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케치업 5.0을 이용한 3차원 디지털 모델링(5)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아름다운 바다_수중사진전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연정고택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모에레누마 공원
MOERENUMA PARK 모에레누마 공원은 삿포로시를 둘러싸고 있는 그린벨트 중, 북부녹지의 핵이 되는 도시공원으로 당초 쓰레기 매립장으로 이용되었으나, 1982년 공원조성이 결정되었고, 1988년 조각가인 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_ 일본의 유명한 조각가로 1904년 미국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유명한 영문학자이며 시인인 野口米次?와 미국인 작가 레오니 길모아의 사이에서 출생. 유소년기를 일본에서 지낸 후, 20세인 1924년 레오나르도 다빈치 스쿨에 입학하여 조각 수업을 받았다. 1930부터 1960년대 사이에 파리, 멕시코, 미국 등지에서 활동하였으며, 1970년대 일본에서 활발한 작품활동을 하였다. 1987년 레이건대통령으로부터 예술가훈장을 수여받기도 하였으며, 1988년 뉴욕에서 사망하였다. 특히, 그의 작품 중, 어린이놀이시설을 직접 설계한 것으로 유명하다. 가 참가하면서 공원의 기본계획이 확정되었다. 노구치는 공원전체를 하나의 조각으로 보고, 다양한 구상에 의하여 조성하였다. 모에레누마 공원은 2002년 Good Design상을 수상하였으며, 2005년 7월 1일에 개장하였다(2003년 11월호 해외정보 참고). 모에레누마 공원은 5월에 벚나무 숲의 만발한 벚꽃이 장관이고, 6월부터 9월까지는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모에레 해변이 개방된다. 그 밖에도 이사무 노구치가 디자인한 120기 이상의 놀이기구가 있는 7개소의 놀이터와 석수石狩평야를 둘러싼 산맥을 조망할 수 있는 높이 50m의 모에레산, 30m의 Gray Mountain이 있다. 또한 스포츠 시설로서 15면의 테니스코트와 야구장, 육상경기장을 갖추고 있으며, 이벤트시설로서는 야외무대와 음악당이 있다. 겨울에는 크로스컨트리 스키와 스노우보드, 썰매놀이가 중심이 되므로, 일년 내내 놀이를 제공할 수 있는 공원이다. 유리 피라밋 HIDAMARI- 유리로 만들어진 피라밋 HIDAMARI는 모에레누마 공원의 가장 중앙에 위치하는 시설로서 2002년 가을에 명칭 공모를 통하여 2천여개의 건중에서 부르기 쉬운 이름으로 책정된 것이다. HIDAMARI는 모에레누마 공원의 상징이 되는 건물로서 투명한 면의 집합체로 경쾌한 외형을 추구하였다. 내부에는 휴게소가 되는 아트리움, 이사무 노구치 갤러리와 문화활동을 위한 공간, 레스토랑, 가게와 같은 서비스 시설, 관리사무소가 있어 공원의 이용과 운영의 거점이 되는 복합시설이다.벚나무 숲Forest of Cherry Trees - 원로로 연결된 7개 놀이지구인 A-G를 포함한 녹음이 풍부한 구역. 놀이기구는 모두 이사무 노구치가 디자인한 것으로 아름다우며 즐거운 조각이라고 불리울 만하다. 어린이들이 마음껏 즐길 수 있지만 숲 속에는 또 다른 놀이기구가 있어 그쪽으로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행태를 이사무 노구치는 이미 머리속에 그리고 있었던 듯 하다.모에레 해변 Moere Beach - 유보도로 둘러싸인 완만한 부지 중앙부에는 이사무 노구치의 조형에 의한 얕은 연못이 만들어져 있다. 아름다운 해변을 이미지한 모에레 해변은 산호로 포장되어 있으며, 연못 중앙의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물은 파도를 일으키며 자연스레 사라져간다. (안홍규·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부 선임연구원)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홍콩 및 싱가폴의 신주거단지
건설사 조경협의회는 지난해 12월 홍콩과 싱가폴의 주거단지 및 관공서 등 우수조경사례를 답사하고 돌아왔다. 현지의 관계자로부터 설계 및 시공 과정, 현지의 법규와 생활, 문화의 차이점 등에 대해 설명을 듣고, 외부 및 옥상 조경, 실내 공동시설, Model House, Sample House 등 신도시주거단지의 조경 및 공용 공간의 형태, 배치, 구조 및 실제 쓰임새와 입주자의 사용 현황을 돌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이에 본 고에서는 홍콩 및 싱가폴 주거단지 조경의 사례를 현지 문화의 차이점과 함께 몇 가지로 분류하여 정리해보았다. 좁은 땅의 효율적 이용 / 주민공동시설, 옥상조경의 다양한 활용 - 홍콩에서는 아파트(현지에서는 콘도미니엄이라 불린다)를 구입해도 주차장이 제공되지 않는다. 땅에 대한 소유권이 정부에 있어 땅값이 비싸기 때문이며, 50년 장기 임대로 토지를 구입해 아파트를 건설한다. 따라서 입주자라 해도 아파트의 주차시설을 이용할 경우에는 별도의 임대료를 지불해야 한다. 입주 세대 당 평균 0.2~0.3대의 주차 공간이 조성되어 있는데, 비용의 문제도 있고 층고에 대한 제약이 없어 지하 주차장을 파지 않고 저층부를 주차장으로 조성한다. 그래서 실 입주 세대는 적게는 6~7층, 높게는 10층 이상부터 시작되는데, 이런 이유에서인지 주민 공동시설과 옥상조경이 상당히 발달해 있다. 국내 아파트 옥상 조경은 건축 슬라브 위에 평면적인 구성이 대부분이고, 주민 공동시설도 주동 구조에 맞춰 실별 다양성을 갖추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하지만 홍콩에서는 공용 저층부와 주거용 고층부에 대한 구조를 별도로 설계하여(구조 전이 시스템) 공용부 용도에 맞는 자유로운 평면구성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구조 전이 층을 이용해 옥상 조경의 레벨 변화에 따른 독립된 조경공간을 실현하고 있다. 실례로 홍콩 Long Beach Condominium의 경우 조경 계획에 따라 옥상조경을 3개층의 별도 슬라브 구조로 계획해 다양하고 입체적인 공간 연출은 물론 각 지역에서 바다로의 조망을 가능토록 설계했으며, 다양한 레벨을 수경시설로 연결하여 전체적인 통일감을 유지하였다. 다양한 재료 및 공간의 계획 / 기후 및 법규로부터의 자유, 상품으로서의 조경 - 싱가폴은 한겨울 날씨가 우리나라 초가을 정도여서 주택에 난방배관을 설치하지 않는다. 외부공간에도 지나치다 싶을 정도의 과감한 수경시설을 도입하여 리조트와 같은 규모의 수영장과 물놀이시설이 주를 이루고 있고, 우리나라와 같은 장마 및 집중호우가 없어 잔디 및 지피식물로만 경사면을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동선의 이동에 있어서도 경사로의 제약에서 벗어나 단정한 계단과 녹지 마운딩으로 경관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재료에 있어서는 옥외공간에도 패브릭 소재를 사용하여 자유로운 디자인과 이용의 편리성을 추구하고 있다. 이런 기후적 장점을 바탕으로 조성한 수영장 및 잔디는 유지관리비용이 더욱 많이 요구되고, 옥외공간에 적용한 패브릭 소재는 영구시설로는 불가능한 단점이 있지만, 비용을 지불하더라도 상품으로서의 조경의 가치를 먼저 생각하는 것이 우리나라와는 다른 점이었다. 관리를 요하는 Public Garden으로서의 공동주택 조경이 구현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1층 전용정원의 위법성 여부가 대두되고 있는 국내와는 달리, 싱가폴에서는 1층세대 분양면적에 전용정원을 포함하여 법적 분쟁 없이 적극적인 1층 세대용 정원을 조성하기도 한다. (박준호·현대건설㈜ 조경부 과장)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부다페스트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아현 도큐먼트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이시야마 공원(Ishiyama park, 石山公園)
개요 - 폐 채석장을 이용한 이시야마고원은 일본 북해도 삿포로시 남구에 위치하고 있는데, 남쪽과 북쪽 두 공간으로 나뉘어져 있고 총면적은 118,810m2이다. 1993년에 먼저 오픈한 북쪽은 녹지가 풍부하여 전망테라스, 테니스코트, 게이트볼 코트, 목재 놀이기구 등 시민휴식의 오아시스가 되고 있다. 반면, 남쪽은 고대 로마유적을 연상시키는 「돌의 광장(Negative Mound)」, 「오후의 언덕」, 「조각 광장」 등 홋카이도의 유명 조각가들이 아이디어를 내고 조경가와 함께 조성한 공간으로, 삿포로시 폐 채석장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고향 문화100선」에도 선정되기도 하였다. 공간구성 오후의 언덕 어린아이들의 호기심과 탐험심을 불러일으키도록 놀이기구를 배치하였고, 연석으로 둘러싸인 절벽은 술래잡기를 하거나 동굴에 들어가서 노는 등 놀이의 기능과 조망을 즐길 수 있는 테라스의 역할을 함께하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물의 광장- 마치 피사의 사탑을 연상케 하는 원뿔형의 탑에서 발원하는 물은 탑주위를 돌면서 밑으로 흘러내려와 중앙 광장 달팽이모양의 집수관으로 모여들게 된다. 탑주위를 돌면서 내려오는 물은 중간 중간마다에 물이 아래로 바로 떨어지도록 토수(吐水)가 설치되어 있어서 다양한 물소리 듣고, 광장 중앙의 집수관 주변에서는 발을 벗고 물속을 걸을 수 있는 등 직접 물놀이를 체험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돌의 광장 - 수직적인 벽면으로 둘러싸인 사각의 공간으로 형체의 음과 양을 표현한 건조한 인상의 Zone. 연석포장의 돌출이 물결처럼 넓혀져 있는 돌의 광장(Negative mound)은 콘서트, 이벤트 등 다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조성되어 있다. 침묵의 숲과 빨간 하늘 - 상자 자작나무와 잔디의 녹지와 암벽의 콘트라스가 인상적인 Zone으로 산림욕을 즐기면서 다양한 암경과 수목을 함께할 수 있는 산책로이다. 조각 광장 - 절개한 바위의 모습이나 파낸 뒤의 흔적 등 옛 채석장의 이미지를 그대로 연상시킨 조각공원으로, 이곳에서는 아이들이 조성된 조각 뒤로 숨거나 아이들만이 들어갈 수 있는 그들만의 공간을 조성해줌으로써 놀이터로 활용되는 공간이다.결론 - 자연과 예술이 공존하는 질 높은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행정과 예술가, 조경가가 서로 연대하여 설계하고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시야마 공원에서는 계획단계에서부터 조각가들이 함께 참여하고 계획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폐채석이 그대로 노출된 다양한 경관을 최대한으로 살린 아름답고 유니크하며, 친근한 공간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각 공간마다에 명확한 개성을 만들어내기 위하여 시설계획, 색채계획, 공간계획에 이르기까지 예술가들의 유연한 발상이 돋보이는 공간으로 탄생하게 된 것이다.
-
윤증고택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제4회 국제 미디어아트 비엔날레 '두개의 현실'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