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ODUCT] 공원 설치 세트 ‘더 페블’
조약돌을 닮은 벤치와 화분으로 만드는 작은 쉼터
내가 원하는 곳에 꿈꾸는 형태로 공원을 만들 수는 없을까. 스튜디오미콘의 ‘더 페블(The Pebble)’을 이용하면 누구나 나무 그늘에서 편히 쉴 수 있는 작은 공원을 만들 수 있다. 더 페블은 초고성능 콘크리트UHPC로 만든 대형 화분과 벤치 세트다. 기존에 출시한 조약돌 벤치에 그와 잘 어울리는 대형 화분을 추가해 작은 쉼터를 만들 수 있는 세트를 구성한 것이다. 대형 화분을 중심에 두고 주변으로 작은 벤치를 배치하면 포켓 공원 못지않은 공간이 완성된다.
더 페블은 조약돌을 의미하는 ‘페블’이라는 단어에서 엿볼 수 있듯, 조약돌의 귀엽고 아기자기한 모양을 모티브로 디자인됐다. 모난 곳 없이 동글동글한 형태와 자연스러운 색채는 공원이나 숲 등 주변 환경과 잘 어우러지고 도심지의 경직된 분위기를 완화하는 효과를 낸다. 한 사람이 가볍게 걸터앉을 수 있는 벤치부터 여러 사람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벤치까지 크기와 형태가 다양하며, 모양이 각기 다른 제품을 모아 배치하면 이색적인 경관을 만들 수 있다.
초고성능 콘크리트로 제작된 더 페블의 또 다른 장점은 내구성이다. 외부 충격과 변화무쌍한 날씨에도 잘 견뎌 특별한 유지 관리가 필요하지 않다. 단순한 제품을 넘어 오랜 시간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지역의 상징 공간이 될 가능성이 있다. 이외에도 스튜디오미콘은 초고성능 콘크리트를 소재로 한 다양한 조경 제품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있다. 독특한 형태의 파사드, 공공 시설물, 인테리어 가구 등을 선보이며 콘크리트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특정 공간에 어울리는 맞춤 제작 제품도 만들고 있다.
TEL. 031-831-3620 WEB. www.miicon.com
-
공간으로 보는 한국현대사, 광화문
광화문 600년: 세 가지 이야기,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편
광화문 하면 먼저 떠오르는 장면은 무엇인가. 경복궁 정문, 이순신과 세종대왕 동상이 있는 광장, 초고층 빌딩이 줄지어 있는 왕복 10차선 거리 등 갖가지 풍경이 생각난다. 하나의 장면으로 정리할 수 없다. 광화문은 조선 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대한민국 역사의 목격자이자 주요 무대였다. 조선 왕조의 중심이라는 역사성, 대한민국 정치·행정·외교의 중심이라는 정치적 상징성, 시민의 문화 활동과 집단적 의사 표현이 이루어진 군중 집회 현장이라는 공공성이 혼재된 공간이다. 광복 이후 지금까지 광화문 일대 풍경이 수시로 바뀌었고 이를 둘러싼 많은 이야기가 겹겹이 쌓였다. 차곡차곡 적층된 이야기를 전시 ‘공간으로 보는 한국현대사, 광화문’을 통해 들여다볼 수 있다.
서울역사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3개 기관이 마련한 시리즈 형식의 ‘광화문 600년: 세 가지 이야기’는 광화문 일대의 역사와 문화를 탐색하고자 연 협력 전시다. 첫 번째 전시는 ‘한양의 상징대로, 육조거리’(주최 서울역사박물관)로 조선 건국 이후 광화문 앞에 조성된 육조거리의 모습과 현재의 광화문 광장으로 이어지는 역사를 조명한다. 두 번째 전시는 ‘고궁연화古宮年華’(주최 국립고궁박물관)로 경복궁 복원의 목적과 의미를 알리고 경복궁의 과거, 현재, 미래를 담았다. 세 번째 전시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열린 ‘공간으로 보는 한국현대사, 광화문’이다. 광화문이라는 창을 통해 한국 현대사의 단면을 이해하고 현대 한국인의 기억이 지닌 중층적인 현대의 의미를 역사적으로 조망하고자 한다.
‘공간으로 보는 한국현대사, 광화문’ 전은 ‘다시 찾은 광화문’, ‘광화문 거리 개발과 건설’, ‘광화문 거리의 현대적 재구성’, ‘광화문 공간의 전환’의 네 가지 소주제 로 전개된다. 각 주제별 색깔에 담긴 의미를 생각하며 전시를 관람하면 또 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다.
*환경과조경406호(2022년 2월호)수록본 일부
-
일상의 모든 순간을 영화처럼
사울 레이터: 창문을 통해 어렴풋이 피크닉에서 3월 27일까지
“세상에서 잊히기를, 별거 아닌 사람으로 남기를 바랐다.” 사울 레이터(Saul Leiter)의 작은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지금 이 시각에도 사울 레이터의 팬들이 인스타그램에 그의 시그니처 사진을 오마주해 해시태그(#SaulLeiterInspired)를 달아 올리고 있다. 영화감독 토드 헤인즈(Todd Haynes)는 ‘캐롤Carol’(2015)의 섬세한 감정과 시대적 분위기를 표현하는 데 레이터가 큰 영향을 주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실제로 창문을 통해 사진 찍기를 좋아하는 레이터처럼 상점 쇼윈도를 이용해 연
출한 모호한 분위기와 감각적 구도, 회화적 색채를 캐롤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레이터는 “대단한 철학은 없다. 카메라가 있을 뿐”이라고 말하며 자신을 별 볼 일 없는 사람이라 표현한다. 왜 그의 작업이 오래도록 많은 이에게 사랑받고, 여러 예술가에게 새로운 영감을 주는 것일까.
피크닉에서 열린 전시 ‘사울 레이터: 창문을 통해 어렴풋이’는 국내 최초의 레이터 회고전이다. 사진뿐 아니라 아직 연구 중인 미공개 슬라이드 필름과 1950~1960년대 패션 화보, 그림을 통해 다양한 범주에 걸친 그의 예술적 자취를 쫓을 수 있다. 레이터는 1923년 피츠버그의 독실한 유대교 집안에서 태어났다. 아버지의 뜻에 따라 신학교에 진학했지만 스물셋이 되던 해 학교를 그만두고 뉴욕으로 떠났다. 이스트빌리지에 정착한 그는 그림을 그리고, 35mm 라이카를 들고 거리를 쏘다니며 사진을 찍었다. 그는 컬러 사진의 선구자이기도 하다. 본격적인 컬러 사진의 시대가 열린 1970년대보다 훨씬 이른 1940년대에 컬러 필름을 사용했다. 당시 컬러 사진은 색상 재현에 한계가 많아 ‘진실을 왜곡한다’는 폄하를 받았지만, 레이터는 동조하지 않고 “우리가 사는 세상은 모두 색으로 이루어져 있다” 며 계속 컬러 사진을 찍었다.
*환경과조경406호(2022년 2월호)수록본 일부
-
[기웃거리는 편집자] 매달 보내는 답장
잡지는 희곡으로 말하자면 ‘동창생1’과 같았다. 자주 만나지는 않지만, 가끔 보면 재밌는 종이였다. 월간지 『전원생활』 애독자였던 엄마 덕분에, 집 곳곳에 잡지가 널브러져 있었다. 엄마는 늘 정독했지만, 나는 낄낄거리면서 끄트머리에 있는 별자리 운세나 유머 꼭지를 읽었다. 시간이 흘러 까까머리 군인 시절엔, 시간이 멈춰 버린(?) 그곳에서 잡지를 정독하는 일이 잦았다. 특히 월간지 『PAPER』 애독자였는데(현재는 계간지로 바뀌었다), 밤삼킨별 작가가 쓰는 꼭지를 매우 좋아했다. 아름다운 사진과 더불어 감성적인 글귀가 실리는 연재물이었는데, 맘에 드는 구절은 편지에 인용하거나 몰래 페이지를 찢어서 편지 안에 동봉해서 보내기도 했다. 작은 일탈이자 소소한 낙이었다.
대학을 졸업할 때 즈음 진로를 정한 친구들과 달리 아무것도 결정하지 못하고 발만 동동 구르고 있었다. 주위에는 공기업 적성 검사를 보거나, 대학원을 준비하거나, 공무원 시험을 위해서 노량진 학원에 들어가는 이들이 많았다. 공부는 수능으로도 이미 충분했다. 사실 수험 생활을 버틸 재간이 없었다. 다만 읽고 쓰는 건 예전부터 좋아했기에, 합법적으로 일을 빙자해서 책을 읽을 수 있는 직업을 찾다 보니 자연스럽게 잡지계로 흘러들어왔다. 군대 시절 종이를 찢은 값만큼 종이를 만들어야 한다는 이상한(?) 합리화를 시도했던 것 같다.
밖에서 보던 잡지와 안에서 경험하는 세계는 달랐다. 보수는 적었고, 고용 관계는 불안정했으며, 폐간의 불안을 감수해야 했다. 마감 시기엔 약속을 잡지 못해서, 친구들의 서운함을 온전히 감당해야 했다. 흰 바닥을 검은 글씨로 채우는 건 늘 막막했다. 섭외의 실패가 두려웠고, 어떻게 흘러갈지 예상할 수 없는 인터뷰는 설레는 동시에 긴장됐다. 탈고를 마친 원고는 어쩐지 미련이 남지만, 마감은 어김없이 찾아오고, 허둥지둥하다가 간신히 시간에 맞춰 원고를 넘겼다. 이 사진이 진짜 좋은 사진인지, 이 문장이 적확한 것인지, 늘 반복하는 일이 었으나 매번 괴로웠다.
한때는 이곳을 떠나려고 했었는데, 때마침 한 통의 메일을 받았다. 스팸 메일을 지우는 것이 일과의 첫 순서였는데, ‘독자 000입니다’로 시작하는 제목이 눈에 띄었다. 신종 해킹 메일인 줄 알고 삭제하려다 호기심이 생겨서 클릭했더니, 의외로 정성스러운 육필 편지를 찍은 jpg가 있었다. 키보드 치는 게 익숙하지 않아서 손 편지로 대신한다며, 내가 연재하는 꼭지를 잘 읽고 있다는 글이었다. 뜻밖의 편지에 놀라는 동시에 기분이 내심 좋았다. 감상에 젖을 시간도 없이 바빠서 답장은 하지 못했지만, 그분이 보내준 마음은 오래 남았다.
사실 엄살을 길게 늘어놓았지만, 좋은 점도 있었다. 눈처럼 쌓인 원고를 마주할 때는 눈앞이 캄캄하지만, 그것을 싹 해치웠을 때의 쾌감은 이루 말할 수 없이 좋다. 고된 이사를 마치고 맛있는 짜장면을 먹는 기분이라고 할까. 선택에 따라 달라지는 결과물을 매달 받아볼 수 있다는 것도 좋았다. 매달 나오는 잡지는 자라는 키를 재기 위해서 벽에 칠하는 눈금과 같았다. 아쉬울 때도 많았지만, 예전과 다르게 좋아진 점을 발견할 때면 기분이 좋았다.
K-리그2(2부 리그)에서 뛰는 일본인 선수 이시다 마사토시(이하 마사)는 지난해 해트트릭을 달성한 후 인터뷰에서 “개인적으로 지금까지 축구 인생은 패배자였다. 그래도 매번 인생을 바꿀 수 있는 경기가 있다. 어쨌든 승격, 그것에 인생을 걸고 합시다.”1라고 말했다. 어눌한 한국어였지만 그의 진심은 많은 팬에게 큰 울림을 줬다. 2월호 인터뷰이로 만난 조영민 대표는 “황량한 겨울을 끝으로 여기기 쉽지만, 겨울에서 다시 시작될 봄을 읽을 수 있다”고 말했다. 잡지 시장도 2부 리그나 황량한 겨울처럼 쉬운 여건은 아니다. 나 역시도 이 일을 얼마나 더 할 수 있을지 가늠이 잘 안 된다. 하지만 마사처럼 매달 조금은 간절하고 성실하게 임하다 보면 언젠가 봄과 같은 희망을 엿볼 수 있지 않을까? 오늘도 인생 잡지를 만 들기 위해서 키보드를 두드려본다. 그 잡지를 이름 모를 독자에게 보낼 답장이라고 생각하면서.
[email protected]
각주 1. 이정호, “팬들과의 약속…승격에 인생을 건다”, 「경향신문」 2022년 1월 18일.
-
[편집자가 만난 문장들] 정원은 실패를 배우는 곳
나의 정원은 지름 반 뼘, 높이 두 뼘에 살짝 못 미치는 유리 화병. 3년 전 방이 너무 건조하다는 이유로 들였던 스킨답서스가 자란다. 소박한 정원 앞의 선반은 엄마를 위한 숲이다. 다육 식물과 선인장, 미인초, 이름 모를 난이 들쑥날쑥 서 있다. 주말이면 엄마는 허리가 아프다면서도 화분을 모조리 욕실로 옮겨 흠뻑 적신다. 물이 어느 정도 빠지면 다시 끙끙거리며 해가 잘 드는 곳에 화분을 일렬로 세운다. 그 모습을 구경하며 역시 게으른 나에게는 스킨답서스가 제격이구나 생각한다. 스킨답서스 돌보는 법은 간단하다. 화병에 물을 보충한다. 2주에 한 번은 화병을 닦아 물을 새로 채우고 그 김에 잔뿌리를 정리한다. 잎이 심하게 많아졌다 싶으면 마디 아래 부분을 잘라 물꽂이 해주면 끝. 병해충에 강해 걱정할 일이 없고, 가끔은 너무 잘 자라서 벅찰 정도다.
공유정원, 처음 보는 낯선 단어의 의미를 짐작하다 의문이 생겼다. 공공적 성격도 띠지만, 일정 금액을 내고 일시적으로 사유하는 정원이 겨울에도 작동할 수 있을까. 대체로 겨울의 정원은 쓸쓸하다. 봄과 여름을 채웠던 잎이 떨어지고, 땅을 덮었던 가을 낙엽마저 바람에 흩어지면 앙상한 가지와 퍼석한 흙바닥이 드러난다. 계절에 따른 자연스러운 변화라지만 황량하다는 감상을 지우기 힘들다. 상록 식물을 가득 심으면 겨울 풍경은 따스해질지 모르지만, 일 년 내내 비슷비슷한 모습을 마주해야 한다.
타임워크 명동 공유정원에 오른 날은 영하 10도의 한파가 닥친 날이었다. 마스크를 써도 코끝이 빨개질 정도로 추웠고 바람이 세게 불었다. 그런데 정원의 풍경은 예상처럼 추워 보이지 않았다. 갈색으로 변했지만 잎과 열매를 떨구지 않은 키 큰 그라스가 바람에 느직히 몸을 흔들고, 연녹색의 작은 식물이 낮게 바닥을 채우고 있었다. 하나의 식물이 일정 영역을 차지하도록 군식해 볼륨감을 주었는데, 수종마다 키가 다를 테니 그에 따른 리듬감이 생긴다. 플랜터는 날렵한 띠 형태다. 식물 사이에 깐 화산석과 색이 비슷해 멀리서 보면 그 존재가 잘 느껴지지 않는다. 겨울 한복판을 지나고 있는 정원은 신기하게도 추위가 가신 이곳의 모습을 상상하게 만들었다.
인터뷰 중 최영준 소장(랩디에이치)은 금민수 기자에게 역으로 질문을 던지기도 했다. “정원의 본질이 뭐라고 생각하세요? 전 노동이라 생각해요. 정원은 계속 손을 대야 하는 곳이에요. 관리가 생명인데, 바쁜 삶을 이어나가며 정원을 돌볼 시간을 내기란 쉽지 않죠.” 이곳과 비교하면 초라하지만 그래도 푸른 나의 정원을 떠올리며 고개를 끄덕였다. 이어진 조영민 대표(앤로지즈)의 말에는 목덜미가 빳빳하게 굳었다. “도시인에게는 접근성이 높고 몰입할 수 있는 자연이 필요해요. 최근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이 높죠. 하지만 자연은 가상 세계로 옮길 수 없어요. 삶에서 물리적이고 인공적인 것이 차지하는 비율이 커질수록 자연을 향한 사람들의 욕구는 더욱 높아질 거예요. 겨울이 오면 정원의 식물이 다 죽은 것처럼 보이잖아요. 그런데 봄이 되면 거짓말처럼 싹이 돋아요. 각박한 현대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이 꼭 봐야 하는 풍경이라고 생각해요. 정원은 실패를 배우는 곳이 될 수 있어요. 모든 게 끝난 것 같고 다 죽은 것 같아도, 삶은 계속되고, 생명은 다시 태어나요.”
실패하지 않는 나의 정원을 떠올렸다. 늘 비슷한 장소에서 비슷한 양의 빛을 받고 비슷한 초록을 유지하는 그 정원에는 계절이 없다. 새 잎이 돋아 크게 자라는 모습은 볼 수 있지만, 꽃이 피고 지거나 낙엽을 떨구진 않는다. 한 번도 아쉬워한 적 없는 것들이 아깝게 느껴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여전히 더 큰 정원을 꾸릴 엄두는 나지 않는다. 덧없는 상념의 끝은 결국 공원에 가닿았다. 도심 곳곳의 정원도 좋지만, 이왕이면 더 큰 자연의 변화를 맛볼 수 있는 공원이 더욱 좋은 공간이 되기를. 조영민 대표의 말이 문득 부러워졌다. “임대 시장에서 입주민을 만족시킬 어메니티를 갖춘 곳은 이미 많아요. 미국의 경우, 라운지 서비스와 더불어 정원, 조경처럼 환경 요소가 건물의 값어치를 바꾸는 요소가 되고 있어요. 건물을 보는 관점이 바뀌어 가는 과정으로 보고 있습니다.” 언젠가 도시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준의 선두에 잘 가꾸어진 공원이 놓여있기를, 그 방법도 모르고 막연히 꿈꿔본다.
[email protected]
-
[PRODUCT] 내 집 속 작은 정원 ‘LG 틔운’
스마트 기술로 만든 식물 생활 가전
삭막한 도심 속 나만을 위한 정원, 누구나 상상해본 적 있지만 실현하기 쉽지 않은 꿈이다. 우선 정원을 꾸릴 땅, 식물을 가꾸는 데 필요한 여러 장비와 시간이 필요하다. 모든 조건을 갖추더라도 자칫 실수하면 공들여 키운 식물이 시들기 일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원사의 꿈을 포기하지 않은 이들을 위해 LG 전자가 신개념 식물 생활 가전 ‘LG 틔운 오브제 컬렉션’(이하 틔운)을 출시했다. 틔운은 누구나 꽃, 채소, 허브 등 다양한 식물을 손쉽게 키우고 즐길 수 있도록 돕는 제품이다. 초보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복잡한 식물 재배 과정 대부분을 자동화했다. 틔운 내부 선반에 씨앗 키트를 창작하고 물과 영양제를 넣은 후 문을 닫기만 하면 원하는 식물을 편리하게 키울 수 있다. LG 씽큐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면 모바일 기기를 통해 틔운에서 자라는 식물의 성장 단계와 환경을 확인할 수 있으며, 물과 영양제 보충이 필요한 시점에 알림을 받을 수도 있다.
정서적 만족감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식물이 처음 싹을 틔우는 발아부터 떡잎을 맺고 성장해 나가는 모든 과정을 직접 관찰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LG 오브제 컬렉션 색상인 네이처 그린, 네이처 베이지를 사용해 어떠한 공간에도 자연스럽게 어우러진다. ‘틔운’이라는 이름은 식물과 함께 하는 라이프스타일의 싹을 틔운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데, 그에 걸맞게 틔운 안에서 자라는 꽃의 성장 과정을 감상하거나 허브를 키워 수확해 차나 향신료로 활용할 수도 있다. 직접 키워 믿을 수 있는 채소는 샐러드나 쌈채, 주스로 즐길 수 있다. 틔운에서 성장한 식물을 옮겨 사무실 책상이나 침대 협탁 등 일상 속에서 보다 가깝게 감상할 수 있는 액세서리 ‘LG 틔운 미니’를 개발해 식물과 함께하는 라이프스타일을 지원할 계획이다.
TEL.02-3777-1114WEB.www.lge.co.kr/lg-tiiun
-
ASLA Best Books 2021
‘2021 올해의 책’으로 선정된 11권의 조경 서적
장기화된 팬데믹으로 일상이 송두리째 바뀐 지 벌써 2년, 조경가들은 해결해야 할 수많은 문제 앞에서 잠시 숨을 고르는 중이다. 과거를 점검하고 미래를 그리는데 연말연시만큼 좋은 시기가 또 있을까. 미국조경가협회(American Society of Landscape Architects, ASLA)는 매년 ‘올해의 책(ASLA Best Books)’을 선정한다. 앞으로 펼쳐질 조경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라며 ‘2021 올해의 책’ 11권을 소개한다.
1. 조경가가 알아야 할 250가지
B. Cannon Ivers, ed., 250 Things a Landscape Architect Should Know , Birkhäuser, 2021
2. 해안 적응을 위한 청사진: 설계, 경제, 정책의 통합
Carolyn Kousky, Billy Fleming, Alan M. Berger, eds., A Blueprint for Coastal Adaptation: Uniting
Design, Economics and Policy, Island Press, 2021
3. 역동하는 지형들
Barbara Wilks, Dynamic Geographies , ORO Editions, 2021
4. 생태지역적 옥상 녹화: 미국과 캐나다 서부에서 찾은 이론과 사례들
Bruce Dvorak, ed., Ecoregional Green Roofs: Theory and Application in the Western USA and Canada , Springer, 2021
5. 코펜하겐: 도시 건축과 공공 공간
Sandra Hofmeister, København: Urban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 DETAIL, 2021
6. 재구성: 미국의 건축과 흑인 정책
Museum of Modern Art, Reconstructions: Architecture and Blackness in America , Museum of Modern Art, 2021
7. 회복탄력적 도시: 기후변화를 위한 조경
Elke Mertens, Resilient City: Landscape Architecture for Climate Change , Birkhäuser, 2021
8. 우리를 구원하기: 분열된 세계에서 희망과 치유를 위한 기후학자의 변
Katharine Hayhoe, Saving Us: A Climate Scientist’s Case for Hope and Healing in a Divided World , Atria/One Signal Publishers, 2021
9. 치유하는 학교들: 정신 건강을 고려한 설계
Claire Latané, Schools That Heal: Design with Mental Health in Mind , Island Press, 2021
10. 진지하게 즐거운: 클로드 코미에의 경관
Marc Treib, Susan Herrington, Serious Fun: The Landscapes of Claude Cormier, ORO Editions, 2021
11. 사회적 어바니즘: 공간 설계의 재구성–라틴 아메리카의 담론들
Maria Bellalta, Social Urbanism: Reframing Spatial Design–Discourses from Latin America , Applied Research+Design, ORO Editions, 2021
*환경과조경405호(2022년 1월호)수록본 일부
-
[기웃거리는 편집자] 달러구트 꿈 백화점
여행을 떠나기 전날 예약한 비행기나 호텔이 취소되는 꿈, 낯선 외국인에게 사기당하는 꿈을 종종 꾼다. 이런 꿈을 꾸고 나면 기분이 영 찝찝하다. 괜히 불안해 애꿎은 예약 확인증을 몇 번이나 확인해본다. 대부분은 기우에 그친다. 불행하게도 한번 예외가 있었다. 몇 년 전 가족 여행으로 냐짱(Nha Trang)의 랜드마크인 빈펄랜드(Vinpearl Land)에 갔을 때다. 한국에서 미리 케이블카 표를 예매했다. 매표소에 도착해 표를 받으려고 했는데 예약이 되어 있지 않다는 답이 돌아왔다. 순간 머릿속이 하얘지며 꿈에서 본 장면이 재생되고 있는 것만 같았다. 난감한 상황이다. 예약 페이지 화면을 보여주었지만, 직원은 자신은 잘 모르겠다며 어딘가로 전화해보겠다는 모호한 대답만 웅얼거렸다. 결국 한참의 시간을 허비한 후 현지에서 다시 돈을 지불하고 표를 구했다. 여행 전날 꾼 꿈의 데자뷰인가, 꺼림칙한 기분을 떨쳐낼 수 없었다. 『달러구트 꿈 백화점』을 펼쳤을 때 그때의 기억이 떠올랐다.
다섯 개 층으로 이루어진 달러구트 꿈 백화점은 우리가 흔히 접하는 옷, 음식, 잡화 등을 파는 곳이 아닌 꿈을 파는 백화점이다. 사람은 하루 중 4분의 1 이상 잠을 자면서 시간을 보낸다. 그 시간동안 현실에선 볼 수 없는 신비하고 아름다운 풍경, 자주 등장하는 어떤 한 사람, 다신 겪고 싶지 않은 기억을 마주하기도 한다. 마치 생생한 영화처럼 말이다. 이게 바로 꿈이다. 꿈은 어디에서 시작되는 것일까, 내가 만들어 낸 이야기인 걸까, 원하지 않는 꿈은 왜 꾸는 것인가. 늘 궁금했다. 자고 일어나면 잊어버리는 것이라고, 무의식이 만들어낸 몽상에 불과하다고 하기에는 어떤 꿈은 지나치게 선명하다. 『달러구트 꿈 백화점』은 꿈속에서만 갈 수 있는, 꾸고 싶은 꿈을 사고 그 꿈에 대한 감정을 돈 대신 지불하는 백화점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일들을 담은 책이다. 꿈 제작자, 꿈 백화점 같은 키워드만으로도 책을 펼치고 싶은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아침부터 재입대하는 꿈, 또다시 시험을 치는 꿈 등 악몽을 꾼 수십의 손님들이 어떻게 이런 꿈을 팔 수 있냐며 달러구트 꿈 백화점에 찾아왔다. “손님. 죄송하지만 그냥 악몽과는 다릅니다. … 정식 명칭은 ‘트라우마 극복을 위한 꿈’입니다.”1 주인장의 말에 꿈속에서 싫은 일을 다시 겪는 게 얼마나 불쾌한 일인지 아냐며 손님들은 불평불만을 가득 토로했다. “정말 싫은 기억이기만 할까요. 가장 힘들었던 시절은, 거꾸로 생각하면 온 힘을 다해 어려움을 헤쳐 나가던 때일지도 모르죠. 이미 지나온 이상,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법이랍니다. 그런 시간을 지나 이렇게 건재하게 살고 있다는 것이야말로 손님들께서 강하다는 증거 아니겠습니까.”2 달러구트의 설명을 들은 손님 중 절반은 계약을 철회하고 절반은 비장하게 서로를 다독이며 잘 버텨보자며, 다신 이런 꿈을 꾸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잊지 마세요. 손님들께서는 스스로 생각한 것보다 많은 것들을 이겨내며 살고 계십니다. 그리고 그것을 깨닫는 순간 이전보다 훨씬 나아질 수 있죠.”3 달러구트는 생각을 좋은 방향으로 정리할 수 있게 도와주는 향수를 뿌려주며 지상으로 올라가는 손님들을 배웅했다.
빈펄랜드에서 한국으로 돌아온 뒤 예약 사이트에 전화해서 어떻게 된 일인지 물었다. 예약 내용이 사이트 오류로 전달되지 않았다는, 다소 맥 빠지는 답을 들었다. 『달러구트 꿈 백화점』의 마지막 페이지를 덮고 나서 잊고 있던 다른 기억이 떠올랐다. 케이블카 예매 오류의 원인을 직원이 알아보는 동안, 발길 닿는 대로 둘러보았던 곳에서의 시간들. 예매 오류가 없었다면 가보지 못했을 장소, 그곳에서 먹은 기막히게 맛있었던 아이스크림. 코로나19로 인해 여행 캐리어를 꾸릴 일도 예약이 취소되는 꿈을 꿀 일도 없지만, 다시 한 번 비슷한 상황에 처하게 되면 좀 다르게 대처하지 않을까 싶다. 어쩌면 틀어진 계획 덕에 하게 될 새로운 경험을 은근히 기대할지도 모르겠다. 잡지 에디터 2개월 차인데, 원고가 펑크 나는 악몽은 아직 꾸지 않았다. 오늘 밤에는 원고가 뚝딱 써지는 꿈을 사러 달러구트를 찾아가볼까.
각주1.이미예, 『달러구트 꿈 백화점』,팩토리나인, 2020, p.141.
각주2.같은 책, p.144.
각주3.같은 책, p.146.
-
[편집자가 만난 문장들] 눈물 금지
아마도 1960년대 즈음, 잡지가 주요 미디어였던 시기의 이야기다. 아서 하위처 주니어(Arthur Howitzer, Jr.)는 미국의 여행 잡지 『피크닉』을 인수해 프랑스의 앙뉘 쉬르 블라제(가상 도시)로 떠난다. 최고의 저널리스트들을 모아 도시와 예술, 사회, 음식, 대중 문화를 깊게 들여다보는 지면을 구상하고 그에 걸맞게 제호를 바꾼다. 그렇게 『프렌치 디스패치』는 세계적 매거진으로 발돋움한다. 보통은 이 변혁의 과정을 조명할 테지만, ‘프렌치 디스패치’는 영화 시작 5분 만에 편집장의 부고를 알린다. 편집장의 유언은 직원과 기자들에게 후한 퇴직금을 주고, 『프렌치 디스패치』를 폐간하는 것. 동료의 죽음이, 일자리가 사라진다는 소식이 잔인하게 느껴질 법도 한데 누구도 화를 내거나 슬퍼하지 않는다. 대신 편집장의 사무실에 모인 기자들은 종간호를 위한 마지막 편집 회의를 시작한다. 뒤편으로 벽에 새겨진 문장 하나가 보인다. No Crying눈물 금지.
동화적 색감, 강박적 대칭 구도, 숨 쉬는 박자마저 계획했을 것 같은 치밀한 연출, 웨스 앤더슨 특유의 탐미적 감각은 잡지 구성을 플롯으로 삼은 ‘프렌치 디스패치’에서 더욱 빛을 발한다. 평면적 구도의 미장센은 화면을 더욱 지면답게 만들고, 이야기와 그 속의 인물들을 입체적으로 도드라지게 한다. 에디터의 입장에서 바라본 『프렌치 디스패치』의 마감 풍경은 너무나 이상적이라서 도리어 끔찍하다. 온몸으로 체험하느라 터무니없이 긴 시간을 취재에 매달려 마감을 지키는 기자가 없다. 그뿐인가, 기획 의도에서 벗어난 내용을 써오는가 하면 약속된 분량의 다섯 배나 되는 원고를 떡하니 내어놓기까지 한다. 그래도 아서는 우선 읽는다. 기사의 취지를 다시 묻고 쳐낼 곳은 없는지 혹은 중요한데 버려진 부분이 있는지 확인한다. 게시판에 붙은 수많은 교정지를 한참 들여다보던 그는 소리친다. “난 아무도, 그 어떤 기사도 안 잘라. 인쇄 종이를 더 확보하고 페이지를 늘려!”
겪어본 적 없는 저 풍경에 묘한 그리움을 그리는 까닭은, 시대가 저물며 사라지고 있는 가치가 그 안에 담겨 있기 때문일 것이다. 웨스 앤더슨은 여러 인터뷰를 통해 어린 시절 즐겨 읽은 『뉴요커(New Yorker)』에서 영감을 받아 이 영화를 기획했다고 고백했다. 그래서일까 107분에 달하는 긴 영상은 마치 숭고한 저널리즘과 그 속에 담긴 낭만을 향한 찬사 같다. 『프렌치 디스패치』의 기자들은 단순히 기삿거리를 쫓는 데서 멈추지 않는다. 사건에 몸을 던져 그 속에 얼마나 복잡한 진실이 엉켜 있는지, 사람들은 서로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그 배경에 숨겨진 이야기는 무엇인지 파헤친다. 도시, 아트, 정치‧시사‧국제, 음식 생활, 꼭지의 이름은 다르지만 네 편의 기사의 종착지는 결국 보편적인 인간사다(에피소드는 실제 뉴요커에 실린 기사를 바탕으로 한다. 검색해보기를 추천한다). 이미지, 짧은 문 장, 영상으로 세상을 소비하는 시대, 잡지를 비롯한 여러 인쇄 매체는 올드 미디어가 되었다. 그러니 편집장의 방에 적힌 ‘눈물 금지’는 ‘네가 뭘 잘했다고 우냐’며 직원을 닦달하는 말이 아닌, 시대를 통과하며 변화를 맞이하는 매체를 향해 보내는 위로, 저물며 사라지는 모든 것들에 대한 애도의 인사일 것이다.
직업 때문일까, 에피소드 사이사이 취재 노트처럼 삽입된 장면들에 유독 마음이 갔다. 편집장과 기사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장면에서 기자들은 제 모습을 완전히 드러내지 않는다. 어린 혁명가들과 엉켜 각양각색의 낯을 띄우던 기자는 타자기를 두드리는 뒷모습만을 보여주고, 요리사를 취재하러 갔다가 납치된 경찰청장의 아들을 추적하게 된 기자는 마감에 지쳐 누워 있는지 침대 위로 뻗은 다리만이 화면에 담길 뿐이다. 그게 꼭 이야기의 주역과 그들을 지켜보는 사람 사이의 거리처럼 느껴져 괜히 쓸쓸했다.
아서와 기자들이 나누는 대화를 들으며, 2021년 내내 잘려나간 수많은 문장을 생각했다. 지면의 특성을 지키기 위한 선택이었지만, 자리를 잃은 글들이 머물 수 있는 곳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느냐 묻는다면 고개를 끄덕이기 어려웠다. 그래서 결국 사람 이야기를 담는 기획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조경은 우리를 둘러싼 공간이자 환경이고, 이를 완성시키는 건 결국 사람일 테니 말이다. 2월호의 서두에는 공간뿐만 아니라 사람의 이야기를 담은 새로운 꼭지가 등장한다. 슬쩍 흘린 이 예고가 독자 여러분의 흥미를 자극하기를 기대한다..
-
[COMPANY] 스페이스톡
조경 시설물 분야의 게임 체인저를 꿈꾸는 기업
새로운 시도를 두려워하지 않은 개척자. 조경 시설 분야에서 스페이스톡을 일컫는 말이다. 2002년 설립된 스페이스톡은 사람과 환경을 위한 토털 디자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디자인 그룹으로 출발해 조경 시설, 놀이 시설, 환경 조형물, 야외 운동 시설을 만들어왔다. 개척자라는 별명에 걸맞게 늘 혁신을 꾀해왔는데, 업계 최초로 아이들이 넘어져도 다치지 않는 우레탄 바닥 놀이터를 제안하고 교통사고로부터 안전한 차 없는 아파트의 모습을 제안한 이력이 그 예다.
2017년 스페이스톡은 또 한 번의 도전에 나섰다. 사물인터넷IoT과 AR 및 VR 기술을 접목해 다음 세대를 위한 시설물을 개발하고자 한 것이다. 수년간의 기획과 개발을 통해 2021년 12월 공간 솔루션인 ‘넥스트톡Nexttalk’을 선보였다. 넥스트톡은 좀 더 다채로운 삶을 위해 우리가 누리는 환경을 휴게, 운동, 놀이 공간으로 정의한다. 각 공간을 스마트 기술과 융합해 라잇플Life+(휴게 공간), 핏플Fit+(운동 공간), 플레잇플Play+(놀이 공간)을 완성했다. 김필주 대표는 “디지털 기술 중심의 사회 변화를 감지해 신사업 발굴을 위한 경영 전략을 수립했다. 코로나19로 인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예상보다 빨리 진행되어, 디지털 기술을 탑재한 시설물이 분야의 새로운 도약점이 될 것이라 예감했다”고 넥스트톡의 출시 배경을 밝혔다.
편안한 휴식 생활을 지원하는 라잇플은 스마트 티하우스, 스마트 퍼걸러, 스마트 버스 정거장, 스마트 키즈맘 스테이션으로 구성된다. 공기 청정 기능과 냉난방 시스템, 유해 화학물을 친환경적으로 제거하는 그린월이 있어 미세먼지와 대기 오염으로부터 안전한 공간을 제공한다. 전력 공급에 따라 투명도가 달라지는 스마트 글라스를 이용해 영상이나 음악 등 미디어 콘텐츠를 즐길 수도 있다.
핏플은 야외 피트니스를 위한 공간이다. 유산소 운동 기구, 스트레칭 기구, 근력 운동 기구로 이루어져 있는데, 자체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으면 운동 기록 저장과 운동 기구별 목표 설정이 가능하다. 운동 기구와 연동할 수 있는 게임도 애플리케이션에 탑재해 재미를 더했다.
4차 산업혁명으로 급변하는 시대의 흐름에 발맞춰 고안된 플레잇플은 현실과 가상을 연결한 신개념 놀이 공간이다.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AR 놀이터에서 가상의 공룡 및 동물과 놀 수 있다. 버추얼 스포츠 리그Virtual Sports League는 학습과 운동, 놀이를 즐길 수 있는 가상 현실 플랫폼이다. 공이나 화살 등 물체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3D 비전 센서를 이용해 VR 스포츠를 즐길 수 있으며, 초등학교 교과서와 연계된 콘텐츠를 설치하면 학습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다.
김필주 대표는 스마트 시설물의 핵심은 ‘스마트’라는 단어에 있다고 강조했다. “스마트하게 작동하는지, 스마트하게 관리할 수 있는지가 IoT 기반 시설물의 차별화 지점이다. 넥스트톡은 별도의 설정을 하지 않아도 스스로 주변 환경 정보를 수집해 그에 맞추어 작동한다.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모든 시설물을 원격으로 운영 및 제어할 수 있고, 고장이 나면 쉽게 대처할 수 있도록 AS 신청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물론 개발 과정이 녹록하지는 않았다. 시대가 요구하는 제품이 무엇인지, 또 시장의 반응이 어떨지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앞섰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스마트 시설을 원하는 이들이 있는지 확신할 수 없어 불안했다. 하지만 2021년 ‘부산 에코텔타시티 스마트 공원시설물 공모’에 당선되며 우려가 해소되었고, 시장과 제품에 대한 믿음을 가질 수 있었다.”
넥스트톡은 더 나은 공간을 창조해가는 진행형 브랜드다. 한층 더 진화한 넥스트톡을 위해 스페이스톡은 AR 가든, AR 탐조대, AR 안내 지도 등 이제껏 다른 회사가 시도하지 않은 제품을 개발하는 데 매진할 계획이다. 시대의 흐름에 부응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늘 사람과 공간을 위한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는 점을 잊지 않고 더 나은 삶의 공간을 마련하고자 노력해온 스페이스톡의 철학을 담은 포부다. 마지막으로 김필주 대표는 “스페이스톡은 독보적 디자인 노하우와 IoT, AR, VR 기술을 융합한 넥스트톡을 통해 시설물 분야의 판을 바꾸는 게임 체인저(game changer)가 되고자 한다. 기술 기반의 시설물 분야를 이끄는 선구자로서 나아갈 것이니 많은 관심과 격려를 부탁한다”고 전했다. 글 김모아 사진 스페이스톡
TEL. 02-525-3274 WEB. spacetal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