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비저블 랜드스케이프 Visible Landscapes
    1 오피스박김은 지난 10년간 복잡한 도시 환경의 난제와 사회적 이슈가 얽힌 공공 프로젝트에 명쾌하고 전략적인 해법을 대입한 화제작들을 생산해 왔다. 오피스박김의 대표 브랜드인 ‘산수전략山水戰略’은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공간, 청라지구 호수공원, 마곡 워터프론트, 당인리 서울화력발전소 공원화 등 여러 설계공모 에서 단지 장식적 구호가 아니라 구체적인 설계 문법의 역할을 해왔다. 광교에서 실험된 8%의 산지형 공원과 양화 한강공원에서 구현된 ‘뻘mud 인프라스트럭처’ 역시 산수전략의 확장된 판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작업들에서 경관의 ‘형태는 시스템을 따른다’. ...(중략)... *환경과조경 341호(2016년 9월호) 수록본 일부
    • 배정한[email protected] / 편집주간,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교수
  • GS SHOP 강서타워 옥상 정원 Roof Garden of GS SHOP Gangseo Tower
    인공지반 위에 다시 태어난 도심의 오아시스 GS SHOP은 1994년 한국 최초로 TV 홈쇼핑을 시작한 대표적인 홈쇼핑 회사다. 1999년 현재의 강서타워로 사옥을 이전했고, 5층에 옥상 정원을 조성하여 직원의 휴게 공간과 방송용 옥외 스튜디오로 활용해 왔다. 하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설이 노후화되어 이용률이 떨어졌고, 직원의 휴식 공간, 방송용 야외무대, 회사의 야외 행사장, 협력 회사와의 미팅 장소 역할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옥상 정원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2015년 봄, 옥상 정원은 도심의 오아시스 역할을 하는 공간으로 다시 태어났다. ...(중략)... 설계 조경설계 이화원 시공 아성 발주 GS SHOP 위치 서울시 영등포구 선유로 75 GS SHOP 강서타워 5F 면적 1,480m2 완공 2015. 3. *환경과조경341호(2016년9월호)수록본 일부 윤상준은 영국 셰필드 대학교에서 조경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조경문화와 디자인 그리고 정원 역사, 문화재 보전 정책과 문화유산 보전이주요 관심사이며, 다양한 저술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2014년부터 현재까지 조경설계 이화원 정원문화연구소의 소장으로서 정원 프로젝트를 다수 수행했다.
    • 윤상준 조경설계 이화원 정원문화연구소장[email protected] / 조경설계 이화원
  • 72시간 도시생생 프로젝트 불꽃아이디어로 활기찬 쉼터를!
    지난 7월 26일, 시청 본관 다목적홀에서 서울시와 한화가 공동 주관한 2016년 ‘72시간 도시생생 프로젝트’의 수상작이 발표됐다. 본래 최우수상(상금 1,000만원)으로 한 작품을 선정할 예정이었으나, 심사 기준을 모두 만족시킨 작품이 없어 올해에는 최우수작을 뽑지 않았다. 대신 한 팀에게만 수여될 예정이었던 우수상(상금 500만원)을 두 팀이 받았으며, BAU 아름드리의 ‘밝은누리맞이’와 중앙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서비스 융합디자인 연구회의 ‘서울 북부 5 컬러 벤치Seoul Book-bu 5 Color Benches’가 그 영예를 안았다. 한화상(상금 500만원)은 돌아온 C반의 ‘신통방통 알약통’이 차지했다. 올해에는 이례적으로 수상 팀 외 참여 팀 모두에게 장려상이 수여됐다. 액션 기간 중 비가 내렸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팀이 작품을 끝까지 완성하려는 의지를 보인 점이 높게 평가되었기 때문이다. 올해 조성된 작품은 모두 존치하기로 결정됐다. ‘날개’를 주제로 한 한화초청팀의 작품은 추후 보라매공원 남문에 조성될 예정이며, 해당 시설물 일체는 공원에 기증된다. ...(중략)... *환경과조경341호(2016년9월호)수록본 일부
  • 블루밍 시티 Blooming City
    1970년대 뇌베헤인Nieuwegein에 지어진 오래된 쇼핑센터가 새 단장을 마쳤다. 기존의 배치를 완전히 바꾸어 개방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대지를 활용해 사람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상점의 면적이 두 배로 늘어났고, 아파트, 사무실, 시청사, 극장, 영화관, 공연장, 도서관이 추가로 조성됐다. 블루밍 파킹 데크 설계의 주된 콘셉트는 ‘블루밍 시티Blooming City’다. 이는 붐boom을 일으키는 장소라고 비유적으로 해석될 뿐만 아니라 문자 그대로 많은 꽃들이 피어있는 곳으로도 받아들일 수 있다. 대상지 중심부의 지하에 주차장parking deck이 있으므로 토심을 확보할 수 있도록 화단planting compartment을 위로 들어 올려 설치했다. 화단에는 어느 계절에나 다채로운 색상의 꽃을 감상할 수 있도록 개화 시기를 고려해 선정된 수종을 식재했다. 화단과 가로에 놓인 시설물은 포장면에 유연하게 녹아들어 일체화된다. 또한 꽃과 나뭇가지를 추상화한 패턴을 활용해 바닥을 천연석으로 포장했다. ...(중략)... Design team Bureau B+B in collaboration with UN Studio and Michael van Gessel Client Municipality of Nieuwegein Location Binnenstede, Nieuwegein, Netherlands Surface 67,000m2 Design 1997 ~ 2006 Construction 2007 ~ 2015 뷰로 B+B(Bureau B+B)는 수년간의 설계 경험과 참신한 재능을 접목한 네덜란드의 도시·조경·건축설계사무소다. 명쾌하고 기능적이면서 시적인 설계를 수행하며, 탐구적인 설계를 통해 문제의 답을 찾아 나가고 있다. 사람들이 편안함을 느끼고 스스로 자신이 원하는 활동을 찾아나갈 수 있는 공간을 설계하고자 기본 스케치부터 마지막 완성 단계에 이르기까지 프로젝트의 전 과정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환경과조경348호(2017년4월호)수록본 일부
    • Bureau B+B / Bureau B+B
  • 리버마크 Rivermark
    리버마크Rivermark는 웨스트 새크라멘토West Sacramento 브리지 디스트릭트Bridge District에 최초로 지어진 저렴 주택affordable housing이다. 188에이커에 이르는 주택 단지는 강기슭과 랠리 필드Raley Field를 비롯해 새크라멘토 강을 따라 아파트 70세대를 지불 가능한 가격에 제공한다. 모든 세대가 전망과 채광을 침해받지 않도록 단지 안쪽 뜰이나 바깥 도로를 향하도록 설계했다. 또한 뜰의 끝 부분을 열어 놓아 추후 개발되더라도 개방감 있고 조화로운 디자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했다. 독특한 형태의 입구 타워는 브리지 디스트릭트에 새로운 단지가 들어섰음을 알리는 신호등 역할을 한다. 구멍 난 코르텐 스틸 패널로 장식되어 멀리서도 한 눈에 들어오는 옥외 계단 타워open‑air stair tower는 과거 쇠퇴한 산업 단지였던 대상지에서 힌트를 얻어 만들었다. 타워 주변에는 물이나 바람에 씻겨 표면이 반들반들해진 돌이 흩어져 있는 뜰을 조성했는데, 이는 시에라 Sierra 산기슭의 풍경을 떠오르게 한다. ...(중략)... Official Entrant, Landscape Architect of Record/FirmFletcher Studio Building Architect David Baker Architects Civil Engineer Sandis General Contractor Sunseri Associates Soil, Hardscape American Soil and Stone Lighting Bega Drainage, Erosion Vespro and American Hydrotech Fence, Gate, Wall Wattle Fencing by The Willow Farm Irrigation Sweeney and Associates Furniture, Lumber, Decking, Edging, Park, Recreation Equipment Fletcher Studio Custom Designed Green Roof, Living Wall American Hydrotech Location West Sacramento, California, USA Size 188ac Completion 2015. 5. 플레처 스튜디오(Fletcher Studio)는 샌프란시스코에 기반을 둔 건축, 도시설계, 환경 계획 등 포괄적인 전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설계사무소다. 다양한 협업 방식과 맥락적인 접근을 통해 독특하면서도 지속가능한 경관, 도시 공간 그리고 생활 기반 시설을 만들고 있다. 또한 사람들과의 상호 작용, 역사, 정책, 경제, 생태 등 대상지의 특성에서 디자인과 계획의 해법을 도출해낸다. *환경과조경348호(2017년4월호)수록본 일부
    • Fletcher Studio / Fletcher Studio
  • 래미안 신반포 팰리스 Raemian Sinbanpo Palace
    래미안 신반포 팰리스는 강남 명문 학군, 편리한 교통, 한강과 문화·편의 시설을 누릴 수 있는 곳에 위치한 중대형 아파트 재건축 프로젝트다. 우리는 기존 주민인 경제적으로 여유로운 50~60대와 30~40대 학부모를 주요 입주자로 설정하고 니즈needs를 분석했다. 이들은 고급 문화 공간과 최신 트렌드에 익숙하고, 건강에 관심이 많으며, 자기 계발과 친목 활동에 적극적인 라이프스타일을 지녔다. 이에 따라 고급스럽고 세련되며 편안한 모임과 휴식을 즐길 수 있는 동별 정원 ‘어반부티크가든urban boutique garden’을 메인 콘셉트로 특화해 설계를 진행했다. ...(중략)... 설계 동심원조경기술사사무소 시공 삼성물산 조경 식재 주원조경 조경 시설물 청우개발 놀이 시설물 아르디온, 가이아글로벌 위치 서울시 서초구 잠원동 면적 대지: 34,873m2 조경: 15,621m2 완공 2016 동심원은 순수함과 하나됨, 부드러운 확산의 상징이며, 조경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뜻을 한 데 모아 함께 성장한다는 의미다. 동심원조경은 땅에 대한 책임감, 진화하는 유연, 실용과 절제, 실천적 새로움을 지향한다. 현재 서울숲과 경의선숲길 등의 도시 오픈스페이스에서 곤지암화담숲과 제이드가든 같은 수목원, 서울시청과 동대문디자인플라자 등 건축물의 외부 공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대표작을 만들어가고 있다. *환경과조경348호(2017년4월호)수록본 일부
    • 동심원조경 / 동심원조경
  • 텡아 포레스트 타운 고밀도 도시의 주거 단지 조경을 위한 기본 지침 연구와 설계안
    * 본 자료는 싱가포르 공동주택개발공사(HDB), 도시개발국(URA), 녹지공원국(NParks)과의 협업을 통해 제작되었으며, 싱가포르 국가개발부(Singapore Ministry of National Development)와 국립연구재단(National Research Foundation)의 연구 용역 ‘L2 NIC Award No. L2NICCFP1-2013-10’(연구 책임자 Tan P. Y.)의 연구 지원을 기반으로 한다. 이 내용은 한국의 『환경과조경』을 비롯해 싱가포르의 조경 전문지 『CITY GREEN』, 타이완 조경학회(Taiwan Institute ofLandscape Architects)에서 발간하는 『LANDSCAPE』에 공통으로 수록된다. 고밀도 아시아 도시 주거지 경관이 거주자들에게 보다 생태적이고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싱가포르 국립대학교(이하 NUS) 연구팀이 조경 기본 지침을 마련했다. 이 지침을 만들고 검증하는 단계에서 주거 단지 계획의 경험이 풍부한 한국, 대만, 그리고 싱가포르를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팀들을 초청해 텡아 포레스트 타운 설계안을 의뢰했다. 각 디자인팀은 지침의 기본 방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도시계획 단계부터 주거 단지 설계까지 조경가의 관점에서 다양한 스케일의 설계안을 수립했다. 고밀도 도시의 주거 단지 조경을 위한 기본 지침 연구 2030년까지 아시아 인구의 60% 이상이 도시에 거주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아시아 도심의 밀도 또한 세계 평균의 1.5배에 달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빠른 속도로 과밀해지는 아시아 도시의 특징을 여실히 보여주는 도시 중 하나로서, 경제 성장과 더불어 끝없는 도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고층 건물로 이루어진 주거 단지의 녹지 공간은 사회적·환경적 관점에서 중요한 공간이지만, 개발 과정에서 등한시되거나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NUS 연구팀은 싱가포르 공동주택개발공사HDB, 도시개발국URA, 녹지공원국NParks과 협업해 주거 단지 녹지 공간의 생태적 역할과, 사회문화적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기본 지침을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시작했다. 고밀도 도시의 주거 단지 조경을 위한 기본 지침인 ‘바이오필릭 타운Biophilic Town’은 세 가지 개발 과정으로 구성된다. 조경 계획과 설계, 주거지 조경을 통한 생태계 서비스ecosystem services, 사회적ㆍ환경적 가치 창출이 그것이다. ...(중략)... *환경과조경348호(2017년4월호)수록본 일부
  • 클리블랜드 광장 Cleveland Public Square
    대상지는 클리블랜드Cleveland 시의 유서 깊은 중심지에 위치한 오픈스페이스다. 광장은 역사적 건축물인 올드 스톤 교회Old Stone Church, 저축 조합 협회Association Society for Savings building와 높이가 235m에 달하는 터미널 타워Terminal Tower를 비롯해 일련의 건물로 둘러싸여 있다. 또한 세계대전에 참전한 군인을 기리는 기념탑과 부차적인 기념물, 동상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탁월한 입지의 대규모 오픈스페이스인 만큼 광장은 오하이오의 주요한 시민 공간이 되어야 했다. 클리블랜드 광장의 최우선 과제는 활용성과 사회성을 향상시켜 광장을 클리블랜드 시의 다운타운, 이스트사이드, 웨스트사이드 등과 연결하는 것이었다. ...(중략)... * 환경과조경 347호(2017년 3월호) 수록본 일부 Project Lead, Landscape Architecture, Urban Design, Master Planning JCFO(James Corner Field Operations) Civil, Structural, MEP Engineering OSBORN engineering Architecture nArchitects Water Feature Consultant Fluidity Design Consultants Irrigation Consultants FRS Design Group Soil Consultant Sustainable Environmental Consultants Traffic Engineering Nelson / Nygaard General Contractor Donley's Construction Client Group Plan Commission and LANDStudio Location Cleveland, Ohio, USA Size 6ac Year 2009 ~ 2016 Completion 2016. 5. Photographs Bob Perkoski, James Corner Field Operations, Multivista for Donley's Construction, Roger Mastroianni, Sahar Coston Hardy JCFO(James Corner Field Operations)는 뉴욕에 기반을 둔 도시설계와 조경 설계를 전문으로 하는 디자인 오피스다. 대규모 도시설계 프로젝트나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사이트부터 작지만 섬세한 디테일을 요구하는 디자인까지 다양한 규모의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주요 작품으로 뉴욕 시의 하이라인과 프레시 킬스, 라스베이거스의 시티 센터, 중국 칭하이 지역의 도시설계 마스터플랜, 시애틀 워터프런트의 마스터플랜, 필라델피아의 레이스 스트리트 피어, 산타 모니카의 통바 파크, 런던의 퀸 엘리자베스 올림픽 파크, 홍콩의 침사추이 워터프런트 등이 있다. 모든 설계 실천에 있어서 사람과 자연의 생태를 연구하고, 생기 넘치고 역동적인 공공 영역 디자인을 구현하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 JCFO / JCFO
  • 슈체친 국립박물관 다이얼로그 센터 프셰로미 National Museum in Szczecin – Dialogue Centre Przełomy
    슈체친Szczecin시는 폴란드에서 자행된 역사적 폭력의 희생양 중 하나다. 이 도시는 1945년까지 독일에 속해 있었지만 하루아침에 폴란드에 편입됐다. 급작스러운 인구 이동이 일어나며 사회 구조가 파괴됐고 도시 정체성도 타격을 받았다. 전쟁 이전 솔리다르노시치Solidarności광장은 공 동 주택지에 위치한 슈체친의 자유 발언대였으며, 광장 북쪽은 콘제르트하우스Konzerthaus에 둘러싸여 있었다. 하지만 연합군의 폭격으로 광장과 인근 지역이 완전히 파괴되었고, 그 위를 횡단하는 차로가 생기며 도시에서 완전히 잘려나가게 되었다. 이후 이곳은 1970년대 노동자 시위의 무대가 되었다. 시위는 무자비하게 진압되었으며, 16명의 시위자가 사살되었다. 그때부터 지금까지 광장은 자유를 향한 투쟁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중략)... * 환경과조경 347호(2017년 3월호) 수록본 일부 Design KWK Promes Collaboration Aleksandra Stolecka, Piotr Tokarski, Adam Radzimski, Joanna Biedna, Magdalena Adamczak General Contractor Skanska Investor National Museum in Szczecin Location Szczecin, Poland Size Site: 9,577m2 Gross Covered Area: 1,628m2 Usable Floor Area: 2,117m2 Exhibition Surface: 960m2 Volume: 15,845m3 Competition 2009 Project 2010 ~ 2011 Construction 2012. 1. ~ 2016. 2. Photographs Aneta Pop³awska-Suoe, Daniel ródlewski, Jakub Certowicz, Jaroslaw Syrek, Juliusz Sokolowski, KWK Promes, Magdalena Kotelon, Piotr Rakowski KWK 프로메스(KWK Promes)는 1999년 로베르트 코니에치니(Robert Konieczny)가 설립한 건축설계사무소다. 아트리얼 하우스, 코모다 하우스, 브로큰 하우스, 세이프 하우스, 히든 하우스 등 코니에치니의 작품은 미스 반 데어 로에 재단에서 선정하는 유럽 건축상에 열 번이나 후보로 오른 바 있다. 그중 아트리얼 하우스는 2006년 월드 아키텍처 뉴스(World Architecture News)가 조직한 공모전에서 베스트 주택 프로젝트 부문의 수상작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2007년 KWK 프로메스는 『월페이퍼(Wallpaper)』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건축설계사무소 101곳 중 하나로 이름을 올렸으며, 2008년에는 시카고의 뮤지엄 건축 국제 심사위원단이 아트리얼 하우스와 히든 하우스를 세계 베스트 주택으로 지정했다. 이외에도 대표작으로, 오토 패밀리 하우스, 카토비체의 리빙가든 하우스, 코니에치니의 방주 등이 있다.
    • KWK Promes / KWK Promes
  • 라스베이거스 블러바드와 더파크 Las Vegas Boulevard Public Realm & The Park
    미국의 혁신적인 도심 경관 프로젝트가 뜻밖의 맥락에서 펼쳐졌다. 고속도로에 불과했던 라스베이거스 스트립(Las Vegas Strip)이 도시에서 의미 있는 역할을 하게 될 중추적 구성 요소로 변모한 것이다. 라스베이거스 스트립은 세계적으로 많은 방문자를 끌어들이는 명소 중 하나로, 매년 4천만 명에 달하는 사람이 이곳을 찾고 있다. 도박 중심의 시장 구조는 점차 무너지는 추세며 도박을 대신해 공공 공간과 그 주변에서 펼쳐지는 다채로운 활동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라스베이거스에서 자동차는 더 이상 도로의 지배자가 아니며 인근 부동산 소유자들은 건물 중심의 전통적인 부동산 개발보다 야외 공공 공간에 투자하는 것이 더 가치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아울러 이들은 지속가능하며 독창적인 동시에 주변 환경과 어울리는 디자인이 사람들을 끌어들여 경제적 가치를 높인다는 점을 이해하고 있다. 라스베이거스 스트립에 가장 큰 규모의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던 MGM 리조트 인터내셔널(MGM Resorts International) 역시 공공 공간의 강력한 힘을 인식했고, 2012년 라스베이거스 스트립을 새롭게 만들 마스터플랜 수립을 위한 첫 걸음을 내디뎠다. 1단계 사업인 라스베이거스 블러바드 조성에만 약 5억 달러가량이 투입되었고, 우리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책임질 마스터플랜 기획팀의 일원으로서 보행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공공 공간 네트워크 구상을 의뢰받았다. 공공 공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진행된 프로젝트는 기존 라스베이거스의 익숙한 인상을 자아냈던 테마 중심의 인위적 볼거리와 선명한 대조를 이루는 포괄적이고 성숙한 도시 환경을 형성했다. ...(중략)... *환경과조경346호(2017년 2월호)수록본 일부 Landscape Architect(Lead Designer) !melk Landscape Architectrue & Urban Design Planner Cooper Robertson & Partners Architect Marnell Architecture Civil Engineer Lochsa Engineering Structural Engineer Barker Structural Electrical Engineer JBA Consulting Engineers Lighting Design Site: Lighting Design Alliance Shade Structures: Arup, Leni Schwendinger Water Feature Engineer STO Design Group, Water FX Client MGM Resorts International Location Las Vegas, Nevada, USA Size Boulevard Public Realm: 9ac The Park: 5ac Construction Boulevard Public Realm: 8 months(2013. 8. ~ 2014. 3.) The Park: 20 months(2014. 8. ~ 2016. 4.) Completion Boulevard Public Realm: 2014. 3. The Park: 2016. 4. !melk는 2010년 제리 반 에이크(Jerry van Eyck)가 뉴욕에 설립한 조경 및 도시설계사무소로 대규모 및 소규모 도시·공공 공간 개발, 마스터플랜, 정원, 가로 경관, 광장, 워터프런트 등이 전문 분야다. 진취적 사고와 여러 분야를 아우르는 협력적 접근법을 통해 창의성, 실용성, 지속가능성, 경제성 그리고 시장성을 조화롭게 결합시켜 규모와 환경의 제약 없이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 !melk / !mel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