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케치업으로 하는 3D조경설계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시대를 열며
우리나라 최초로 개최된 ‘2004년 제 1회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은 지난 2000년부터 4회에 걸쳐 시행된 ‘늘푸른환경조경설계공모전’을 더욱 발전시켜 일반인을 포함하고 국가 규모로 확대하여 시행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하겠다.
조경 분야가 우리 나라에 도입된지 30여 년만에 비로소 국가 규모의 환경조경설계 공모전이 시행되었다는 점에서 감회가 깊다. 이는 날로 발전하는 조경 분야의 한 단면을 볼 수 있다고 생각되어 기쁜 마음을 금할 수 없다 하겠다. 어떻게 보면 조경인들의 오랜 숙원에 역사의 한 획을 그으며 보다 발전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본 원고는 지난 1년여에 걸친 준비와 대전운영 전반에 걸친 자료를 참고, 정리하여 미래지향적인 환경조경대전 발전의 계기로 삼고자 한다.
주최와 주관
(사)한국조경학회와 (재)늘푸른이 주최하고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운영위원회가 주관하는 제 1회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이 2004년 11월 14일부터 11월 20일 까지 예술의 전당에서개최되었다.
본 대전은 건설교통부, 환경부, 서울특별시, 대한주택공사, (사)한국조경사회, (사)한국환경계획조성협회, 한국조경가협회, 환경운동연합, 월간 환경과조경, 중앙일보사 등이 후원하였고, 경동보일러, 경동세라텍 등이 협찬하였다.
운영위원회 구성
2004년 2월 대한민국 범 조경인이 참여하는 뜻있는 국가적 행사가 될 것을 지향하여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의 운영 및 특별 기금 조성에 관한 특별 규정을 제정하기 위해서 환경조경대전 운영위원회가 구성되었다.
운영위원회 위원구성은 한국조경학회 회장 1인, 부회장중 3인, 총무이사 1인과 재단법인 늘푸른, 사단법인 한국조경사회, 사단법인 한국환경계획조성협회 등이 추천하는 각 1인을 포함한 11인 으로 구성하여 한국조경학회 회장이 위촉하였다.
초대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운영위원회 구성은 아래와 같으며 임기는 1년으로 하였다.
위 원 장 : 임승빈(서울대 교수/한국조경학회 회장)
부위원장 : 김세천(전북대 교수/한국조경학회 부회장, 한국산림휴양학회 회장)
위원 : 강태호(동국대 교수/한국조경학회 이사), 박종화(서울대 교수/한국조경학회 부회장), 방광자(상명대 교수/한국조경학회 부회장, 한국환경복원녹화학회 회장), 서정용(경동보일러/늘푸른재단 기획홍보팀 부장), 오구균(호남대 교수/한국조경학회 이사, 환경생태학회 회장), 유의열(신화컨설팅 대표이사/한국조경학회 부회장), 정주현(동명기술공단 전무이사/한국조경학회 부장), 정태건(금호엔지어링 상무이사/한국환경계획조성협회 회장), 홍성권(건국대 교수/한국조경학회 총무이사)
실무간사 : 신현경(늘푸른재단 사업기획팀장), 김영미(늘푸른재단 홍보담당), 김선영(한국조경학회 사무국장), 유설(한국조경학회 사무국), 강효권(경동세라텍 사회공헌팀장)
김세천 Kim, Sei Cheon·제1회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심사위원장, 운영위원회 부위원장, 전북대 조경학과 교수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강단도 현장, 교양 조경학에 전략 담기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Penshurst 저택의 정원
영국의 대부분 저택에서 그러하듯이 방문객은 원래의 주출입구가 아닌 과거에 부출입구 중의 하나를 이용하여 정원을 방문하게 된다. Penshurst 저택의 정원은 특별하게 연결되는 순서를 따라 방문하기보다는 미로를 찾듯이 수벽이나 담 등으로 둘러싸인 여러 개의 공간들을 무작위 순서로 관람해보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각각의 공간을 방문하면서 혹시 이미 보았던 정원을 다시 만나게 되도 진입방향이 다르면 전혀 새로운 시각에서 공간을 느끼게 된다. 매표소를 지나면 북쪽에서 남쪽으로 정원에 진입하게 되는데 제일 먼저 접하게 되는 공간은 이 정원에서 제일 나중에 조성된 붉은 장미와 보라색 라벤다를 이용해 영국국기 형태로 만든 30m×50m 크기의 Union Jack 정원이다. 원래는 저택의 채소원이 있던 장소로 1986년 개조하면서 그 일부분에 만들어졌는데 토피아리 형태로 잘 다음어진 보리수나무 울타리로 둘러싸여 안정감을 주고 있다. 남쪽에 일종의 전망대가 마련되어있어 이곳에서 조망하게 되면 확실하게 국기의 모습을 볼 수 있다. Union Jack 정원과 채소원 사이에는 바닥에는 잔디가 양탄자처럼 깔려있는 사과나무 가로수길이 조성되어 있다. Union Jack 정원 남쪽으로 다양한 내용의 여러 개의 테마정원들이 자리잡고 있다. Diana 욕조로 불리우는 단순한 사각형의 연못은 주변으로 잔디밭으로 조성된 길이 연결되고 잘 정리된 단순한 수벽이 오히려 절제된 조형 요소로 아주 인상적이며 품격있는 우아한 정원 공간을 만들어주고 있다. 정원의 배치도를 보게 되면 Diana의 욕조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동서로 일종의 정원축이 형성되어 있고 이 축과 교차하여 남북으로 연결되는 또 하나의 소위 마굿간길로 불리우는 축이 전체 정원을 4개로 분할하고 있는 느낌을 주고 있다. Diana 욕조 동쪽으로는 잔디의 길이 조성되어 있다. 잔디의 길은 좌우가 직선의 담과 같은 긴장된 형태의 높은 수벽으로 이루어져있다. 그러나 수벽 중간중간에 반원형으로 잘 정리된 일종의 토피아리가 긴장감을 완화시키며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잔디의 길 동쪽 끝으로는 정원을 둘러싸고 있는 벽돌담과 만나게 되는데 그 앞에 조그만 연못과 반달모양의 해시계가 장식되어 있다. 길이 70m 정도의 마굿간길은 과거에 외부로부터 마굿간으로 연결되는 정원 내의 직선통로로 이용되었는데 정원 내에서 유일하게 아스팔트로 포장되어 별로 좋아보이지도 않고 많이 언급이 되지 않고 있지만 여름철 길 좌우로 펼쳐지는 초본류 화단은 특별한 매력으로 관람객을 유인하고 있다. 목가적인 전원풍의 극장정원은 조그만 무대와 잔디로 마운딩된 객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저택의 각종 야외행사가 진행되는 장소이다. 원래 이곳은 채소원 등과 함께 빨래를 건조하는 기능적인 장소로 이용되던 곳이었다. 극장정원 좌측으로는 다양한 종류의 목련으로 목련정원이 조성되어 있는데 중앙부에 물의 요정 나이아스가 원형의 기단위에 위치하고 있다. De L’Isle 자작 1세가 그의 첫 번째 부인인 Jacqueline을 기념하기 위해 만들었는데 1991년 그가 사망하기 한달 전에 완성되었다. 극장정원 우측으로는 회색의 정원이 자리잡고 있다. 벽돌로 포장된 부분과 회색, 흰색, 은색의 각종 식물이 마치 바둑판무늬처럼 조성되어 있다. 저택 앞에 자리잡은 Parterre는 4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잔디와 장미꽃, 낮은 관목 등이 그래픽적으로 문양을 만들어주고 있다. 자수화단의 서쪽으로는 2.5m 높이의 긴 테라스가 남북으로 연결되어 있어 자수화단은 물론 정원 전체를 조망할 수 있다. 자수화단과 마굿간길 사이에는 과수원 정원과 장미 정원이 조성되어있다. 기능적이라기보다는 장식적인 과수원 정원은 Penshurst 정원의 상징적인 사과나무로 이루어져있고 봄과 가을 하부 화단의 아름다운 꽃 때문에 봄과 가을의 정원으로 불리우기도 한다. 정원 남쪽으로 담장과 접하여 좁고 길게 만들어진 작약꽃 화단도 놓치면 안되는 아름다운 곳이다. 김 인 수 Kim, In Su환경조형연구소 그륀바우 소장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영국의 자선단체, The National TGGardens Scheme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영국인의 생활상을 그대로 보여주는 진귀한 골동품으로 가득 찬 포르토벨로우 시장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2004 ASLA 대회 및 Expo: 자연공간 공공공간
올해 ASLA대회는 “Natural Spaces Public Spaces” 라는 주제로 10월 29일 부터 11월2일 까지 2002년 동계 올림픽의 도시 미국 유타주 솔트레익시티에서 열렸다. 정확한 집계는 없지만 참가 인원은 대략 2,500명 정도로 추산된다. 예년보다 적은 인원이다. 대도시가 아닌 외진 곳에서 대회가 개최되어서 규모가 작았다고 보여진다.
대체적으로 이번 대회는 성공적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2001년 9.11 사건 때문에 토론토 ASLA 대회가 실패한 이후 약간은 침체되어 있었는데 굵직한 기조연설자들부터 최대 규모의 Expo까지 2001년 이전 수준으로 회복이 되었다고 보고 있다.
서안의 Design Merit Award 수상
올해 ASLA대회가 한국인에게 특별했던 것은 조경설계 서안이 선유도 프로젝트로 상 (Design Merit Award)을 탄 일이다. 정영선 소장님을 포함한 세사람이 같이 무대에 올라 수상했다. 지난 30년간 한국의 조경은 눈부신 발전을 했지만 미국에서 한국의 조경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었다. 그래서 이번에 한국인이 상을 탄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필자 개인적으로는 1980년대에 서안의 정소장님으로 부터 배식설계를 수업을 들었기 때문에 감회가 더 각별하다. 필자가 참가했다면 꼭 만나고 싶었는데 아쉽다.
개별시상 직전에 수상작들을 모은 단편 영화와 슬라이드쇼가 있었다. 총 500여 작품이 출품되었고 그중 35개의 작품이 수상했다. 상의 종류로는 Research Award, Communication Award, Analysis and Planning Award 등이 있다. 실무자들이 받는 상과는 별도록 학생들도 학부와 대학원으로 나뉘어 연구 또는 설계 부문에서 상을받았다.
기조연설
세사람이 기조연설을 했는데 첫번째 기조연설자는 자연 및 환경에 대한 저작물 (“Refuge: An Unnatural History of Family and Place”) 로 잘 알려진 작가 Terry Tempest Williams였다.자연보호, 전원, 황야(wildnerness) 등의 중요성을 주제로 다루었다. 그는 자신이 자연에 대한 글을 많이 쓰지만, 조경가들이 자연을 잘 이해하고 자연보호를 위해 실제로 많은 일을 한다는 것을 알기(appreciate) 때문에 조경가들 앞에선 자신이 왜소해짐(humble) 느낀다고 해서 기립박수를 받았다.
둘째날 기조연설자는 Newsweek, Time, U.S. News and World Report 등 굵직한 잡지사에 사진을 기고하고, ABC, CBS, NBC, PBS 등 주요 방송국에서도 작품이 방송되곤하는 사진작가 Steve Uzzell이었다. 예술가인 Steve Uzzell은 조경 설계가들이 격는 창작 과정(creative process)을 자신이 사진작품을 만드는 작업과 비유했다. 좋은 작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인내와 집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가 한번은 좋은 사진작품을 찍기위해서 같은 장소에서 하루종일 10여시간을 기다린 적이 있다. 하루종일 사진을 찍다가 적당한 수준에서 끝내고 돌아가려고 했다. 그때 뇌리에서 “아직은 완성품이 아니야 더 기다려야 해”라는 생각이 떠나지 않았다. 그래서 다시 기다렸는데 10분정도 지난후에 정말 좋은 작품을 찍을 수 있었다. 그날 찍었던 사진들을 모아서 기조연설 도중에 보여주었는데 마지막 사진은 정말 모든 사람들이 감탄할 만한 것이었다. 그가 완벽한 작품을 얻기위해 얼마나 많은 공을 들이는지를 알게 해주는 일화였는데 많은 조경설계가들의 공감을 얻었다.
마지막날 연설자는 잘 알려진 조경가Peter Walker 였다. 그의 작품 사례 발표를 하였다.
교육분과 (Education Session)
교육분과에서 다루어진 주요 주제는 Business(설계사무소 경영), Cultural, Design, LandTech, Planning, Policy, Resource Management, Urban 등 이었다. Education session에서는 특별한 것들이 없었다는 반응이다. 어떤 세션은 90분이 주어지는데 상당히 지루했다는 평이다. 역시 주로 실무관련이었다.
많은 session중 몇 가지만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Historic American Landscape Survey” 프로젝트. “Historic American Architecture Survey” 프로젝트에서 미국의 역사적인 건축물을 찾아 기록했지만 공원등 조경에 대한 체계적인 기록 작업이 없었는데 지난해에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아 기록 작업에 들어갔다는 발표를 했다. CEO Roundtable 에는 HOK, SWA, EDAW, CIVITAS 등의 대표가 참가해서 시장, 사내외적 문제, 회사성장, 취업준비, 리더십, 재정, 윤리, 설계관리, 테크놀로지, 커리큘럼 등 다야한 주제의 토론이 있었다. ASLA가 미래의 조경가인 학생들을 배려하는 차원에서 “학생분과” 도 있었다. Jones & Jones 의 Grant Jones가 리드했다.
Expo
올해 ASLA Expo는 역대 최대규모였다. 조경재료 및 소프트웨어 등 약 400개 정도의 전시물이 전시되었다. USDA Forest Service (농림부 산림청), Air Force Center for Environmental Excellence, Bureau of Land Management, Federal Transit Administration등 연방정부 기관도 전시장을 임대해서 참석했다.
Expo내 LandTech Pavilion에서는 각종 Technology 들이 전시되었다. 서점(LA Bookstore)에서는 다양한 서적이 전시 및 할인 판매되었다. 저자와의 대화 및 서명 시간도 있었다. Cyber Cafe에서는 참가자를 위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했다.
교육위원회 Council on Education (COE)
컨퍼런스를 하는 동안 교육위원회가 열렸는데 원거리교육 (distance education), 설계중심 교수 및 연구중심 교수의 관계에 대한 토론이 있었다. 미국은 조경학 석사 학위만을 가진 설계중심의 교수들이 많이 있다. 전체 교수중 석사학위만을 소지한 교수가 과반수가 넘는다. 그런데 요즘 미국의 교수채용공고에서 “박사학위 선호(Ph.D. preferred)” 라는 문구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문제는 이들 박사학위를 가진 연구중심 교수들은 설계 및 실무경력이 많지 않다는 점이다. 화두는 과연”박사학위 선호”를 채용공고에 넣는 것이 좋은 생각인가 하는 것이다. 박사학위 소지 신임교수들의 설계수업 지도 능력에 대한 우려에서다.
원거리교육에 대해서는 현재 ASLA, CELA, AIA(ASLA에 해당하는 건축관련기구) 및 ACSA (건축학회)가 공동으로 연구논문을 준비하고 있다. 그만큼 원거리 교육이 중요해 지고 있다는 증거이다.
인터뷰 및 자료제공:
Ron Stoltz: University of Arizona 조경학과 학과장
Chris Kent: ASLA Northern California Chapter 회장
Karen Vitkay: University of Arizona 조경학과 학생
Monica Mahoney: University of Arizona 조경학과 학생
김 민 태 Mintai Kim·아리조나주립대 조경학과 조교수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비참하게 포위당한 세계적 스텔라 조각품
- 포스코의 비문화적 눈높이 -
우리나라를 찾은 외국인들의 눈에 서울은 어떤 인상으로 비칠까. 아마도 그저 특별한 감흥 없이 세계 곳곳에 있는 많은 대도시 중 하나쯤으로 보일 것 같다. 외국 방문객용 홍보물에서는 서울이 동서양 문화가 만나는, 역사가 스며있는 고도(古都)라고 한다. 하지만 고풍스러워야 할 옛 건축물은 600년의 긴 역사에 비하면 별로 보잘 것 없다고 생각할 것이며, 서울의 거리 풍경을 주도하는 현대식 건물들도 몇몇 빌딩을 제외하면 하나같이 건축예술의 감흥과는 거리가 멀다 싶다. 굳이 유럽의 고도까지 가지 않더라도 비교되는 나라가 있다. 유지 관리 상태가 그리 좋은 편은 아니지만, 나름대로 특징을 지닌 옛 건물들이 즐비한 네팔의 고도 박타푸르(Baktapur) 또는 수도 카트만두(Kathmandu) 같은 도시들이 있는 것이다.
1995년, 서울 강남지역 테헤란로에 포스코(POSCO)빌딩이 새로 들어섰다. 빌딩 외벽이 투명한 유리여서 내부의 철물골격이 의도적으로 훤히 보이도록 설계되었다. 포스코의 웅장한 현대식 빌딩은 그 자체가 거대한 예술 조각품 같아서 많은 시민들에게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다. 그러나 유리와 철골로 구조된 거대빌딩이 뿜어내는 ‘낯설고 싸늘한 느낌’은 어쩔 수 없는 아쉬움이었다. 그 안에서 일하고 생활하는 사람들의 끈끈하고 훈훈한 성정(性情)과 약간은 거리가 있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이어서 1997년, 가로 세로 높이 약 9m에 이르는 스테인리스 철물 조형물이 포스코 빌딩의 정면 넓은 광장가운데에 모습을 드러냈다. 그것도 20세기 추상 미술계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거장 후랑크 스텔라(Frank Stella/1936~)의 ‘꽃이 피는 구조물’, 일명 아마벨(Amabel) 이라는 작품이 아닌가.
서울 시내 수많은 빌딩 앞에 설치된 다양한 조형물들이 작품으로서의 예술성 여하를 묻기에 앞서 건물 본체와 조화되지 않는 예가 허다했다. 주변 경관과 어울리기는커녕 괜 시리 짜증스러운 느낌 마 져 주는 것을 일반 시민으로서의 눈높이에서도 쉽사리 동감할 수 있었다. 이처럼 문화적 감각이 메마른 상황에서 포스코 빌딩 앞에 설치된 후랑크 스텔라의 ‘꽃피는 구조물’은 실로 가뭄 끝에 내린 단비처럼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다.
건물 전면이 유리외벽과 노출된 철 구조물로 짜여져 있는 포스코 빌딩과 거대한 고목(古木)을 연상시키는 스텔라의 작품은 일단 잘 어울렸다. 세자르(Baldaccini Cesar. 1921~1998)의 각종 폐차(廢車) 부품을 압축하여 만든 작품과도 맥락을 하는 폐차나 폐기된 비행기의 스테인리스 폐구조물을 이용하여 만든 후랑크 스텔라의 조형물이 빌딩을 한층 돋보이게 만들어 주었다. 포스코 빌딩과 스텔라의 조형물과의 조우 결과, 빌딩의 기하학적 구도에서 오는 날카로움과 차가움에 작품의 무질서한 형상이 더해짐으로써 불균형 안에서 균형(Balance in Unbalance)이라는 독특한 미를 발현하였다. 따라서 많은 국내 미술 애호가들은 포스코가 갖추고 있는 국제적 기업으로서의 안목에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그런데 1997년 전후 정권 교체와 더불어 포스코의 경영진이 바뀌면서 후랑크 스텔라의 「아마벨」은 수난(受難)을 맞게 된다. 「아마벨」에 대해 일부에서 예술품이 기 앞서 ‘흉물’스럽다느니 심지어 ‘추악’하다느니 하더니 철거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는 것이다. 이에 세계적인 예술가의 난해한 작품을 설령 이해할 수 없다고 일방적으로 ‘추악’ 한 것으로 몰아세우는 것은 문제라는 주장이 맞섰다. 이 모든 소동은 포스코가 아마벨을 현 위치에서 철거하겠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 후 다시 6년여의 세월이 흐르면서 「아마벨」은 차츰 우리 곁에서 친숙해져 왔다고 믿었다. 그런데 최근 「아마벨」이 소나무 숲에 의해 포위당해 초라하기 그지없는, 그야말로 추한 몰골이 되어버렸다. 무참하기 이를 데 없는 비문화적 폭거가 따로 없는 듯싶다. 이제 작품 「아마벨」은 소나무 울타리에 ‘감금’ 되어 버렸다. 눈에 걸리는 것을 당장 치워버리지 못하니 적당히 가리기라도 하겠다는 포스코의 비신사적 자세가 엿보이는 대목이다.
한국 저작권법 13조와 미국저작권법 제16조는 모두 저작인 인격권의 하나인 동일성 유지권을 인정하고 있다. 작가의 동의 없이 작품을 이전하다가 작품이 파손된다면 저작권법 상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뜻이다. 이번 「아마벨」의 경우 작가 후랑크 스텔라가 설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두 번이나 답사하였고, 작품 주변에 야간 조명의 설치마저도 동의하지 않았을 정도였다는데, 지금 그의 작품이 어떤 대접을 받고 있는지 알게 되면 어떠할까? 과연 포스코가 저작권법에서 자유스러울 수 있을까 생각하게 된다. 포스코는 작품의 소유권과 저작권이 별개임을 모를 리 없을 터인데 말이다.
어떠한 예술품을 놓고 감상하는 자에게 작품이 난해하다고 또는 마음에 와 닿지 않는다고 해서 제거한다면, 이는 남의 의견을 전혀 들어 보려하지도 않는 마음가짐과 같다. 예술품을 통해 남의 생각을 경청하려는 포용력(tolerance)를 기르는 것은 예술품이 가지는 순기능중의 하나이다. 이해하기 어렵다고 흉물이라고 하는 논리는 비문화인만이 가질 수 있는 생각이다. 문득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 1887~1968)이 R.Mutt 라고 서명한 작품「남자 소변기」(1917)가 떠오른다.
우리는 누구나 공감하는 곱고, 예쁘고, 아름다운 것만이 예술에 속하고 그 부류에 들지 않으면 예술이 아니며 ‘저질’ 스러운 것으로 생각하는 이른바 흑백 논리적 사고 방식에 익숙한 것 같다. 아마벨의 수난도 그러한 의식에서 비롯된 사건이 아닐까. 포스코의 「아마벨」 보다 더 녹슨 고철로 제작된 작품들이 가까운 일본이나 먼 룩셈부르크에서는 변함없이 소중한 예술품으로 인정받고 사랑받는다는 사실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사진 참조)
파리의 명물 에펠탑이나 시드니의 오페라 전당도 처음부터 사랑을 못 받았다. 따라서 우리도 「아마벨」을 옛 모습 그대로 우리 곁에 가만히 두고 사랑을 키워 봤으면 하는 것이 많은 미술 애호가들의 뜻인 줄 안다.
이 성 낙 Lee, Sung Nak·가천의과대학교 총장, 미술애호가
-
몬트리올 비엔날레
몬트리올 비엔날레 ( La Biennale de Montreal) 몬트리올 비엔날레는 올해 4회째를 맞았다. 지난 6년동안 각기 다른 테마(1회는 ‘Poetry, Humor and the Everyday’, 2회는 ‘Every time’, 3회는 ‘Life is Life! Pleasures, Passions, Emotions’)를 영화, 건축, 퍼포먼스, 페인팅 등의 다양한 미디엄을 통해 보여주는 전시를 해온 시악 (CIAC- Centre International d’Art Contemporain)은 올해 ‘AGORA: The Public Domain’ 이라는 주제로 전세계에서 12개 작가/팀을 초청, 전시를 가졌다. 주제에서 볼 수 있듯이 이번 전시의 촛점은 공공장소와 대중의 관계에 맞추어 졌는데, 점점 더 상업화 되어가는 도시 환경속에서 ‘다원의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진정한 공공성 (publicity)을, 공공장소 (public space)의 존재를 통해 찾아보려는 의도이다. 웨스트8(West8)의 디렉터인 아드리안 허즈는 캐나다의 대표이미지인 목재산업과 단풍나무에서 영감받은 ‘파란 단풍 (A Blue Maple)’이라는 조형물을 설계하였는데, 도시 한복판에 거칠은 자연의 체취를 불러들인다는 의도가 있다고 한다. 10m가 한 변인 정육방체의 모양으로 목재를 쌓아 만들고 단풍잎 모양을 오려내어, 사람이 걸어들어가 올려다 보았을 때 그 여백 (negative space)으로 하여금 프레임된 하늘을 보게 하도록 하였다. (이 작품은 예산지원이 늦어져 주 캐나다 네덜란드 대사관의 후원으로 2005년 5월에 완성될 예정이다.) 퀘벡출신의 대표적인 행위예술가로 손꼽히는 아르망 밸랑쿠르 (Armand Vaillancourt)는 생산의 임무를 끝마치고 텅 비워진 후 전시공간으로 쓰인 가젯트 (Gazatte)신문의 옛 공장건물 자체를 ‘예술가와 동급인 전시주체’로 전제하고, 그 전체를 가득 채우는 여러가지의 장소와 조형물들을 세워 그 사이에서 때때로 행위예술을 펼치며 관객과의 소통을 시도하였다. 영국 출신 건축가인 윌 알솝 (Will Alsop)은 빈 회벽 두곳을 마련하고 관객으로 하여금 채우게 만드는, 소극적 의미의 전시를 마련하였다. 캐나다 출신 건축가 할 엥베르 (Hal Ingberg)는 Place des Arts의 광장에 금색의 반사유리로 만든 망루 (Beacon)를 설치하였는데, 이는 멀리서부터 시각적으로 사람들을 유도하여 광장으로 불러모음으로서 가을부터 이용률이 현저히 떨어지는 몬트리올의 공공장소들을 다시 활성화하는 수단으로 고안된 것이다. ‘여기는 나의 (공공)장소다!(It’s MY (public) place!)’ 라는 제목의 전시는, 몬트리올에서 활동하고 있는 공공미술/ 도시설계/ 건축/ 조경 네분야의 전문가들 중 가장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는 16명의 작가/팀을 초청하여 각기 40cm x 40cm x 60cm의 상자안에 자신이 생각하는 공공장소를 만들어달라고 요청하여 이루어 졌다. 이 중 특히 5명의 캐나다 출신 젊은 조경가들로 구성되어있는 회사 닙 빠사쥬(NIPpaysage)의 작품은 풍선검과 착시효과를 이용한 흥미로운 것이었다. CCA의 큐레이팅 아래 에쓰와이엔(SYN/ Studio for Urban Exploration) 이 마련한 전시인 ‘PROSPECTUS: Indoor City’에서는, 혹한이 몰아치는 겨울의 기후때문에 세계 어느 도시에서도 볼 수 없을 정도로 발달된 몬트리올의 지하/실내의 각종 시설들을 다른 종류의 중요한 공공장소로 보고, 이 세계에 초대된 보행자들을 위해 영상물과 팜플렛, 소리등을 제작하여 전시하였다. 행사장 근처 전철역 통로에 설치된 9개의 모니터에서는 오렌지색 모자셔츠를 입은 사람 두명이 어딘가를 계속 찾아다니는 모습이 연속적으로 보여지고, 관람객은 이 두명을 따라가다보면 팜플렛에 표시된 각종 지하/실내장소들을 자연스레 방문하게 된다. 몬트리올만이 가지는 특색있는 도시공간구조의 구석구석을 관람객으로 하여금 색다른 방법으로 탐험하게 만들어주는 전시였다. NIPpaysage가 하고 있던 또 하나의 전시는, 이들이 실제로 몬트리올의 한 고층빌딩 루프탑에 빗방울이 떨어지는 형태로 그림을 그려 넣어 만들었던 옥상정원 프로젝트인 Impluvium이었다. 이밖에, 사진작가인 Rajak Ohanian은 특정 공공장소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2년동안 촬영한 사진들로 다큐멘터리를 만들어 전시하였고, 영화감독이기도 한 Ed Kostiner는 세계의 고대도시들에서 찍어 온 각종 크고 작은 공공장소의 사진들을 연결하여 만든 스트립들로 이야기를 구성하여 마치 관람객에게 영화를 보는 듯한 경험을 주었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시싱허스트 정원
정원, 영국인의 러브 어페어 최근에 출간된 영국 정원을 소개하는 책자의 제목은 "The Garden : An English Love Affair"이다. 영국 사람들의 정원에 대한 애정과 탐닉은 유별나다. 그러기에 러브 어페어라는 책제목은 귀에 쏙 들어온다. 영국 사람들은 오래된 정원들을 자주 찾는다. 때로는 자신의 정원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얻으려 찾고, 때로는 정원 공간의 스펙타클한 풍광이나 아기자기한 디자인을 즐기고자 찾기도 한다. 때로는 정원에 담겨있는 로맨스를 확인하고자 찾기도 한다. 시싱허스트 정원은 이 마지막 경우에 해당하는 예이다. 시싱허스트 정원은 정원사적인 측면에서는 유명한 정원이 아닐지도 모른다. 그러나 영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정원 중의 하나이다. 그리 크지 않은 시싱허스트 정원에는 늘 방문객들이 넘쳐난다. 이곳에서 그들은 이 정원을 만들고 가꾸면서 지냈던 한 여류소설가의 특별한 삶과 사랑의 이야기를 만나고자 한다.시싱허스트 정원만들기- 1930년에서 1962년 비타는 해롤드가 외교관으로 근무했던 콘스탄티노블 근처의 코스폴리에서 그들의 첫 번째 정원을 만들었다. 이후 1915년 비타의 고향인 놀에서 조금 떨어진 곳의 롱반(Long Barn)이라는 곳을 샀다. 비타는 이곳에 정원을 만들면서 정원디자인의 다양한 식재기법을 터득했다. 비슷한 계열의 초화류로 정원의 구획들을 꾸몄다. 1930년 비타와 해롤드는 시싱허스트 성을 방문한다. 비타는 처음보자마자 이 성에 매료된다. 비타는 시싱허스트와의 첫 만남을 다음과 같이 회고한다. “나는 이 성을 보고 사랑에 빠졌다. 그 곳은 잠자는 숲 속의 성이었다. 정원은 구원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었다.” 1932년 그들은 시싱허스트 성으로 이사했고, 오랜 기간에 걸쳐 정원을 가꾸어갔다. 정원디자인은 비타와 해롤드의 협동작업으로 이루어졌다. 정원에 부여된 정형적인 질서는 해롤드의 감각이었고, 비정형적인 자유로움은 비타의 터치였다. 해롤드의 아폴론적 질서는 강한 축과 단순한 형태로 구현되었고, 비타의 디오니소스적 풍요는 다채로운 식재로 표현되었다. 두 사람은 서로 다른 감각과 취향에도 불구하고 정원디자인에 완벽한 접점을 찾아내곤 하였다. 비타와 해롤드는 정원의 골격을 이루는 디자인에는 엄격한 정형성이 있어야 하고, 식재에서는 최대한 비정형적인 자유로움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비타와 해롤드가 체험했던 다양한 이국 경관이 정원을 만드는데 있어 상상력의 원천이 되었다. 비타는 어린 시절부터 이태리를 자주 방문하였고, 특히 플로렌스 지방의 건축과 정원 그리고 예술을 찬미했다. 해롤드가 외교관으로 콘스탄티노블에 근무할 때 비타는 페르시아 지역을 방문하였고, 그곳에서 인상깊게 보았던 페르시아 정원에서 개인적인 정원의 원리를 발견 했다고 회고한다. 그녀가 발견한 원리는 ‘정원에서의 친숙한 기하학과 질서는 외부세계의 무질서로부터의 구원’이라는 것이었다. 비타에게 시싱허스트는 아마도 외부세계로부터 단절된 세계로서 영혼을 구원하는 피난처였을 것이다. 비타는 남편인 해롤드가 국회의원 활동을 위해 런던에 머물 때도 남편과 함께하지 않고 시싱허스트를 지켰다. 낮에는 정원을 가꾸고, 밤에는 정원에 우뚝 솟아있는 타워의 방에서 글을 쓰며 소일했다. 비타에게 정원은 안식이었고, 글쓰기는 구원이었다. 조 경 진 Zoh, Kyung-Jin 서울시립대학교 건축도시조경학부 교수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