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과학과 디자인_ 조화의 모색
    이번 글은 도시생태보호, 보존 및 복원에 관한 시리즈 중 두 번째이다. 조경가로서 훈련받고 지난 25년 동안 큰 규모의 공공 및 개인 소유의 서식처 복원 프로젝트의 디자인 및 시공을 중심으로 일해왔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본 연재를 통해 복원 프로젝트에 있어서 과학과 디자인의 조화에 대한 중요성에 관해 개인적인 생각들을 독자 여러분과 함께 나누고 싶다. 본 글을 통하여 사람들과 동·식물 및 곤충 군락들이 공존하는(시각적·물리적으로) 각각의 서식처를 복원할 때 조화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게 되길 희망한다.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복원할 서식처 유형을 연구하는 동시에 다른 곳에 위치한 비슷한 유형(유사함에 가까운)에 질높은 서식처를 발견하고 세밀히 관찰하는 것은 디자인 과정을 발전시키는데 있어 모두 필요한 단계이다. 디자이너인 우리들은 시스템의 주요 특성들을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각 서식처 유형들이 가지고 있는 작고 세밀한 디테일들을 이해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따라서 현장조사는 매우 중요하며, 현장조사는 ‘관찰노트, 사진들, 보다 자세한 관찰을 요구하는 스케치, 움직이거나 고정된 materials, forms, textures와 patterns(고정되거나 움직이는)’을 포함해야 한다. 그리고 여러분들이 현장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날수록 자연 생태계의 하루, 일주일 또는 계절간 변화에 대해 더 많이 이해하게 될 것이다. 다양한 생태계에 대해 공부하는 시간을 늘릴수록, 현장에서 관찰하는 시간을 많이 갖는다는, 그러한 이유만으로도 디자인 능력이 더욱 향상될 것이다. 사람들을 환영하고 생태종들이 다시 돌아오도록 하는 장소를 창조하는 능력은 디자이너들의 선천적인 부문과 학습된 기술, 조경 및 건축 디자인들이 어우러져 만들어진다. 좋은 디자인은 서식처의 자연적 아름다움을 돋보이게 하고, 자연적 기능을 강화시킨다. 시각적·물리적으로 편안한 서식처로서 좋은 디자인은 forms, textures, and colors의 아름다움을 강조하고 있다. 본인은 서식처 복원이 ‘과학’과 ‘디자인’ 사이에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굳게 믿고 있다. 두 항목은 전체적인 경험에서는 비슷한 비중을 차지하지만, 물리적 분야에서는 각각의 항목에 중요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 도시생태복원의 사례와 기술
    글에 들어가기 앞서, 우리는 이처럼 좋은 기회를 통해 한국의 생태복원의 발전에 작은 기여를 할 수 있게 된 것에 대해 영광으로 생각한다고 전하고 싶다. 인구의 증가와 생태계의 변화지구상에 존재하는 거의 대부분의 생태계는 인간의 영향을 받고 있다. 기후변화(Climate Change)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진행되는 현재에는 한 지역의 생태계가 다른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크게는 지구전체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이 점차 명확해지고 있다. 따라서 인간이라는 종을 지탱해주고 지구공동사회를 유지시켜주는 생태계를 이해하고, 보호하며, 복원하는 것은 지역적인 맥락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전 지구적인 차원의 관심이기도 하다. 18세기 이래로 인류의 인구는 6억에서 현재의 약 63억에 가까운 인구로 10배가량 급속히 증가하였다. 특히 주목 할 것은 지난 80년 사이 3배에 가까운 인구수가 증가 했다는 사실이다. 도시화와 정주패턴의 변화전례가 없었던 최근의 인구 증가추세는 인류의 정주패턴의 변화가 일어난 시기와 함께 맞물린다. 예를 들어, 20세기에는 인류의 12퍼센트 정도가 도시에 거주한 것에 비해, 현재는 거의 절반에 가까운 인구가 도시에서 거주하며 생활하고 있고, 앞으로도 도시에 거주하는 비율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Cohen, J.E. (2003) Human population: the next half century, Science 302:1172-1175. 결국 우리의 속해있는 지구 공동체는 머지않아 도시 공동체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게 된다는 말이다. 가장 큰 규모의 도시 인구 증가 대부분이 개발도상국에서 일어나고 있긴 하지만 미국과 한국 같이 개도국체제를 벗어난 나라들도 도시내 인구증가의 새로운 기록들을 작성해 나가고 있다.이러한 흐름이 벌어지는 과정속에서, 각 나라에서 도시 공간이 차지하는 비율은 굉장한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인류 공동체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유지시켜주는 생태계에도 엄청난 부담을 안겨주고 있는 것이다. <본 원고는 요약문 입니다>
  • 애기부들, 큰부들, 부들
    부들속 식물의 구분 및 조경식재 방법 자화수와 웅화수 사이에 꽃이 없는 나출된 화축이 있는 것이 애기부들이며, 자화수 바로 위에 웅화수가 있어서 그 사이에 꽃이 없이 나출된 화축의 부분이 없으면 부들과 큰부들이다. 엽폭이 10~20mm이며 자화수 길이 10~20cm이고 꽃가루가 4개씩 붙어 있으면 큰부들이고, 엽폭이 5~10mm이며 자화수 길이 6~10cm 이고 꽃가루가 1개씩 떨어져 있으면 부들이다. 애기부들은 큰부들 보다 더 깊은 물에 잘 자라며 염기성 물에 대한 내성이 크다. 1%의 소금물에 잠기면 큰 부들의 잎 끝은 돌돌 말리는데 애기부들의 잎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염성분이 있는 지역에 식재하고자 하면 애기부들을 식재하여야 한다. 큰부들은 15~50cm의 물 깊이에서 가장 잘 자라며 애기부들은 물의 깊이 80cm에서 잘 자란다. 큰 부들의 잎은 물의 깊이에 따라 길어진다. 애기부들의 신초는 80%가 개화하는데 큰부들의 신초는 28%만이 개화한다. 실생묘에서 형성된 식물은 애기부들이나 큰부들 모두 당년에는 개화하지 않는다. 애기부들이나 큰부들은 모두 단일종의 식물이 넓은 자리를 점거하고 몇 년이고 생육하는 단일재배의 형태로 나타난다. 따라서 좁은 연못에 식재할 때에는 근경이 퍼져 나가지 않도록 단근막을 설치하여 주는 것이 필요하다. 큰부들은 어미그루의 마디수의 2배 정도의 근경을 형성하고 개화하면 근두가 사멸하여 기부의 분열조직이 파괴되기 때문에 이근경의 수명은 보통 3년 이하이다. 이와는 반대로 애기부들은 묵은 근경에서 수년 동안 계속해서 재생한다. 부들속 식물은 차광에 약해서 차광율 40, 60, 90%의 조건에서 각각 60, 80, 90%의 생육감소율을 나타낸다. 90%의 차광상태에서 3개월이 경과되면 이들 식물체는 대부분 고사한다. 따라서 부들속 식물은 햇볕이 잘 드는 양지에 식재하여야 하며, 음지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물 분무작법 외
    지붕 채소밭 <한반도의 옛 주거>옥상에서 꽃이나 야채를 재배하는 것은 옥상녹화의 여명기로부터 행해져 온 것이라고 추측된다. 도쿄도(東京都) 시내에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옥상녹화 사례지인 아사쿠라 조소관(朝倉彫塑館)도 1935년 준공 당초부터 주위 사람들을 모아 옥상에서 가드닝 교실을 열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현대에 있어서도 동서를 대표하는 건축녹화 사례지인 도쿄(東京)의 록본기(六本木) 힐즈 옥상정원, 오사카(大阪)의 남바 파크스 옥상정원, 각각 옥상 채소밭이 설치되어 많은 화제를 제공해 오고 있다.견뢰한 철근 콘크리트의 건물 옥상이면, 30cm이상의 두께로 토양을 덮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경험적으로 말하면 토양 두께 10cm 로 가지나 토마토 정도의 야채류, 코마츠나(이년초로 무잎 비슷한 아삭 아삭한 녹색 채소)등의 소형 엽채류의 재배를 할 수 있으며, 30cm 나 되면, 무우나 당근과 같은 근채류도 여유로 재배 가능해져 지면과 다름없는 야채 만들기를 할 수 있게 된다. 철근 콘크리트 시대에 들어서는 옥상에서 채소밭을 만든다는 것은 그렇게 엉뚱한 일도 아닌 것이다. <본 원고는 요약문 입니다>
  • 범부전나비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소나무
    지난 2월에 국보 1호인 숭례문이 화재로 전소되었다. 미래 숭례문의 복원작업에는 어떤 나무가 사용될까? 원래 숭례문의 부재(部材)로 사용된 나무들은 모두 소나무이다. 1960년대 초 숭례문 보수공사의 보고서에 따르면, 당시 복원 공사에는 강원도 삼척에서 베어 낸 금강소나무를 부재로 썼다고 한다. 한민족의 벗, 소나무 소나무는 우리 민족의 삶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데, 아이가 태어나면 금줄을 치고 솔가지를 매달아서 액운을 물리치기도 했으며, 소나무로 지은 집에서 소나무 가지로 불을 피고 살았으며, 마지막 생을 다했을 때 사용하는 것도 소나무로 만든 관을 최상으로 취급했기에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소나무와 삶을 같이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소나무의 수꽃가루인 송화 가루는 다식이나 떡으로 식용하였고, 솔잎으로는 추석에 송편을 쪄먹기도 하고, 술을 담아 즐겼다. 이렇든 그래서인지 한 기관에서 조사한 바로는 우리 국민들이 가장 좋아하는 나무로 소나무가 선정되었다고 한다.
  • 벨기에의 월터스 스트리트퍼니처
    월터스 사(社)는 명석하고도 최고의 실력을 지닌 디자이너들이 다양하면서 혁신적인 디자인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회사이다. 로엘 반디빅(Roel Vandebeek) 은 기존 도시에서 볼 수 있는 조형물, 즉 볼라드나 벤치 등과 같은 시설물이 사람들에게 그다지 어필할 수 있는 존재가 아니었을 뿐 아니라, 관리가 소홀하여 하찮게 여겨지는 정도라는 개념을 바꾸기 위해 기능적으로나 미적으로 우수한 제품을 만들기 위한 취지에서 시작을 하였다고 한다. 그런 연유에서 반디빅 씨는 자신의 이름을 걸고 반디빅의 월터스 앙상블 콜렉션(Ensembleⓒ, Vandebeek’s collection of street furniture)이라는 독특한 타이틀로 시작하여 자신이 추구하고자 하였던 아이덴티티를 향해 전진하기 시작한다. 사람들이 공공장소에서 보다 편안하고 느긋한 마음을 가지고 서로가 모여서 수다를 떨기도 하고 즐길 수 있는 벤치 시스템을 고안하였는데, 사진에서 보면 각 벤치를 여러 개 배열하여 일반인들에게 디자인으로도 친근감을 지닐 수 있도록 하였다고 한다.<본 원고는 요약문 입니다>
  • 2008년부터 달라지는 환경행정
    이번호 '환경정보'에서는 금년부터 달라지는 환경행정을 다루어 보고자 합니다. 자연을 누구보다 가까이 접하고, 디자인하며 생태적 환경을 만들어가는 우리에게 환경행정의 변화는 분명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내용은 크게 대기, 수질, 폐기질 기타부문으로 나누어 변화되는 세부지침에 대해 알아볼 것입니다.
  • 산철쭉
    형태적 특성잎은 호생 또는 대생하고 좁고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고 길이 3~8cm, 폭 1~3cm로 잎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잎표면에는 털이 드문드문 있고 뒷면, 특히 맥 위에 갈색털이 밀생하며 엽병은 길이 1~5mm로서 갈색털이 많다. 어린 순의 인편에는 끈끈한 점액이 있다. 엽병과 잎가에는 양면에 모두 갈색의 잔털이 있다. 꽃은 4~5월에 피며 대에 털이있고, 가지끝에 2~3송이가 달리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갈색털이 있으며 열편은 좁은 난형이고 길이 4~8mm로서 둔두 또는 예두이며 화관은 연한 홍자색이고 지름 5~6cm로서 깔때기모양에 4개로 갈라지고 상부의 꽃잎 내측에는 진홍색의 반점이 있다. 수술은 10개, 수술대는 털이 없거나 기부에 복모가 있다. 수술밥은 자색, 암술은 길게 쑥 나와 있음. 화경 및 꽃받침에 끈적끈적한 액이 있다.삭과는 난형이고 길이 8~10mm로 겉에는 긴 털이 있으며 9월에 성숙한다. 높이는 1~2m이고 수피는 회황갈색을 띤다. 소지는 흰색의 털로 덮여 있다가 다음해에는 없어지고 화경과 더불어 점성이 있다.<본 원고는 요약문 입니다>
  • 황사가 불어 온다
    황사현상은 중국이나 몽골 등 아시아 대륙의 중심부에 있는 사막과 황토지대의 작은 모래나 황토, 미세먼지가 편서풍에 의해서 한반도 부근까지 운반되어 서서히 하강하는 현상을 말한다. 세계적으로는 노란 모래라는 의미의 황사란 용어보다 `아시아 먼지‘로 알려져 있다. 따뜻한 봄바람을 기대하고 나들이 나갔다 황사 때문에 고생한 경험이 많을 것이다. 중국에서 불어오는 반갑지 않은 황사에 대해 알아보고 생각하는 시간을 가진다면 황사에 의한 피해의 심각성과 해결 방안에 대해 고민할 수 있을 것이다. 목표 황사현상으로 인한 대기오염의 심각성을 안다. 인근 국가의 협조와 도움 없이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없음을 인식한다. 준비물 잎이 넓은 식물을 심은 화분 2개, 깔때기, 깔때기대, 비커, 거름종이, 유리막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