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최우수작: 뒤뜰의 발견 제2회 LH 젊은조경가 조경설계공모
    보잘 것 없는 곳에 공원이 놓인다. 도시 언저리의 어딘가, 후미진 곳의 어딘가. 부지의 잔여 공간이 공원으로 조성되는 상황이다. 많은 신주거지의 도시계획이 그렇기에 새로운 일은 아니다. 군포송정 공공주택지구의 공원은 위치의 문제에서 출발한다. 마을의 배후에 공원이 만들어진다. 마을의 뒤편으로 산수화가 병풍처럼 펼쳐질 것이라 생각한다면 착각이다. 장벽 같은 아파트가 들어선 후, 그 뒤에 공원을 계획하는 일이다. 입지뿐만 아니라 급경사지, 차량 통과 도로 조성 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하며 지침에 제시된 조건도 지켜야 한다. 조건이 개념을 만드는 프로젝트다. 못난 공간의 구조를 성형한다. 그리고 그 공간의 마음을 달래 새로운 숨을 불어 넣는다. 구조의 성형은 열고 잇는 방법으로, 마음을 달래는 일은 새로운 정서를 불어넣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새로운 정서에 대한 실마리를 옛집의 뒤뜰에서 발견했다. 기억 속에 남아 있는 옛집의 뒷마당과 뒤뜰은 오묘하다. 생활과 애착, 시간과 생각이 다른 속도와 숨결로 머물고 움직이는 공간이다. 일상의 발걸음과 시간의 발자취가 은밀하게 포옹하는 풍경이 존재하는 곳이다. 이 같은 감각의 산물을 공원의 정서로 치환한다. 마당의 깊이, 식물 소재,마당과 마루를 재해석해 방문객에게 뒤뜰의 마음을 전달한다. 설계 개념 1. 열기 입구는 입구다. 입구 없는 공원, 경계 없는 공원을 시도하는 현대의 논리 속에서 진부한 시도일 수 있다. 하지만 입구를 여는 방법은 중요하다. 마당, 계단과 램프, 도시 광장, 건물의 게이트웨이라는 다양한 방법으로 입구 열기를 제안한다. 입구 열기는 쉽게 알아볼 수 있는 공원을 만들기 위해 우선되어야 하는 과제다. 4개의 파크 엔트리park entry: 사람들의 시선을 끌 수 있는 열린 마당형, 꽃 계단 램프형, 도심 가로 분수형, 생태 게이트웨이형의 매력적인 공원의 입구를 조성한다.
    • 조경그룹이작 / 조경그룹이작
  • 제2회 LH 젊은조경가 조경설계공모 (군포송정 공공주택지구) Young Landscape Architect Competition: Gunpo Songjeong Public Housing District
    지난 2016년 2월 26일, 제2회 LH 젊은조경가 조경설계공모(군포송정 공공주택지구)의 심사가 진행됐다. LH 젊은조경가 조경설계공모는 조경 설계 산업의 동반 성장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젊고 역량 있는 조경가를 발굴·육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2014년 12월에 실시된 제1회 LH 젊은조경가 조경설계공모(춘천우두지구)에 이어 제2회를 맞이한 이번 공모의 대상지는 군포송정 공공주택지구다. 이곳에 그린 네트워크를 구축해 자연 경관을 유지하고 쾌적한 환경친화적인 주거 환경을 형성하는 것이 이번 공모의 주요 과제다. 위치경기도 군포시 대야미동, 도마교동 일원 사업면적513,587.5m2 조경면적104,365.85m2 공모금액3억 6,700만원 이하(관리 용역, 부가세 포함) 추정공사비약 98억원(부가세 및 제잡비 포함) 설계기간2016. 2. ~ 2017. 2.(13개월)
    • 김모아
  • 예장 자락에 들린 남산의 무게 남산 예장자락 재생사업 설계공모
    버스의 폭증으로 야기되는 주차난, 배기가스로 인한 대기 오염, 관광객의 편의에 따른 지역 주민의 불편 등 남산의 환경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서울시 도시재생본부는 남산 내 지하 주차장 확보와 친환경 대체 교통수단(곤돌라)을 계획하고 그 적정 부지를 예장 자락으로 결정하였다. 서울 남산의 북사면北斜面, 중구 예장동 TBS 교통방송국 일대를 아우르는 이 계획부지는 도심보다 지대가 높아 시각적으로는 열려 있지만 사방이 도로로 둘러싸여 있어 사람이 접근하기에는 상당히 불편한 지역이다. 그렇지만 배경에는 남산의 숲이, 전방에는 쇼핑의 메카인 명동이 있어 공원이 들어서기에 최적의 장소다. 게다가 세운상가와 남산 한옥마을이 있는 충무로 일대와도 연계가 가능하며 서울시에서 별도로 추진 중인 남산 애니메이션센터 재건축 사업과도 연결되어 있어서, 청계천 이남의 관광 거점이 될 수 있는 잠재력이 충분하다. 공모의 설계 지침은 예장 자락이 풀어야 할 과제를 크게 지상부와 지하부, 도로와 교통의 항목으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하여 공원 계획, 주차장 및 부대시설 계획, 차량과 보행의 동선 계획을 요구했다. 그리고 각 항목에는 앞으로 예장 자락이 감당해야 할 도시적 기능을 비교적 정확히 제시했다. 다만 지상부 공원에는 ‘남산 능선의 회복’, ‘숲의 생태성 복원’의 요구가 덧붙여졌는데 이로써 지상부 공원은 자연, 생태, 문화, 휴식을 모두 아우르는 목적성을 갖게 되었다. 그런데 문제는 자연과 생태라는 지향점이 보통명사 산이 아닌 ‘남산’에 적절한가하는 점이다. 남산은 다른 어떤 산보다 도시적 해법을 진지하게 모색해야 할 대상지다. 그러나 남산은 산이라는 이유로 ‘고유한 장소성과 역사성 발현’이라는 공모 목적 외에도 공원의 자연·생태적 기능에 더 무게감이 실렸다. 이러한 맥락에서 공모 지침에 언급된 ‘창의성’도 산의 자연과 생태라는 굴레를 벗어나기 쉽지 않았다. 남산으로의 회귀, 숲의 재현 숲을 설계의 전면에 내세운 것은 강정은(에브리아키텍츠), 김현대(이화여자대학교), 근보양앤 파트너스의 ‘예장자락 생태역사공원’이다. 대상지 전면에 지붕을 덮은 지하 주차장 플랫폼을 동서 방향으로 길게 세우고 인권센터(현 서울시청 남산2청사)를 중심으로 한 지상층을 중층으로 걸친다. 플랫폼 지붕층은 여러 선으로 반복 구획하고 선을 따라 대규모 식재를 하여 남산에서 예장 자락으로 흐르는 녹지축을 새롭게 제안한다. ‘남산=예장자락=숲’은 설계가가 이 공간에서 보여주려 한 메시지이고 플랫폼은 그 숙제를 풀어준 훌륭한 도구다. 하지만 플랫폼이 만들어 낸 인공 지반에 남산과 같은 건강한 숲이 조성될지는 의문이다. 도로변에서 5~7m 높이로 서 있는 육중한 구조체가 어떤 느낌으로 다가올지, 사람들은 과연 플랫폼 위에 떠 있는 나무를 보고 숲이라 느낄지도 역시 생각해볼 문제다. 한편 여기서 제안한 식재 설계과정은 매우 독특한데, 식생에 역사가 표현된다고 보고 남산의 식생을 연대기로 파악하여 그 비율을 팔레트처럼 펼쳐 놓았다. 그러나 이식종, 외래종, 토종 할 것 없이 조사한 식생을 그대로 재현한 것이나 시대별 식생 비율을 식재 설계로 그대로 반영하는 방식이 생소하다(그림 1). 박희성은 서울대학교에서 ‘당·송대 산수원림’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원림, 경계 없는자연』이 있으며, 전근대 동아시아 도성과 원림, 근대기 동아시아 각국 조경의 영향 관계를 관심 있게 살피고있다. 현재는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하면서 동아시아의 수도를 연구하고 있다.
  • 3등작: 도시에 스며든 남산 자락 남산 예장자락 재생사업 설계공모
    흔적과 파편, 숲으로 연결된 기억의 집합체 남산 예장 자락은 남산 북사면 끝자락에 돌기처럼 돌출된 지역이다. 조선 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뼈아픈 과거의 역사를 묻은 땅이기도 하다. 현재는 주변 맥락을 무시한 대규모 건물들로 채워져 있으며 거대한 교통섬으로 인해 보행 흐름이 단절되어 있다. 따라서 우선 비워내는 작업부터 시작한다. 과도한 것을 비워내는 과정에서 재생될 여지가 있는 파편과 흔적을 선별한다. 그리고 조각난 남산의 녹지 흐름이 도시로 스며들 수 있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수목을 연결한다.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되는 녹지의 흐름은 안쪽으로는 위요된 공간을 만들고 밖으로는 부드러운 완충 공간을 만들어 낸다. 건축은 아주 조심스럽게 마치 마을과 같이 자연스럽게 자리 잡는다. 또한 공간의 흐름이 대지 안에만 머무르지 않도록 기존 터널과 길을 이용해 주변 공간과 소통하는 길과 영역을 만들어 외부로 확장하는 공간이 되도록 한다.
    • 건일엔지니어링 + 스튜디오 엘 + 공유건축 / 건일엔지니어링 + 스튜디오 엘 + 공유건축
  • 2등작: 자연과 문화유산으로 이끄는 숲의 관문을 만들다 남산 예장자락 재생사업 설계공모
    장소란 땅 위의 한 지점이 아니라 주변 자연 환경 및 인간의 역사, 문화와도 관계를 맺는다. 서울의 얼굴이자 대표적 관광지인 남산 북쪽 끝자락에 위치한 대상지는 조선시대에 활자를 만들던 관아였던 주자소와 금위영의 분영인 남별영(지금의 남산골 한옥마을)이 있던 역사적인 공간이지만, 일제시대에 통감부가 설치되고 군사정권 시대에는 안기부가 들어서면서 본래의 지형과 숲을 잃어버렸다. 훼손된 숲의 재생을 통해 현재의 다중적 요구를 담은 예장 자락을 만들고자 했다. 능선의 복원 예장 자락은 급격한 레벨 차이로 인해 공간이 단절되고 능선이 훼손되었다. 자연스러운 능선을 복원하면서 기능적으로 필요한 다양한 시설을 수용하여 주변과 조화되는 경관을 만들고자 했다. 방문객은 진입로를 따라 걸어가면서 공간의 이동에 따라 변화되는 경관의 모습과 도시로 유입된 숲의 자연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 우리공간 + KnL + 이담구조 + 한일엠이씨 + 에이스올 / 우리공간 + KnL + 이담구조 + 한일엠이씨 + 에이스올
  • 1등작: 샛 자락 남산 예장자락 재생사업 설계공모
    샛 자락 땅의 기억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층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으며, 그 구성 요소는 상황에 따라 사라지기도 하고 새롭게 만들어지기도 한다. ‘샛 자락’은 땅이 가진 원형에 대한 섬세한 이해를 통해 새로운 관계를 만들어 가는 과정적 공간이다. 단순한 지형의 복원이 아니라현재 단면에서 주변과의 공간적, 물리적, 인문적 사건들을 엮어가는 장치로 제안했다. ‘샛 자락’에서 제안한 세 가지 태도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경계를 허무는 것이다. 기존 도시 공간에서 서로를 단절시키는 행위를 거부하고 상호 작용을 통해 서로를 연결하는 적극적 제스처를 보여준다. 자연, 사람, 도시는 연속성을 가진 개체로서 시간을 따라 매우 절제된 상호 반응을 일으키도록 설계했다. 두 번째는 이미 존재하는 것들에 대한 존중이다. 재생이라는 명분은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여 다시 사용한다는 의미다. 기존의 매우 단단한 도시 인프라를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치환하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다. 새롭게 삽입되는 콘텐츠들은 본래 가지고 있었던 기억과 충돌하면서 또 다른 의미를 만들어 낼 것이다.
    • 시아플랜건축사사무소 / 시아플랜건축사사무소
  • 남산 예장자락 재생사업 설계공모 Design Competition for Regeneration of the Namsan Yejang Jarak
    설계공모 경과와심사평 지난 2월 19일 ‘남산 예장자락 재생사업 설계공모’의 심사 결과가 발표되었다. 1등작에는시아플랜건축사사무소의 ‘샛 자락’이, 2등작에는 건축사사무소 우리공간의 ‘자연과 문화유산으로 이끄는 숲의 관문을 만들다’가, 3등작에는 건일엔지니어링과 건축사사무소 공유의 ‘도시에 스며든 남산자락’이 선정되었다. 남산의 북사면 끝자락에 자리한 예장 자락은 명동, 충무로 등 주요 도심과 이어지는 지점에 위치해 도시 관광의 허브로서 잠재력이 있는 곳이다. 하지만 현재 대상지는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본래의 자연 경관이 잠식된 상태다. 또한 차량 위주의 교통 체계로 인해 명동과 남산 간의 보행 환경이 열악하며 대중교통의 연결체계도 복잡하게 얽혀있다. 따라서 이번 공모는 남산예장 자락 고유의 경관을 복원하고, 도심부에서 남산으로 이어지는 보행 환경과 도로 교통 체계를 개선하며, 예장동 일대의 문화 관광 자원과 연결하여 문화 거점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1등작 샛 자락 시아플랜건축사사무소 2등작 자연과 문화유산으로 이끄는 숲의 관문을 만들다 건축사사무소 우리공간 + KnL 환경디자인 스튜디오 +이담구조기술사사무소 + 한일엠이씨 + 기술사사무소 에이스올 3등작 도시에 스며든 남산자락 건일엔지니어링 + 조경설계사무소 스튜디오 엘 + 건축사사무소 공유 가작 예장자락 생태역사 공원 건축사사무소 에브리아키텍츠 + 근보양 앤 파트너스 +김현대(이화여자대학교) 가작 인비저블 비저블 씨에스도시풍경건축사사무소 + 이우가도시건축연구소 가작 서울테라스, 남산 시대를 열다 기술사사무소 이수 + 김아연(서울시립대학교) + 국형걸(이화여자대학교) 가작 남촌 에지 단우건축사사무소
    • 조한결
  • 3등작: 트레이싱 네이처 렛츠런파크 영천 설계 국제공모
    이 공모의 목표는 기존의 경마장과 테마파크와는 차별화된 말 테마파크를 구현하는 것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경마장과 테마파크를 생각했을 때, 주어진 대상지의 지형은 설계를 어렵게 만드는 요소다. 산자락일 뿐만 아니라 저수지와 마을이 자리하고 있다. 지침서가 요구하는 프로그램, 지형 훼손을 최소화한 자연친화적인 공원 조성, 제한된 공사비 등을 고려하면 대상지의 지형은 극복해야 할 문제 중 하나다. 대상지의 지형 대상지는 전형적인 한국의 지형이다. 산, 골짜기, 저수지에 마을과 농경지가 위치해 있다. 자연을 벗 삼아 많은 사람이 살아온 곳이다. 산에는 풍요로운 숲이 있고 골짜기에는 생산의 장소인 초지와 농경지가 있다. 푸른 하늘과 더불어 나무 사이로 스며드는 빛이 사람들에게아늑함을 느끼게 하는 공간이다. 자연 곳곳에 거주의 흔적이 남아 있다. 트레이싱 네이처대상지에 담겨 있는 사람들의 흔적을 테마파크의 공간과 자연스럽게 연결하고자 했다. 또한 이를 통해 기존 대상지가 가지고 있는 가치를 새로운 가치로 변화시켜 이어나간다.
    • 엘 / 디자인캠프 문박디엠피 + 스튜디오엠오비 + 한국종합기술 + 엘 + 작품오늘
  • 2등작: 말과의 동행 렛츠런파크 영천 설계 국제공모
    테마파크의 새로운 종을 만들다 ‘말과의 동행Journey of a Horse’은 일반적인 주제 공원과 단순한 경마 공원을 뛰어넘어 새로운 유형의 공원 조성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 테마파크는 생태 서식처인 자연과 아름다운 경관 프로그램을 결합해 방문객을 그동안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체험에 몰입시킨다. 또한 세계적 수준의 경마장에서 볼 수 있는 부대시설을 제공해 다양한 고객을 만족시키고 일반 대중이 승마 문화에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만든다. 아름다운 경관 속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말과의 만남은 방문객을 일상에서 벗어난 새로운 세계로 안내한다. 전통적인 놀이 시설 위주의 주제 공원이 물리적으로 짜인 틀 속에서 짜릿함을 제공하는 반면, 새로운 형태의 주제 공원은 자연을 주된 매력 요소로 제안한다. 다양한 경관 프로그램을 통해 감성적인 경험을 제공하며 방문객 개개인이 각기 다른 형태의 체험을 할 수 있다.기존의 주제 공원에서 경관이 놀이 시설의 배경으로 조성되었던 것과 달리 놀이 시설을 이용하며 경관의 진면목을 체험할 수 있도록 만드는 데 주안점을 뒀다.
    • 동심원조경 / 동심원조경 + Wilmotte & Associés + PRAUD + Supermass Studio + Riva Creative + Pro Forma Advisors
  • 1등작: 파크 에버영 렛츠런파크 영천 설계 국제공모
    대상지에서 받은 첫 인상은 ‘골’과 ‘길’이었다. 수천 년간이어져 온 사람들의 발길과 물의 흐름은 대지의 골을자연스러운 길로 만들었다. 인위적인 정지 작업을 최소화하고 길은 길대로 물은 물대로 두어 대지에 흐르는자연의 힘을 고스란히 유지했다.오늘날 사회에서 사람과 사람, 아이디어와 아이디어, 콘텐츠와 콘텐츠를 연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오랜자연의 힘에 의해 대지에 골과 길이 생겼듯이 사람들이자체적으로 새로운 즐거움을 끊임없이 만들어내기를바랐다. 그리고 이와 같은 창조적인 네트워크를 담을수 있는 플랫폼을 아름다운 자연 속에 만들고자 했다. 설계 개념 에버영EverYoung의 영Young은 ‘영천’을 의미하는 동시에 ‘젊음’을 뜻한다. 에버Ever는 ‘파크 에버영The ParkEverYoung’의 가장 핵심적인 단어다. 영천의 예술·문화와 함께 ‘항상’ 성장하고 ‘항상’ 변화하며 ‘항상’ 지속되는 ‘젊은’ 공원. 이것이 파크 에버영이 추구하는 목표다.
    • 그룹한 /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 Grimshaw Architects + 그룹한 어소시에이트 + 도화엔지니어링 + 디이파트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