressed philosophically as old paintings
신화시대의 물3눈물이 흘러 강물이 되고 - 역사책이 감춘 역사
세상에는 사실을 사실로 말할 수 없는 진실이 있다. 말할 수는 없지만 말해야만 할 때 사람들은 진실의 외피에 살짝 엷은 색을 입혀 본질을 감춘다. 때로는 전혀 다른 색을 칠해 상대방의 눈을 속이기까지 한다. 진실이 드러날 경우 치명상을 입거나 생명이 다칠 위험이 있을 때 쓰는 안전장치다. 신화와 전설은 사실이 아니다. 사실이 아닌 만큼 그 내용의 진실 여부를 확인하기는 불가능하다. 확인할 수 없는 만큼 과장이 심하고 현실성도 떨어진다. 정확하게 입증할 수 있는 근거도 미약하다. 그러나 신화와 전설을 조금만 깊이 들여다보면 그 안에서 생생한 진실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신화를 만든 이야기꾼(話者)은 자신이 전하고자 하는 내용이 눈 밝은 사람에게 안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진실의 겉에 껍질을 입혔다. 껍질은 마치 환자가 쓴 약을 삼킬 수 있도록 내용물에 캡슐을 씌우는 것과 같다. 캡슐을 벗기고 나면 수 천 년의 세월을 견뎌서라도 꼭 밝히고 싶은 진실이 담겨 있다. 이것이 우리가 역사책이 아닌 신화와 전설에 열광하는 이유다.
소상팔경도의 실제 장소인 소수와 상수소상팔경도(瀟湘八景圖)는 중국과 조선, 일본에서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은 산수화다. 소상(瀟湘)의 아름다운 풍경을 여덟 장면으로 그린 그림인데, 소상(瀟湘)은 소수(瀟水)와 상수(湘水)를 합한 말로 중국 호남성(湖南省) 남안(南岸)에 있는 지역을 지칭한다. 소상팔경도는 소수와 상수를 포함해 두 물줄기가 흘러드는 동정호(洞庭湖)일대를 배경으로 그렸다.동정호는 중국 최대의 호수로 주변의 산과 강이 아름답기로 유명한 장소다. 예로부터 많은 시인과 화가들은 소상의 아름다운 경치를 시로 읊고 그림으로 남겼다. 전국시대(戰國時代) 초(楚)나라의 시인 굴원(屈原, B.C.343?~B.B.277?)이 『이소(離騷)』에서 소상(瀟湘)을 처음 언급한 이래 두보(杜甫, 712~770)의 「등악양루(登岳陽樓)」, 범중엄(范仲淹, 989~1052)의 「악양루기(岳陽樓記)」 등 많은 시가 쏟아져 나왔다. 북송(北宋)의 송적(宋迪, 약 1015~약 1080)은 처음으로 소상팔경도를 그렸는데, 우리나라에는 고려시대에 전래되어 조선 후기까지 지속적으로 그려졌다. 소상팔경도는 평사낙안(平沙落雁, 물가에 내려앉은 기러기), 원포귀범(遠浦歸帆, 멀리서 돌아오는 배), 산시청람(山市晴嵐, 맑게 갠 산속의 도시), 강천모설(江天暮雪, 강과 하늘에 내리는 저녁 눈), 동정추월(洞庭秋月, 동정호에 뜨는 가을밤의 달), 소상야우(瀟湘夜雨, 소상에 내리는 저녁 비), 연사모종(煙寺暮鐘, 구름과 안개 속에 들려오는 저녁 종소리), 어촌낙조(漁村落照, 어촌에 비치는 저녁 노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상팔경도는 실제 있는 장소를 그린 그림인 만큼 실경산수화(實景山水畵)라 불러야 마땅하다. 그러나 시대가 흐르면서 소상팔경도는 실경이라는 의미 대신 아름다운 경치를 그린 산수화의 대명사가 되었다. 또한 멋진 장소라는 의미를 넘어 누구나 가보고 싶은 곳, 살고 싶은 이상향으로 탈바꿈되었다. 그러다보니 그림도 관념적이고 형식화되었으며 비슷비슷한 틀이 형성되었다.국립진주박물관에 소장된 《소상팔경도》 중의 <소상야우>와 <동정추월>을 살펴보겠다.<소상야우>는 비가 내리는 저녁 풍경을 그린 작품이다. 나뭇잎이 무성한 것으로 봐서 한여름이나 초가을일 것 같다. 비바람이 심하게 몰아치는 듯 나뭇가지가 꺾일 정도로 위태롭다. 붓질에 따라 사선으로 그어진 먹빛이 휘몰아치는 빗줄기를 실감나게 보여준다.강가에는 버섯처럼 웅크린 집이 몇 채 서 있을 뿐 나루터에도 돌다리 위에도 사람 모습은 흔적조차 찾을 수 없다. 오직 어둑해진 밤에 내리는 비만 천지의 주인이다. 만약 지나가던 나그네가 비를 만나 발길이 묶였다면 객지에서 느끼는 여수(旅愁)가 만만치 않으리라.<소상야우>가 격렬한 고독을 그렸다면 <동정추월>은 단정한 명상을 그렸다. 동정호에 달이 떴다. 강에는 달구경 나온 사람이 탄 배가 한 척 떠 있다. 전경에 대각선으로 솟아오른 언덕에는 소나무 두 그루가 서 있고 빈 정자가 세워져 있다. 이런 구도는 조선 초기에 활동했던 안견(安堅)의 《소상팔경도》에서 발견할 수 있다. 또한 경물이 한쪽으로 치우친 편파구도는 안견과 그의 화풍을 추종한 안견파(安堅派) 화가들의 공통된 특징이다. 《소상팔경도》는 특히 조선 초기에 크게 유행했다. 안견 진작眞作으로 전해지는 작품이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고 안견풍으로 그린 여러 점의 작품도 전해진다. 안평대군(安平大君, 1418~1453)은 당대를 대표하는 19명의 시를 결합한 《소상팔경시첩》을 남겼다. 《소상팔경도》는 조선 말기까지 여러 화가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그려졌다. 문청, 이흥효, 함윤덕, 이징을 비롯하여 전충효, 김명국, 최북, 심사정, 정선, 김득신 등의 유명 작가들이 소상팔경도를 그렸으며 민화의 소재로도 등장하게 된다.
-
춘향의 전설2-초등학교의 기억
The Legend of Chun Hyang(2)
사람들에게 정원이 있냐고 물어보면 대부분 없다고 이야기한다. 정원이라는 단어를 떠올리면 넓은 잔디마당과 고급스러운 나무들, 연못 등이 연상되는 것 같다. 하지만 어린왕자의 정원은 장미 한 송이가 전부였다. 김 교수님의 정원은 어린왕자와 같은 장미 한 송이는 아니다. 가냘픈 시인의 마음을 지니고 있지만 가슴속으로는 자연을 품었다. 그의 정원에는 자유롭게 날아오는 새가 있고, 바람이 있고, 달과 별이 있다. 더욱 중요한 사실은 그 모든 자연의 생명을 느낄 수 있는 시인의 마음이 있다. 나는 그 정원을 시정(詩庭)이라 표현한다.
격식 없는 시골의 정원, 말끔하게 가꾼 텃밭에는 ‘그곳만의 영혼’이 있으며 자연의 언어가 살아 움직이는 곳이다. 그의 정원에 앉아 있으면, 자연의 색과 소리에 매료되며 그 순간 시인의 정원이 된다. 사랑하는 사람과 시정을 거닐고 있으면 빈센트 반 고흐의 작품 <산책하는 커플과 공공 정원>의 주인공이 된 것 같은 착각이 든다. 그의 정원은 시인을 만드는 정원이며 예술적 영감을 주는 정원인 동시에 사랑을 꽃피우는 정원이다. 조선시대 선비들도 수많은 정원을 경영해 왔다. 민가, 별서, 정자와 누 등 장소 특성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 있다. 주위의 낮은 구릉지나 계류, 뒷산에 의해 자연스럽게 영역이 설정되고 정자와 연못, 샘과 경물이 적절히 배치되어 풍류공간을 조성했다. 자연이 만든 선형線形과 더불어 직선적인 요소를 가미해 화계와 방형의 연못을 만들었다. 조선시대의 정원을 경영한다는 의미는 자신의 이상향과 터전을 마련하는 일이었다. 자연의 순리를 근본으로 삼아 지세를 함부로 변형하지 않았다.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것이 순리이기에 정원을 조성함에 있어서 물을 돌아 흐르게 하거나 폭포를 떨어지게 하거나 넘쳐나게 하였다. 조선시대 정원에는 계절의 변화가 민감하게 반영되었다. 봄이면 꽃과 신록이 움트는 것을 보며 생의 신비를 느낄 수 있고, 여름이면 시원한 녹음 밑에 한 낮의 여유를 즐길 수 있다. 가을이면 단풍과 열매가 풍성한 결실의 시간을 만끽하며, 겨울이면 고독을 맛볼 수 있다.
(중략)
달빛을 탐내다 _ 이규보
산에 사는 중이 달빛을 탐내더니물 긷는 병에 달까지 담았네절에 가면 금세 알게 될 거야물 쏟으면 달도 없어진다는 걸
우주의 세계가 펼쳐진 조선시대의 최고의 스토리텔링이다. 아마도 광한루에 담겨진 뜻이 있기에, 춘향과 몽룡의 사랑 이야기가 전설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정원의 묘미는 시인의 마음이 펼쳐질 때 그 의미가 풍부해진다. 비록 선현들의 호연지기와 호방함을 느끼지 못할지라도 광한루를 단순히 춘향으로만 도배하기에는 너무도 값진 문화유산이다. 용성관, 남원 구도심, 우주의 세계를 표현한 광한루, 삼신산과 오작교 등은 춘향과 추어탕에 눌려 그 본질이 사라지고 있다. 공간과 장소는 생성, 변화, 쇠퇴, 소멸되는 것은 자명한 이치이다. 하지만 역사물을 다루기 위해서는 그 태생적 의미와 정신세계에 대한 탐색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퇴색한 것이라면 지금이라도 그 변화상과 본질을 찾는 여정을 시작해야 할 것 같다. 수수께끼를 푸는 것처럼.
-
둥구나무들은 어디로 갔을까
한여름, 먼지가 뽀얗게 일어나는 신작로를 걸어온 할머니는 마을 어귀 서낭당이 보이자 비로소 허리를 폈다. 숲 기스락을 개개면서 휘돌아나가는 개울에는 난간 없는 콘크리트다리가 있었으며 그 다리를 건너기 전 숲 기스락 한편에는 당산나무가 시원하게 그늘을 펼치고 있었다. 지난 정월 초이틀 동제를 지내고 나무 밑동에 둘러놓은 하얀 한지는 한여름 뙤약볕에도 눈부셨다. 넉넉히 두 아름은 넘을 듯한 당산나무는 고묵은 소나무였다. 소나무 보굿은 지난 세월만큼 깊게 패이고 또 그만큼 켜켜이 도드라졌다. 할머니는 자잘한 돌멩이들로 울멍줄멍 탑을 쌓아놓은 당산나무 앞에 서자 가만히 얼굴에 흐르는 땀을 훔친 뒤, 가지런히 두 손을 모으고 허리를 깊숙하게 숙이며 인사를 드렸다. 할머니 하얀 코고무신에는 흙먼지가 뽀얗게 앉았다. 그렇게 잠깐 멈춰 서서 땀을 들이고 숨을 고른 할머니는 그제야 마음이 놓이는 듯 기다랗게 가로놓인 콘크리트다리를 건넜다. (중략)
마을이 평안하고 나쁜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한해가 시작된 이튿날 마을 사람들이 정갈한 마음으로 모여 평안과 안녕을 정성들여 빌며 제사지내던 마을 입새에 있던 서낭당 당산나무는 그러나 이제 사라지고 없었다. 흔적조차 없었으며 당산나무가 있던 자리에는 난간을 두른 거대한 콘크리트다리가 들어섰다. 또한 그 개울에는 콘크리트 옹벽 같은 보가 만들어져 물길을 가두면서 그예 늙은 소나무들은 자취를 감추었다. 이제는 누구도 마을이 생긴 어느 해부터 세세연년 자리를 지켜오던 서낭당이 그곳에 있었는지조차 기억하지 않았다. 어른들은 숲정이 깊은 어느 계류 기스락 말라죽은 소나무 앞에서 여전히 그 옛날처럼 정월 초이튿날이면 모여서 동제를 지냈지만, 어린 사람들은 마을제사를 지내는지조차 까맣게 몰랐다.
당산나무 한 그루가 사라지면서 정결하고 엄숙한 마음으로 모였던 마을 사람들 자취뿐만 아니라 풍습이 없어지면서 언어 또한 사라지고 말았다. 어른아이 할 것 없이 한 마을에 살면서 골목길에서건 마을 신작로 안길에서 먼발치에서라도 만나게 되면 서로 인사를 나누는 것은 사람 사이에 흔한 예의였지만 지금은 자주 볼 수 없게 되었다. 어른들은 어른들대로 아이들은 아이들대로 누가 누군지 서로 알아보지 못하는 낯선 사람들이 되고 말았다. 마을 당산나무, 둥구나무가 있었던 시절에는 볼 수 없었던 몰풍스러운 풍경이었다. 어쩌면 당산나무 한 그루가 있어 마을 사람들은 그곳으로 모여들 수 있었고, 서로 얼굴 맞대고 장기도 두고, 장기 두는 곁에서 훈수도 두면서 또 한편으로는 끼리끼리 속살거리기도 하면서 서로들 속내를 털어놓기도 했을 것이었다.
(중략)
외지고 구석진 우리 동네를 비롯한 시골 마을, 많아야 30~40가구이고, 대부분 운동할 기력조차 없는 나이든 어르신들이 살고 있음에도 언제부터인가 ‘지자체’에서는 운동기구를 갖춘 공원을 만들기 시작했다. 공원에는 어디에서 왔는지도 모를 느티나무며 크게 자란 소나무들이 대부분이었다. 심지어 어느 공원에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하지 않는다고 알려진 하얀 꽃을 피우는 해당화를 심어놓기도 했다. 나무든 꽃이든 나라 밖에서 들어오기도 하고, 나라 밖으로 나가기도 하는 것이지만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품종조차 굳이 외국에서 들여온 식물을 심어야 하는지, 모를 일이었다. 마을 안팎에 공원을 만들 때에라도 그 지역에서 자생하는 품종을 선택하면 좋지 않을까. 어느 도시를 가든 똑같은 벚나무 가로수길, 똑같은 소나무 명품길로 통일하지 말고. 요즘은 또 이팝나무 가로수길이 유행이었다.
마을 사람들 안녕을 바라며 모자라고 빈 곳을 채우기 위해 흙을 돋워 숲을 만들고, 나무를 심었던 조상들이 있었다. 거창한 비보풍수까지는 아니더라도 콩 세알을 심었던 그 심정으로 인간과 자연이 서로 어우러져 살아갈 수 있으면 그 아니 넉넉하고 좋지 않을까.
-
밀양향교
Miryang Hyanggyo
밀양향교1는 경상남도 밀양시 교동 733번지 일원에 위치하며 면적은 5,068㎡로, 고려 인종 연간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는 존현공간으로서 명맥을 유지하다가 조선시대 선조 25년1602 부사 최기에 의해 .대성전이, 광해군 10년1618 명륜당이 중창되었다. 특히 대성전(大成殿)은 순조 21년1821 부사 이현시(李玄始)에 의해 이건·중수 이후 오늘에 이르고 있다. 중요 유적으로 대성전, 동무, 서무, 명륜당, 동재, 서재 등이 자연과 인공이 화합하는 순응의 미학을 공간적, 지형적으로 연계시키고 있다. 1983년 8월 6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14호로 지정되었다.
Miryang Hyanggyo which is located in 733, Gyo-dong, Miryang-si, Gyeongsangnam-do is 5,068㎡ area. After transferred in the 25th year of King Seonjo’s reign(1602), it was used for a religious service to ancient sages as a emotional support of the Joseon dynasty. The aesthetics of adaption is connected with Daeseongjeon, Dongmu, Seomu, Myeongnyundang, Dongjae, and Seojae spatially, topographically and functionally. It was appointed as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of Gyeongsangnam-do 214 in 6th of August, 1983.
-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장 조성사업 실시설계(1)
Schematic Design and Construct Design for SUNCHEON BAY Garden Expo 2013
2009년 늦가을의 현상공모를 시작으로 같은 해 12월 현상설계 결과가 발표된 이후 2013년 3월 현재까지 만 3년이라는 시간동안 이라는 수없이 많은 조경가들의 입에 오르내릴 만큼 큰 이슈가 되었던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장 조성사업’ 프로젝트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하고자 한다. 오는 4월 개최를 코앞에 둔 지금 <환경과조경> 편집부의 제안으로 지면을 통해 그간 진행되어 온 현상설계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진행된 이야기들을 풀어본다.
2009년 12월 현상설계 당선 이후 2010년 1월 계약을 통해 현상설계 컨소시엄 그대로 설계를 진행하게 되었다. 2011년 2월 과업 종료 이후에도 추가적인 작업들이 지난 2012년까지 진행되었다. 그동안 순천에서 합사를 구성하여 오랜 시간을 보내기도 하였고, 수많은 협의와 보고를 통해 현상설계안에서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실시설계 과업완료 후에도 순천시의 의지를 통해 또 많은 변화가 있었다.
본 지면을 통해 현상설계안에서부터 실시설계를 완료하기까지, 순천시와 현장에서의 변경과정 등 그동안 진행과정에서 있었던 주요 논의들의 과정과 그 결과 등을 가감 없이 이야기해 보고자 한다. 일부는 그 결과에 대해 실망스러울 수도 있고 반대로 만족스러울 수도 있겠으나, 그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담겨있음을 미리 알려둔다.
지금 이 지면을 통해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단순히 박람회장의 설계과정과 결과만을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를 통해 국내 최초의 국제정원박람회를 개최할 수 있도록 노력하신 많은 분들과 현상설계와 기본 및 실시설계를 진행해오던 수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노력에 대해 뒤늦게나마 감사의 뜻을 전하고자 한다. 특히 순천시 관계자분들과 이 프로젝트에 관련된 모든 분들, 또 프로젝트를 함께 수행해 온 컨소시엄 구성원 모두에게 감사와 존경의 뜻을 전한다.
과업명 :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장 조성사업 실시설계 용역위치 : 전라남도 순천시 오천동, 풍덕동, 해룡면 일원과업 진행 시 - 박람회장(녹색나눔숲 포함) _ 609,000㎡ - 수목원 및 습지 (습지센터 제외) _ 312,000㎡ - 저류지 (기본계획) _ 245,000㎡ - 총 1,166,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