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한강변 보행네트워크 조성 설계공모] 이볼빙 네트워크 3등작
    한강변의 경관은 다층적인 시간성을 내포하며 일대에서 일어나는 여러 사업으로 인해 끊임없이 변화하는 가운데 놓여 있다. 그 안에서 일어나는 활동 또한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바뀌었기에 예측하기 어렵다. 이러한 다층적, 비결정적, 탈중심적 환경에서는 단단하고 고정된 인프라스트럭처를 통한 개발을 지양해야 한다. 최소한의 개입으로 다채로운 활동을 수용하는 환경을 제공하면서 지속적으로 진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볼빙 네트워크(Evolving Network)’는 두 가지 개념을 근간으로 한다. 보행로 구간에 적용되는 플로팅 오브젝트(floating objets)(떠다니는 보행 요소)와 연결 거점에 적용되는 루즈 나트(loose knots)(느슨한 매듭)다. 두 개념은 미술의 스크래치 기법과 같이 작동하며 보행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여러 가지 색 위에 덧칠한 검은색을 긁어내듯 한강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행위를 더욱 선명하게 드러내고, 긁히지 않은 면인 열린 공간을 제공해 앞으로 일어날 새로운 활동을 수용한다. ...(중략)...
    • JeongChoi Works
  • [한강변 보행네트워크 조성 설계공모] 테라스 리버워크 4등작
    ‘테라스 리버워크(Terraced Riverwalk)’는 도시의 테라스 역할을 하는 한강변을 따라 펼쳐진 보행 플랫폼으로, 한강의 생태와 문화가 공존하는 장이다. 바깥으로 확장된 플랫폼이나 계단식 지형 구조물을 뜻하는 테라스는 외부 공간에서 경관 조망, 문화 교류, 사색 등 다양한 행위가 이루어지는 장소로 기능한다. 한강변을 도시의 확장된 대지이자 육지와 강의 단차로 형성된 테라스 공간으로 보았다. 보행로를 따라 형성된 다양한 테라스 구조는 한강변의 경관 및 프로그램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같은 대상지의 입지 조건과 지형 특성을 주변 맥락과 연계해, 다채로운 테라스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연속적인 보행로를 조성하고자 한다. 구간별 연결 거점에는 거점 테라스를 조성해 구간별 지표로 기능하게 하고 보행로의 구심점으로 삼는다. ...(중략)... *환경과조경382호(2020년2월호)수록본 일부
    • 김은희건축사사무소
  • [한강변 보행네트워크 조성 설계공모] 인터페이스 5등작
    ‘인터페이스(The Interface)’는 한강변 보행네크워크의 접근성 향상을 목표로 한다. 기존의 보행로에는 크고 작은 단차가 있어 노인이나 장애인 등 교통 약자가 접근하기 어렵고, 조명과 안내판 등의 편의 시설이 부족하다. 세 가지 원칙을 중심으로 통합된 보행네트워크를 설계했다. 첫째, 기존의 프로그램을 보완해 다양한 연령대와 신체 조건을 가진 이들을 수용하는 포용적 공간을 만든다. 둘째, 단차를 극복하고 접근성을 높이는 램프를 조성하고, 다양한 높이의 플랫폼을 배치한다. 셋째, 주간 및 야간 이용도를 고려해 시간대에 따라 활성화되는 공간을 조성한다. ...(중략)... *환경과조경382호(2020년2월호)수록본 일부
    • Avoid Obvious Architects
  • [도면으로 말하기, 디테일로 짓기] 조형물
    미술 장식품과 같은 조형물은 조경 공간의 분위기를 크게 좌우하지만 선정 과정에 조경가의 의지를 반영하기는 어렵다. 미술 장식품이 시공 이후에나 공간 설계와 어울리는지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하는 시점에는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 광명역 자이타워에 설치한 조형물은 설계자의 의도에 부합하게 배치해 예측 불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조형물을 조경 설계의 중요 요소로 받아들인 결과물이다. 현상설계 당시에는 미술 장식품을 제안하는 정도의 계획안을 작성했지만, 미술 장식품의 선정 과정에 참여하기 어려운 상황을 고려해 조경 시설물을 직접 설계하기로 했다. 커다란 수전 형태의 장식품을 수경 시설과 결합한다는 기존의 의도를 충족하고자 했다. 먼저 현장에서 제작하기 어려운 장식적 요소를 최소화했다. 매끄러운 표면과 내구성을 고려해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에 분체 도장을 하는 안을 채택했으며, 강관의 곡선 가공 시 주름이 잡히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소 곡면 가공 반경을 설정했다. 작은 수전을 크게 확대한 형태로 구현하는 조형물인 만큼 세밀한 부분까지 표현해야 했다. 핸들의 움푹 팬 부분을 묘사하기 위해 스테인리스 강관을 이중으로 설치하는 등 진짜로 작동하는 수전은 아니지만 실제와 근접한 형태로 제작했는데, 이를 위한 디테일을 도면에 충분히 표현해 현장에서 위화감이 느껴지지 않도록 했다. 강관의 특성상 마감 면이 없는 양측 면에 스테인리스 강판을 추가해 마감 처리를 했다. 이를 도면에 지시선을 이용해 표현함으로써 현장에서 시공이 누락되지 않도록 했다. 이 조형물의 또 다른 용도는 물을 담는 수경 시설로, 그릇 형태의 수반이 필요했다. 수전과 어울리는 개수대 형태의 수반을 만들기로 했다. 조형물과의 일관성을 위해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수반을 제작했다. 크게 제작된 수전과의 비례를 고려해 두께 1cm의 강판을 사용했으며, 두께감을 표현하기 위해 강판 측면부에 평면과는 다른 색상의 도장을 적용했다. 조형물과의 완결성을 위해 자칫 혐오감을 줄 수 있는 수경 설비들을 별도의 피트pit(일종의 구덩이) 공간으로 분리했다. 시설물의 파손 위험을 줄이고 녹지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조형물 후면의 보도 포장 구간을 펌프 피트 위치로 활용했다. ...(중략)... *환경과조경382호(2020년2월호)수록본 일부 김창한은 서울시립대학교를 졸업했다. 기술사사무소 렛(LET)을거쳐 조경그룹 이작에서 실시설계 내역실을 이끌고 있다. 작은 교량하부 공간부터 도시 기반 시설까지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했으며현재는 실시설계 디테일 제작과 내역 실무에 집중하고 있다. 주요작업으로는 신한은행 진천연수원, 제비어울림공원, 충북혁신도시,의정부고산지구, 진주 영천강 천변 특화설계 등이 있다.
  • [비트로 상상하기, 픽셀로 그리기] 빅 브라더와 오토데스크의 미래
    조경의 자기 정의 그래서 도대체 2020년의 우리는 1858년의 센트럴 파크에서 얼마나 멀리 왔지? 조지 오웰이 1948년에 빅 브라더의 미래를 예측한 1984년도 벌써 한참이나 지났는데. 아니면 이제는 2009년의 하이라인이 픽처레스크를 우월하게 대체하는 새로운 도시 자연의 몽타주가 되었나? 아이러니하지만 대중 매체에서 자본주의의 위험을 가장 많이 경고했던 때는 그야말로 돈이 넘쳐흐르던 거품 경제 시대였다. 조경학과 학생들은 대학에 입학하고 나면 왠지 ‘조경은 나무 심는 것이 아니다’라는 자기 정의를 반복한다. 1990년대의 많은 작가 역시 조경의 인문학적 가치를 대변하기 위해 ‘조경은 도시의 무엇이다’라는 철학적 정의들을 반복하고 소모했다. 정말이지 아이러니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도시 자연 플랫폼의 구축 하물며 내게도 조경에 대한 자기 정의가 아무래도 필요할 것 같다. 컴퓨테이셔널 디자인을 다루는 연재 전반에 걸친 사상적 근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으면 위키피디아에 디자인 프로그램들에 관한 서술을 나열하는 것 같은 지루한 연재가 될 것이다. 참으로 주관적이고 단순한 정의일 테지만 왠지 충분히 따분할 정도로 길게 서술해야만 할 것 같다. 정말 아이러니하다. 대개 7만 년 전의 인지혁명, 1만2천 년 전의 농업혁명, 그리고 5백 년 전의 과학 혁명을 인류의 근대 문명을 만든 3대 혁명이라고 말한다. 요약하면, 인류가 곡물을 먹는 정주 생활을 시작한 뒤 코페르니쿠스나 뉴턴 같은 사람들이 역사의 스타로 등장하고 나서야 비로소 도시다운 도시가 완성됐다는 의미다. 그리고 역설적으로 바로 그 때문에 도시 자연(urban landscape)이 다시 필요하게 됐다. 자연 선택과 먹이 사슬의 순리를 거부하고 많은 종에게 고통과 멸종을 선사한 뒤 인공적 도시를 만드는 과정에서 자연을 너무나 배제했기 때문에. 하지만 아무리 도시가 더 나은 안락과 안전을 보장한다고 하더라도, 우리의 오랜 유전자는 여전히 자연을 삶의 터전으로 원하고 있다. 따라서 어쩔 수 없이 인위적 자연(fake nature)을 다시 만들 수밖에 없는 거다. 하지만 어떻게? 처음에는 별 요량이 없으니 그저 있는 그대로를 모방한 픽처레스크 스타일로 만들었겠지. 그렇게 영웅 센트럴 파크가 탄생했다. 여기서 멈췄다면 조금 시시해도 모두에게 행복한 결론으로 끝났을지도 모르지만, 대체로 사람들은 돈이 될 만한 것들을 학문이나 예술로 포장해서 상품화하기 마련이다. 그래서 나는 현대 조경은 바로 이 가짜 자연(fake nature)을 도시에 만들기 위한 ‘플랫폼’을 구축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아주 주관적이지만 간단하지 않나? 랜드스케이프 아키텍처(landscape architecture)라는 복합 명사를 그럭저럭 잘 해석하고 있지 않나? 그리고 그 플랫폼을 다양한 방식으로 디자인하며 새로운 스타가 될 기회를 남몰래 노리고 있는 거다(그림 1, 2). 하이라인이 조경의 플랫폼을 흙에서 산업 유산으로 옮겨왔던 것처럼. 하버드 GSD가 학생들에게 해수면 상승을 막는 탄력적인 플랫폼(그림 3)을 만들라며 그래스호퍼(Grasshopper)로 괴롭히는 것처럼 말이지. 결론적으로 그래서 정말이지 무슨 말을 하고 싶냐면, 배치도(layout)가 아니라 건축(architecture)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거다. ...(중략)... *환경과조경382호(2020년2월호)수록본 일부 나성진은 서울대학교와 하버드 GSD에서 조경을 전공했다. 한국의 디자인 엘, 뉴욕의 발모리 어소시에이츠(Balmori Associates)와 제임스 코너 필드 오퍼레이션스(JCFO)에서 실무 경험을 쌓았고, West 8의 로테르담과 서울 지사를 오가며 용산공원 기본설계를 수행했다. 한국, 미국, 유럽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귀국 후 파트너들과 함께 얼라이브어스(ALIVEUS)라는 대안적 그룹을 열었다.
  • [이미지 스케이프] 빛 자국
    299,792,458m/sec(=299,792.458km/sec)어떻게 측정했는지는 잘 이해되지 않지만,저 복잡해 보이는 숫자는 물리학자들이 말하는 빛의 속도입니다.과학자들이 말하는 숫자는 너무 크거나 반대로 너무 작아서 실감이 나지 않을 때가 많지요.지구의 적도 둘레가 약4만km라고 하니까 저 속도면1초 동안에 빛이 지구를 일곱 바퀴 반을 돌 수 있는 셈입니다.이것도 실감이 안 나죠?서울부터 부산까지 직선거리가 약325km이니까1초에460번쯤 왕복할 수 있는 속도입니다.이렇게 해도 실감이 나지 않긴 마찬가지군요.그래도 사진에서 보이는 쭉 뻗은 붉은 빛은 정말 서울과 부산을1초에 한460번쯤 왔다갔다 할 기세죠? 철원군 동송읍 양지리. 군사분계선과 불과 4~5km 남짓, 그리고 DMZ와는 불과 몇백 미터 떨어진 접경 지역의 밤은 도시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어둡습니다. 이번 사진은 이런 짙게 드리운 어둠을 뚫고 지나가는 자동차 후미등의 궤적입니다. ‘물경’ 2초 동안 열린 셔터 막 사이로 들어온 빛을 한 화면에 담은 결과지요. 사진은 움직이는 대상을 한 장면으로 포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셔터 막이 열리는 순간 들어온 빛을 화면으로 기록하니까요. ...(중략)... *환경과조경382호(2020년2월호)수록본 일부 주신하는 서울대학교 조경학과를 거쳐 같은 학과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토문엔지니어링,가원조경,도시건축 소도에서 조경과 도시계획 실무를 담당했고,현재 서울여자대학교 원예생명조경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조경 계획과 경관 계획에 학문적 관심을 두고 있다.
  • [북 스케이프] 교과서의 교과서, 마리 루이제 고트하인의 『정원 예술사』
    방학한 지 얼마 안 됐는데 벌써 다음 학기 서양조경사 강의계획서를 올리라는 연락이 왔다. 작년 파일을 열어 날짜를 수정하고, 교재와 참고 문헌에 업데이트할 사항을 확인한다. 매번 하는 일이지만 주 교재를 고르는 일이 항상 고민이다. ‘교과서’ 한 권으로 게으른 수업을 하면 편하련만, 성에 차는 한국어 책이 없기 때문이다.1 영문 교재를 쓰자니 학생들 반응이 신경 쓰인다. 강의 평가 점수에 다음 학기 강의 개설 여부가 달린 시간 강사가 택할 수 있는 길은 아니다. 가뜩이나 학습량 많다는 원망을 듣는 마당에. 영미권에서 출판되고 주요 도서관에 소장된 책들을 출판 연도순으로 참고 문헌 목록에 넣는다. 제프리 젤리코(Geoffrey Jellicoe)와 수잔 젤리코(Susan Jellicoe)의 『경관 변천사(The Landscape of Man)』(1964)2와 노먼 뉴턴(Norman Newton)의 『디자인 온 더 랜드(Design on the Land)』(1971)가 상단에 있다. 이 두 책 사이에 이안 맥하그(Ian McHarg)의 『디자인 위드 네이처(Design with Nature)』(1969)가 있다는 게 의미심장하다. 이어 몇십 년의 공백기가 있고 1990년 즈음부터 조경사, 엄밀하게는 정원의 역사를 다룬 책들이 연이어 나온다. 1980년대 말의 이른바 ‘정원의 부활’을 체감하는 순간이다. 조경 이론서의 계보에 대해서는 별도의 논의가 필요하겠지만, 체계적인 논의와 방법론을 기준으로 보면 정원 이론서는 17세기~18세기 초 프랑스에서 등장했다. 이어 정원의 역사를 비중 있게 다루거나 정원의 역사만을 다룬 이론서가 19세기 말~20세기 초 서유럽에서 나왔고, 오늘날 대부분의 서양조경사 책의 구성과 내용은 이를 바탕으로 한다. ...(중략)... *환경과조경382호(2020년2월호)수록본 일부 *각주 정리 1. 한국어로 된 대표적인 서양조경사 교재로는 다음이 있다. 정영선, 『서양조경사』, 누리에,1979(절판); 한국조경학회, 『서양조경사』, 문운당, 2005. 40년이 넘는 시간차에도 불구하고, 두책의 구성과 (1950년대까지 다룬) 시간적 범위는 유사하다. 후자의 경우 여러 번 개정했음에도20세기 후반 조경의 다양한 양상 및 동시대 현상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고, 복수의 저자가 다루는내용의 양과 깊이가 천차만별이라는 점, 외래어 표기 오류가 다수 있다는 게 아쉽다. 2. 번역서로는 나상기의 번역본(기문당, 1982)과 누리에 편집부의 번역본(누리에, 1996)이 있으나모두 절판됐다. 황주영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불문학과 영문학을 공부하고, 같은 대학 미술사학과에서 풍경화와 정원에 대한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전공에서 19세기 후반 도시 공원의 모더니티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파리 라빌레트 국립건축학교에서 박사후 연수를 마쳤다. 미술과 조경의 경계를 넘나들며 문화사적 관점에서 정원과 공원, 도시를 보는 일에 관심이 많으며 이와 관련된 강의와 집필, 번역을 한다. 그러는 동안 수많은 책을 사거나 빌렸고, 그중 아주 일부를 읽었다.
  • 광장의, 광장에서, 광장으로 나온 예술 ‘광장: 미술과 사회 1900-2019’ 전, 국립현대미술관
    지난 120년간 한국 사회는 격동의 장이었다는 데 큰 이견이 없을 것이다. 일제 식민지기부터 한국전쟁, 격변의 1970~1980년대를 지나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 미술은 결코 우리 사회의 움직임과 분리되어 존재하지 않았다. 아니, 그럴 수 없었다. 국립현대미술관 개관 50주년 기념전 ‘광장: 미술과 사회 1900-2019’는 한국 근현대 미술통사를 통해 한국 사회의 변화와 발전을 살펴보는 전시로, 광장이라는 은유를 통해 미술이 사회 전면에서, 혹은 이면에서 소통의 장으로 꾸준히 존재하고 있었음을 반증한다. 덕수궁에 재현된 근대 대한민국의 상흔 전시는 시대별로 1, 2, 3부로 나뉘어 각각 덕수궁관, 과천관, 서울관에서 진행된다. 전시의 시작을 알리는 1부는 1900년부터 1950년, 즉 20세기 전반부의 작품을 다루고 있으며 크게 사회적 변이의 기록과 그에 대한 미적 대응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전시실의 분위기를 압도하는 채용신의 ‘전우 초상’(1920)은 낙향한 우국지사의 초상을 빌려 조선을 지키고자 했던, 서글프지만 강직한 사회를 드러낸다. 제2전시실에는 분위기를 전환하여 조선의 개혁파들이 예술을 통해 계몽을 실천하고자 했던 다양한 기록을 담았다. 우리가 이 지점에서 목도하는 것은 예술에 교육이 접목되어 각종 매체를 통해 다양화되는 현상이다. 예술적 사회 개혁의 씨앗은 프롤레타리아 운동의 추진력을 업고 판화, 연극, 영화 등 대중 예술로 분화하기도 한다. 결국 1부 전시는 20세기 초중반 강제적 세계화의 현실 속에서 사회의 변화와 삶의 전환을 머금은 예술적 태동이 비롯되었음을 보여준다. 전시 후반 주목할 부분은 한국전쟁 이후 월북하여 한국 미술사에서 쉽게 언급되지 않는 이쾌대의 작품, 국내보다 외국에서 알려졌던 김환기의 작품 등이다. 특히 후자의 경우 가장 널리 알려진 한국 근대 회화 중 하나로 주목받는데, 이번 전시를 통해 김환기의 작품이 나오기까지의 한국 근대 예술과 근대 사회의 맥락의 작동이 가시화되는 과정을 살필 수 있다. ...(중략)... *환경과조경382호(2020년2월호)수록본 일부 신명진은 뉴욕 대학교에서 미술사를 공부한 후 서울대학교 통합설계·미학연구실에서 박사 과정을 밟고 있다.근현대 조경을 연구하며 이와 관련된 번역과 집필 활동을 겸하고 있다.
  • 붓으로 기록한 도시의 시간 ‘아카이브 오브 더 선’ 전, 제이슨함
    오래되어 페인트칠이 벗겨지고 외피가 떨어져 나간 건물, 녹슨 철문과 낙서로 가득한 벽, 가벼운 티셔츠 차림으로 노점상 앞을 활보하는 사람들. 셰이크 은디아예(Cheikh Ndiaye)가 붓으로 포착한 세네갈의 풍경은 이방인들이 막연하게 떠올리는 아프리카의 모습과는 사뭇 다르다. 그는 도시와 건물을 사회적 기록으로 간주해 그 속에 담긴 사람과 문화를 예술로 기록, 보존하는 작업을 진행해왔다. 세네갈 출신 작가 셰이크 은디아예의 개인전 ‘아카이브 오브 더 선(Archives of the Sun)’이 성북동 갤러리 제이슨함(Jason Haam)에서 지난 1월 28일까지 열렸다. 함윤철 대표(제이슨함)는 2018년 폰다지오네 프라다(Fondazione Prada)그룹전을 통해 그의 작품을 만나 이번 전시를 기획했다. 작가가 제안한 전시 제목은 세네갈의 일간지인 「르 소레유(Le Soleil)」(영어로 The Sun)에서 모티브를 얻었는데, 프랑스로부터의 독립 후 경제 성장과 도시화로 급격한 변화를 맞은 세네갈의 일상을 기록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세네갈은 19세기부터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받다 1960년에 독립했다. 독립 직후의 다카르Dakar(세네갈의 수도)에서 태어난 은디아예는 불안한 사회·정치적 기류와 급속한 현대화의 여파를 몸소 경험했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1960~1970년대는 다카르에 다양한 근현대식 건물과 공공 공간이 들어섰던 시기였다. 하지만 경제 악화와 정부 결정으로 인해 영화관이나 공원 등의 공간이 폐쇄되거나 본래 목적과 다른 개인 사업 용도로 전환됐다. 오늘날의 다카르에는 이 같은 독립 직후 세네갈의 열정, 이후 찾아온 변화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 은디아예는 그중 오래된 건물에 주목하는데, 건물의 낡은 모습을 있는 그대로 묘사해 그 공간의 옛 쓰임과 오늘날의 새로운 쓰임에 대해 생각하게 만든다....(중략)... *환경과조경382호(2020년2월호)수록본 일부
  • 예술이 된 텍스트 ‘당신을 위하여: 제니 홀저’ 전, 국립현대미술관, 7월 5일까지
    현대인은 수많은 텍스트에 둘러싸여 산다. 거리에만 나가도 건물 벽을 빼곡하게 채운 간판, 눈길을 빼앗는 화려한 광고 등 도처에 널린 문자들이 무방비 상태인 우리에게 마구잡이로 쏟아진다. 현대예술가 제니 홀저(Jenny Holzer)는 이처럼 텍스트로 가득한 일상의 풍경을 사회와 개인, 정치적 이슈를 다루는 예술의 영역으로 끌어들인다. 그의 작업은 급격한 사회·문화적 변화가 시작되던 1970년대 후반, 뉴욕의 한 골목에서 출발했다. 짧지만 강렬한 사회 비판 메시지가 적힌 홀저의 포스터는 길을 지나던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였다. 포스터 일부가 찢기기도 하고, 누군가 자신의 의견을 새롭게 적어 넣기도 했다. 작은 종이 한 장은 금세 대중의 논쟁의 장이 되었다. 1980년대에 들어서며 홀저의 문장은 대형 전광판, 메시지가 적힌 영상을 투사한 건물 외벽으로 자리를 옮겼다. 주변 맥락과 상관없이 도시 한복판에 등장한 메시지들은 불특정 다수에게 낯선 경험을 선사하며, 텍스트에 무감각해진 현대인의 각성을 유도했다. 나아가 티셔츠, 엽서 등 일상 사물에까지 침투한 홀저의 문장들은 사회적 문제를 공론화하고, 소외되고 배제된 이들의 목소리를 드러내며 공공 담론의 확장에 기여하고 있다. 2019년 11월 23일부터 2020년 7월 5일까지 열리는 ‘당신을 위하여: 제니 홀저’ 전은 국립현대미술관이 매년 국제적 작가와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담론을 이끌어낼 작품을 선보이는 ‘MMCA 커미션 프로젝트’로 기획됐다. 이번 전시는 40여 년간 홀저가 텍스트를 매개로 펼쳐온 작품 세계를 엿볼 수 있는 신작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의 서울박스와 로비, 과천관의 야외 공간에서 선보인다....(중략)... *환경과조경382호(2020년2월호)수록본 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