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도면으로 말하기, 디테일로 짓기] 스카이데크
    길이 150m의 스카이데크 제시한 도면은 그룹한이 설계하고 2016년 준공한 시흥 배곧생명공원의 스카이데크(skydeck)상세도다. 공원 초입부터 중심 공간인 해수연못까지 거닐며 주변 바다 경관을 감상할 수 있도록 길이 150m, 2층 구조의 스카이데크를 설계했다. 대상지가 매립지여서 나무를 많이 심을 수 없었기에, 스카이데크 하부를 휴게 공간으로 계획해 부족한 그늘을 제공했다. 공모전 단계(시흥군자배곧신도시 개발사업 조경설계공모)에서 제안한 시설물 디자인을 바탕으로 구조 전문가와의 협의를 거쳤다. 기초 형식을 비롯한 배근, 골조, 자재 규격과 공법 등 세부 요소를 결정해 도면에 풀어냈다. H형강으로 기본 뼈대를 만들고 구조용 각관으로 세부적 틀을 잡았다. 주요 마감재는 목재(멀바우)를 기본으로 하되 기둥에 석재(개비온)를 적용했으며, 스카이데크를 수평적으로 가로지르는 난간은 유리로 만들어 다양한 물성의 조화를 추구했다. 매립지의 대형 구조물 배곧생명공원은 바닷가 매립지에 조성된 공원으로, 지반 침하와 바람 등 해양 환경을 고려해 설계됐다. 성토된 매립지의 지반은 연약하기 때문에 일정 기간 안정기를 거쳐도 계속 침하 현상이 발생한다. 대형 구조물을 설치하기에 매우 불리한 조건이다. 기초 공법으로 자중과 지내력을 활용하는 매트 기초를 적용했다. 부등 침하와 풍력의 영향을 분산하고자 구간마다 신축이음(expansion joint)을 두었다. 2층 유리 난간이 받는 풍력과 상부 구조물의 하중, 사람들의 이동에 따른 활동 하중 등을 고려해 기초의 두께와 배근, 기둥 간격 등의 제원을 결정했다....(중략)... *환경과조경377호(2019년9월호)수록본 일부 김기천은 서울대학교를 졸업한 후 그룹한에 입사하여 현재 전략디자인본부를 이끌고 있다. 조경 이론과 담론이 왕성하던 2000년대 초부터 여러 설계 이슈에 그룹한의 고민들을 담아내며 다양한 유형의 공공 오픈스페이스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다. 최근에는 프로젝트의 스케일을 다양화하며 설계가의 고민을 공간에 구현하는 접근 방식에 관심이 많다. 주요 작업으로는 서울대공원 재조성 국제 설계공모, 시흥 배곧생명공원, 영천 렛츠런파크, 양평 현대 연수원 블룸비스타 등이 있다.
    • 김기천
  • [그리는, 조경] 경관을 새롭게 상상하기
    색종이, 사진, 헝겊 같은 여러 재료의 조각을 한데 조립해 새로운 이미지를 만드는 기법을 콜라주collage라고 한다. 사진이 재료가 된 경우 포토몽타주photomontage라고도 부른다.1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재료를 자유롭게 조립해보면 스케치로는 그려내기 힘든 경관의 특성을 발견할 수 있다. 기초 디자인 교육에 종종 콜라주와 몽타주(이하 콜라주)가 포함되는 이유는 디자인하고 있는 경관의 겉모습을 사실처럼 그리기보다 다소 느슨하게, 말하자면 구상과 비구상 사이를 오가며 핵심 아이디어와 경관의 분위기를 상상해보기 위해서다. 콜라주 기법으로 여러 드로잉을 그려낼 수 있지만 투시도의 형식을 빌릴 때가 많다. 지금은 포토샵과 일러스트레이터로 대표되는 그래픽 소프트웨어를 통해 투시도가 제작된다.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다양한 식물과 인물 재료, 기존의 사진 재료 등을 조립해 작품 사진처럼 보이는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소프트웨어가 상용화되기 전에는 손으로 투시도를 그렸다. 이 연재에서 계속 살펴보았듯, 윌리엄 켄트처럼 한 가지 색으로 스케치하거나 험프리 렙턴과 프레드릭 로 옴스테드처럼 공들여 색을 입히기도 했다. 지금부터 설명하겠지만, 콜라주 기법으로 투시도를 그리기도 했다. 콜라주된 경관 1980~1990년대의 조경가들은 콜라주를 통해 경관을 새롭게 시각화하고자 했다. 새로운 방식은 새로운 인식을 동반했다. 조경이 그간 디자인해 온 아르카디아적arcadian 자연, 즉 18세기 풍경화식 정원과 19세기 중반 옴스테드의 센트럴파크가 구현했던 목가적이고 전원적인 자연을 벗어나 도시 경관을 포함하는 인공적 자연을 긍정하기 시이브 브뤼니에Yves Brunier(1962~1991)가 로테르담의 뮤지엄파크Museumpark를 설계하면서 선보인 콜라주는 사진, 과슈, 오일 파스텔, 잉크, 은박지, 와이어 메시 등 혼합 매체로 제작됐다. 사과나무 수피가 하얗게 채색되어 인공 자연처럼 보이는 게 인상적이다(그림 1과 2).2 아드리안 회저Adriaan Gueze(1960~)의 초기 작업인 로테르담 쇼부르흐플라인Schouwburgplein의 콜라주는 광장과 도시의 모습을 과장, 왜곡, 병치해 그려낸 투시도로, 광장이 지닌 도시적 맥락과 역동성을 효과적으로 보여준다(그림 3). 조경 설계가 더 이상 인간의 손때가 묻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자연을 만드는 작업이 아니라 도시의 맥락을 고려한 인공 자연을 만드는 실천이라 여기는 그의 인식이 반영되어 있다.3...(중략)... *환경과조경377호(2019년9월호)수록본 일부 1. 콜라주는 풀칠하다, 붙이다, 조립하다의 뜻을 지닌 프랑스어collage에서, 몽타주는 조립하다를 뜻하는 프랑스어monter에서 유래했다(https://www.oxfordlearnersdictionaries.com/). 2. 이 프로젝트를 함께한 렘 콜하스는 브뤼니에가 “자연을 짓밟거나(rape) 자연의 속성을 벗겨내 표현의 대상으로 바꾸고 싶어 하는 것” 같았다고 회상한다. Odile Fillion, “A Conversation with Rem Koolhaas”, Yves Brunier: Landscape Architect , Michel Jacques, ed., Basel: Birkhauser, 1996, pp.89~90. 3. Adriaan Geuze, “Introduction”, West 8 , Luca Molinari, ed., Milano: Skira Architecture Library, 2000, pp.9, 10, 12. 이명준은 서울대학교 조경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받았다. 조경 설계와 계획, 역사와 이론, 비평에 두루 관심을가지고 있다. 박사 학위 논문에서는 조경 드로잉의 역사를 살펴보면서 현대 조경 설계 실무와 교육에서 디지털 드로잉이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했고, 현재는 조경 설계에서 산업 폐허의 활용 양상, 조경 아카이브 구축, 20세기 전후의 한국 조경사를 깊숙이 들여다보고 있다. ‘조경비평 봄’과 ‘조경연구회보라(BoLA)’의 회원으로도 활동한다. 자료출처 그림 1. Charles Waldheim and Andrea Hansen, eds., Composite Landscapes:Photomontage and Landscape Architecture, Charles Waldheim andAndrea Hansen, eds., Ostfildern: Hatje Cantz Verlag, 2014, p.159. 그림 2. 같은 책, p.160.
  • [공간의 탄생, 1968~2018] 2010년대 공간의 탄생, 자연의 도시화
    길을 만들어라 지난 달에는 한국 도시화 50년의 세 번째 공간 사례로 지방의 도시화를 행정중심복합도시와 혁신도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번에는 네 번째 사례로 2010년대 자연의 도시화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자연과 자연의 도시화에 대한 개념적 이해로부터 시작하고자 한다. 자연自然, nature은 사람의 힘이 더해지지 아니하고 세상에 스스로 존재하거나 우주에 저절로 이루어지는 모든 존재나 상태를 뜻한다.1다시 말해 자연은 사람의 힘, 즉 인공으로 조성된 건조 환경과 대비되는 공간, 환경 또는 영역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 같은 관점에서 자연의 도시화는 사람이 인위적으로 개입하지 않았거나 설령 개입을 했더라도 그 정도가 크지 않았던 공간, 환경 또는 영역에서 일어나는 도시화라 할 수 있다. 2010년대 자연의 도시화는 역설적으로 당시 자연 이외의 지역이 도시화가 더 진전되기 어려울 만큼 충분히 성숙되어 있었다는 점을 시사한다. 1970년대 농촌의 도시화, 1980~1990년대 근교의 도시화, 2000년대 지방의 도시화로 인해, 2010년을 전후로 도시화가 진행될 수 있는 인공적 영역이 남아있지 않았다. 더욱이 당시에는 세계적으로 자원 고갈, 기후 변화, 지속 가능 개발, 녹색 성장 등 인간과 자연의 미래 지향적 관계 설정에 대한 논의가 뜨거웠다. 같은 맥락에서 흥미롭게도 과거 현대건설의 사장이었으며 서울시장으로서 청계천 복원 사업을 진두지휘한 장본인이 대통령으로 선출됐다. 이명박 정부(2008~2013)는 대통령 선거에서 한반도 대운하 건설, 747공약(연평균 7% 성장, 1인당 소득 4만 불, 세계 7대 강국 진입) 등 대규모 토목 사업 및 고도 경제 개발을 핵심 공약으로 제시했다. 하지만 대통령 당선 이후, 2008년 세계 경제 위기 속에서 한반도 대운하 건설은 경제적·생태적 관점에서 많은 비판을 받았다. 그리하여 이명박 대통령은 2008년 건국 60주년 광복절 경축사 연설에서 저탄소 녹색 성장을 국정의 비전이자 핵심 기조로 천명했다. 한반도 대운하 건설은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변모해 임기 중에 추진됐다. “본 의원은 한강과 낙동강을 연결하는 운하를 건설할 것을 제의하는 것입니다. 낙동강과 한강, 540km 강을 준설하고 두 강의 가운데를 조령의 해발 140m 고지에 20.5km의 터널을 하여 연결하게 되면 경부운하가 건설이 될 것입니다. 이제 수문과 적당한 댐을 설치하게 되면 수위를 조절하여 5,000톤의 바지선이 부산을 거쳐 인천까지 갈 수가 있습니다. 경제적으로나 기술적으로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2 “저는 신년연설을 통해 ‘전국 곳곳을 자전거 길로 연결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4대강 살리기 사업이 마무리되는 2012년이면 한강·금강·영산강·낙동강 물줄기를 따라 약 2,000km에 이르는 자전거길이 만들어집니다. 그때가 되면 목포에 사는 젊은이가 영산강을 출발해 금강을 거쳐 서울에 오고, 서울에서 출발한 청소년들이 강바람을 가르며 한강과 낙동강을 거쳐서 부산까지 갈 수가 있습니다. 자전거를 통해 동·서와 중·남부가 통해서 사람들도 동서남북으로 다 통하는 세상이 될 것입니다.”3 13년의 세월을 사이에 둔 이명박 대통령의 두 발언을 보면서, 한반도에 물길 대신 자전거길이 만들어졌다고 하면 지나친 표현일까? 우리에게 길이란 과연 무엇이며, 2010년대에 왜 그토록 길을 만들고자 했는가....(중략)... *환경과조경377호(2019년9월호)수록본 일부 1. “자연”, 표준국어대사전, 2019년 8월 10일 접속(https://ko.dict.naver.com/#/entry/koko/c413f4f2bd48406eb455 361de527dca0). 2. 1996년 7월 18일에 열린 국회 제8회차 본 회의 이명박 의원의 발언 일부. 『이명박정부 국정백서: 2008.2~2013.2. 7, 녹색뉴딜 4대강 살리기와 지역상생:국토』, 문화체육관광부, 2013, p.65. 3. 이명박, “제13차 라디오 연설, 4대강 따라 열리는 자전거길”, 2009, 대통령기록연구실, 2019년 8월 10일 접속(http://pa.go.kr/research/contents/speech/index.jsp). 김충호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도시설계 전공 교수다.서울대학교 건축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 워싱턴대학교 도시설계·계획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삼우설계와 해안건축에서 실무 건축가로 일했으며, 미국의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와 워싱턴 대학교, 중국의 쓰촨 대학교, 한국의 건축도시공간연구소에서 건축과 도시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했다. 인간, 사회, 자연에 대한 건축, 도시, 디자인의 새로운 해석과 현실적 대안을 꿈꾸고 있다.
  • [이미지 스케이프] 버드 아이 뷰
    창가? 복도? 여러분은 어떤 선택을 하나요. 고속버스나 기차, 비행기를 탈 때 한 번쯤은 고민합니다. 꼭 짜장면이냐 짬뽕이냐 같은 선택. 가방을 짐칸에 올리거나 화장실 가기엔 복도 쪽이 더 편하긴 한데, 저는 창밖 풍경을 보는 걸 좋아해서 주로 창가를 선택합니다. 날이 좋으면 좋은 대로, 흐리면 흐린 대로, 비가 오면 비 오는 대로 다 보는 맛이 있거든요. 운이 좋은 날에는 멋진 일몰이나 무지개도 볼 수 있습니다. 드론으로 찍은 거예요? 요즘 경관자원조사 드론 사진을 SNS에 계속 올렸더니 이번 사진에도 이런 댓글이 달렸더군요. 이 글을 읽는 분 중에도 드론 사진이라 생각한 분이 있을 겁니다. 좀 허무하긴 하지만 이번 사진은 비행기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그러니까 좀 큰 새(?)의 눈으로 본 풍경인 셈입니다. 아마 드론으로는 이런 높이에서까지 찍기 어려울 거예요....(중략)... *환경과조경377호(2019년9월호)수록본 일부 주신하는 서울대학교 조경학과를 거쳐 같은 학과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토문엔지니어링, 가원조경, 도시건축 소도에서 조경과 도시계획 실무를 담당했고,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원예생명조경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조경 계획과 경관 계획에 학문적 관심을 두고 있다.
  • [에디토리얼] 맥하그의 유산
    1969년은 현대 조경사의 분수령이다. 분야의 혁신과 영역의 확장을 이끈 새로운 조경 전도사이안 맥하그Ian L. McHarg(1920~2011)가『디자인 위드 네이처(Design with Nature)』를 출간한 1969년을 기점으로 조경 이론과 실천은 변화의 함수를 그려나가기 시작한다. 출간 50주년을 맞은 2019년, 미국 조경학계는『디자인 위드 네이처』를 재조명하고 맥하그가 현대 조경에 남긴 유산을 재평가하는 작업으로 분주하다. 책의 산실인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 맥하그 센터(The McHarg Center)가 설립되어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전시회를 기획했다. 지난 6월에는 대규모 컨퍼런스가 열렸고, 오는 10월에는 그의 거대한 그늘 속에서 성장과 탈주를 거듭해 온 이론가와 조경가들이 모여 함께 집필한 책, 『디자인 위드 네이처 나우(Design with Nature Now)』가 우리 앞에 놓일 예정이다. 학과 도서실 책장 한구석에서『디자인 위드 네이처』 초판본을 꺼내 다시 펼쳐본다. 50년이 흐른 지금, 이 책이 제시한 철학과 방법론은 이제 선택지가 아닌 당위이고 변수가 아닌 상수다. 자연환경의 여러 요소와 시스템을 면밀히 조사·분석하고 그 결과를 중첩해 적지를 찾아내는 방법은 오늘날의 계획에서는 당연한 절차지만 1960년대에는 가히 혁명적인 것이었다. 자연과 싸워 자연을 이겨내는 역사를 일구어 온 인간이 비로소 그 결과에 대해 반성하고 미래의 어두운 그림자를 알아채기 시작한 1960년대 말, 맥하그의 생태 계획은 환경 문제에 대한 자각과 새로운 인식을 낳은 시대정신과 맥과 결을 같이 하는, 당시로서는 최첨단의 발상이었던 셈이다. 맥하그를 기점으로 조경은 변신 프로젝트에 돌입했다. 그 동력은 생태학이라는 이름의 과학이었다. 맥하그는 생태학의 힘을 빌려 조경과 조경 교육을 과학화했다. 뿐만 아니라 조경이 단지 왕후장상이나 자본가의 정원 뒤치다꺼리를 넘어 환경 문제의 해소에 기여함으로써 사회적 역할을 행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실험했다. 조경 전문업의 영토를 확장하고 조경만의 전문 기술로 광역 계획을 컨트롤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을 수 있었다. 모더니즘 시대에 정체된 조경의 탈출구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맥하그식 생태 계획은 조경에서 포스트모던한 사고의 등장을 알리는 징후이기도 했다. 그럼에도 맥하그의 접근 방법이 환경결정론, 즉 또 다른 형태의 인간-자연 이원론이라는 부정적 평가는 이미 그의 전성기에도 팽배했다. 도구주의적 자연관을 극복하고자 한 시도였음에도 불구하고 자연과 인간 문화의 역동적 접점을 소홀히 여겼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맥하그의 유산은 조경의 과학-예술 이분법을 심화시킨 혐의를 피하기 어렵다. 폭넓은 생태학의 가능성을 경직된 과학 일변도로 몰아감으로써 생태학에 담긴 상상력이나 창조성과 같은 측면을 위축시켰다는 것이다. 조경의 과학화는 디자인의 침체를 낳았고, 조사, 분석, 설계의 일방향 프로세스는 형태의 디자인과 결코 교점을 갖기 어려웠다. 『디자인 위드 네이처』는 조경의 지향과 방법론을 바꾼 이론이자 동시에 사회적 영향력을 탑재한 실천이었다. 맥하그의 유산은 오늘의 토론을 초대한다. 현대 조경을 화장술의 굴레로부터 해방시킨 진보의 토양인가, 현대 조경의 진행 방향을 뒤흔든 이단인가. 평가는 엇갈리지만, 적어도『디자인 위드 네이처』가 현대 조경 이론사의 서막을 열었다는 점만큼은 부인하기 어려울 것이다. 도시의 시스템을 경관으로 매개하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landscape urbanism)의 배경에도,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회복탄력적(resilient)설계의 이면에도 맥하그가 자리하고 있다. ‘1969년 이후의 조경이론’이라는 제목으로 10년 넘게 이어가고 있는 대학원 세미나에서 한 박사과정 학생이 제출한 글의 마지막 문단을 옮긴다. “변화하는 동시대 조경에 맥하그는 언제나 새로운 문제를 던진다. 우리에게 맥하그는 거대한 그림자다. 숲에 드리워진 어두운 그림자가 아닌, 한 발짝씩 앞서 걸어가는 족적처럼 안심을 주는 그림자다. 강렬한 햇빛에 반사되어 쳐다보기도 힘든 정오의 땅 위에, 옅은 그림자는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하나의 길을 제시하지 않는가. 한 발자국 걸어 나갈 방향을 잡아준다는 점에서 맥하그의 생태적 조경관은 오래된 이정표와 같다. 이 이정표의 올바른 사용법은 우리가 계속 고민할 문제일 것이다”(신명진). 이번 호에는 뢰번 가톨릭 대학, 런던 대학, 글레스고 대학, 텍사스 대학 등 최근의 캠퍼스 프로젝트를 모아 싣는다. 대학 캠퍼스와 도시 공간의 함수 관계가 흥미롭다.
  • [도면으로 말하기, 디테일로 짓기] 식재 설계
    식재 설계, 도면으로 말하기 살아 있는 생물인 수목이 가지는 특징, 삼차원 사물의 이차원적 표현, 식물에 대한 서로 다른 이해와 감성, 취향의 차이 등으로 인해 명확한 규격이 없는 데다가 시간에 따라 변하기까지 하는 식물을 확정된 도면으로 말하기란 매우 어렵다. 기본적으로 표현되는 식재 위치와 규격, 물량 정보 외에 설계 의도를 노트나 삽도를 통해 짤막하게라도 언급하면, 시공자는 비교적 수월하게 공사를 진행할 수 있고 설계자도 원하는 결과를 얻게 된다. 이번 연재에서는 식재 설계에 관한 방법론보다 식재 설계 내용을 시공자에게 도면으로 말하는 방법을 이야기하고자 한다....(중략)... *환경과조경376호(2019년8월호)수록본 일부 김기천은 서울대학교를 졸업한 후 그룹한에 입사하여 현재 전략디자인본부를 이끌고 있다. 조경 이론과 담론이 왕성하던 2000년대 초부터 여러 설계 이슈에 그룹한의 고민들을 담아내며 다양한 유형의 공공 오픈스페이스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다. 최근에는 프로젝트의 스케일을 다양화하며 설계가의 고민을 공간에 구현하는 접근 방식에 관심이 많다. 주요 작업으로는 서울대공원 재조성 국제 설계공모, 시흥 배곧생명공원, 영천 렛츠런파크, 양평 현대 연수원 블룸비스타 등이 있다.
  • [그리는, 조경] 하늘에서 내려다보기
    한눈에 아래를 내려다볼 수 있는 전망대는 관광지의 인기 장소다. 지상을 거닐다 같은 장소를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면 묘한 감정에 휩싸인다. 아등바등 치열히 살아가던 삶이 미니어처가 되어버린 광경을 보고 누군가는 인생의 덧없음을 느낄 것이다. 또 누군가는 마침내 이곳을 모두 보았다는 성취감에 뿌듯할지도 모른다. 후자의 감정은 높은 곳에서 장소를 내려다보는 행위가 지닌 우월감과 뒤섞여 있다. 전망의 특권, 그것은 장소에 대한 소유와 지배의 감각과도 연결된다. 하늘에서 내려다보는 시점, 즉 공중 뷰(aerial view)는 생활 곳곳에 침투해 있다. 전망 좋은 음식점이나 아파트 등의 실제 공간은 물론이고, 각종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영상 지도 서비스 같은 시각 이미지를 통해서도 우리는 새의 시점, 즉 조감(bird’s eye view)의 주체가 된다(그림 1). 이 시점은 움직이기도 한다. 자연과 도시를 항공 촬영한 다큐멘터리, 게임, 영화, 각종 모델링 소프트웨어의 플라이스루(flythrough)는 세상을 내려다보면서 항해하는(navigating)희열을 제공한다. 조경 설계와 계획에서도 공중 뷰가 자주 이용된다. 항공 사진과 위성 사진을 이용해 대상지와 주변의 현재 상황을 이해하고 보이지 않는 여러 경관 데이터를 지도로 만들어(mapping)대상지와 관련한 정보를 한눈에 파악하기도 한다. 도시 스펙터클로서 공중 뷰 항공 사진은 도시와 자연 경관에 대한 스펙터클(spectacle)을 제공하고, 그리하여 경관 설계와 계획에도 자주 활용되어 왔다. 최초의 항공 사진은 1858년 프랑스 사진가이자 열기구 조종사였던 가스파르 펠릭스 투르나숑(Gaspard-Felix Tournachon)(1820~1910, 일명 나다르Nadar)이 열기구에 탑승해 파리 시가지를 촬영한 것이다. 십 년 후 나다르가 포착한 파리의 공중 뷰는 오스만(Haussmann)의 파리 도시 개조 프로젝트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그림 2). 개선문을 중심으로 시원하게 뻗은 방사선의 대로, 하수관, 공원, 토목 구조물을 포함하는 도시 인프라스트럭처의 질서와 이들의 관계를 짐작하게 한다.1 같은 시대 도시의 공중 뷰는 손으로도 그려졌다. 공중 뷰는 높은 곳에서 바라본 시점이므로 작은 공간보다 대규모 도시를 바라보고 시각화하는 데 적절했다. 높이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더 넓은 장소를 한눈에 볼 수 있었다. 카메라 발명 이전에도 이미 인간은 하늘에 올라 도시를 내려다보았다. 18세기 후반 인간은 열기구를 타고 하늘에 올라 도시를 조감했다(그림 3). 도시가 발전하면서 도시 조감도도 많이 생산되었다. 공중 뷰는 도시를 시각화하고 대중에게 소비되는, 말하자면 도시를 향유하는 방법 중 하나였다. ...(중략)... *환경과조경376호(2019년8월호)수록본 일부 각주 1.Charles Waldheim, Landscape as Urban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배정한·심지수 역,『경관이 만드는 도시: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이론과 실천』,도서출판 한숲, 2018, p.175. 이명준은 서울대학교 조경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받았다. 조경 설계와 계획, 역사와 이론, 비평에 두루 관심을가지고 있다. 박사 학위 논문에서는 조경 드로잉의 역사를 살펴보면서 현대 조경 설계 실무와 교육에서 디지털 드로잉이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했고, 현재는 조경 설계에서 산업 폐허의 활용 양상, 조경 아카이브 구축, 20세기 전후의 한국 조경사를 깊숙이 들여다보고 있다. 가천대학교와 원광대학교,서울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조경비평 봄’과 ‘조경연구회보라(BoLA)’의 회원으로도 활동한다.
  • [공간의 탄생, 1968~2018] 2000년대 공간의 탄생, 지방의 도시화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개발 전후 지방을 살려라 지난 연재에서 한국 도시화 50년의 두 번째 공간 사례로 근교의 도시화에 대해 1기 신도시와 200만 호 건설 계획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번 연재에서는 세 번째 사례로 2000년대 지방의 도시화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지방과 지방의 도시화에 대한 개념적 이해로부터 시작하고자 한다. 지방地方, province은 구체적으로 1) 어느 방면의 땅 2) 서울 이외의 지역 3) 중앙의 지도를 받는 아래 단위의 기구나 조직을 중앙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을 뜻한다.1 다시 말해 지방은 서울, 수도권 또는 중앙 등에 대한 상대적 개념으로 서울 이외, 수도권 이외 또는 중앙 이외의 지역으로 정의 내릴 수 있다. 흥미로운 것은 지방이라는 개념이 우리에게는 상당히 익숙하지만, 미국 같이 주별 또는 지역별 자치권이 분명한 연방 국가에서는 낯선 편이어서 이를 설명하거나 번역하기 쉽지 않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지방의 도시화는 서울 이외의 지역에서 일어나는 도시화라 할 수 있다. 2000년대 지방의 도시화는 역설적으로 서울과 서울 이외 지역의 도시화에 커다란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2000년대에 이르면서 중앙 정부는 더 이상 서울과 지방의 도시화 격차를 묵과할 수 없게 되었다. “말은 나면 제주도로 보내고, 사람은 나면 서울로 보내라”는 옛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울 중심의 절대적 공간 패권은 1962년 이후의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나타나게 되었다.2 이와 같은 서울의 과밀 및 국토 불균형 문제는 1970년대 초반부터 국가의 중요한 공간 정책으로 다루어지기 시작하는데, 1971년 7월 도시계획법 상에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일부 지역에 지정된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greenbelt)이 그것이다. 급기야 1977년에 이르러서 박정희 정부는 ‘행정수도 건설을 위한 백지계획’을 추진했으나,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의 서거 이후 사실상 용도 폐기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행정수도의 흐름은 서울, 과천에 이은 제3청사로서 대전정부청사의 1993년 착공과 1998년 입주로 이어졌다. 마침내 행정수도의 본격적인 건설 흐름은 2002년 12월 19일에 치러진 16대 대통령 선거에서 중요한 정치적 의제로 작동했다. 당시 노무현 대통령 후보는 2002년 9월 30일 대중앙선거대책본부 출범식에서 낡은 권위주의 정치 청산, 부정부패의 특권주의 근절, 서민 생활 안정 및 지속적인 경제 발전에 이어 네 번째 핵심 공약으로 충청권에 행정수도 건설 및 청와대와 중앙부처의 이전 등을 천명했다. “국민들은 저에게 요구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권위주의 정치와 특권주의의 청산, 서민 생활의 안정과 지속적인 경제 발전, 그리고 남북 평화 체제 구축을 통한 희망찬 새 시대를 열어 달라는 것입니다. 저는 분명히 약속합니다. … 넷째, 한계에 부딪힌 수도권 집중 억제와 낙후된 지역 경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 충청권에 행정수도를 건설, 청와대와 중앙 부처를 옮겨가겠습니다. 수도권 집중과 비대화는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국가적 결단이 필요합니다. 고속철의 건설과 정보화 기술의 발전, 청주국제공항 등은 행정수도 건설의 여건을 성숙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청와대 일원과 북악산 일대를 서울 시민에게 되돌려 줌으로써 서울 강북 지역의 발전에 새 전기를 마련하겠습니다.”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지방혁신도시의 시작과 경과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지방혁신도시의 시작은 주지한 바와 같이 수도권 과밀과 이로 인한 국토 불균형의 문제에 있었다. 이에 노무현 정부는 국가 균형 발전을 위한 지방 분권 정책을 강력하게 시행하고자 했으며, 실제로 노무현 정부의 초기 신행정수도 구상에는 청와대를 비롯한 중앙 부처의 선제적 이동과 사실상 천도 수준의 행정수도 건설이 포함되어 있었다. 노무현 정부는 신행정수도의 건설에 따른 서울 및 수도권, 그리고 야당 등의 예상되는 저항에 대한 돌파구로서 일반법에 우선 적용되는 여러 특별법을 제정·공포했다. 이로 인해 ‘국가균형발전 특별법’(2004), ‘신행정수도의 건설을 위한 특별조치법’(2004), ‘지방분권특별법’의 ‘국가균형발전 3대 특별법’(2007)뿐만 아니라,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른 혁신도시 건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2007)도 제정·공포됐다.4 하지만 이같은 특별법은 오히려 헌법소원의 제기를 통해 정국을 혼돈으로 몰아넣었으며, 정권 유지마저 위태롭게 만든 법적·정치적 공방을 여러 차례 불러일으켰다. 2004년 10월 21일 ‘신행정수도건설을 위한 특별조치법’(2004)은 관습 헌법에 위배된다는 이유로 헌법재판소로부터 위헌 확인 결정되었으며, 2005년 3월 2일에는 국회 본회의 의결을 통해 신행정수도는 행정중심복합도시라는 새로운 명칭으로 추진되게 되었다. 2005년 6월 15일 ‘행정중심복합도시법’에 대한 새로운 헌법소원이 다시 제기되었으나 각하 결정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명박 정부(2008~2013) 출범 이후에는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자족 기능 보완을 명분으로 행정중심복합도시를 무력화하는 수정안이 제기되기도 했다. 당시 유력한 대권 후보였던 정운찬 국무총리와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 사이에 정치적 갈등이 상당했으며, 국회 본회 의의 표결 대결로 이어졌으나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원안 고수가 결정되었다.5 ...(중략)... *환경과조경376호(2019년8월호)수록본 일부 각주 정리 1. “지방”, 표준국어대사전, 2019년 7월 10일 접속 (https://ko.dict.naver.com/#/entry/koko/e4c96df44eca4b29905888450e47be18). 2. 김충호, “한국 도시화의 거시적 현황, 쏠림 현상”, 『환경과조경』 2019년 2월호, p.108~115. 3. 저자 미상, “노무현 후보 선대위 출범식 연설문 전문”, 「오마이뉴스」 2002년 9월 30일. 4. 노무현 정부의 특별법은 여러 정치적 논쟁과 행정적 집행 과정을 거치며 명칭이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이를테면 ‘신행정수도건설을 위한 특별조치법’(2004)은 헌법소원 제기 이후에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을 위한 연기·공주지역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2005)으로 변경되었으며, ‘지방분권특별법’(2007)은 ‘지방분권촉진에 관한 특별법’(2008)으로, 그리고 다시 ‘지방분권및 지방행정체제개편에 관한 특별법’(2013)으로 변경되었다. 한편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른 혁신도시 건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2007)은 ‘혁신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2018)으로 변경되었다. 5. 지영호, “수도 이전 논쟁의 역사, 노무현에서 이명박·박근혜까지”, 「the 300」 2016년 7월 8일. 김충호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도시설계 전공 교수다.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 워싱턴 대학교 도시설계·계획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삼우설계와 해안건축에서 실무 건축가로 일했으며, 미국의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와 워싱턴 대학교, 중국의 쓰촨 대학교, 한국의 건축도시공간연구소에서 건축과 도시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했다. 인간, 사회, 자연에 대한 건축, 도시, 디자인의 새로운 해석과 현실적 대안을 꿈꾸고 있다.
  • [이미지 스케이프] 풍경학개론
    서연:들을래? “이젠 버틸 순 없다고 휑한 웃음으로 내 어깨에 기대어 눈을 감았지만….” 승민:근데 이거 누구 노래야? 서연:너 전람회 몰라?기억의 습작.노래 좋지? 승민:어. 개포동이 넓게 내려다보이는 옥상.서연과 승민은 이어폰을 나누어 끼고 전람회의‘기억의 습작’을 같이 듣습니다.애틋한 첫사랑의 추억은 영화관 전체를 감싸는 김동률의 풍부한 저음의 보컬과 맞물려 영화의 성공과 함께 첫사랑 신드롬을 만들었습니다.물론 저도 아주 재미있게 봤습니다.영화 덕분에 건축학과 인기도 조금 더 올라갔고,어린 서연 역을 맡은 수지는‘국민 첫사랑’이란 타이틀을 얻게 되었죠.그리고 무엇보다 큰 인기를 얻은 또 한 곳이 있는데,바로 서연과 승민을 다시 연결시켜 준 제주도 서연의 집입니다. ...(중략)... *환경과조경376호(2019년8월호)수록본 일부 주신하는 서울대학교 조경학과를 거쳐 같은 학과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토문엔지니어링, 가원조경, 도시건축 소도에서 조경과 도시계획 실무를 담당했고,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원예생명조경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조경 계획과 경관 계획에 학문적 관심을 두고 있다.
  • [에디토리얼] 지금 여기의 조경설계사무소들
    창간 37주년을 맞는 이달의 특집은 ‘2019 대한민국 조경설계사무소 리포트’다. 기획 의도는 단순 명료하다. 지금 이 땅에서 조경설계 일을 하고 있는 사무소들의 현황 데이터를 모아보자는 것. 남기준 편집장이 꽤 오래전부터 다듬어 온 구상의 일부다.특집에 참여한 88개 사무소로부터 모은 설계사무소 이름, 대표자 이름, 설립 연도, 구성원 수,사무소의 지향과 특성을 표현하는 한 줄의 문구, 설계 비전과 운영 철학, 주요 설계 영역과 유형, 대표 작업, 지난해 수행한 프로젝트 수 등을 있는 그대로 싣기로 했다. 이번 특집이 한국 조경설계사무소의 모든 정보를 포괄한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제도권 조경의 현재를 드러내는 생생한 단면도 역할은 할 수 있을 것이다. 특집을 준비하며 마주한 가장 큰 난맥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조경설계사무소’의 정의와 범위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이었다. 조경설계사무소는 법적 정의나 제도적 지위를 가진 용어가 아니다. 기술사사무소, 엔지니어링 활동 주체, 일반 사업자 등 다양한 형식의 법인이나 개인이 조경설계와 관련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편집진은 조경설계사무소의 기준을 엄밀하게 규정하기보다는 스스로 조경설계사무소라고 판단하는 모든 회사를 이번 특집의 범위에 넣기로 했다. 그렇다면 과연 한국의 조경설계사무소는 모두 몇 개일까. 정확하게 집계할 방법이 없었다. 김모아, 윤정훈 기자가 ‘무작정’ 긁어모은 여러 자료를 끼워 맞추면 대략 200개 내외로 추계할 수 있었지만, 그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환경과조경 홈페이지와 몇몇 소셜 미디어를 통해 이번 기획을 알려 이메일로 답을 받았고, 관련 협회와 단체들의 협조를 받아 이메일 홍보를 병행했다. 그 결과로 특집에 동승한 사무소가 아쉬우나마 88개. 대략 절반에 조금 못 미치는 정도의 데이터를 모았다고 편집진은 판단하고 있다. 본문에는 별도의 분석이나 해설을 싣지 않기로 했다. 가나다순으로 수록한 각 설계사무소의 정보를 훑어보는 것만으로도 한국 조경설계사무소의 현주소를 충분히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서는 특집 본문에 숫자로 표현된 몇 가지 간명한 사실을 짚어보기로 한다(88개 회사 중 조경설계 외에 도시계획과 토목을 병행하는 종합엔지니어링 업체 3개의 데이터는 분석에서 제외). 한국 조경설계사무소의 평균 구성원 수는 8.25명이다. 5인 이하 업체가 30개고, 6인에서 10인 사이가 35개 업체로 제일 많다(약 41%). 11명에서 20명 사이는 15개, 21명에서 30명 사이는 4개다. 31인 이상 업체는 단 하나로, 직원 수 50명인 그룹한 어소시에이트다. 설립 연도의 평균은 2008년이다. 2010년 이후에 탄생한 사무소가 41개로 제일 많다(약 48%). 그다음으로 사무소 개업이 많았던 때는 2000년대로, 31개 설계사무소가 이 시기에 닻을 올렸다. 1990년대는 11개, 1980년대는 2개다. 조경설계서안이 1987년 1월에, 신화컨설팅이 1989년 12월에 설립됐다. 지난해에 수행한 프로젝트 수의 평균은 약 27개다. 지금부터 10여 년 전에 문을 연 조경설계사무소가 많고, 열 명 남짓한 인원이 한해에 서른 개 정도의 설계 프로젝트를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설계 프로젝트 유형은 전통적인 공공 발주의 공원·녹지와 도시 공공 공간, 민간 건설사의 공동 주택 조경 등이 여전히 다수지만, 최근에는 민간의 정원과 상업 공간이 늘어나고 있고 도시재생, 전시, 문화 기획 등으로 다변화되고 있다는 거친 진단도 가능할 것 같다. 설계사무소들의 이름에 담긴 의미나 사연을 짐작해보는 것도 흥미롭지만, 이미 예전의 이 지면에서 살펴본 기억이 난다(“이름 짓기”, 『환경과조경』 2016년 11월호 에디토리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