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한국조경의 오늘을 진단하다(1)-3040 집담회
    <환경과조경>에서는 창사 30주년을 맞이하여 ‘한국조경의 오늘을 진단하다’라는 타이틀로 연속특별기획을 진행한다. 조경분야의 한 단계 성장을 위한 다양한 자성과 성찰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3개월여에 걸쳐 국내외 실무자들이 느끼는 한국조경의 위상 및 문제점, 인근분야가 생각하는 조경분야의 문제점 등에 대해서 다각적으로 논의를 진행하고, 그동안 모아진 다양한 논의들을 바탕으로 공개토론회를 개최하여 현실적인 대안 제시 및 향후 한국조경이 가질 수 있는 가능성과 비전을 논의할 예정이다. 연속특별기획 ‘한국조경의 오늘을 진단하다’ 그 첫 번째, ‘3040 집담회’가 지난 7월 13일(금) 오후 3시 30분부터 약 3시간에 걸쳐 한국과학기술회관 608호 (사)한국조경사회 사무국에서 진행되었다. 실무에서 가장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는 30대 후반에서 40대 초반의 조경인들이 초대되어 기성세대와 신세대를 아우르는 중간관리자로서의 입장을 대변하여 조경분야의 문제들을 가감 없이 털어놓았다. 백정희 편집장<환경과조경> 전무이사은 “한국조경은 큰 위기에 봉착해 있지만 분명히 기회가 함께 존재할 것이다. 이에 조경분야의 여러 세대가 공감할 수 있는 고민을 끌어내어 키워드로 도출하고, 그에 따른 더 많은 대안과 비전을 우리 스스로 찾아볼 수 있는 연속기획이 되었으면 한다.”고 기획의도를 전달했다. 이어 “한국조경을 진단하는 그 시작점으로 엔지니어링, 설계, 시공 등 각계의 실무자들의 고민을 모아서 대안이나 비전의 제시에 앞서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해하는 자리로 삼고자 자리를 마련했다.”고 밝히며 집담회를 시작했다. 일시_ 2012년 7월 13일(금)장소 _ 한국과학기술회관 608호 (사)한국조경사회 사무국주최 _ 월간 <환경과조경>참석자김민성·(주)포스코엔지니어링 차장김지현·동부엔지니어링(주) 차장백정희·<환경과조경> 편집장 겸 전무이사송영탁·(주)그룹한 어소시에이트 부소장안명준·(재)한국조경발전재단 사무국장염인석·서울대 환경대학원 환경계획연구소 연구원유승렬·(주)대경E&C 부장한성일·(주)장원조경 부장(이상 가나다 순)
  • 한국 조경 그리고 <환경과조경> 30년의 기억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 ELA’s Memory of the 30 Years지난 1982년 한국 최초의 조경잡지로 첫 발을 내딛은 월간 <환경과조경>이 7월 1일로 창간30주년을 맞이했다. 그동안 수많은 어려움 가운데서도 한국 조경의 역사와 함께 성장하며 한국의 대표 조경언론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것은 독자 여러분의 관심과 사랑, 그리고 격려 덕분이었음에 깊이 감사드린다.창간30주년을 맞이하여 본지 편집부에서는 지난 30년의 기록을 되짚어 한국 조경의 발전과 함께 걸어온 발자취를 되돌아보고자 조경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조사대상 200명 중 150명 회신, 각 연대별 5개씩 복수응답)를 실시하였다.본지가 창간되던 당시만 해도 건물 주변의 식재에 머물던 조경설계는 30년이 지난 지금 환경이 주목받는 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도시공간의 틀을 바로잡고 국토환경을 치유하는데 앞장설 만큼 크게 성장하였다.이에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30년 동안 <환경과조경>에 소개되었던 작품들을 대상으로 1980년대, 1990대, 2000년대로 나누어 각 시대별로 주요 작품들과 공모전을 비롯한 설계이슈를 돌아봄으로써 한국 조경설계의 흐름과 성과 등을 알아보고자 기획되었다. 비록 이번 조사가 지난 30년간의 기록과 변화를 온전히 객관적으로 담아냈다고는 감히 이야기 할 순 없겠지만, 앞으로 한국조경의 발전을 견인할 풍부한 조경 담론을 생성하는 귀중한 자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ELA, which was first published in 1982, is enjoying its 30th anniversary this year. To celebrate this significant moment and provide some valuable information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for the last 30 years, the editorial department of ELA conducted a survey of practitioners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The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which, in 1980s, was in its early stage of development focusing on planting trees and flowers around buildings, has witnessed a remarkable growth, now presenting a dire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urban environment and restoring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country.The survey is designed to select some of the most important landscape architectura l works and design competitions with periodic categorization of 1980s, 1990s, and 2000s, with an in-depth report on the history and achievements of the industry. The findings of the survey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creating a further discussion on the constant progress of the landscape architecture in Korea.
  • 조경가들이 뽑은 시대별 작품 베스트
    Best Works of Each Time, Selected by Landscape Architects 1982-19891. 올림픽공원 143명2. 파리공원 128명3. 서울대공원 98명4. 한국종합무역센터 96명5. 아시아공원 61명 1990-19991. 일산 호수공원 117명2. 길동자연생태공원 94명3. 양재천 90명4. 여의도공원 83명5. 희원 75명 2000-20051. 선유도공원 145명2. 서울숲 137명3. 월드컵공원 133명4. 청계천 111명5. ASEM 한국종합무역센터 62명 2006-20121. 북서울 꿈의 숲 124명2. 광화문광장 107명3. 서서울호수공원 98명4. 울산대공원 66명5. 국립중앙박물관 54명
  • 조경가들이 뽑은 시대별 설계 이슈 베스트
    Best Design Issue of Each Time, Selected by Landscape Architects1982-19891. 한강종합개발계획 마스터플랜 128명2. 미사리 조정카누경기장 개발사업 65명3. 도투락월드 기본계획 및 설계 60명4. 내장산 사계절 관광 개발 기본계획 47명5. 한국과학기술원 캠퍼스 기본계획 38명 1990-19991. 선유도 공원화사업설계 현상공모 133명2. 여의도광장 공원화 126명3. 마을마당(쌈지공원)조성 기본계획 88명4. 용산가족공원 현상공모 84명5. 국립중앙박물관 국제설계경기 79명 2000-20091.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마스터플랜 공모 101명2. 서울숲 설계공모 90명3.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공간 국제설계공모 84명4. 서울시청 앞 광장조성 설계공모 82명5. 강북대형공원 마스터플랜 국제현상설계 63명 2010-20121. 용산공원조성 국제설계공모 144명2. 동탄2신도시 워터프론트 설계공모 104명3. 보금자리주택지구 조경설계공모(세곡/내곡 등) 81명4. 송산그린시티 개발사업 철새서식지 설계공모 77명5. 위례신도시 택지개발지구 조경설계공모 69명
  • 한국 조경 그리고 <환경과조경> 30년의 기억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 ELA’s Memory of the 30 Years지난 1982년 한국 최초의 조경잡지로 첫 발을 내딛은 월간 <환경과조경>이 7월 1일로 창간30주년을 맞이했다. 그동안 수많은 어려움 가운데서도 한국 조경의 역사와 함께 성장하며 한국의 대표 조경언론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것은 독자 여러분의 관심과 사랑, 그리고 격려 덕분이었음에 깊이 감사드린다.창간30주년을 맞이하여 본지 편집부에서는 지난 30년의 기록을 되짚어 한국 조경의 발전과 함께 걸어온 발자취를 되돌아보고자 조경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조사대상 200명 중 150명 회신, 각 연대별 5개씩 복수응답)를 실시하였다.본지가 창간되던 당시만 해도 건물 주변의 식재에 머물던 조경설계는 30년이 지난 지금 환경이 주목받는 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도시공간의 틀을 바로잡고 국토환경을 치유하는데 앞장설 만큼 크게 성장하였다.이에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30년 동안 <환경과조경>에 소개되었던 작품들을 대상으로 1980년대, 1990대, 2000년대로 나누어 각 시대별로 주요 작품들과 공모전을 비롯한 설계이슈를 돌아봄으로써 한국 조경설계의 흐름과 성과 등을 알아보고자 기획되었다. 비록 이번 조사가 지난 30년간의 기록과 변화를 온전히 객관적으로 담아냈다고는 감히 이야기 할 순 없겠지만, 앞으로 한국조경의 발전을 견인할 풍부한 조경 담론을 생성하는 귀중한 자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ELA, which was first published in 1982, is enjoying its 30th anniversary this year. To celebrate this significant moment and provide some valuable information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for the last 30 years, the editorial department of ELA conducted a survey of practitioners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The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which, in 1980s, was in its early stage of development focusing on planting trees and flowers around buildings, has witnessed a remarkable growth, now presenting a dire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urban environment and restoring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country.The survey is designed to select some of the most important landscape architectura l works and design competitions with periodic categorization of 1980s, 1990s, and 2000s, with an in-depth report on the history and achievements of the industry. The findings of the survey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creating a further discussion on the constant progress of the landscape architecture in Korea.
  • 창간30주년 <환경과조경>에 보내는 축하메시지
    지난 30년 동안 현대조경의 푸르른 역사와 함께 성장해 온 <환경과조경>이 창간30주년을 맞이했다. 그동안 아낌없는 사랑과 관심을 보여주신 독자분들께 진심 어린 감사를 드리며,앞으로 조경분야의 소통과 화합을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을 약속드린다. 다시 한번 응원과 축하메시지를 보내주신 독자분들게 감사드린다.
  • <환경과조경> 30년이 걸어온 발자취
  • 한국 조경의 역사와 함께 <환경과조경> 30년이 담아온 다양한 이슈들
  • <환경과조경>에 바란다
    설문과 함께 조경분야 각 층의 독자들로부터 <환경과조경>의 편집방향이나 앞으로 바라는 점에 대한 제언을 들어보았다. 다양한 의견들이 수렴되었으며, 그 중에서 크게 5가지 사안에 대한 의견이 중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우선 가장 많은 제언으로는 시대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획이 증가되었으면 좋겠다는 의견과 원하는 주제에 대한 세부적인 요청도 있었으며, 한국조경을 대표하는 조경매체로서 분야 내의 소통창구의 역할에 매진해달라는 것, 그리고 인근분야 및 대중문화와의 소통에도 앞장서 달라는 의견도 많았다. 또한, 비평문화를 선도하여 한국조경이 바르게 성장할 수 있는 지반을 만들어 달라는 내용과 기타 디자인 레이아웃 및 편집과 관련한 다양한 고견도 들을 수 있었다. 이에 편집부에서는 창간30주년 기념호에 이 기록을 남김으로써 향후 잡지 편집방향의 최우선 지향점으로 삼고 더욱 노력할 것임을 스스로에게 그리고 독자분들께 약속드리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격려를 부탁드린다.
  • AHBE Landscape Architect
    AHBE는 혁신적 디자인의 기폭제로서 그 역할을 다하고 있다. 수십 가지 기반시설을 바탕으로 조경을 이해하는 AHBE의 디자인 스튜디오는 기운을 북돋워 주는, 가치 있는 공간을 창조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AHBE는 혁명적 아이디어를 현실 속의 영속적 환경으로 탈바꿈시킨다. 포스트모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근대적 조경가들의 집합체인 AHBE는 조경가의 역할이란 곧 생태학과 경제 사이에 결정적 연결고리를 제공하는 한편, 자연과 인간 사이에 조화로운 균형을 자아내는 것이라 믿고 있다. 이러한 믿음을 토대로 아름다움과 기능성을 동시에 갖춘 경관을 창조해낸다. 고품격 디자인, 탁월한 기술 개발, 그리고 시공의 용이함 등이야말로 AHBE가 지금껏 보여준 작업들이 지닌 차별화된 특징이라 할 수 있는데, 이들 작업들은 정원, 공원, 대학 및 기업 캠퍼스, 의료시설, 여가시설, 도시광장, 가로경관 및 “그린 스트리트”, 복합상업시설 개발, 접객시설, 주택, 그리고 마스터플랜 및 디자인 지침 등 실로 다양한 분야를 망라하고 있다. AHBE는 또한 설치미술 작품의 제작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에 대한 문제 제기, 비평, 그리고 표현에 참여하고 있다.이러한 설치작품들은 전시회, 문화 행사, 그리고 기타 대중적 이벤트 등을 통해 쉽게 만나볼 수 있다. AHBE Landscape Architects (AHBE) is a catalyst for design innovation. Looking at landscape through the lens of infrastructure, our innovative studio strives to create restorative, meaningful spaces that improve quality of life. AHBE translates revolutionary ideas into lasting environments. As modern landscape architects in a postmodern world, AHBE sees the role of the landscape architect as providing the crucial link between ecology and economy, and striking a harmonious balance between nature and humanity. Out of this process, beauty and performance emerge from the landscape. High quality design, excellent technical development, and constructability are hallmarks of AHBE’s body of work, which includes: gardens, parks, educational and corporate campuses, medical facilities, recreational facilities, civic plazas, streetscapes and “green streets”, mixed-use commercial developments, hospitality, housing, trail systems, and master plans/design guidelines. AHBE also creates conceptual art installations as a way to question, critique, and express different ideas. These installations are often part of exhibitions, cultural events, and other public ev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