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ashington Monument 워싱턴 기념비
워싱턴 기념탑 주변의 장소는 활동적인 문화적 요지로서, 대중들을 위한 레크리에이션, 문화, 오락공간 등을 제공해 왔으나 9·11테러 후, 보안의 중요성에 대한 필요로 인하여 기념비에 대한 공모전을 국립공원기관측에서 진행하였고, Olin Partnership의 작품이 당선되었다. Location _ Washington, DC Size _ 60acres Client _ National Park Service Landscape Architect _ Olin Partnership 프로젝트의 시작은 평화로운 시민의 공간을 테러로부터 방어할 수 있는 모티브가 시초가 되었다고 하며, 해당부지의 역사, 규모, 순환도로, 운송수단에 있어서 방해가 되는 요소들, 폭탄테러 가능성 등이 고려대상이 되었는데 특히, 기념비는 프로젝트에 있어서 홍일점과 같은 요소였기에 사람들이 쉽게 접근하지 못하게 하는 방법도 생각하였다고 한다. 18세기 유럽지역에서 유행하던 펜스나 방벽을 설치하는 것이 물리적인 충돌에 있어서 방지 효과를 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었다고 하는데, 이것이 조경분야에서는 수세기 동안 고안되었던 것이라고 한다. 18세기 영국과 프랑스에서는 선큰월(Sunken wall)이라 하여 가축들이 귀족들의 저택으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미국 수도인 워싱턴에서도 보행자들이나 말을 이용한 이동수단들의 직접적인 접근을 막기 위해 높이가 낮은 벽을 쌓아 방지책으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기능들의 적절한 조합들이 전체적인 설계의 토대를 잡아나가게 된 것이다.30인치 높이의 대리석으로 마감처리한 외벽을 곡선형태로 처리하여 기념비의 숭고함과 어울리는 우아한 패턴으로 장식하였다. 콘크리트로 시공된 진입로는 재구성되거나 새로이 교체되었으며, 장애인들이 쉽게 이동할 수 있고 부지의 미적인 부분을 높이면서 보행자들의 안전도 고려하였다. 식재, 조명, 시설물들의 설치 그리고 화강석으로 마감된 광장들은 방문객들에게 신선한 경험이 되며, 그 외에 불필요한 콘크리트 블록들이나 주차공간들은 없앴다. 새로이 재탄생한 워싱턴 기념비는 미국에서 조경설계분야에 매우 의미있는 명소로 자리매김할 것이라 보고 있으며, 단지 디자인과 설계부분에서 안정성이나 예술성의 결합체가 집결된 것만이 아닌, 복합적인 기능을 갖춘 솔루션을 가져다 줄 것으로 보고 있다. 참고로 워싱턴 기념비는 ASLA AWARDS 2008에서 General Design부문 Design Honor Award를 수상하였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주목할 만한 해외 조경가 26인(1)
최근 몇 년간 한국의 건설업계에서 해외의 유명 건축가들과 조경가들의 참여가 부쩍 많아졌고, 한국에서의 건축계와 조경계가 이들과 함께 나란히 프로젝트들을 수행해 나가면서 서로 영향을 주고 있다. <환경과조경>의 26주년을 기념하여 최근 해외에서 활발히 활동중이고 주목할 만한 26인의 조경가들의 경향과 대표 작품들을 간략히 2회에 걸쳐서 소개함으로 해외 조경계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한정된 지면에 여러명의 작가들을 한꺼번에 소개해야 함으로 다소 그 깊이가 떨어질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 조감해 볼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첫 회에서는 이미 잘 알려진 조경가들이지만 여전히 주목해야 할 그들의 최근 활동 근황에 대해서 살펴보고, 두번째 회에서는 국내에서는 다소 알려지지 않은 조경가들과 신진 조경가들에게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Diana Balmori다이아나 발모리Diana Balmori는 국내에 2007년 행정도시, 중심행정타운 마스터플랜 국제 컴피티션(MAPPT)의 당선으로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되었지만, 이미 1990년도에 “발모리 어소시에이트Balmori Associates”를 설립함으로써 조경가로서 입지를 굳혀왔다. 스페인에서 출생, 영국과 아르헨티나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그녀는 어려서 부터 다양한 문화를 경험함으로써 독특한 디자인 관을 지니게 되었다고 한다. 그녀는 도시역사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함으로 디자이너로서 보다 학자로서 먼저 알려지게 되었고, 예일대학교와 뉴욕주립대에서 오랫동안 조경사와 경관사를 가르쳐왔다. 그래서인지 그녀의 디자인 접근은 환경적, 사회적, 그리고 물리적인 요구를 충족시키는 여러 분야의 학문에 걸쳐지는interdisciplinary 작업의 성격을 지녔다. 최근에는 많은 컴피티션에서 당선됨으로써 건축과 조경을 넘나드는 새로운 시도들을 많이 하고 있다.Thomas Balsley토마스 바즐리Thomas Balsley는 국내에 많이 알려지진 않은 조경가이지만, 30여년이 넘는 실무경력으로 공원, 프라자, 워터프론트, 캠퍼스, 그리고 정원 등 다양한 조경 장르와 스케일을 넘나들고 있다. 특히, 뉴욕 공공조경의 대가라고 일컬어질만큼 뉴욕시에서만 1백여곳이 넘는 공공 장소를 디자인하였고 만들어왔다. 뉴욕시에서는 그의 이러한 공로를 인정하여 그가 디자인한 57개의 공원을 “Balsley Park”이라 하여 그에게 헌정하였다. 그는 그의 공공장소에 대한 디자인 신념을 “공공 오픈 스페이스는 최고의 서민적인 장소이자 근본적인 소통의 장소”라고 표현함으로써 그의 비전과 구체적 실천방향을 제시해 왔다.James Corner제임스 코너James Corner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Landscape Urbanism의 선두 주자로서 조경계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은 조경가이다. 이미 춘천 G5 워터프론트와 부산 하야리아 시민공원 프로젝트로 국내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영국에서 학부를 마친 후, 펜실베니아대학교University of Pennsylvania에서 조경과 도시설계를 공부했고, 1988년부터 조경학과 교수로써 재직해 오고 있으며, 2000년도부터는 학과장으로 재직중이다. 제임스 코너는 디자이너로서 보다 경관디자인과 도시이론에 기반을 둔 혁신적인 연구 접근 방식으로 이론가로서 먼저 알려지게 되었고, 대표저서로는 『Taking Measures Across the American Landscape(Yale, 1996)』와 『Recovering Landscape: Essays i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Princeton, 1999)』가 있다.Adriaan Geuze아드리안 훠즈Adriaan Geuze는 이미 국내에 잘 알려진 네덜란드 출신의 조경가이다. 1960년 생으로, 1987년 ‘West 8’이라는 조경설계사무소를 설립했다. 디자인과 공공 공간에 대한 치유와 연결된 모든 분야를 다룬 그의 작업은 회화적인 아방가르드 표현 방식을 빌어 예술과 정원의 전통과 도시의 역사를 대변하는 문화적 공간을 만들어 낸다. 이런 현대의 도시 문화를 위한 공적인 공간의 모범 사례가 된 것이 ‘Schouwburgplein’이다. 공간은 여러 스케일의 실험을 통해 새로운 규격을 가지게 되고, 공간에 대한 비전은 시간을 통한 아름다움의 축적으로 다져지는 과정이 됨을 이 프로젝트를 통해 보여줬다. 그가 정의한 디자이너는 이러한 과정에 씨를 뿌리는 사람이다. 그는 현대의 도시화가 자기 과시적이고 탐구적이며 개인적이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고, 전문의 기술력을 갖추고 이러한 환경적 요구에 부응하는 조정자가 되고자 하였다. 실제로 West 8에는 기술팀을 따로 운영하고 있으며, 이 곳에서 그의 디자인이 실체화되기 위한 여러 기술들이 실험되고 있다.Kathryn Gustafson캐서린 구스타프슨Kathryn Gustafson은 어린시절 록키산맥과 사과 과수원에 둘러싸인 곳에서 자랐고, 마치 산맥으로 둘러싸인 사막과도 같은 대지경관이 그녀의 디자인에 영향을 끼쳤다고 한다. 뉴욕의 Fashion Institute of Technology(FIT)에서 수학 후 패션디자이너로서 파리에 건너가게 된 후 천의 물결 흐르는 듯한 프랑스의 경관에 매료되어 조경가로서 새출발하게 된다. ‘Gustafson Porter’와 ‘Gustafson Guthrie Nichol’이라는 이름으로 각각 런던과 시애틀에 스튜디오를 열었고, 두 개의 사무실은 지사 개념이 아닌 자매 회사로 각각의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그녀의 기본적인 디자인 방법은 땅을 조각하는 것처럼 만드는 것이다. 그녀에게 있어서 조경이란 자연과 창작을 혼합하여 대지를 드러내게 만드는 것이며, 대지는 그녀가 즐겨 다루는 물리적 소재이다. “저기 하늘이 있다면, 그건 내 것이다” 라고 종종 말한다는 그녀는 자연의 모든 요소를 소재로 사용하고 있다. 그녀의 많은 디자인이 패션디자이너였던 전직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고, 그래서 마치 천을 다루듯이 지형을 조각한 작품들은 대단히 세련되고 우아해 보인다는 평을 받고 있다.George Hargreaves조지 하그리브스George Hargreaves는 피터 워커Peter Walker의 미니멀리즘Minimalism 조경 이후 대표적 흐름 중 하나인 생태적, 지속적 경관에 대한 접근으로 한 시대를 풍미해왔고 지금까지 활발히 활동 중인 조경계의 대가 중 한 사람이다. 그가 조경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는 18살의 여름 여행으로 다녀온 록키산맥에서, 자연을 개개의 요소가 아닌 하나의 경관으로 체험한 것이라고 한다14). 하바드대학Harvard University을 졸업한 후 ‘SWA(Sasaki Walker Associates)’에 입사 3년 만에 공동 경영자Partner가 되었고, 1983년 독자적으로 ‘하그리브스 어소시에이트Hargreaves Associates’를 설립하게 되었다. 현재, 샌프란시스코, 캠브리지, 뉴욕, 그리고 런던에 지사를 두고 세계적으로 활동 중이다. 1991년부터 하바드대학의 교수로도 재직 중이며, 10여 년간 학과장을 역임했다. 30여년이 넘는 디자인 경력으로 수많은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한 그는 언제나 대지와 사람, 문화와 환경의 연결고리가 조경임을 강조해왔고, 자연적 시스템의 복원과 자생적인 경관을 위한 생태적 접근을 이루어냈다. 그의 경관은 대지를 자연적 시스템으로 그려내고 물과 바람 등의 자연현상으로 생기는 패턴을 재료화한다. (다음편에 계속)(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우리는 누구나 놀이터가 필요하다 4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해인사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제18회 대한민국 조경인 체육대회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2008 대한민국 조경박람회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21세기 아시아 조경의 비전
최근 들어 해외 설계업체들의 아시아 시장으로의 진출이 활발한 것 같다. 특별히 아시아 시장에 주목하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오늘날 아시아는 인구증가는 물론 전원 공동체생활에서 도시 중심생활로의 변화 및 중산층의 성장에 의해 경이로운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인류의 절반이상이 도심지에 살고 있다. 아시아에 있는 193개 이상의 도시에는 백만을 훨씬 넘는 인구가 살고 있을 정도로 도시화는 삶의 한 방식이 되고 있다. 우리가 아시아를 도시화 시키고 개발할수록, 환경을 위협하는 도전에 직면하게 된다. 아시아의 도시들은 세계경제가 새로운 권력과 새로운 에너지를 풀어낼수록 그에 맞서 도시를 재평가하여 새로운 비전을 가지고 현재의 이점들에 대한 재접근을 허용할 것이다. 이는 인구이동 문제를 파악하고 지원하는 도시에 자리잡고 있는 설계회사들에게는 놀라운 성장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요즘 한국업체들의 동남아시장으로의 진출이 활발한데, 아시아에서 한국 조경의 성향이나 역할은 무엇이며, 한국의 클라이언트들과 일하는데 있어서 다른 나라와의 차이점이 있다면 무엇인가?
동남아시아에서 수행한 몇몇 대규모 프로젝트에 한국의 대형개발업체가 참여한 적이 있는데, 그들은 새로운 시장에 진출하면서 현지 시장상황에 밝고 정부기관에 대한 이해와 관계가 정립되어 있으며 비슷한 유형의 프로젝트 경험이 있는 컨설턴트들을 신뢰했다.
한국에서 얻은 성공이 항상 다른 나라에도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 적합한 고밀도의 도시 생활이 동남아시아의 어떤 도시에서는 꼭 필요한 것이 아닐 수도 있다.
한국 업체들에게 있어 중요한 도전과제는 지역적 맥락과 환경을 이해하는 것이다. 양질의 경관을 창조하는 것은 하드스케이프 소재와 한국과 동남아시아에서 훨씬 더 좋게 바꿀 수 있는 소프트스케이프 소재에 대한 많은 이해를 요구한다.
21세기를 맞아 조경이 나아갈 방향은 무엇이며, 조경가들의 역할은 무엇인지 당신의 생각을 듣고 싶다.
오늘날처럼 도시 한 가운데의 오픈스페이스에 대한 요구가 중요한 적은 없었다. 오픈스페이스는 우리의 도시를 숨 쉬게 하는 허파이며, 자연환경, 인공환경 및 사회환경이 필요로 하는 잠시의 휴식을 제공하며,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자연으로 돌려보낸다. 또한 도시의 삶의 질에 기여하며 결국 거주자들과 방문자 모두에게 제공되고 상호작용과 활동을 위한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사람들을 서로 어울리게 한다.
조경가들은 도시 내에 생산적인 녹지를 만들어내는 영웅이다. 또한 공공영역의 창조자들로서 도시중심적인 환경에서 적극적인 오픈스페이스 정책의 필요성을 알고 있다. 좀 더 공공성을 가진 공원, 충분한 녹지대, 녹도와 산책로 등의 설계는 우리 도시의 나아갈 길을 발전시키기 위한 먼 길의 시작이다. 조경가들은 이런 도시화의 변화를 이끌어가는 완벽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다.
Scott Dunn _ Managing Director, EDAW | AECOM Singapore
-도시디자인 및 조경건축가(Resort and Tourism Designer)
-EDAW 싱가포르 스튜디오 Managing Principle
-Canadian Society of Landscape Architect 회원
-American Society of Landscape Architect 회원
-US Green Building Council 회원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지식정보사회와 조경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조경가의 사회적 역할
최근 건축, 조경, 도시설계 등 모든 분야들은 서로의 영역을 확대하기위해 노력하고 있다. 과거 각 분야들 간의 영역이 대립적으로 나누어져 조경분야 또한 여러 타 분야들과 그 영역적인 측면에서의 중첩은 피해갈 수 없는 현실이다. 분야간 영역의 정확한 구분에 대한 요구가 감소함에 따라 각 분야들 간의 이항대립적인 정의들 또한 무너지고 있기 때문이다.이러한 위기를 기회로 이용한다면 조경은 미래 디자인 분야의 주역이 될 수 있다. 과거와는 달리 조경분야도 체계적인 접근방식으로 변화되었을 뿐 아니라, 그에 따라 국토를 재구성reshape하기 위한 여러 분야들 간의 교류 속에서 리더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충분한 자질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건축, 도시설계, 토목 등 타 여러 분야들과의 교류 속에서의 리더로서의 역할은 미래의 조경분야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 될 것이다.조경가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네 가지 키워드Urbanism _ 현대 도시생활 속에서 인간이 느끼는 사회적, 경제적 압박은 도시가 만들어내는 필연적 요소로서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으며, 육체적, 심리적, 건강적인 측면에서 도시가 인간에게 주는 스트레스는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이다. 도시에서 인간이 느끼게 되는 육체적, 심리적인 건강의 압박을 해소하기 위함은 1980년대 후반 조경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였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공공의 건강, 도시의 밀도, 사회·정치·경제적 이슈, 사회기반 시설 등에 대해 도시사회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접근들이 조경역할의 기본이자 중심이었고, 이러한 도시에서의 문제점들은 아직도 산재하고 있으며, 특히 후진국의 도시들은 아직도 많이 열악한 상황이다.인도 뭄바이의 경우 도시민의 60%가 주거지 없이 길거리에서 배회하는 삶을 살고 있는 실정인데, 그들에 대한 구호의 대안책으로 지금까지 건축에 의한 주택해결 방안만을 모색해 왔으나 이러한 해결방안들은 그들의 삶을 크게 개선시키지 못했다. 그들은 삶 속에서 기본적인 물리적 공간[주거지]에 대한 욕구와 더불어 그 이상의 무엇인가를 갈망하고 있었고, 그들이 원하는 것이 바로 조경이었다. 기본적인 건축(주택)적 해결방안을 넘어서 조경에 의한 도시문제 해결이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Ecology _ 1960년대 도시가 발전하는 시기에 있어서 도시 속에서의 ‘생태’라는 키워드는 매우 국소한 부분이었다. 그러나 도시에 수많은 사람들이 모이기 시작하면서 생태학자들의 눈 또한 도시로 옮겨오기 시작했다.자연이란 그 속에서 각 생물들이 살기위해 치열한 경쟁이 행해지고 있는 장소이며, 이러한 자연생태에 인간의 인위적인 힘이 가해지는 것은 매우 신중하게 생각해야만 한다. 각 자연생태계에는 최적화된 시스템이 필요한 것이다. 도시에서는 인간이 행한 많은 교란에 의해 파괴된 자연요소들이 구원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다. 압축되고 교란된 토양, 열섬현상, 오염된 물과 대기 등 많은 자연적인 요소들을 조경가들이 정화시켜야 한다. 이러한 일들을 행하기 위해서 조경가는 조경가이자 과학자로서의 지식 또한 갖추어야 할 것이다.(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공간에 대한 기억, 기억이 되는 공간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