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Winning Prop: Anacostia Crossing 11TH STREET BRIDGE PARK DESIGN COMPETITION
    애너코스티아 크로싱Anacostia Crossing은 강 위에 떠있는 소통의 장소다. 애너코스티아 크로싱 공원은 오랜 세월 동안 이질적이었던 양쪽 강변을 여러 야외 체험 공간으로 연결한다. 이를 통해 공원은 서로 다른 두커뮤니티가 융화되는 교차점이 될 것이다. 애너코스티아 크로싱은 근린공원, 인근 직장인들의 여가 공간, 주민들의 휴식 공간, 관광 명소 등 다양하고 복합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한다. X자 형태의 다리 양쪽 강변에서 뻗어 나오는 길들은 구름판springboard 역할을 할 것이다. 즉, 어느 방향에서 공원으로 진입하더라도 공원을 최대한 잘 바라볼 수 있도록 방문객을 들어 올리는 경사로가 된다. 동쪽 강변(애너코스티아 고속도로 쪽)에서 진입하는 두 갈래의 길은 하나의 고리를 형성함으로써 서쪽(캐피톨 힐 쪽) 강변으로 난 길을 아우르고 반대편 강둑으로 연결한다. 그 결과로 만들어지 는 다리의 형태는 접점을 상징하는 X자 형태를 이룬다. 즉각적으로 인지되는 X자 형태는 강에 새로운 이미지를 부여할 것이다. 또한 이 길들은 애너코스티아 강의 풍경과 다리 위에서 여가를 즐기는 사람들의 모습, 워싱턴 D.C.와 애너코스티아 내의 유명한 랜드마크 등을 내려다 볼 수 있도록 5% 경사의 단을 형성한다. 이단은 남서 방향에는 카페에 필요한 그늘과 지붕을 만들고, 북서 방향에는 공연 공간과 해먹 숲을 제공한다. 양 끝단에는 폭포가 조성되어 애너코스티아 강으로 물이 떨어진다. 동쪽 폭포는 정화 시설과 연결되어 교각근처에 새로 조성되는 습지와 함께 강을 지속적으로 정화한다. 다양한 활동의 허브, 애너코스티아 크로싱 애너코스티아의 성격과 본질은 지역 공동체가 함께 향유할 수 있는 강변 조경 계획에서 비롯된다. 이 다리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지역의 고유한 문화적, 자연적 역사를 보여줄 것이다. 방문객과 지역 커뮤니티를 위해 편안하게 쉴 수 있는 편의시설(휴게소와 음식점), 무덥고 추운 날씨를 피할 수 있는 공간(그늘과 양지), 계절별 프로그램이 가능한 공간 등이 다리를 따라 조성될 것이다. 양 강변에서 오는 두 길의 교차점은 다리의 중앙에 만남의 장소를 형성한다. 이곳은 개방된 광장으로서 시장과 축제, 연극 공연이 일년 내내 열릴 수 있는 자유로운 공간이 될 것이다. 이 광장의 틀을 만드는 길들은 놀이와 휴식, 교육, 모임을 위한 일련의 영역을제공해 이 다리를 다양한 활동의 허브로 부상시킬 것이다. 인근 커뮤니티들은 애너코스티아 크로싱에서 여러 행사를 계획하고 개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방문객은 애너코스티아 크로싱을 통해 강 아래로 내려가 물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다리의 몸체를 이루는 공연 공간과 카페는 열린 공간으로서 아래쪽의 강을 감상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을 통해 방문객들은 풍경이 한 눈에 내려다보이는 지점에서 강을 즐기거나 보트를 타고 휴식을 취할 수 있다. OMA / OLIN Lead Architect OMA Lead Landscape Architect OLIN Structural and MEP/FP Engineer Arup Open Space Programming and Maintenance and Operations ETM Associates Hydrology and Marine Engineering Tetra Tech Lighting Designer L’Observatoire International Public Art Advisor Cecilia Alemani Community Outreach Advisor ARCH Development Corporation Acoustics Consultant Threshold Acoustics Theater Acoustic Fisher Dachs Associates Civil Engineer MKA Engineering Surveyor Wiles Mensch Cost Consultant Dharam Consulting Code Consultant Rolf Jensen Associates Transportation Planning Gorove/Slade Irrigation Consultant Lynch & Associates Ecologist Habitat by Design Sustainability and LEED Atelier Ten
    • OMA / OLIN
  • 11TH STREET BRIDGE PARK DESIGN COMPETITION
    미 국회의사당을 중심으로 시가지, 거리, 주거지 등이 격자 모양으로 잘 정돈된 워싱턴 D.C.는 미국의 민주주의 이념을 도시계획을 통해 구현한 도시로 유명하다. 백악관, 펜타곤, 연방 의사당 등 미국의 주요 정부 기관은 물론이고 수많은 국가 기념물과 박물관, 미술관 등이 모여 있는 워싱턴 D.C.는 미국 상류 계층이 이끄는 고급 문화의 중심지이지만 이 격조 높은 도시에도 명암은 있다. 중·상류층 백인이 인구의 큰 비중을 차지하던 과거와는 달리 오늘날 시민의 과반수는 인종차별이 없는 연방정부 기관에서 일하기 위해 수도로 몰려온 흑인들이 차지하고 있으며 히스패닉계 이주자의 수도 점점 늘고 있는 추세다. 호화 주택이 늘어선 조지타운 부근의 서부 지역과 북서부 외곽 지역에는 중·상류층 백인이 많이 거주하고 있지만 애너코스티아 강 남동쪽 지역Anacostia과 시의 북동부 지역에는 히스패닉과 흑인이 주로 거주하고 있어 한 도시 안에서도 구역 간에 인종과 계층의 구별이 뚜렷하다. 포토맥 강과 애너코스티아 강이 합류하는 지역에 자리한 이스트 포토맥 공원 단지 인근은 원래 흑인 빈민가 구역이었지만 도시 정비 사업에 의해 중·상류층 아파트와 연립주택이 들어서며 백인 거주 지역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에 따라 원래 이 지역에 거주하던 흑인 주민들은 시의 북동부 지역과 애너코스티아로 밀려나게 되었다. 11번가 브리지 파크11th Street Bridge Park가 들어서게 될 지역은 애너코스티아 강을 사이에 두고 북서 강변으로는 국회의사당이 있는 캐피톨 힐Capitol Hill과 남동강변으로는 저소득층의 흑인이 주로 거주하고 있는 애너코스티아와 접한다. 단지 강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을 뿐이지만 두 지역 간의 문화적·계층적 이질감은 뚜렷하다. 미국 주요 정부 기관과 미술관, 박물관 등이 몰려 있는 캐피톨 힐은 깨끗하고 선진적인 분위기가 느껴지지만 애너코스티아 지역은 워싱턴 D.C.에서 가장 범죄가 많고 더러운 지역이라는 인식이 팽배하다. 지역 주민이 직접 구상한 설계 원칙과 프로그램 요소 11번가 브리지 파크 프로젝트는 바로 이 두 지역의 교류와 상호 발전을 위해 구상되었다. 오래된 11번가 브리지 옆에 새로운 다리가 놓이면서 기존의 다리는 교각만 남기고 철거되었다. 11번가 브리지 파크는 이 기존 교각 위에 지어진다. 총 길이는 900피트로 미식축구 경기장 3개를 이어놓은 길이와 맞먹는다. 현재 교각만 남아 있는 이 미래의 공원에 지역 주민들이 거는 기대는 크다. 총 2,500만 달러로 추산하는 총공사비용 중 1,450만 달러는 시에서 지원하고 나머지 비용은 시민들의 모금 캠페인을 통해 마련할 예정이다. 아직 모금 캠페인이 시작되기 전이지만 목표액의 약 15분의 1에 해당하는 백만 달러가 이미 개인과 단체의 후원을 통해 모였다. 또한 11번가 브리지 파크는 이 지역에서 자발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도시재생 움직임과 맥락을 같이 한다. 워싱턴 D.C. 정부와 함께 이 공모전을 주도적으로 계획하고 주최한 비영리단체 ‘Building Bridges Across the River at THEARC’는 애너코스티아 워드8 지역에 있는 타운 홀 에듀케이션 캠퍼스Town Hall Education Arts Recreation Campus(THARC)를 운영하며 낙후된 애너코스티아 지역에 활기를 불어넣는 교육·문화·복지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몇 년 전부터 Building Bridges Across the River at THEARC는 인근 지역의 종교 지도자, 사업가, 교사, 단체장 등의 지역 주민과 함께 200회에 가까운 회의를 통해 공원의 설계 원칙과 필수 프로그램, 추구 가치 등을 구상했다. 이들이 직접 작성한 설계 원칙과 필수 프로그램은 공모전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도시를 하나로 묶을 것Stitch together the city’, ‘강을 주민들의 삶에 끌어들일 것Engage the river’, ‘시민의 건강 수준을 높일 것Elevate public health’ 등 13개 조항으로 구성된 설계 원칙과 공연장, 환경 교육 센터, 21세기형 놀이 공간, 공공 예술공간, 카약·카누·외륜선 선착장, 카페·레스토랑, 오픈 스페이스 등 7개 필수 시설은 심사의 중요한 평가기준이 되었다. 당선작, 애너코스티아 크로싱 지난 3월 20일 공식적으로 발표된 공모전에 80여개의 회사로 이루어진 41개 팀이 참가 신청했고 심사위원은 이중 조경가와 건축가로 이루어진 6팀을 선발했다. 심사위원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 중 네 팀Balmori Associates/Cooper, Robertson & Partners, OLIN/OMA, Stoss Landscape Urbanism/Höweler + Yoon Architecture, Wallace Roberts & Todd/NEXT Architects이 2단계에 진출했다. 2단계에 진출한 네 팀은 4개월간 최종 디자인 작업을 거쳤고 지난 9월 29일과 30일, 이틀에 걸쳐 대중에게 결과물을 발표했다. 발표에 참석하지 못한 시민들도 약 2주간 진행된 결선 진출 팀의 패널 전시회를 통해 결과물을 확인하고 시민 투표에 참여할 수 있었다. 지난 7개월간 진행된 공모전을 통해 10월 16일, OMA와 OLIN의 ‘애너코스티아 크로싱Anacostia Crossing’이 당선작으로 발표되었다. 애너코스티아 크로싱은 직설적이지만 강한 상징성을 띄는 ‘X’자 형태의 공원이다. OMA와 OLIN은 공원의 각 구역에 어울리는 프로그램을 촘촘히 배치해 X자의 형태를 기능적으로도 완결성 있게 제시했다. 애너코스티아 크로싱은 심사위원들에게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을 뿐만 아니라 시민들에게도 가장 많은 지지를 얻었다. 11번가 브리지 파크프로젝트의 디렉터 스콧 크라츠Scott Kratz는 “OMA와 OLIN의 디자인 콘셉트는 양 강변 인근의 주민들과 도시 전역의 시민들이 요청한 아이디어를 단순하고도 명쾌하게 풀어냈다”고 평가했다. 또한 그는 애너코스티아 크로싱에 대해 “수도의 상징적인 구조물에 새로운 형태를 부여하고 인근 커뮤니티를 새로운 공간으로 초대해 역사적으로 분절되어 있던 두 지역을 연결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워싱턴 D.C.는 미국 국회의사당을 중심으로 구역이 방사형으로 잘 정돈된 계획도시다. 백악관이나 연방대법원이 아닌 국회의사당을 그 중심에 두었다는 점에서 민주주의의 정신을 담아낸 도시로 평가받기도 하지만 국회의사당을 ‘정점’으로 도시 내의 주요 기관과 시설이 편재되었다는 점에서 구역 간의 수직적인 구조가 강력하게 나타난 도시이기도하다. 이후 개정되기는 했지만 1899년 어느 건물도 의사당보다 높게 짓지 못하도록 규정한 건물 고도 제한법Heights of Building Act으로 인해 오늘날 워싱턴 시의 스카이라인은 의사당을 중심으로 낮고 넓게 퍼진 형태다.1 애너코스티아 크로싱은 이 경직된 분위기의 도시에 들어서는 첫 번째 ‘고가 공원’이다. 구름판 형태의 공원은 시민들을 높이 들어 올려 서쪽으로는 국회 의사당을, 동쪽으로는 흑인 노예 해방 운동가 프레더릭더글라스의 생가가 있는 애너코스티아 지역을 바라보게 한다. 시민들은 11번가 브리지 파크를 통해 애너코스티아 강 만큼이나 깊은 인종과 계층의 강을 건널 것이다. WinnigProposal Anacostia Crossing OMA / OLIN Finalist Bridge Park Balmori Associates / Cooper, Robertson & Partners Finalist The Crossing Stoss Landscape Urbanism / Höweler + Yoon Architecture Finalist Anacostia Landing Wallace Roberts & Todd / NEXT Architects
    • 조한결
  • 72시간 도시생생 프로젝트
    72시간도시생생프로젝트 72시간의 ‘리얼타임’ 프로젝트 ‘72’에 맞추어져 있던 타이머가 0을 향해 빠르게 달려간다. 거친 나뭇결을 사포질하는 손놀림이 점점 빨라지고 철제 프레임을 이어 붙이는 용접기에서 불꽃이 튄다. ‘도시를 뒤흔들 에너지가 몰려온다’는 문구는 비장하기까지 하다. ‘72시간 도시생생 프로젝트’ 소개 영상의 시퀀스는 마치 미드(미국 드라마) ‘24’를 연상시킨다. 최악의 테러를 24시간 안에 해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리얼타임 드라마 ‘24’의 주인공 잭 바우어처럼 ‘72시간 도시생생 프로젝트’의 참가자들은 72시간 안에 작품을 완성하기 위해 종횡무진한다. 2010년 이스라엘의 바트얌Bat Yam에서 열린 비엔날레 오브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Biennale of Landscape Urbanism의 한 프로그램으로 처음 시행되었던 ‘72시간 어반 액션72Hour Urban Action’ 프로젝트를 벤치마킹한 ‘72시간 도시생생 프로젝트’는 짧은 시간 안에 한정된 예산으로 디자인에서부터 시공까지 마무리하는 ‘리얼타임’ 프로젝트다. 하지만 이 극한의 프로젝트에 참가한 이들의 표정에 지치고 피곤해 하는 기색은 없었다. ‘Street Furniture+’의 팀원 김다선 씨는 “길거리에서 사람들과 좀 더 소통할 수 있는 가구를 디자인해 보고자 친구들과 모이게 되었다”고 당찬 포부를 밝혔다. 2012년에는 참가자로, 2013년에는 심사위원장으로 활동하며 프로젝트에 애정을 쏟고 있는 최신현 씨토포스 대표는 올해에는 조직위원장을 맡아 참가자들과 72시간을 함께 했다. 그는 “72시간 동안 서울시 12곳에서 진행된 도시의 변신을 지켜보는 것 자체가 감동이었다”며 “도시를 위한 시민들의 열정과 도시의 희망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고 프로젝트를 진행한 소감을 이야기했다. 3회를 맞이한 72시간 도시생생 프로젝트 2012년 ‘Take Urban in 72 Hour’라는 이름으로 시작한 ‘72시간 도시생생 프로젝트’는 올해로 3회를 맞이했다. 작년까지는 서울시에서 단독 주최했지만 금년에는 한화그룹과 공동 주최해 ‘한화와 서울시가 함께하는 72시간 도시생생 프로젝트’라는 명칭으로 2014년 10월 23일 오전 10시부터 26일 오전 10시까지 72시간 동안 진행했다. 한화그룹은 프로젝트의 활동 및 작업비를 제공하고 홍보를 담당해 시민 참여를 유도했으며 신진 건축가들과 2개의 연합팀을 꾸려 직접작업에 참여하기도 했다. 올해는 ‘자투리 공간에 활력을 담아라’라는 미션이 주어졌다. 경주 마우나오션 리조트 붕괴 사건, 세월호 침몰 사고 등 연초부터 대형 사고들이 끊이지 않아 슬픔에 빠지고 지쳐있는 시민들을 위로하는 공간을 조성하기를 기대했다. 서울시의 각 구청에서 추천한 22곳의 자투리 공간과 조직위원회에서 발굴한 15개의 공간 중에서 최종적으로 18개의 장소를 프로젝트 대상지로 선정했다. 참가팀은 이 가운데 원하는 장소를 직접 선택했고 12곳에 작품이 설치되었다. 특히 12팀 중 4팀이 경의선숲길공원 1단계 완성 구간에 작품을 설치해 시민 참여형 녹지 조성 사업인 경의선숲길에 대한 애정을 보여주었다. 작년에는 시민과 학생, 전문가로 구성된 5인 이상 17인 이하의 팀을 구성해야 했지만, 올해는 시민 1인, 관련 종사자 1인을 포함한 5인 이상 20인 이하의 팀을 구성하는 조건으로 바뀌어 팀 자격이 완화되었다. 또한 일반 시민 팀을 작년 8개 팀에서 올해 10개 팀으로 늘려 시민 참여를 유도했다. 지원 팀의 숫자도 작년 11개 팀에서 올해 34개 팀으로 크게 늘어 프로젝트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을 보여주었다. 올해의 수상작 전체 12팀 중 전문가 초청팀을 제외한 10팀을 대상으로 설치 과정과 설치 완료 1주일 후에 이용되는 모습을 평가하고 작품 심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RESCAPE’, ‘오다가다 놀다가는’, ‘Moku Design Lab.’ 등 3팀의 작품이 올해의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최우수상에는 1천만 원, 우수상과 한화상에는 각 5백만 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최우수상은 ‘간이역: 그리운 풍경이 있는 정원’을 설치한 ‘RESCAPE’ 팀이 수상했다. 작품은 마포구 대흥동 경의선숲길 1단계 구간 중 시민 참여를 위해 비워뒀던 공간에 조성됐다. ‘RESCAPE’ 팀은 이곳을 이웃과 담소를 나눌 수 있는 벤치와 아이들을 위한 그네가 설치된 소담한 간이역 형태의 쉼 공간으로 꾸며 기존 경의선의 장소성을 훌륭하게 살려냈다는 평을 받았다. 우수상을 받은 ‘오다가다 하늘보다’ 역시 경의선숲길 1단계 구간에 조성됐다. 역동적이지만 불안한 근대화의 흔적을 상징하는 역 피라미드 형태의 조형물을 ‘2×2’ 배열로 설치하고 각 피라미드 안에는 하늘을 보면서 쉴 수 있도록 의자를 만들어 조형성이 훌륭하다는 평을 받았다. 3등상에 해당하는 한화상은 ‘Moku Design Lab.’ 팀이 종로3가 세운초록띠공원에 조성한 ‘모두를 위한 식탁’에 돌아갔다. 집 모양의 철제 프레임 안에 여러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식탁과 의자를 배치했다. 설치 완료 후 전체 팀의 대상지를 방문했을 때 가장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어 실용성 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3회를 맞이한 ‘72시간 도시생생 프로젝트’는 참가 자격을 완화하고 일반 시민 팀의 참여를 확대하는 등 진행 과정과 방식이 예년과 비교해 유연해지고 매끄러워졌다. ‘오다가다 하늘보다’ 작품의 경우에는 인근 주민들이 작품 설치를 반대하는 돌발 상황도 있었지만 설치 장소를 100m가량 옮기는 것으로 의견을 잘 조율해 72시간 내에 작품을 무사히 완성할 수 있었다. 민간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시의 재정 부담을 줄이고 우수한 도시 조형물과 시민들의 쉼터를 마련한 것도 올해 크게 달라진 점이다. 하지만 작업의 전 과정을 SNS를 통해 생중계하여 사람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소통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던 초기의 의도와는 달리 SNS를 통한 시민들의 반응이 미미했던 점은 아쉬움으로 남았다. 지난해 설치된 작품들은 일부만 존치했지만 올해는 시민 의견을 수렴해 12곳 모두 철거 없이 존치하기로 했으며, 이후 자치구 또는 공원녹지사업소에서 관리한다. ‘24’의 잭 바우어처럼 72시간을 종횡무진 했던 참가자들의 열정은 시민들의 삶의 일부로 고스란히 남게 되었다. 그들의 노력이 바꾼 일상의 풍경을 서울 곳곳에서 만나보길 기대한다. 초청작 썸타는 계단 / 꿈의 스테이지 한화 + AnLstudio 최우수상 간이역: 그리운 풍경이 있는 정원 RESCAPE 우수상 오다가다 하늘보다 오다가다 놀다가는 한화상 모두를 위한 식탁 Moku Design Lab.
    • 조한결
  • SELFARE 큰 규모, 미시적 접근 부문 우수상
    국민 대부분에게 충분한 복지 혜택이 돌아가기에는 예산과 관련 인력이 충분치 않다. 이러한 현실에 대해 전문가는 어떤 해결책을 내놓아야 하는지 고민이 계속 되고 있다. 공간을 설계하는 전문가들은 일방적으로 환경을 조성하는 데 그쳐서는 안 되며, 국민이 스스로 행복하게 살아갈 힘을 기를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우리는 조경가를 ‘복지환경설계가’로 정의하고, ‘스스로self에게 제공하는 복지welfare’라는 뜻의 새로운 개념인 SELFARE를 제시하려 한다. 대상지는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 2동 일대다. 이곳은 1970년대에 본격적으로 도시가 확장하면서 형성된 도심 점이 지대다. 40여 년이 지나면서 이곳의 주거 환경은 상당히 열악해졌다.최근 재개발 지구로 지정되면서, 부지 외곽으로 고층건물들이 들어서게 되었다. 많은 주민들이 개발 압력을 버티지 못해 삶의 터전을 떠나게 되었고, 현재 남아있는 주민들은 재개발에 대한 찬성과 반대를 놓고 대립하고 있다. 우리는 대상지 내의 주민들과 함께 총 125일간 현장 조사를 진행했고, 겉으로는 파악되지 않는 다양한 문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주민들은 열악한 주거 환경 속에서 삶의 의지가 결여되어 있었다. 많은 사람들이 떠난곳에서 주민들의 소통 기회도 줄어들게 되었다. 주민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노인들은 한 가지 이상의 만성 질환을 가지고 있었지만, 적은 소득으로 인해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안타까운 상황에 처해있었다.
    • 정동규 + 이효진 + 장국화 /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구들장 저장소: 모으고 베풀다 큰 규모, 미시적 접근 부문 최우수상
    청산도는 완도군 다도해 해상 국립공원에 속해 있는 돌이 많은 산지형의 섬으로 10여 개의 마을이 대봉산과 매봉산의 계곡선을 따라 조성되어 있다. 수려한 자연 경관에 힘입어 아시아 최초로 ‘슬로 시티slow city’로 선정되었고 연간 수십만 명의 방문객이 다녀가는 명품관광 코스로 이름을 알리고 있다. 그러나 거주 인구의 세 배에 달하는 일일 관광객 유입으로 인해 각종 문제점이 발생했고, 그 중 물 부족 문제가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 주민들은 지하수와 약간의 빗물로 자급하는 실정이다. 유일하게 설치된 취수장 또한 매년 가뭄이 발생해 급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내륙으로부터의 상수도 연결도 기대하기 힘들다. 우리는 ‘구들장 논’이라는 이 지역의 전통 농업 유산을 재해석해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찾으려 했다. 구들장 논은 계곡선을 따라 돌과 구들장을 두고 그 위에 흙을 뿌려 만든 다층 구조의 논밭이다. 이 특이한 구조의 논밭은 단순한 논의 기능에서 물의 저장과 냉해 방지의 기능까지 담당해왔으나, 현재는 농업 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휴경지’로 남아있다. 이 프로젝트는 구들장논을 빗물 저장소뿐만 아니라 더 많은 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고자 하는 것이다. 청산도는 전반적으로 구불구불한 형태의 길과 논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는 이러한 경관적 특징을 설계 언어로 차용해 공간 구성에 필요한 ‘유닛’으로 발전시켰다. 이 부채꼴 형태의 유닛이 조합되는 방식은 대상지의 형태에 따라 알맞게 변형이 가능하고, 기존 경관에 적용되었을 때에도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는 구조를 만들어낸다. 유닛들이 조합된 각각의 층에 저장된 물은 일차적으로 생활 및 농업용수와 조경용수로 쓰이고, 이차적으로 지하로 침투되어 지하수위를 높이게 된다. 구들장 저장소는 네 가지 유닛으로 구성된다. 유닛 1은 빗물을 100% 저장한다. 유닛의 표면은 휴식, 텃밭 등의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된다.
    • 김건 + 정혜림 + 박성경 / 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옥인동 녹색권(력) 누리기 작은 규모, 큰 생각 부문 우수상
    옥인동은 조선시대부터 수려한 자연 경관으로 유명했고, 양반층이나 중인 신분에 해당하는 이서 계층의 주거지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친일 세력과 식민주의 자본세력의 기반이 되기도 했다. 이 지역은 한국전쟁을 겪으며 소유권이 모호해져버렸고, 밀려드는 피난민과 지방민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기능하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대상지 내에는 작은 규모의 열악한 주택이 불규칙적으로 들어서기 시작했고, 지금과 같은 폐쇄적인 공간 구성을 갖게 되었다. 한편, 1978년 서울 신탁은행이 대상지 남쪽 대지의 소유권을 갖게 되면서 해당 필지는 계획적으로 분할되었고 마당을 갖춘 고급 주택이 들어서게 되었다. 현재 옥인동 47번지는 불과 길 하나를 사이에 두고 심각한 생활 환경의 불균형을 보이고 있다. 옥인동의 아름다운 경관과 질 높은 주거 환경은 경제력 있는 소수에게만 편중되어 있다. 이 프로젝트는 현재 대상지 북쪽의 열악하고 협소한 주거 환경의 질을 높여 불균형을 완화하고 해당 지역의 주민들이 일상적으로 접할 수 있는 공공 복지를 실현하고자 한다. 대상지 내 주거 환경은 뚜렷한 계획 없이 시대의 흐름과 지형의 조건에 따라 형성되었다. 많은 주택이 밀집된 구조와 가파른 경사는 외부 공간 조성을 어렵게 하며, 주택은 옹벽과 벽으로 둘러싸여 있어 상당히 폐쇄적이다. 대상지 곳곳에는 빈집과 소규모 무허가 건물들이 흉물스럽게 방치되어 있다. 이러한 주거 환경은 주민들 간의 소통을 단절시키고 있다. 더불어 계곡형 지형에 형성된 주택과 보행로는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같은 불투수성 포장재로 덮여있어 여름철 침수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 구혜민 /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학과
  • School Town 작은 규모, 큰 생각 부문 최우수상
    이 프로젝트는 복지 정책에서 소외된 사람들은 누구인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의문은 ‘청소년기 학생들은 충분한 복지 혜택을 누리고 있는가’라는 질문으로 이어졌다. 우리는 그들에게 지성만을 키우는 공간이 아닌,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배워나갈 수 있는 학교를 제공한다는 것 자체가 큰 복지일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복지란 말 그대로 ‘행복한 삶’이라는뜻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대상지는 부천시 원미구 중동에 위치한 4개의 학교와 2개의 공원(심원초, 심원중, 원미고, 중앙초, 꿈마을 공원, 연꽃 어린이공원)이 한데 모여 있는 곳이다. 대상지는 학교와 학교 사이에 공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와 공원을 오갈 수 없도록 분리되어 있었다. 우리는 학교와 기존 공원의 경계를 허물고 분리된 공간을 통합해 하나의 공원으로 만들고자 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전보다 넓고 쾌적한 활동 공간을 갖게 되고, 지금의 구조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커뮤니티 공간도 창출될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학생들을 위한 보다 크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공원을 만들자는 단순한 목표를 가지고 있다. 우리는 공간 구성을 위해 주변 도시 맥락을 끌어오기로 했다. 이는 대상지의 서쪽과 동쪽을 따라 흐르는 도로를 거대한 거울로 본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이 거대한 거울은 서쪽의 아파트 단지를, 동쪽의 주택 단지를 대상지 내부로 투영시킨다. 투사체들이 겹쳐지는 공간을 정리하면 공간 구상의 골격이 완성된다. 그렇게 건물들이 투영된 자리에, 학교, 운동장, 기타 시설,그리고 녹지가 자리를 잡게 된다. 이 디자인 전략은 건축 요소의 위치뿐 아니라 프로그램의 성격도 결정한다. 아파트와 같이 큰 개체가 투영된 공간에는 큰 공간이 필요한 프로그램이, 주택과 같이 작은 개체가 투영된 공간에는 녹지나 수공간과 같은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이 자리한다. 대상지의 동선 체계는 이러한 공간 구성 요소가 차지하고 남은 공간을 따라 자연스럽게 구축된다.
    • 곽은비 + 배가희 /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2014 제11회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공공복지를 위한조경의 역할 지난 10월 16일 제11회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이하 ‘환경조경대전’)의 최종 결과가 발표되었다. 이번 공모전에는 총 98개의 작품이 출품되었고 그 중에서 37개의 작품이 수상작으로 선정되었다. 수상작 전시는 10월 28일 공식 시상식을 시작으로 8일간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진행되었다. 올해 환경조경대전의 주제는 ‘공공복지를 위한 조경의 역할’이었다. 1년 전과 마찬가지로 ‘작은 규모의 대상지, 큰 생각Small Scale, Big Idea’(이하 ‘작은 규모, 큰 생각’)과 ‘대규모 대상지, 미시적 접근Big Scale, Micro View or Micro Analysis’ (이하 ‘큰 규모, 미시적 접근’)의 두 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서 작품을 접수했다. 학생들은 사회·문화뿐만 아니라 정치적 성격도 내포하고 있는 ‘공공복지’라는 주제를 공간 속에 풀어내야 하는 과제를 부여받았다. 공모요강에서 언급되듯이, “지금의 조경가들은 소외 계층의 주거 환경 문제나 공동체 같은 사회적 문제 해결과 가치 창출”에 더 많은 관심과 실천을 요청받고 있다. 이번 환경조경대전 주최 측에서는 조경가가 “전문가로서 어떤 자세로 시민들이 원하는 가치와 지역의 가능성을 발견해내고, 조경적 아이디어를 반영할 수 있는지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검증”해보려는 의도로 ‘공공복지’라는 주제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작은 규모, 큰 생각’ 부문에서는 심사위원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리며 작품 선정 기준을 세우기 어려웠다고 전한다. “공공복지! 어렵다”는 말로 시작한 최정민 교수(순천대학교 조경학과)의 심사평에서 느낄 수 있듯이, 참가자들 역시 이번 주제에 어려움을 느꼈으리라 짐작된다. “복지라는 개념을 풀어 공간에 투사하려다보니 대상지가 잘 읽히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공간의 모양을 구상하고 개성을 불어넣는 것에는 소홀해져 용두사미식의 작품이 많았다”와 같은 평가에서 이번 공모전에 제출된 작품들의 형태적 완성도와 디테일에 대한 아쉬움이 묻어났다. 결국, 복지와 관련된 좋은 이슈를 찾아내는 것뿐만 아니라, 설계의 “표현이 좋은 작품”,“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한 작품, 공간을 “설계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노력”을 읽을 수 있는 작품들이 입상의 영광을 누릴 수 있었다. ‘작은 규모, 큰 생각’ 부문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School Town’은 부천시 원미구에 소재한 4개의 학교와 2개의 공원(심원초, 심원중, 원미고, 중앙초, 꿈마을 공원, 연꽃어린이 공원)을 융합해 새로운 공공복지의 가능성을 실험한 작품이다. 분리되고, 단절되어 있는 운동장과 공원을 통합하겠다는 시도는 “우리 시대 학교가 품고 있는 무수한 문제들의 복합성을 다소 기계적인 계획가의 시선으로 해결했다는 점이 아쉽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지만, 학교와 지역 사회의 관계에 대한 고민이 드러난점에서 좋은 점수를 받았다. 더불어 기존의 복지 혜택을 누리기 어려웠던 “학생들에게 그들만의 작은 복지를 누릴 수 있는 환경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이번 공모의 의도를 잘 이해했다는 평을 들었다. 같은 부문에서 우수상을 수상한 ‘옥인동 녹색권(력) 누리기’의 경우, 주거 환경과 소득의 격차에서 느낄 수 있는 ‘상대적 박탈감’, ‘비교 대상’ 등의 민감한 문제를 다루었다. 역사적 흐름에 대한 고찰과 지형 및 거주 환경 분석을 ‘형태적 설계’로 이어간 점이 인상적이다. 특히 무분별한 개발을 지양하고, 최소한의 물리적 환경변화를 통해, 다양한 경관적 경험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유도하고자 한 점에 주목할 만하다. 하지만 주민간의 커뮤니티를 조성하고 지역 활성화를 유도하는 과정에서 카페와 공동 텃밭을 이용한 방식은 기존의 ‘마을 만들기’ 방식과 비교해 차별점을 찾기 어려웠다. ‘큰 규모, 미시적 접근’ 부문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구들장 저장소’는 대부분의 작품이 도시의 복지에 집중한 반면, 본토에서 19km나 떨어져 있는 ‘청산도’를 대상지로 제시했다. 상하수도 시설이 잘 갖추어진 도시 속에서는 느끼기 힘든 물 부족 문제에 집중했고, “(구들장 논이라는) 농업 유산의 보전을 통해 주민들의 복지를 추구한다는 매우 신선한 접근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평가받았으며, 여타 작품에 비해 디테일한 부분까지 신경을 쓴 점에서 좋은 점수를 받았다. 우수상을 수상한 ‘SELFARE’팀은 ‘재개발 지역 내의 열악한 주거 환경’과 ‘노인’이라는 주제를 선정했다. 상대적으로 일반적 주제를 선정했지만, ‘자립적 복지selfwelfare’를 설계 개념으로 내세우고, 조경가에게 ‘복지환경설계가’라는 새로운 이름을 부여하는 등 접근법에서 차이를 두려고 했다. 이 작품은 통계 및 설문 조사방식을 통해 설계 의도와 이슈를 찾아내고, 조사 과정에서 축적된 자료에 근거해 기획적 설계(마스터플랜 식이아닌)를 시도했다. 개개인이 복지의 주체가 되어야 사회전체에 대한 복지가 가능하다는 의미의 ‘SELFARE’는, 주민과의 실질적인 소통과 더불어 충분한 리서치를 통해 도출된 설계 프로세스를 대상지 곳곳에 섬세하게 적용했다. 환경조경대전은 해마다 시의성 있는 주제를 통해 국토 환경에 대한 관심을 고양하고, 조경의 사회적 인식을 제고하며, 동시에 미래 조경인을 양성하는 장이 되어왔다. ‘공공복지로서의 조경’이란 주제로 진행된 이번 공모전은 조경이 환경 설계 분야로서 우리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고민하게 했다. 제출된 작품 수에 비해 복지에 대한 “자신만의 정의를 내리고자 했던 작품은 극소수”에 그쳤다는 점은 이번 응모작의 한계로 지적된다. 이런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녹지와 공원을 뛰어 넘어 문화와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조경의 역할에 대해 고민하게 했다는 점에서 이번 공모전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Small Scale, Big Idea or Big Issue 작은 규모의 대상지, 큰 생각 최우수상 School Town 곽은비, 배가희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우수상 옥인동 녹색권(력) 누리기 구혜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학과 가작 1+4=365 강혜지, 김은비, 정소리 순천대학교 조경학과 가작 A Home at the End of the World 금성철, 김경동, 박상우, 차주연, 최대운 청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장려상 치유의 경관 김지윤 서울대학교 조경학과 장려상 Urban-Aid Platform 김민지, 박연수, 송소향, 이현아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송민원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장려상 trans“Pole”mation 김나영, 김재중, 박진선, 이인엽, 최형주 영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Big Scale, Micro View or Micro Analysis 대규모 대상지, 미시적 접근 최우수상 구들장 저장소: 모으고 베풀다 김건, 박성경, 정혜림 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우수상 SELFARE 이효진, 장국화, 정동규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가작 Oil Defense Destination 복형선, 윤수진, 주향연 순천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가작 밥 짓는 마음으로 마을공원을 짓다 용서현, 위지선, 윤수민 전남대학교 조경학과 장려상 Radius of Happiness 강지혜, 김도연 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장려상 다 같이 돌자 동네 한 바퀴 김지인, 함연경 서울대학교 조경학과 장려상 문래아이피타-임(IPTIME) 김상윤, 김현근, 박근우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양다빈
  • 가작: North Port by Resilience 부산 북항 재개발사업 친수공원 국제현상설계공모
    리질리언스Resilience는 하나의 사회, 하나의 공동체가 체험한 갈등과 취약성의 교훈을 토대로 협력을 통해 공존의 가치를 회복하고 지속해가는 것을 의미한다. 고밀도의 도시 환경과 연안 해역 사이에 조성되는 북항 워터프런트는 통합적인 환경 인자에 대한 연결과 관리, 지속력을 요구한다. 우리가 제시하는 북항에서의 리질리언스는 도시를 구성하는 다양한 인자들의 취약한 부분까지 범위를 확장하는데서 시작한다. 이는 도시의 지속성과 공유 가치증진에 영향을 주었던 여러 형태의 경험과 평가, 예측을 다루는 것이다. 리질리언스적인 방법은 연안 공동체에 사회적, 환경적, 경제적 결속력과 지속성 및 안전한 관계를 재구축한다. 북항 도시 구역을 구성하는 다양한 인자들의 취약성과 연안 공동체의 경험을 보완하는 것은 물리적인 공간과 장소 계획을 넘어 보다 높은 수준의 사회적, 환경적 연대와 가치를 추구하는 것이다. 선형의 한정된 대상지와 외부 공간은 새로운 북항 워터프런트의 가치를 보다 향상시키는 장치로서 138년을 이어온 북항 연안 공동체의 재결합과 지속성을 이끌어내는 매개체가 된다. 비전 세 가지 비전을 가진다. 138년 북항 연안 공동체다움을 간직하며 새로워지는 것. 본래 하나였던 북항 연안공동체가 새롭게 확장하고 발전하면서 더 큰 활력을 갖는 것. 그 이상의 비전과 즐거움을 워터프런트의 선형적 프레임 속에서 이끌어내는 것이다. 1. 공원과 연안을 다시 생각하기Rethink the Park and Sea Front: 과거와 현재, 미래가 공존하는 북항 연안 공동체의 아이덴티티를 제시한다. 서구적 공원, 소비적 워터프런트를 지양하고 북항 고유의 ‘북항성’을 추구한다. 2. 북항 연안 공동체와 도시의 개선Revision the North Port Coastal Community and City: 두터운 연결을 통해 바다로 의 통경과 일상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새로운 북항의 자연성과 공공성이 구도심과 밀도 높은 교류를 갖도록 하여 북항 연안 공동체의 연대와 지속성에 기여하도록 한다. 3. 즐거움의 재구성Reframe the Pleasure: 과거와 현재를 토대로 미래의 공간을 조직화하고 디스플레이 한다. 해양과학과 예술의 융합, 전 지구적 해양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이 곧 관광, 레크리에이션, 이벤트 경험과 연속되도록 한다. 미션의 재구성 우리의 계획은 북항이 가진 잠재력을 일깨우면서 연안공동체의 연대를 강화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계획 대상지는 공원으로서의 기능뿐 아니라 본래 하나의 공동체 기반으로 시작되고 발전해왔던 구도심과 북항 워터프런트의 맥락을 연결하는 공간이자 장치가 되어야 한다. 공원을 포함한 선형적 프레임의 외부 공간은 자체로서의 완결보다 관계 구축을 이끌어내는 공간적 장치이며, 오래된 것과 새로운 것이 만나고 지속력을 공유하는 플랫폼으로서 제시된다. 오벌루트 & 북항라인 ‘오벌루트’는 연안 공동체의 생활 통로이자 도시 프로그램 연결 통로다. 북항의 장소성과 역사를 존중하고 자연과 문화, 환경과 예술의 유기적인 관계와 연안 공동체의 소통을 이끌어내는 경로로 제시한다. 대규모 개발지와 구도심과의 문화적, 환경적, 경제적 불균형과 취약성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이다. 북항을 중심으로 연안 공동체와 생활권을 재구성하고 워터프런트의 구역적 경계를 넘어 개별 단위의 연안 구역과 공간들이 제공할 수 없었던 북항 연안을 둘러싼 전체 연안 공동체의 통합과 보완, 상승효과를 기대한다.
    • 해안건축 조경설계실, 한국종합기술, 지오조경, 조경설계 해인, 센텀엔지니어링 / 해안건축 조경설계실, 한국종합기술, 지오조경, 조경설계 해인, 센텀엔지니어링
  • 가작: Busan Central Park 부산 북항 재개발사업 친수공원 국제현상설계공모
    부산에 대해 이야기할 때 바다를 빼놓을 수 없다. 하지만 시원한 바다 풍광을 기대한 것과는 달리 이곳의 풍경은 부산하고 복잡하다. 이에 오랫동안 부산의 중심역할을 해왔던 북항이 ‘시민의 공원’이 되기를 제안한다. 시간의 풍경을 소중히 간직하며 자연과 도시를 연결해 시민의 삶과 바다가 좀 더 일상적으로 연결되기를 바란다. 6가지 전략 항구의 재발견re-discover the port: 이곳에 남은 매축과 철로의 흔적은 중요한 역사 자원이며 선창 건물과 창고, 크레인, 조명탑 등의 산업 경관은 매력적인 잠재자원이자 이곳에 기대어 살아온 이들의 기억의 단서다. 오래된 항구의 모습을 시민과 함께 재발견하고 단계별로 활용하고자 한다. 정체성의 재정의re-define the identity: 해안을 따라 길게 형성된 대상지는 부산의 원도심, 산북도로의 구시가지와 마을, 부산역 중심의 상업 지역, 새롭게 들어설 여객터미널 등 다양한 성격의 도시 구역과 연결되어 이들과의 관계를 고려한 새로운 정체성이 필요하다. 도시와 유기적 관계를 맺음으로써 도시의 골격을 새롭게 이루고 활성화의 촉매제가 될 것이다. 도시 조직의 재구성re-frame urban fabric: 새롭게 들어설 건물군 및 녹지축은 기존 도시와 해안가의 연결을 강조하는 경관 프레임을 구축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배치한다. 이렇게 계산된 가로 및 블록 계획은 도시에서 바다로의 조망을 극대화할 것이다. 도시와 워터프런트를 재연결re-connect city-waterfront: 쾌적한 보행가로와 보행교를 통해 도시와 워터프런트간의 연결을 강화하고 그 네트워크는 흥미로운 주제로 다양화된다. 또한 대중교통과 연계한 간선급행버스체계BRT를 도입한다. BRT 시스템은 편의성을 높이고 그자체로 흥미로운 경관길이 된다. 공원 프로그램의 다양화re-occupy the site: 장소의 잠재요소에서 도출한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운영하는 이 전략은 워터프런트의 활성화를 위해 가장 중요하다. 공간의 성격에 따라 공원을 열 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워터프런트의 재생re-vitalize the waterfront: 북항 주변부에서 이미 다양한 도시재생 사업이 진행 중이기 때문에 이들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각 사업의 역할과 의미를 재조정하고 유기적으로 통합하는 큰 틀을 만들어야 한다. 동시에 단계별 계획을 통해 유연성을 가져야하며 단단한 지역 기반을 만들어 줄 시민 자치 조직의 육성이 필요하다.
    • 조경설계 서안, 일신설계, office ma, HR&A, 이화기술단 / 조경설계 서안, 일신설계, office ma, HR&A, 이화기술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