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Design Lecture Series IV
    그 네 번째 이야기 - 공존을 위한 디자인지난 12월 23일 대한상공회의소 지하 2층 의원회의실에서 ‘공존을 위한 디자인’이란 주제 아래 윤호섭 명예교수국민대학교 시각디자인과의 강연이 개최되었다. 이번 강연은 삼성에버랜드(주)E&A 디자인그룹그룹장 김준연이 주관한 Design Lecture Series의 마지막을 장식한 강연으로 2시간 동안 이루어졌다. 환경을 보전하고 회복하기 위한 근원적 해결책으로서의 그린디자인을 교육하고, 주로 폐품을 재활용한 작품 활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윤호섭 명예교수는 자신이 만든 작품과 그 속의 이야기로 강연을 이끌었다. 그는 ‘공존’을 이야기하기 위하여 아이티 지진사건 후에 있었던 자신의 일화를 먼저 전하였다. 당시 국제동물애호기금인 IFAW에서 도움을 달라는 메일을 받으면서 새로운 충격에 휩싸였다는 것이다. 당시 그 곳 사람들이 어려움을 겪을 것은 당연하게 떠올렸지만, 동물들도 어려움을 겪을 것이란 사실은 염두에 두지 않았다는 사실 때문이었다.
  • 도시숲법(안) 제정반대 토론회
    Debate: Oppositions to the Legislation of Urban Forest Law지난 12월 23일 과학기술회관에서 산림청의 ‘도시숲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정에 반대하는 ‘도시숲법(안) 제정반대 토론회’가 (사)한국조경학회 주최로 개최되었다. (사)한국조경학회 양홍모 회장의 인사말로 시작된 이번 토론회는 ‘조경영역인 도시공간의 공한지, 공공공지, 주택·공동주택, 병원·요양소, 공장·공단, 인공지반 등에 조성하여 관리하는 녹지를 도시환경숲으로 정의하고 산림청이 다루겠다’는 ‘도시숲법(안)’이 현행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및 기타 유관 법률과 중복되며, 조경영역인 가로조경과 학교조경도 가로숲, 학교숲으로 이름을 바꾸어 산림청 업무로 전담하겠다는 법안으로 조경 고유의 영역을 심각히 침해하므로 법 제정이 불가하다는 조경계의 공식입장을 명확히 밝힘과 동시에 조경인들의 강력한 대응을 천명하는 자리였다. 발제자로 나선 김한배 서울시립대 교수는 ‘도시숲법(안)은 침략적 법안이다’ 이라는 주제로 ‘도시숲법(안)’이 폐기되는 시점까지 조경인들의 단결된 총궐기를 독려하였고, 최신현 (주)씨토포스 대표이사는 ‘도시숲법(안)과 관련 법 비교’라는 주제로 ‘도시숲법(안)’이 현행법인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및 기타 유관 법률과 명백히 중복되기 때문에 법률제정 자체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심왕섭 세림조경건설(주) 대표이사도 ‘도시숲법(안)의 조경산업 업무영역 침탈’ 이라는 주제로 껍데기만이라도 상정하여 통과시킨 후 보완 내지 개정을 통하여 소기의 목적을 완수하고자 하는 산림청의 꼼수가 내포된 ‘도시숲법(안)’은 절대로 통과되면 안되는 법이라고 강조하였다.
  • Cha Tae Wook
    위기의 맵핑 _ 인식과 실체차 태 욱차태욱은 미국 공인 조경가이며 수퍼매스 스튜디오의 창립자이자 소장으로서 사무실 내의 모든 설계작업을 책임지고 있다. 미국을 근거지로 한 15년간의 국제적 설계경력을 통해 설계 및 프로젝트 운영, 시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리더십을 발휘한다. 그의 작업의 근본적인 관심사는 경관과 도시, 생태가 교차하는 지점에 있으며 이러한 작업은 “기회주의적 다양성”과 “비정형적 창의성” 그리고“사회•환경적 책임감”의 세 가지로 요약된다. 그의 작업은 대규모 또는 소규모, 상업 또는 공공, 주거 또는 업무 등에 관계없이 모든 프로젝트는 각기 다른 자기만의 기회를 내재하고 있다는 믿음을 갖고 있으며, 혁신적이고 새로운 설계접근을 통해 이러한 기회를 포착하고 이끌어냄으로써 단순한 설계행위를 넘어서는 의미있는 작업을 추구한다. 하버드대학교 설계대학원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조경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뉴욕, 매사추세츠, 네바다주에 공식 등록된 미국 공인 조경가이며, 친환경전문자격증 LEED을 보유하고 있다.
  • Cha Tae Wook
    위기의 맵핑 _ 인식과 실체차태욱차태욱은 미국 공인 조경가이며 수퍼매스 스튜디오의 창립자이자 소장으로서 사무실 내의 모든 설계작업을 책임지고 있다. 미국을 근거지로 한 15년간의 국제적 설계경력을 통해 설계 및 프로젝트 운영, 시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리더십을 발휘한다. 그의 작업의 근본적인 관심사는 경관과 도시, 생태가 교차하는 지점에 있으며 이러한 작업은 “기회주의적 다양성”과 “비정형적 창의성” 그리고“사회•환경적 책임감”의 세 가지로 요약된다. 그의 작업은 대규모 또는 소규모, 상업 또는 공공, 주거 또는 업무 등에 관계없이 모든 프로젝트는 각기 다른 자기만의 기회를 내재하고 있다는 믿음을 갖고 있으며, 혁신적이고 새로운 설계접근을 통해 이러한 기회를 포착하고 이끌어냄으로써 단순한 설계행위를 넘어서는 의미있는 작업을 추구한다. 하버드대학교 설계대학원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조경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뉴욕, 매사추세츠, 네바다주에 공식 등록된 미국 공인 조경가이며, 친환경전문자격증 LEED을 보유하고 있다.
  • 도시숲법(안) 제정반대 토론회
    Debate: Oppositions to the Legislation of Urban Forest Law지난 12월 23일 과학기술회관에서 산림청의 ‘도시숲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정에 반대하는 ‘도시숲법(안) 제정반대 토론회’가 (사)한국조경학회 주최로 개최되었다. (사)한국조경학회 양홍모 회장의 인사말로 시작된 이번 토론회는 ‘조경영역인 도시공간의 공한지, 공공공지, 주택·공동주택, 병원·요양소, 공장·공단, 인공지반 등에 조성하여 관리하는 녹지를 도시환경숲으로 정의하고 산림청이 다루겠다’는 ‘도시숲법(안)’이 현행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및 기타 유관 법률과 중복되며, 조경영역인 가로조경과 학교조경도 가로숲, 학교숲으로 이름을 바꾸어 산림청 업무로 전담하겠다는 법안으로 조경 고유의 영역을 심각히 침해하므로 법 제정이 불가하다는 조경계의 공식입장을 명확히 밝힘과 동시에 조경인들의 강력한 대응을 천명하는 자리였다. 발제자로 나선 김한배 서울시립대 교수는 ‘도시숲법(안)은 침략적 법안이다’ 이라는 주제로 ‘도시숲법(안)’이 폐기되는 시점까지 조경인들의 단결된 총궐기를 독려하였고, 최신현 (주)씨토포스 대표이사는 ‘도시숲법(안)과 관련 법 비교’라는 주제로 ‘도시숲법(안)’이 현행법인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및 기타 유관 법률과 명백히 중복되기 때문에 법률제정 자체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심왕섭 세림조경건설(주) 대표이사도 ‘도시숲법(안)의 조경산업 업무영역 침탈’ 이라는 주제로 껍데기만이라도 상정하여 통과시킨 후 보완 내지 개정을 통하여 소기의 목적을 완수하고자 하는 산림청의 꼼수가 내포된 ‘도시숲법(안)’은 절대로 통과되면 안되는 법이라고 강조하였다.
  • Design Lecture Series IV
    그 네 번째 이야기 - 공존을 위한 디자인지난 12월 23일 대한상공회의소 지하 2층 의원회의실에서 ‘공존을 위한 디자인’이란 주제 아래 윤호섭 명예교수국민대학교 시각디자인과의 강연이 개최되었다. 이번 강연은 삼성에버랜드(주)E&A 디자인그룹그룹장 김준연이 주관한 Design Lecture Series의 마지막을 장식한 강연으로 2시간 동안 이루어졌다. 환경을 보전하고 회복하기 위한 근원적 해결책으로서의 그린디자인을 교육하고, 주로 폐품을 재활용한 작품 활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윤호섭 명예교수는 자신이 만든 작품과 그 속의 이야기로 강연을 이끌었다. 그는 ‘공존’을 이야기하기 위하여 아이티 지진사건 후에 있었던 자신의 일화를 먼저 전하였다. 당시 국제동물애호기금인 IFAW에서 도움을 달라는 메일을 받으면서 새로운 충격에 휩싸였다는 것이다. 당시 그 곳 사람들이 어려움을 겪을 것은 당연하게 떠올렸지만, 동물들도 어려움을 겪을 것이란 사실은 염두에 두지 않았다는 사실 때문이었다.
  • 한국의조경 40년, 변화와 혁신의 원년이 될 수 있기를
    2012년 한국조경은 40세의 중년기에 접어든다.인생을 생각하며 한참 열정적인 활동이 가능한 나이일 수도있겠지만, 어느덧 변화를 두려워하고 현재에 안주하고자하는 마음이 커지는 나이일 수도 있겠다. 전자의 경우라면아무 문제가 없겠지만 후자의 경우 변화에 대한 두려움으로기존의 관행과 타성에서 자의적으로 빠져나오기는 참으로어려울 것이다.다시 새해를 지나며 여전히 불안한 신년의 정세 속에서많은 기업들은 물론, 금융계, 정치계, 학계 등 다양한 분야의리더들이 ‘변화와 혁신’, ‘소통과 화합’을 2012년 기치로내걸었다. 빠른 시대의 흐름과 함께 사회가 각 전문분야에원하는 것도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이 크게작용하였음은 굳이 덧붙여 말할 필요가 없다.이에 더해 빠른 사회적 욕구만큼이나 세계화, 국제화,탈영역화 등으로 인한 치열한 경쟁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되었다. 이러한 불안정한 시장분위기와 치열한 경쟁 속에서살아남기 위한 생존전략으로 신년초부터 ‘끊임없는 혁신과변화’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조경분야도 그 흐름에 달리서있지는 않을 것이다.최근 모 그룹의 CEO가 강조했던 솔개의 이야기가화제다. 솔개는 약 70년의 수명을 누릴 수 있는데 이렇게장수하려면 약 40살이 됐을 때 구부러져 쓸모가 없어진부리를 바위에 깨고, 노화한 발톱을 뽑은 뒤 무거운 깃털을하나하나 뽑아내는 고통스러운 자기 시련의 과정을 거쳐제2의 생명을 얻는다고 한다. 혹독한 고통을 견뎌내고새로운 비상을 준비하는 솔개를 생각하며, 2012년 40년을맞는 한국조경의 현재를 떠올려 본다.
  • Hong, Eui Taek
    여행을 디자인하다.2012 내나라 여행박람회 예술감독 _ 홍의택 경원대학교 디자인학부 부교수PIDC 공공디자인혁신센터 센터장경기도 경관디자인 심의 및 자문교수문화체육관광부 공공환경디자인 자문위원 우리나라 구석구석의 여행지를 모두 묶은 ‘2012 내나라 여행박람회’가 2012년 1월 12일부터 15일까지 4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올해로 9회를 맞는 ‘내나라 여행박람회’는 매년 약 10만여 명의 관람객이 찾는 대형 박람회로, 전국 120여 개 이상의 지자체를 포함한 3백여 개 업체·단체가 참가해 대한민국 구석구석의 아름다운 여행지를 소개하여, 우리나라의 모든 여행지가 한 자리에 모이는 작은 한국의 메카이다. 올해 행사는 예년에 비해 한 달 앞당겨진 1월에 개최되어 사계절의 여행 계획을 세우려는 관람객들에게 좋은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12년 내나라 여행박람회가 특히 관심을 끄는 부분은 지역 특색을 살린 관광과 문화에 예술을 접목하여 전국 각지를 ‘문화와 예술’을 주제로 여행하며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함께 소개된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박람회장 전체가 예술과 문화의 공간으로 꾸며지며, 관람객의 여행 욕구를 자극할 수 있는 공간디자인 작업에 심혈을 기울일 방침이다. 또한 최근 신新여행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는 캠핑 여행, 섬 여행을 심도 있게 분석해 다양한 여행 방법과 여행 정보를 제시할 계획이며, ‘어린이와 갈 수 있는 관광테마관’ 등을 신설, 교육을 동반하는 여행 관련 콘텐츠를 선보일 예정이다. 그동안에는 국내 여행명소를 일방적으로 보여 주는 박람회였다면, 이번 박람회는 예술감독제도를 도입하여 전시장은 물론, 전시 컨텐츠도 뮤지컬, 오페라 등 예술 작품 같은 한층 품격 있고, 소통하는 박람회로 성장된 모습을 보여줄 것이다. 문화와 예술을 테마로 관광과 접목하는 이번 박람회에 예술 감독으로 발탁된 경원대학교 홍의택 교수를 만나보았다. 홍의택 교수는 이미 공공디자인과 지역 활성화 사업 등으로 본지에도 몇 차례 소개된 바 있으며, 군산 구도심, 포천 폐채석장 아트밸리 등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다수 참여한 바 있다.
  • 고정희의 식물이야기 18
    사람과 같이한 식물의 긴 역사 11 “식물들은 자신들의 이야기를 아주 오래 된 과거 속에 묻어두고 왔다. 그 이야기를 들으려면 우선 식물이 걸어 온 길을 되짚어 가야 한다. 그 끝은 아마도 신화의 시대일 것이다. 신화의 시대에 사람들은 식물이 들려주는 이야기에 귀를 기울였었다.” 연꽃 - 심청이 물에 빠져야 하는 이유 “꽃을 든 부처”유학시절, 첫 해의 설계 수업 시간이었다. 설계한 것을 벽에 걸어놓고 각자 설명하는 순서가 되었다. 내 순서가 되어 준비한대로 더듬거리며 설명을 했는데 교수님께서 뜻밖의 질문을 하셨다. 거기 저 나무가 왜 거기 서 있고, 저기 저 돌이 왜 저 자리에 있는지 이유를 알고 싶다고 하셨다. 막막했다. 그리고 약간 화가 났다. 나무가 거기서 있는 이유까지 말해야 하나. 지금이야 어린 학생들도 논술이다 뭐다 해서 논리가 정연하지만 우리 세대만 해도 ‘말없음표’가 미덕이었었다. 게다가 아직 독일어도 서투른 터여서 어떻게 대답을 했는지 기억도 나지 않는다. 진땀만 한 바가지 흘렸던 것 같다. 종일 그 일이 머리에서 떠나지 않았다. 왜 그런 질문을 하셨을까. 돌이 서 있는데도 이유를 알아야 하나. 서쪽과 동쪽의 사고 차이가 거대한 절벽처럼 다가왔다. 저녁 때 기숙사로 돌아 와 밤새도록 설명서를 썼다. 키워드가 하나 떠올랐기 때문이다. 염화미소染化微笑였다. “어느 날 영취산에서 석가모니가 제자들을 모아 놓고 설법을 하고 있을 때였다. 부처의 가르침에 귀 기울이고 있는데 하늘에서 갑자기 꽃비가 내렸다. 신기한 일이었다. 사람들은 그 기이한 일을 두고 수군거리기 시작했다. 조용하던 모임은 어느새 술렁임으로 소란스러웠다. 그때 석가모니는 바닥에 떨어져 쌓인 연꽃 하나를 사람들에게 들어 보인다. 다들 이 기이한 일과 스승의 행동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지 못해 어리둥절하였다. 그러나 가섭이라는 제자만은 미소를 지어 석가모니에게 답하였다.” 이것이 염화미소 혹은 염화시중의 미소다. 물론 내가 염화미소의 뜻을 이해했다는 것은 아니다. 다만 동양의 직관적 사고 체계와 서양의 변증법적 사고 체계의 차이점을 설명하려다보니 위의 사례가 떠올랐던 거였다. 저는 고국에서 이런 식으로 교육을 받아 이런 식으로 사물을 이해하는 방법 밖에는 모릅니다. 그러니 그 점을 감안하시고 앞으로 많이 지도해 주십시오. 라는 요지의 설명문이었다.다음 주 수업 시간에 교수님께서 내게 염화미소로 답을 주시는 것이 아닌가. 물론 꽃을 들어보이시지는 않았지만 내게 미소를 보내시며 고개를 끄덕이셨다. 아무 말씀도 없이. 나중에 교수님과 어느 정도 친해진 후에 들은 얘긴데 교수님께서도 내 설명문을 읽으신 후 자료도 찾아보시고 생각을 많이 하셨단다.
  • 위기를 기회로, 한국 조경의 선진화를 꿈꾸며
    이민우(사)한국조경사회 회장존경하는 조경 문화를 사랑하는 환경과조경 애독자, 그리고 친애하는 조경인 가족 여러분!희망찬 임진년의 새 아침이 밝았습니다. 새해에는 여러분의 가정과 직장에 행운과 건강이 함께 하길 바라며, 신년의 밝은 태양과 함께 우리 조경도 힘차게 도약할 수 있길 희망합니다.1990년대 후반 발생한 IMF 경제 위기를 극복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2008년 가을부터 본격적으로 노출된 지금의 미국발 경제 위기는 여전히 진행 중입니다. 세계화의 폐해로, 금융 체제의 탐욕과 붕괴로부터 시작된 경제 위기는 사그라지기는커녕 다시 그리스, 이탈리아, 스페인 등 유럽 국가들의 재정 위기로 더욱 심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여러 가지 원인들이 있겠지만 과중한 복지 정책의 부담으로 인한 국가 재정의 파탄도 그 이유 중 하나로 많이 거론되고 있습니다.진정한 복지란 과연 무엇일까요? 지금 세대에 당장 퍼주기만 하는 복지는 진정한 복지가 아닙니다. 다음 세대를 위한 복지가 바로 지속가능한 복지이며 진정한 복지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가 후대에게 물려줄 환경에 대한 투자는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합니다. 미래 환경의 기반시설은 지금 투자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 조경인들은 진정한 복지를 구현하는 구성원이라고 자부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저탄소 녹색 성장 시대의 한 축으로서 녹색 기반그린인프라을 조성하는 중요한 임무를 수행하는 고귀한 일꾼들입니다. 우리 모두 당당히 ‘환경 복지, 녹색 복지, 조경 복지’의 구성원으로 가슴 펴고 삽시다.요즈음 건설 분야는 깊은 침체의 늪에 빠져 있으며 조경 분야 또한 가장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습니다. 설상가상으로 ‘건축’, ‘환경’, ‘생태’, ‘경관’, ‘도시숲’, ‘공공디자인’ 등의 이름으로 조경 분야의 정체성을 훼손하려는 움직임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며 이런 현상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입니다. 실제로 우리가 하는 하나하나의 일들이 제도적인 뒷받침이 미흡해 다른 이름으로 사라진다면 우리가 ‘조경’이란 이름으로 할 수 있는 일들이 무엇이 있을까요? 조경 산업의 현장이 위축된다면 ‘조경학과’란 이름이 유지될 수 있는 대학은 얼마나 될까요? 조경 관련 단체들이 하나가 되어 ‘조경’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조경인 여러분께서도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주시고 전폭적인 지원을 부탁드립니다.경제 위기는 지금까지 비교적 안정적 아니 한동안은 폭발적 성장세를 보였던 조경계에 스스로를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있습니다. 이미 IMF 경제 위기 때부터 최근까지 많은 현황 진단과 대안이 제안된 바 있습니다만, 공급의 과잉에 따른 내부적 잠재 요인은 해외 경제 위기에 따른 파괴력이 더해져 상당 기간 조경계를 뒤흔들 것입니다. 조경의 전문성, 대외적 경쟁력을 어떻게 향상해 갈 것인가를 진지하게 성찰하고, 실행에 집중해야 할 때입니다. 현상을 정확히 진단하고 바꾸려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야 합니다. 국토해양부에서 추진 중인 건설 산업 선진화를 위한 로드맵에도 조경 분야의 목소리는 제대로 담고 있지 못하고 있습니다. 1970~80년대 해외 건설 시장에서 습득한 조경의 노하우는 과연 어디에 남아 있습니까? 우리가 건축, 도시 계획, 토목 등 건설엔지니어링에 기대며 살아갈 순 없습니다. 국제적 설계 기준, 시방서, 계약 관리, 유지 관리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발전시켜서 우리 여건에 맞게 제정해야 합니다. 대학에서 습득해야 할 전문 지식에 대한 요구 사항도 규정해야 합니다. 이외에도 한국 조경의 선진화를 위해 차세대 조경인들을 위해 해야 할 일이 많습니다. 조경 산업의 선진화를 위해 전력을 다해야 합니다. 국토의 자연, 도시 환경 속에서 조경의 핵심적 가치인 지속가능한 경관을 창출하는데 조경인들께 다양한 역할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조경 산업에서 뿐만 아니라 많은 조경인들이 도시연대, 환경운동연합, 서울그린트러스트, 한국내셔널트러스트, 아름지기, 생명의 숲 등의 시민단체에서도 여러 가지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다함께 조경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는 기회를 갖고 희망의 꿈을 꾸어 봅시다. 다 같이 꾸는 꿈이 하나씩 실현되는 2012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Our devoted readers and dear landscape architects!It’s the very first morning of a new year, 2012. We truly wish that you continued success and good health in the years ahead, and also hope that people in landscape architecture take a powerful step with the bright sunshine of a new year. An economic crisis from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since autumn, 2008 is still in progress. Far from decreasing situations, lots of European countries including Greece, Italy and Spain get more deeply involved day by day. While there are other causes, overburdened wealthy policy is mostly the primitive problem of the bankruptcy of national economy. What is the public welfare? We think of the real meaning of the public welfare is the sustainable welfare management for the next generation, not for the present. Therefore, we are confident that landscape architects are elements for creating the real welfare management. Valuable workers have important assignment to create green infrastructure and live confidently with positive minds about ‘environmental welfare’ and ‘green welfare’. As construction fields sunk into a swamp of stagnation, we also have a very difficult time now. To top it all, various titles such as ‘architecture’, ‘environment’, ‘ecology’, ‘scenery’, urban forest’, ‘public design’ and etc. make an attempt to damage an identity of landscape architecture fields. The serious problem is that this situation will continue for so long years to come. Many organizations related to landscape architecture becoming one are trying to keep an identity of landscape. We gently ask for the wholehearted supports with continued interests.An economic crisis gives us an opportunity to be spotlighted landscape fields which have sustainable growth or tremendous popularity. It is the time to take time for introspection and have a focus on carrying out how we can improve internal and external competitiveness and professionalism. Furthermore, we need to change and diagnose the current situation. There are lots of things to do for the next landscape architects with advanced technology for landscape fields in Korea. Do our best for the next future.The expectation is lay on various roles to landscape architects to create sustainable scenery which is the core worth of landscape. Let’s have a hopeful dream to reconsider landscape fields once more. Finally, we wish that dreams are becoming true with our dearest hopes one by one in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