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년 노력끝에 최초 잔디기계 개발 -(주)삼신조경, 잔디줄기살포기 등 개발
최근에는 잔디와 더불어 외길 30년을 걸어온 (주)삼신조경(대표 고재호)이 잔디를 채취하고 식재하는 기계를 개발해 관련분야의 주목을 받고있다. 잔디줄기살포기, 잔디줄기채취기, 잔디줄기식재기 등의 개발에 발맞춰 잔디연구 전문가를 비롯, 골프장 관련 인사, 조경계 인사들이 참석한 시범행사도 개최된 바 있다.
※ 키워드 _ 잔디기계 개발, 잔디 채취 및 식재하는 기계, 삼신조경
※ 페이지 _ 101
-
수세회복 공사, 수목외과수술공사의 입찰제한관행 철폐돼야
근래 서울특별시 공원녹지관리사업소를 비롯한 자치구와 경기도 성남시등 지자체에서 녹지대 및 공원내 소나무 수세회복과 뿌리외과 수술공사에 대한 입찰참가자격을 일반 방제업 등록을 필한 식물보호기사 1급 내지는 2급을 보유한 업체로 제한하고 있다. 일부 발주처에서는 동종의 공사 실적까지 요구하고 있는데 이는 관련법규에 위반되는 부당한 제한조치로서 건설산업기본법 및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을 위반한 부당한 행위이다. 이에 몇가지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 키워드 _ 수목외과수술공사, 조경공사 입찰제한관행 철폐
※ 페이지 _ 103
-
도심의 녹지확보, 쌈지공원이 열쇠 -인천광역시 남구
도심에 위치한 관계로 녹지공간이 절대 부족한 인천광역시 남구는 구내 흩어져 있는 자투리땅을 시유지로 확보함으로써 체감녹지환경을 개선하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 키워드 _ 쌈지공원, 녹지공간, 인천의 쌈지공원, 녹지확보
※ 페이지 _ 98~99
-
공무원 조경직제 이뤄낼 터 -김유일 차기 (사)한국조경학회 회장
지난 3월 21일 (사)한국조경학회 정기총회에서 있은 차기 회장 선거 결과, 김유일 교수(성균관대 조경학과)가 선출되었다. IMF 경제위기 상황하에서 조경계의 가장 비중있는 단체인 (사)한국조경학회의 회장에 선출된 김교수의 소감과 업무방향에 대해 들어본다.
※ 키워드 _ 김유일, 1999년 (사)한국조경학회 회장
※ 페이지 _ 102
-
생태적인 하천관리를 위한 전제
바람직한 하천법 관련규정 기준(안)의 마련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안한다. 첫째, 하천제방의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한, 나무들의 생육을 허용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하천의 크기, 하천내 물의 흐름 방향, 하천의 형태 등을 실질적으로 고려한 차원에서 보다 유연한 식재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이 기준을 통하여 하천을 생태적으로 건전하게 관리하려는 기본적인 출발점은 인공혈관과 같이 바뀌어 버린 현재의 하천을 원래의 상태인 자연적인 혈관과 같은 하천으로 바꾸어 가는 차원으로 인식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할 것으로 종합할 수 있다.
※ 키워드 _ 생태적인 하천관리, 하천법 관련규정 기준
※ 페이지 _ 153
-
환경복원 및 개발사업 컨설팅 본격화 -삼성에버랜드(주)
시간과 공간의 가치창조를 통해 인간생활을 이롭게 하는 삼간(三間)정신을 바탕으로 21세기
세계 초일류 환경 선도기업으로의 도약을 꿈꾸는 삼성에버랜드주식회사(대표이사 허태학).
IMF 시대 ! 이 어려운 상황하에서도 우리 인간의 자연에 대한 동경은 끊이질않는다. 물론 경제적인 어려움이 발목을 잡고 있기는 하지만 삶의 주무대인 주변 환경이 개선되기를 바라는 마음은 오히려 절박하다. 삼성에버랜드는 쾌적한 옥외환경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기 위해 지난해 말 조경사업부와 신규개발사업부를 환경개발사업부로 통합 운영하는등 조직을 정비함으로써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토탈환경조성에 선도적인 기업으로 나서기 위한 만반의 준비를 갖췄다.
※ 키워드 _ 환경복원사업, 삼성에버랜드, 조경개발사업 컨설팅
※ 페이지 _ 96~97
-
광안리 해변을 가꾸는 사람들 -7년째 부산 광안리 해변 지킴이, 갈매기 사랑통해 해변가꾸기 주도
‘광안리 해변을 가꾸는 사람들’. 이들은 부산 광안리에 작은 변혁을 일으키고 있다. 향락과 오염 속에 방치되어 버린 광안리가 아니라 갈매기와 인간이 만나고 어우러지는 생동감 넘치는 광안리로 변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들의 한결같은 갈매기 사랑과 해변가꾸기 덕에 이젠 광안리 해변도 확연히 달라지고 있음은 굳이 이곳 주민이 아니라도 부산에선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 키워드 _ 광안리 해변을 가꾸는 사람들, 부산 광안리, 갈매기, 갈매기 환송제
※ 페이지 _ 92~93
-
한국의 속살 세계에 알린다 -국내 오지여행의 기수 이승건 박사
Trek Korea는 1998년 3월, 서울 혜화동에 배낭족 숙소 게스트하우스를 오픈, 국내외 여행객들에 잠자리와 종합적인 여행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전세계 배낭족들의 정보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여행의 특성상 소규모의 인원참여로 아직은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지만 그의 오지여행에 대한 애착은 끝이 없다. 식량과 침낭이 그득한 승합차의 덜컹거림 속에서도 또 다른 미지의 삶과 경외로운 자연과의 교감을 희구하는 참가자들의 진지한 눈빛이 살아있는 한 그는 언제까지나 함께 달리겠다는 각오다.
※ 키워드 _ 이승건 박사, Trek Korea, 혜화동 게스트하우스, 여행, 오지여행
※ 페이지 _ 94~95
-
SEED SPRAY용 화이버 국산화 성공 -폐지이용한 화이버 생산, 일본에 역수출
최근 한국론타이(주)(대표 우규일)가 일본의 녹화자재 업체인 GIFU응용자재(주)와 기술을 제휴, 국산화하여 생산하고 있는 론생화이버는 폐지를 원료로 하는 제품으로 폐지를 분쇄하
고 압축하는 과정을 거쳐 생산된 제품이다. 이 론생화이버를 SEED SPRAY에 적용할 경우, 취급이 용이하고 종자와 사면과의 결합력이 양호하며 수입품인 우드화이버와 비교하여 경제성, 수용성, 중량성, 취급성 등 여러 면에서 우수한 제품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최근 많이 시공되고 있는 유사품들이 중금속이 많이 함유된 폐기물(제지공장 슬러지)을 이용, 환경면에서 문제의 소지가 많다는 점에 비춰볼 때 환경적으로 무해한 종이를 원료로 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환경친화적인 제품이라는 것이 이 론생화이버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 키워드 _ 론생화이버, Seed spray, GIFU응용자재(주)의 녹화자재, 환경친화적 제품
※ 페이지 _ 74~75
-
토질개량제 SUPER CLAY-CLAY 장점 최대한 살린 체육시설 포장재
최근 신한체육시설(주) 체육시설 부설연구소에서는 산화칼슘의 안정처리공법을 이용한 토질개량제 SUPER CLAY를 개발했다. SUPER CLAY의 기본원리는 산화칼슘, 흙, 혼합제, 물의 배합에서 일어나는 물리 화학적 반응을 이용하며 종래의 흙, 시멘트의 토양안정제와는 차원이 다른 체육시설 포장재로서 천연재료인 CLAY의 장점을 최대한으로 살린 획기적인 토질개량제이다. 이 SUPER CLAY의 혼화제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공법을 SUPER CLAY 토질개량법이라 한다.
현장토에 산화칼슘, 혼화제를 첨가한 배합토의 배합비와 전압에 따라 이상적인 코트 표층을 연출할 수 있다. 특히 탄성반발력과 인장강도, 흡수력은 종래의 시멘트 안정처리 방법이나 재래식 CLAY의 표층보다 250~300% 개량한 표층이 형성되었다. 무기원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공해와 인체에 전혀 해가 없는 무공해 재료로서 해수, 담수를 불문하고 사영하며 동결에도 강한, 현재까지 없었던 토질개량제이다.
※ 키워드 : super clay, 체육시설 포장재
※ 페이지 : p58~p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