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조경용 소프트웨어 ‘빠른셈’
    “빠른셈”은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토지정보체계연구실에서 국내 최초로 개발한 조경 적산전용 프로그램으로 초보자도 쉽게 쓸 수 있도록 자체 도움말이 내장되어 있고, 공사개요, 기초단가, 대가 목록, 일위 대가, 공종별 내역, 총괄 집계, 원가 계산, 재료 집계 등을 자체 계산, 출력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이다. ※ 키워드: 국내 최초 조경적산 프로그램, 조경용 소프트웨어 ※ 페이지 : 204~206
  • 향교
    향교의 외부공간의 배치유형은 첫째 소위 전묘후학(前廟後學)의 배치로 이는 배향공간인 대성전과 동서양무가 앞으로 오고, 뒤쪽으로 강당인 명륜당과 동서양재가 뒤쪽에 오는 경우이다. 둘째 대부분 구릉지에 건립되는 읍촌에서의 향교는 앞쪽 낮은 터에 강학공간이 오고, 보다 높은 뒤쪽 공간에 배향공간이 오는 이른바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배치, 셋째 강학공간과 배향공간이 나란히 놓이는 소위 병열형(柄列型)으로 구분된다. ※ 키워드: 향교, 강학공간, 배향공간, 동무, 서무, 동제, 서제, 명륜당, 전묘후학, 전학후묘, 경판고, 전사청, 제기고, 고직사 ※ 페이지 : 101~105
  • 조경작품에 표현된 아방가르드 ; 자연과 문화가 만나는 장으로서의 조경을 구현한 조지 하그리브스
    하그리브스는 아방가르드 성격이 강한 조경설계가이며, 비평부재의 조경계에 신선한 활력을 불어넣은 비평가이기도 하다. 그는 1983년 Landscape Architecture에 게재된 “Post Modernism Looks Beyond Itself”라는 글에서 조경의 포스트모더니즘을 주장하며 포스트모더니즘을 디자인 스타일의 변화라기보다 문화적인 태도의 변화로 인식한다. 그가 이해하는 포스트모던 조경의 특징은 자기완결적 공간질서가 작품에 표현되던 모더니즘과는 다르게, 외적인 세계에서 구성(composition)과 의미를 추출하는 것이다. 그는 자신의 할리퀸 광장(Harlequin Plaza)이외에도 마샤슈왈츠(Martha Schwarts)의 배이글 정원, 네코정원(Bagel/Ncoco Garden), 리차드 해이그(Richard Hagg)의 가스워크공원(Gas Work Park)등을 포스트모던 계열의 작품으로 들고 있다. 그는 ‘열려진 구성(open composition)’이라는 독특한 접근방식을 시도한다. ‘열려진 구성’은 부지(site)의 변화하는 현상을 읽고, 그 변화를 강조하는 방법이다. 이것은 변화하는 빛, 물의 움직임, 바람의 흐름 등의 물리적 특성들을 조경작품의 요소로 이용하는 것이다. ※ 키워드: 포스트모더니즘 조경, 하그리브스, 열려진 구성, open composition, 할리퀸광장, 피들러그린 원형극장, 레이크우드 힐스 주거단지, 캔들스틱 포인트 문화공원, 빅스비공원 ※ 페이지 : 38~42
  • 미국 SWA 그룹의 실무진과 함께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사찰
    신라의 사찰건축은 법흥왕(法興王) 15년(528)에 이차돈의 순교가 있어 국교로 불교가 인정된 6년후인 534년 흥륜사(興輪寺)를 시작으로 한다. 통일신라시대의 사천왕사(天王寺)나 망덕사(望捺寺) 그리고 천군리사지(千軍里寺社) 등이 그 예가 되겠다. 고려시대의 사찰건축인 흥왕사지에서는 일금당 방탑식가람이면서 회랑식 가람임이 밝혀졌고 또 남원 만복사지(高熊寺赴)에서는 삼금당일탑식이면서 회랑식 가람임이 드러났다. 조선시대의 사찰은 산지가람이 우세하였는데 특히 말기 고종(高宗) 때에 지어진 사찰에서 그 특징이 잘 나타나고있다. ※ 키워드 : 전통조경, 사찰 ※ 페이지 : p96 -101
  • 전화기에 선 조경인의 임무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은 것부터 고쳐나가자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경관시뮬레이션에 관한 고찰
    일반적으로 시뮤레이션(simulation) 이란 복잡한 문제를 해석하기 위한 모형(model)에 의한 실험 또는 사회현상을 해결하는데 있어서 실제와 같은 상태를 수식 혹은 모형 등으로 만들어 모의적으로 연산을 되풀이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 일 즉, 모의실험 이라고도 한다. 조경학에서 제한적 의미로서의 경관시뮤레이션이란 실제 경관의 맥락(context) 속에서 어우러져 보이는 미래 혹은 의도적으로 제안된 환경과 상황의 2~3차원적인 이미지(image) 혹은 그림(pure) 이라고 한다. ※ 키워드 : 조경론, 경관, 시뮬레이션※ 페이지 : p132 - 135
  • 조경작품에 표현된 아방가르드(2)
    현대 조경계에 도르노트르(Le Notre), 란세 로트브라운(Lancel ot Brown), 프레드릭 로우옴스테드(Frederic Law Olmsted)와 같은 영웅이 존재하는가 하면 20세기 후반에 이들에 필적할 인물을 꼽으라면 피터워커(Peter Walker)를 들 수 있다. 워커는 최근 조경에 대한 관심의 고조와 함께 현재 미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조경가라 하겠다. 1932년 출생으로 버클리 대학(Universty of California Berkely)의 조경학과에서 다니면서 로렌스할프린(Lawrence Halprin) 사무실에서 설계 경험을 쌓는다. 그는 1957년 하바드대학에서 조경학 석사학위를 마친 후 1959년부터 지금까지 30여년간 실무와 학계에 종사해왔다. 그는 조경이 환경문제의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던 1960, 70년대로부터 새로운 미적 형태적 표현을 추구하는 1980년대로의 변화를 체험한다. 워커의 작품활동을 크게 세 시기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시대적 흐름이 각 시기의 작품특성으로 반영된다. ※ 키워드 : 조경작품, 이론, ※ 페이지 : 40 - 39
  • 캠퍼스 조경계획의 전문가 강우창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