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조경은 과연 종합과학예술인가? - 철학으로서의 조경
    조경은 자연환경의 중요성이 더없이 중요시 되는 시점에서-환경 장식의 문제가 아닌 인간 생존과 직결된 문제로서- 자연을 구체적으로 다루고 인간의 삶의 현장을 조성한다는 점에서 새롭게 등장하는 휴머니즘의 구체적인 실천자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세계관의 변화는 조경이 인간의 생존조건을 다루는 분야라는 인식을 제고하는 계기가 됨은 물론 지금보다도 훨씬 더 많은 역할을 해야만 한다는 요구를 받게 될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흐름에 방관자, 제 3자의 입장이 아닌 적극적인 동참자, 오피니언 리더가 되기 위해서 조경은 새로운 비전을 인류에게 보여주어야 한다. 그 새로운 비전은 개별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은 물론 위기에 처한 인류가 궁극적으로 헤쳐나갈 미래의 삶의 모습에 대한 비전이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인간과 자연이 단지 함께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 모두에게 보탬이 되는 공존의 이유를 찾아야 한다. ※ 페이지: 144~149 ※ 키워드: 조경, 철학, 휴머니즘, 종합과학예술, 미적 가치, 예술
  • 내가 들른 일본공원 ; 일본의 전통조경양식
    여러곳의 신사를 둘러 보았지만 공통적인 사항은 울창한 수림, 엄숙하고 질서정연함과 그 규모가 웅장하다는 것으로 거기에는 일본인들의 얼이 살아 숨쉬고 있었으며 오늘날의 일본이라는 국가를 경제대국, 군사대국으로 이루게 한 것은 이들 신사와도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된다. 일본의 전통적 조경양식은 대규모 수림, 물의 도입, 조경소재인 분재화, 조경기법의 섬세함 등으로, 이는 일본조경 양식의 특징이라고 생각된다. ※ 페이지: 172~173 ※ 키워드: 일본의 전통조경양식, 평안신궁, 오오사카성
  • 과연, 목재방부처리기술 이대로 좋은가?
    사회적 흐름과 이용자의 생활패턴은 목재의 이용을 더욱 필요로 하고 있는 상황에서 목재보전 처리에 대한 금후과제는 불가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임업연구원 이동흡 박사는 ‘목재보전처리제의 사용은 산림법 제3232호에 입법화 되어 있고 현재 시행은 산림청 고시 제6호의 제재규격 , 제 91-13호의 내수용 합판의 규격품질 및 검사기준과 제91-14호의 수출용 합판의 규격 품질 및 검사기준에 명시되어있다. 그러나 목재사용의 용도가 절대 안정성이 요구되는 각 항에 따라 보전처리목재의 사용을 의무화 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시행이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외국의 경우는 목재의 종류 사용공간 크기 용도등 주변환경에 따라 목재보전 처리방법이 다양하게 체계가 잡혀 제도적으로 잘 활용이 되어 있지만 안타깝게도 국내 상황은 그러하질 못하다. 보전처리목재의 사용권장, 보전처리제의 안정성과 표준화 목재의 소비절제 및 안정적 사용과 경제적 효용등을 새로이 확립해야 할 것이다. 또한 목재보전에 대한 연구개발추진 체재확립과 목재보전 기술자의 양성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한 전문가는 지적한다. ※ 페이지: 150~153 ※ 키워드: 목재방부처리, 목재보전처리, 방부처리
  • 잘못 알려진 미국 환경영향평가제도
    NEPA의 정책과 목표를 연방기관들이 추진하는 계획과 사업의 실행과정중에 고려하고 통합시키는 사업추진의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환경영향평가서는 보다 공개적인 문서이다: 따라서 평가서는 사업계획 수립 및 의사결정시, 다른 적절한 정보와 함께 연방공무원에 의해 반드시 이용되어져야 한다. 환경영향평가서는 심각한 환경영향에 대한 충분하고 공정한 논의를 제공해야 하며, 악영향을 피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합리적인 대안에 대한 정보를 주민들과 의사결정자들에게 주어야 한다. 평가서 작성시, 해당기관은 심각한 환경적 이슈와 그 대안들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고, 광범위한 기초자료를 축적하고 탁상공론 및 문서작업은 최소화해야 한다. 또한 평가서는 간결하고, 명료하며, 핵심적이어야 하고, 해당기관에 의해 행해진 환경영향의 분석결과가 증거로서 뒷받침되어야 한다. ※ 페이지: 137~143 ※ 키워드: NEPA, 미국 환경영향평가제도, 환경영향평가서, 성현찬
  • 이타카 도심지 재개발 계획
    이타카의 중심 상업지역에 대한 공공개발과 민간개발을 위한 지침을 시 당국에 제공하기 위하여 세워진 본 계획의 개념은 도심지를 응대하게 계획하기 보다는 도심지 전체에 걸쳐 중심가의 여러부분을 전체적으로 결합시키며 개개의 부지개발을 위한 조직적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비교적 소규모의 연속적인 공적공간을 계획하는 것이다. 여러 부분들을 연결하는 방안으로써 다음에 열거된 여러 다른 형태의 시각적,기능적인 공간 및 요소가 제안되었다: 전망을 제공하는 2열로 식재된 가로수를 가진 도로, 단위공간의 모서리 윤곽을 분명히 해주기 위한 조경공간, 새로운 유보로(promenades)와 블럭 중앙을 관통하는 통로 그리고 초점으로서의 탑 또는 수직적인 요소. 이외에도 건축물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전이적 공간을 제공하는 아케이드를 만들거나, 가로의 벽체를 효과적으로 연속시키거나 공공광장과 새로운 공원공간이 형성되도록 건물을 증축하고 새 건물을 세우는 것으로 부분들에 연관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계획의 의도는 도심지의 기존 범위안에서 콤팩트한 개발 패턴을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근거리에서 손쉽게 도보로 생활하고, 일하고, 물건을 사고,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는 복합 용도의 도시 마을(urban mixed-use village) 개념을 보장하는 선택적 인필 프로젝트(infill projects)를 통해서 달성될 수 있다. ※ 페이지: 154~161 ※ 키워드: 이타카 도심지 재개발 계획, Roger Trancik, 코넬대학교, 도시설계
  • 조경용 수목 ; 편백, 나한백
    -편백 과명 : 측백나무과 학명 : Chamaecyparis obtusa Endl. 영명 : Hinoki Cypress, Japanese Cypress 일본원산이며 우리나라에는 1904년, 일본에서 처음 도입된 이래 제주도 및 남해도서 지방과 남해안 일대에 조림수종으로 또는 공원수, 풍치수 등 조경수로 많이 식재되어 왔다. 높이 40m, 직경 2m 이상까지 자라는 상록침엽교목이며 수관은 둔원추형이다. 수피는 적갈색이고 세로로 찢어지듯이 벗겨지며 가지는 수평으로 발달하는데, 특히 어린가지는 끝이 밑으로 처져 원추형을 이룬다. -나한백 과명 : 측백나무과 학명 : Thujopsis dolabrata S. et Z. 영명 : Japanese Hiba 나한백은 일본원산으로 우리나라에는 1930년대에 들어왔으며 처음에는 조림수종으로서의 적부를 가리기 위해 산지식재시험을 했으나 그후 주로 남부지방에서 관상수로 정원, 공원, 학교원 등에 식재되어 왔다. 높이 10~30m, 직경 1m 이상까지 자라는 상록침엽교목이며 수관은 보통 광원추형이 되고 수피는 회갈색이나 간혹 흑갈색으로 되며 길이로 길게 섬유상으로 갈려져 벗겨진다. 가지는 비교적 굵고 수평으로 퍼지며 가지끝은 밑으로 처지고 하지는 오랫동안 떨러지지 않고 달려 있으며, 가지는 소지가 호생하며 편평하다. ※ 키워드 : 편백, 나한백 ※ 페이지 : 68~73
  • 문을 만들 때는 본채와의 조형적으로 재료적으로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 했다. 또한 위치 선정이나 주변 환경과의 조화에 많은 고려를 하였다. 문의 종류로는 홍살문과 정여문, 열녀문도 있는데 홍살문은 능원이나 묘당앞에 세우는 문이다. 정여문이나 열녀문은 나라의 공신, 열녀에게 내리는 문이다. 또한 성곽에는 4대문이 있는데 이것의 예로는 남대문, 동대문 등을 들 수 있다. 사찰에는 입구에 일주문이 있는데 일주문은 문짝이 없고 통과만 할 수 있는 문이다. 향교나 서원의 입구에는 외삼문이 있고 교직사 입구에는 사주문이 있다. 민가의 문으로는 출입문으로 대문이 있고 안채와 바깥채를 연결하는 중문이 있으며, 또 안채, 사랑채, 별당채, 사당 등을 연결하는 일각문 또는 협문, 사주문이 있다. 문을 크게 달면 대문이라 하고 대문 안쪽에 다시 내면 중문이라 부른다. 쉽게 다닐 수 있게 문을 내면 편문이라하고 대문 옆에 따로 조그만 문을 내어 평상시 출입하게 하면 협문이라 부른다. 큰 대문의 키가 행랑채와 같으면 평문이라고 하고 행랑채 보다 높이 솟아오르면 솟을대문이라고 부른다. 솟을대문 셋이 연속되어 있으면 솟을삼문이라해서 평삼문과 구분하고 솟을대문의 기둥이 넷이면 사주문이라 부른다. ※ 키워드 : 문,대문, 중문, 편문, 협문, 솟을대문, 사주문 ※ 페이지 : 154~158
  • 잘못 알려진 미국 환경영향평가제도
    NEPA는 ‘인간환경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입법안과 주요 연방기관의 사업’에 대해서만 환경영향평가서의 작성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연방기관은 각 제안된 사업들에 대한 NEPA의 적용여부를 검토하여 만약 적용된다면, 환경영향평가서 작성여부를 평가하고 가려내야 한다. NEPA나 CEQ에서 제정한 NEPA실행규정에 명료하게 설명되어 있지는 않지만, NEPA의 절차는 다음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연방기관은 제안된 사업이 NEPA에 적용되는지를 먼저 결정해야 한다. 둘째, 만약 제안된 사업이 제외나 면제사업이 아닐 경우, 연방기관은 그 사업이 ‘인간환경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지를 결정한다. 셋째, 환경성평가 결과 제안된 사업이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여부가 결정되면 연방기관은 ‘영향이 심각하지 않다는 간단한 보고서’나 ‘환경영향평가서’ 중 하나를 작성하게 된다. 즉 , 해당 연방기관이 제안된 사업으로 인한 환경영향이 ‘심각하지 않다’고 결정하면 FONSI가 작성되고, 반대로 환경영향이 ‘심각하다’고 결정하면 환경영향평가서가 작성된다. ※ 키워드 : NEPA, 환경성평가 ※ 페이지 : 164~169
  • 서원의 조원
    -병산서원 : 철종14년(1863)에 ‘병산(屛山)’이란 사액을 받아 서원으로 승격된 병산서원은, 북쪽은 화산(花山)이 감싸고 남쪽은 넓은 낙동강이 흐르는 배산임수한 곳에 남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서원의 건물들은 낙동강 건너 병풍(屛風)모양의 아름다운 병산(서원의 案山임)을 바라볼 수 있도록, 북고남저(北高南低)의 지형에 따라 조화롭게 배치되어 있다. 남쪽으로부터 외삼문, 누문, 강당이 남북중심 축선에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사당은 중심축을 동쪽으로 약 8m정도 옮긴 동북측 가장 높은 곳에 남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산서원 : 도산서원은 퇴계 이황 선생이 유생을 교육하며 학덕을 쌓던 곳이다. 조선 선조7년(1574) 그의 학덕을 추모하는 유림들이 사묘와 강당을 건립하였으며 선조8년(1575) 사액서원이 되었다. 도산서원의 산수에 대한 설명은 도산잡영(陶山雜詠) 병기(幷器)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는데, 동·서·북쪽은 수림이 울창한 산줄기가 감싸고, 동쪽은 작은 개울이 흐르며, 남쪽은 낙동강이 흐르는 지극히 아늑한 명당터에 자리잡고 있다. 북남고저의 지형에 따라 조화롭게 배치된 건물들이 기능에 따라 여러개의 공간으로 구성된 것이 특이하다 -필암서원 : 필암서원은 성리학자인 김인후르 주향으로 배향하고 있는 서원이다. 조선 선조23년(1590)에 창건되어 현종3년(1662)에 사액된 서원으로 워래는 김인후의 고리에 세워졌다가 정유재란(1597)때 소실되자 현종13년(1672)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서원의 북쪽은 시루모양의 증산(甑山)-붓바위(筆岩)가 있다고 전함-이 감싸고 있고 남쪽은 문필천d이 흐르는 이속은 복호지형국(伏虎之形局)의 명당이라 한다. 서원 뒤쪽(북)은 야산이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고 앞쪽(남)은 넓은 들판과 개울이 흐르는 배산임수한 곳에 전학후묘(前學後廟)의 형식으로 배치되어있다. 서원의 건물은 남쪽으로부터 홍살문, 문루, 강당, 내삼문, 사당이 남북중심 축선에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다. ※ 키워드 : 병산서원, 도산서원, 필암서원 ※ 페이지 : 60~67
  • 공원녹지 선진국 캐나다를 다녀와서
    태평양 연안에 접해있는 캐나다 브리티쉬 콜롬비아주의 항구도시 벤쿠버에는 60만명이 살고 있으며 토론토, 몬트리얼 다음으로 캐나다에서 3번째로 큰 도시이다. -퀸 엘리자벧 공원 : 공원 정상에서 내려다 본 벤쿠버 시내는 도시라기 보다는 도시전체가 공원이며 한폭의 그림같은 전원도시였다. 퀸 엘리자벧 공원의 면적은 130에이커로 벤쿠버 시내에서도 높은 지대에 위치해 있다. -개스타운 : 벤쿠버의 시가중 빨간벽돌로 반듯하게 깔린 이 거리는 ‘아름다운 거리상’을 8번이나 수상했다. -스탠리공원 : 벤쿠버에서 공원이라 하면 스탠리공원을 떠오르게 한다. 1850년 영국의 해군기지로 사용되기도 했으며 이 공원은 세계최대의 공원으로 면적이 1천에이커나 되며 원시림 자가 현재까지 잘 보존되어 온 공원이다. ※ 키워드 : 밴쿠버, 위슬러,빅토리아, 캘거리, 밴프국립공원, 쟈스퍼 국립공원 ※ 페이지 : 184~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