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갭(gap) 메우기 - Bridging the Gap
다음 글에서 우리는 해외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디자인 기업들의 활동을 활발하게 하기 위한 새로운 과정에 대해 논할 것이다. 모크업(mockup; 실물 크기 모형)은 단순하지만, 아주 효과적인 도구로서, 현 디자인 프로세스에 쉽게 통합될 수 있다. 이 글은 널리 실행되고 있는 디자인 프로세스를 재검토하고, SWA 그룹에서 제시되어 진행 중인 프로젝트들을 사례로 삼아 새로운 프로세스인 수퍼 모크업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이 새로운 프로세스는 해외에서의 전문직을 선도할 신뢰할 수 있는 프로세스이다.
미국의 여러 디자인 회사들은 해외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현재 성장하고 있는 트렌드(잘 팔리는 웨스턴 디자인 컨셉트와 다양한 문화에 잘 어울리는 것) 가운데, 분명 어떤 부분들은 프로세스의 고민에 빠질 것이다. 디자인을 실행시키는 동안에 특히 그렇다. 아이디어를 사라지게 하고, 원래 디자인 의도를 변형시키고, 해석의 실수를 야기하는 요인들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 갭 메우기란 말 그대로 그리고 은유적으로 미래의 해외 프로젝트를 위한 틀을 설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말 그대로 하자면, 그것은 이차원 드로잉에서 실제적인 현장 시공으로 옮겨가는 과정에 관한 것이다. 은유적으로 보자면, 그 과정은 두 가지 서로 다른 문화 혹은 아이디어나 아이디어 공유를 연결하는 일에 관한 것이다-우리는 이 절차를 모크업이라 부른다.
모크업은 구조를 풀사이즈 규모로 확대한 모델이다. 그것은 도판이나 스케치를 간단하게 외형화시켜 제작된다. 디자인 분야에서, 효과(배치, 텍스처, 컬러 등등)가 시각적으로 만족스러운지를 시험하기 위해 마감재(finished material)를 모크업하기도 한다. 미래 해외 프로젝트를 위한 템플릿(template) 디자인 프로세스로 모크업을 통합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작업이 잘못되지 않도록 중요한상황들을 관리하여 갭을 메워줄 수 있다. 현장에서는 종종 즉각적인 결정을 요하는 문제들이 발생하고, 국제적인 팀을 이루어 작업할 때 모크업을 이용하면 결정을 내리는 과정이 신속히 처리될 수 있다. 다음의 단락들에서는 SWA 그룹에서 계획되고 진척 중인 프로젝트들 가운데 몇 가지 특정 사례들(국제 무대에서 다년간의 작업 경험에서 수집된)을 제시함으로써 모크업의 중요성을 강조할 것이다.
SWA 그룹이 국내 프로젝트를 위해 수행하는 전형적인 디자인 프로세스는 각각의 네 가지 단계들로 구성될 것이다: 마스터 플랜 짜기 도식 디자인(SD); 디자인 개발(DD); 그리고 마지막으로 공사 설계(Construction Documentation)가 그것이다. 마스터 플랜 짜기는 작업의 범위와 전체 프로젝트에 대한 비전을 정의한다. SD 단계에서, 마스터 플랜은, 더 작은 규모로 프로그램과 디자인 요소들을 통해 현장의 다양한구성요소들로 개념화된다. 그런 후, 디자인 개발 단계를 거치면서 더 작은 규모 단위로 섹션, 입면도, 그리고 상세도로 정리되어 SD 컨셉트들을 정련한다. CD 단계는 DD의 내용을 정련하여, 입찰과 실행을 위해 계약자에게 보내지는 정식 계약 문서가 생성된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메콩강 습지의 관리
댐건설로 인해 생태적으로 위협받고 있는 메콩강현재 메콩강에는 매우 심각한 생태위협 상황으로 간주되는 댐이 건설되었거나 계획되고 있다. 중국 구간에는 이미 만완댐이 건설되었으며, 6-7개의 댐 건설이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최근 라오스 구간에서도 말레이시아가 댐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이 제안사업을 위한 환경영향평가는 라오스 정부가 위촉한 호주회사가 맡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댐조성은 어류 이동에 영향을 주게 되어 생태계에 교란이 오게 되며, 뿐만 아니라 돌고래서식처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특히 라오스에 건설예정인 댐은 라오스와 캄보디아의 국경지역의 폭포(waterfall)가 아닌 지류에 조성되는데, 이는 어류가 이동하는 하나의 길로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이 때문에 다른 메콩강 이해당사국들은 그들과 협의하여 선정되는 전문업체가 댐 하류의 생태계에 미칠 영향평가를 해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각종 토지이용행위에 따른 메콩강 하류지역의 퇴적현상 심화중,하류 지역의 수질과 수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토지이용 행위가 상류지역에서 일어나고 있다. 토양침식으로 하류지역의 섬과 바다 인근지역에서의 퇴적현상이 가중되고 있다. 중국을 포함한 상류지역의 일부국가는 메콩강위원회(MRC)에 참여하고 있지 않고 있으며, 이들 위원회는 한 국가만 반대하더라도 사업을 진행할 수 없는 투표시스템이 있어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되어도 작동되지 않을 수가 있다. 따라서 이 문제의 해결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메콩강에서 서식하는 야생동·식물의 위협메콩강은 수많은 하천지류, 퇴적섬, 호수, 범람산림습지 등 다양한 서식처를 제공함으로써 많은 야생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에는 국제적으로 멸종위기종인 강돌고래(Irrawaddy Dolphin)를 비롯해 악어, 메콩 대왕메기(Giant Catfish) 등이 서식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어류가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어 몇 십년동안 어류가 100,000톤 이상 매년 잡혀 인도차이나반도의 사람들에게 단백질을 제공하는 중요한 먹이처이기도 한다. 즉 메콩강은 내륙지역에서 가장 큰 하천생태계이다. 하지만 이러한 생태계가 지속가능하지 않은 관리로 메콩강과 그 배후습지에서 살고 있는 야생 동,식물이 위협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기에 범람되어 6개월간 습지로 기능하는 산림은 매년 많은 면적이 농지로 개간되고 있으며, 마구잡이로 잡아올린 어류들은 점차 그 수와 종류가 줄어들고 있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프란시스코 고야의 <옷을 벗은 마하>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생태하천 조성의 이론과 실제(3); 우리 도시하천에 맞는 친수환경설계란?
이젠 완연한 가을로 접어들었다. 환경설계가로서 계절의 변화를 남들보다 민감하게 받아들일 수 있을 만한 감각은 생겼지만, 깊어가는 이 가을도 마냥 만끽할 만한 대상이 될 수 없는 것이 바쁜 현실이다. 이번호는 환경설계 coordinating의 진수라고 할 수 있는 하천의 친수공간 설계를 다루어 보기로 하자. 환경설계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과학(생태학 등)이 어떻게 예술적 특성으로 녹아 가는 지를 볼 수 있는 것이 바로 하천설계이다. 특히 하천의 친수공간은 회화적 표현이나 표피적인 그림만으로는 구현하기 어려울 정도로 생태공학적이고 과학기술적인 이해가 요구된다. 그야말로 과학기술과 예술이 설계로 함께 녹아내려야만 이루어지는 종합과학예술인 것이다.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하천의 친수/경관 설계란?
우리 하천에 맞는 친수공간 설계를 논하기 앞서, 우리가 자주 참고하는 선진국의 수변 친수 공간을 다루는 대표 작가의 대표적 작품을 먼저 살펴보자. 일찍이 미국조경계의 대표적인 원로작가 헬프린(Lawrence Halprin)은 물을 주요 소재로 다루었고, 현재 미국의 대표작가 하그리브즈(George Hargreaves) 역시 대규모 하천이나 해안, 그리고 쓰레기 매립지 등 환경시설을 주요 대상지로 다루었다. 특히, 장소성을 강조하는 하그리브즈(George Hargreaves)는 비, 그림자, 물, 하늘 등 장소에서 일어나는 자연현상을 디자인 계획과정에서 중요한 활용 요소로 사용하였다. 그의 많은 작품에서 그는 자연의 계속적인 형성과정(ongoing process)에 중점을 두어 대상지의 자연에 대해 열린 태도로 자연적인 것-새, 식물 등-들의 무대(setting)를 만들어 주기도 하였다. 또한, 친수공간 설계에 있어 대상지의 자연의 특성을 중요시하면서 모티브나 의미를 중요시하는 예술성을 통해 현대 기술이 간과한 경관의 본질적 측면을 열어보고자 하였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오키나와에서의 옥상녹화 외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일본 신메이신고속도로의 자연회복 노력(2)
사업개요기존의 메이신고속도로와 신메이이신고속도로의 연결도로를 조성하면서 복지시설에 인접한 도로건설예정지의 산림을 복지시설주변으로 옮겨 복지시설의 교육환경을 복원하여 조기에 삼림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시공장소 ; 메이신고속도로 草津田上 IC付近- 시공시기 : 2001년 1월-2002년 5월- 시공면적 : 1.3ha- 시공수량 : 중기이식 대경목(흉고직경 60㎝이상 14본, 30-60㎝ 26본), 수고 7m정도의 중교목 이식 4,500본, 묘목 식재 7,200본, 표토블럭(1m ×1m×0.3m) 이식 1,300㎡- 발주자 : 일본도로공단- 시공자 : 西武造園(株)
지난호에 소개된 일본의 신메이신고속도로는 최근 일본경제의 발전으로 교통량 증가로 인한 교통체증이 심화되고, 주행속도가 감소되면서 고속도로의 이점이 크게 저감되어 새로운 도로의 신설 필요성이 대두되면 조성되게 되었다. 그러나 신메이신 고속도로가 조성되면서 우수한 삼림지역의 경관을 보존하여야 한다는 것과 도심지에 위치한 한 복지시설에 대한 교육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조용한 교육 환경이 요구되는 복지시설은 바로 옆에 신메이신고속도로와의 연결도로가 계획되어 소음과 분진 등의 피해가 우려되었다. 때문에 도로건설로 없어질 복지시설 주변의 양호한 임상지역을 고속도로와 복지시설 사이에 성토한 후 이식하여 도로건설로 인해 야기되는 소음과 분진, 대기오염 등에 의한 피해를 줄이고자 하는 노력이 요구되었다.이에 복지시설 주변에는 표토블럭이식공법과 교목중기이식공법을 적용하여 교목림의 식생을 조기에 복원하고자 하였고, 고속도로의 비탈면에는 자생종묘식재공법을 하단에 적용하고 상단에는 근주이식공법과 종래의 이식공법을 적용하여 이 부분도 조기에 숲을 조성하고자 하였다.
표토블럭이식공법을 사용한 산림복원도로건설로 발생하는 삼림표토는 성토비탈면의 기층재와 식재용토로 사용되는 사례가 일반적이다. 도로기층재로 사용하면 이용가능성이 높은 표토의 활용이 없어지게 되어 도로건설로 발생되는 표토의 활용 방안을 고심하게 되었다.도로건설로 발생되는 표토를 사용하는데 어려운 제약요소는 크게 3가지로 대별된다.첫째, 도로토공과 녹화공사의 공정조정이 일반적으로 복잡하다.둘째, 표토적치장의 확보가 어렵다.셋째, 표토의 보전·품질관리 등에 대한 기술이 명확하지 않다.
(본 고는 요약문입니다)
-
독감 예방접종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숲속의 도시, 도시속의 숲 가꾸기
도시 생활환경의 저하와 시민 의식변화금년 ‘국토이용계획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도시화율 전국인구에 대한 용도지역상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인구수 비율은 1970년대 50.1%에서 산업화와 더불어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2000년에는 88.3%, 2005년에는 90.2% 2006 국토이용계획 연차보고서. 건설교통부에 달하였다. 즉, 우리나라 4,850만명 중 약 4,370만명 이상이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급속하게 진행된 도시화·산업화는 생태·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개발로 이어졌고, 이는 자연의 훼손과 단절, 도시 환경오염의 심화, 삭막한 도시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즉, 빠른 도시화율 상승은 반대로 생활공간의 질적 저하를 초래하였다.단적인 예로 우리나라 1인당 생활권 도시숲의 면적은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수준(9㎡/인)의 절반에서 2/3에 불과한 실정으로 세계의 대도시에 비교하면 그 면적은 확연히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그러나, 경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시민들은 단순히 부의 축적만을 위한 삶이 아니라 여가와 개인적인 발전을 중시하게 되면서 ‘삶의 질’에 대한 욕구가 점차 커지고, 자연스럽게 거주지내에 바로 인접한 지역에서 숲과 자연을 접함으로써 얻어지는 쾌적함과 심리적 만족에 대하여 높은 가치를 부여하기 시작하였다. 산림청 국립산림 과학원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도시숲은 직장 생활의 만족도를 높여주고, 스트레스를 낮춰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숲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학생들의 정서, 자연환경에 대한 태도 및 애교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단 이러한 학술적 조사결과 뿐만 아니라 우리의 실생활에서도 숲이 풍부한 지역에 거주하기 위해서 기꺼이 비용을 더 지불할 수 있을 정도로 국민들의 인식이 변화되고 있음을 쉽게 감지할 수 있다.이러한 도시숲의 패러다임 변화 속에 2000년대 들어서면서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도시녹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시도는 서울특별시의 ‘생명의 나무 천만그루 4개년 계획’, 대구광역시 ‘푸른 대구 가꾸기’와 같이 행정기관 주도의 녹지 확충뿐만 아니라, ‘생명의 숲 국민운동’, ‘서울그린트러스트’와 같이 시민단체 중심의 도시숲 운동도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다만, 문제는 국토라는 거시적 관점에서 어떻게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도시 내에 숲의 양을 늘리고 그 질을 높여 나갈 수 있는가,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들에게 중앙정부의 지원의 폭을 넓혀 나갈 수 있을 것인가이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마르크 샤갈의 <두 얼굴의 신부>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이상재의 골프코스 매뉴얼(2); 골프코스 설계(1)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