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호윤 Landscape Design Office HOWON
NEW START, MY DESIGN OFFICE
01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겠지만, 최근 조경 분야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무런 준비 없이 사무실을 열었다. 일주일 만에 다니던 회사에서 퇴사했고 일주일 후 사무실을 오픈했다. 특별한 계기는 없었다. 기존의 회사를 다니며 느꼈던 경제적인 문제와 업무에 대한 낮은 만족감 등을 해결하겠다는 거대한 포부 때문도 아니었다. 설계를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자신의 설계사무소를 여는 것이 큰 희망 중 하나일 것이다. 나 역시 꿈꿔온 일을 실천했을 뿐이다. 조경에 대한 나만의 틀을 구성하고자 했던 것이 계기일지도 모른다. 오래 전부터 설계에 대한 개인적인 철학과 방향에 대해 생각해왔다. 현재 짜인 틀에서 생각을 발전시키고 실행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었고 창업은 그 갈증의 해소 방법이었다.
국내 조경설계사무소는 소장의 마인드, 인력의 구성, 구성원의 세대와 경험, 주요 프로젝트의 성격 등에 소소한 차이가 있지만 단조롭고 비슷한 직능 영역을 구성하고 있다. 게다가 다른 분야에 비해 대화와 토론이 빈곤하다. 최근에야 생성되기 시작한 담론에서 다른 영역이나 조직과의 연대를 통해 다양한 활동에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을 들었을 때, 왜 기본은 강조되지 않는지 답답했다. 포화 상태에 이른 조경 산업의 기반 영역을 확장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설계의 기본이 무엇인지 생각해야 한다.
바른 설계 집단 = HOWON
기초가 튼튼한 조직을 구성하고 싶다. 조직의 구성은 사람이기 때문에 직원 설계 교육에 많은 역량을 기울이고자 한다. 직원의 입에서 우스갯소리로 ‘HOWON 아카데미’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교육 때문에 말을 너무 많이 해서 목이 아프다. 이런 설계 교육을 받은 신입, 경력 직원들이 국가로 비유한다면 비상시국처럼 사무실을 운영하고 있다. 조직은 사람과 함께 성장해야 하고 이런 집단이 조용하 지만 강한 설계를 할 수 있다고 믿는다.
정통성을 기반으로 한 스타트업
특별한 차별화 전략은 없다. 단지 기본에 충실히 더 세심하게 더 강하게 더 즐겁게 일할 뿐이다. 안정적인 조직 구성이 가장 큰 목표다. 해본 적 없는 일이지만 스타트업start-up이 가져야 할 덕목 중 하나가 무모함이 아닐까. 시공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설계 조직에서 진행했던 수많은 프로젝트 경험을 토대로 설계를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 빌드design build 오피스를 구성하는 것이 현재의 희망사항이다. 이를 사무소 구성원의 공통된 목표로 만드는 것이 지금 나의 임무다.
나무와 설계사무소
소규모 농장을 준비하고 있다. 조경의 가장 기초가 되는 것 중 하나가 수목이기에 직접 다뤄보고 싶었다. 회사의 경영적인 측면에도 일부분 보탬이 될 것이다. 또한 직원이 가진 식재 설계에 대한 이상을 현실화하는 데에도 많은 도움이 되며 수목의 생리적 특성을 접하기에도 좋을 것이다. 생각 없는 빵빵이는 이제 그만!
김호윤은 1978년생으로, 청주대학교 조경학과를 졸업하고 서울시립대학교도시과학대학원에서 조경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기술사사무소 아텍플러스에서조경 설계의 기본을 다진 후 삼성에버랜드 디자인그룹에서 8년간 조경 디자이너로서영업·설계·시공의 관계를 조율하며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현재는 Landscape Design Office HOWON을 설립해 운영 중이며바른 설계 집단을 구성하기 위해 기초 중심의 설계를 추구하고 있다.
-
NEW START, MY DESIGN OFFICE
설계사무소를 시작한다는 것
조경을 전공한 그 많은 학생들은 모두 어디에 있을까?
설계 분야로 진로를 택하는 학생들이 매년 줄어들고 있다. 설계사무소에 지원하는 학생들이 눈에 띄게 줄어든 만큼 새로운 출발을 모색하는 젊은 조경가도 찾아보기 힘들다. 신생 벤처기업을 뜻하는 ‘스타트업’이 주목받는 시대적 키워드로 부상하고 있지만 조경에서는 먼 나라 이야기처럼 들린다.
이번 호 특집에서는 자신의 디자인 오피스를 열고 설계가로서의 꿈을 묵묵히 실천해나가고 있는 이들을 소개한다. 이들의 좌충우돌 창업기가 오늘과 다른 내일을 꿈꾸는 이들에게뜨거운 자극이, 또 새로운 희망이 되기를 기대한다.
01.좌충우돌 창업기
김호윤(Landscape Design Office HOWON), 박경탁(salmworkshop),박영석(Place_On),
박은혜(denovo studios),박종완(플레이스랩 기술사사무소),이호영+이해인(HLD),
정성빈(Miners+100. Inc),최영준(Laboratory D+H),최윤석(그람디자인)
02.설계사무소 소장으로 산다는 것, 그 냉정과 열정 사이
강연주(우리엔디자인펌)
03.창업 설계를 위한 매뉴얼
조한결
+
젊은 창업자들에게 던진 세 가지 질문(공통)
Q1. 창업을 결심하게 된 계기와 창업한 회사의 지향점은?
Q2. 창업 전후로 가장 어려웠던 점과 창업하길 정말 잘했다고 느낀 순간이 있다면?
Q3. 지금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나 작업은?
- 김정은, 조한결, 김모아 / 2016년05월 / 337
-
[재료와 디테일] 디딤돌, 장식재인가 바닥재인가
외부 공간, 특히 조경 공간을 설계할 때 중요한 사항 중 하나는 사람의 이용을 전제하는 것이다.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그 중 가장 어려운 부분이 사람들이 공간을 어떻게 이용하고 어떤 방식으로 움직이는지 예측하는 일일 것이다. 게다가 사람들은 절대 설계가가 의도한 패턴대로 움직여 주지 않는다. 또 다른 어려움 중 하나는 방향, 길의 흐름을 잡는 일이다. 사람이 어디로, 어떻게 움직일지 알 수 없으며 필요한 길의 폭을 예측하기가 힘들다. 그래서 기본이 되는 기능적인 큰 흐름을 먼저 만들고 작은 흐름을덧붙여 공간과 공간의 연결을 도모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공간을 만드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핏줄에 비유하면, 큰 동맥(큰 선)에서 뻗어나간 수만 갈래의 작은 실핏줄이 신체 기관(공간)을 연결하고 분리시키는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본디 길이란 연결하기 위한 것이지분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길이 전체 공간에서 너무 많은 부분을 차지하면 공간 활용에 부담을 주는 부정적인 요소가 될 수밖에 없다. 과하지도 덜하지도 않아야 하기에 길 만드는 일은 몹시 예민한 작업이다 공간을 계획하는 디자이너라면 늘 전체 공간을 적절하게 배분해 쓰임이 좋은 공간으로 만드는 데 온 신경을 곧추 세울 것이다. 공간과 공간을 연결하기 위해 길의 부피를 줄여야만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공간 활용이 쉬우려면 길은 단순히 연결 기능만 수행해야 한다. 디딤돌로 길을 만든다. 이 길은 많은 부피를 차지하지 않으면서 연결 기능을 충분히 수행한다. 길이 부피를 적게 차지하기 위해서는 면이 아닌 점의 개념을 가져야
한다. 그렇기에 듬성듬성 놓아 부피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연결의 기능을 수행하는 디딤돌은 최고의 효과를 가진 재료다. 견고하며 필요에 따라 쉽게 제거하고 변경할 수 있어 가변적인 재료이기도 하다. 재료의 선정에 따라 다양한 공간 연출도 할 수 있다. 재료 선택의 폭이 이처럼 넓은 설계 언어가 또 있을까.
이대영은 여기저기 살피고 유심히 바라보기 좋아하는 사람으로 살아가려 노력하고 있다. 만드는 것에 관심이 많으며, 작고 검소하며 평범한 조경설계를 추구하고 있다. 영남대학교에서 공부했고 우대기술단과 씨토포스(CTOPOS)에서 조경의 기초를 배웠다. 조경설계사무소 스튜디오엘(STUDIO L)을 시작하고 작은 작업들을 하고 있다. www.studio89.co.kr
-
[공간 공감] 국회의사당 사랑재
20대 총선 직전의 긴장감과 벚꽃의 화사함이 교차하는 시기에 국회의사당을 찾았다. 국회라는 다소 중압적인장소가 상춘객으로 북적거리는 장면도 의외였지만, 더욱이 의원동산 자락 화합의 꽃밭에서 깽깽이풀의 꽃을 무더기로 본 것도 예상치 못한 일이었다. 팔도에서 모인 다양한 꽃들의 환대를 받으며 오른 의원동산의 상부에는 너른 평지가 펼쳐졌고 사랑재도 그 모습을 드러냈다. 사랑재까지 이르는 시퀀스는 ‘화합의 꽃밭 → 의원동산의 경사지 계단 → 너른 마당과 사랑재’의 3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의원동산은 그 높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한강을 볼 수 있는 전망대로서의 기능을 부여받았고, 사랑재 역시 전망의 잠재력이 다분하다. 사랑재 일대를 더 나은 공간으로 만들기 위한 방식이야 다양하겠지만 우선 떠오른 것은 ‘돌아들어가는 맛’을 부가 하는 것이다. 화합의 꽃밭에서 의원동산으로 곧바로 오르는 동선 대신 경사를 완만하게 즐기면서 사랑재에서 먼 쪽으로 돌아 오르게 하는 방식이다. 낮은 담이나 지형, 식재로 공간을 구분지어 두세 공간으로 나눈 후 사랑재에 다다르게 하면 어떨까? 마지막에 당도한 사랑재에서는 깔끔한 마당과 한강으로의 막힘없는 뷰를 맛볼 수 있게 하고….
한눈에 모든 것을 다 보여주는 화끈함보다는 발품을 팔면서 점진적으로 새로운 장면이 전개되는 방식은 우리의 오래된 공간에서 애용되던 기법임을 상기해본다. _ 정욱주
이 연재를 위해 factory L의 이홍선 소장, KnL 환경디자인 스튜디오의김용택 소장, 디자인 스튜디오 loci의 박승진 소장 그리고 서울대학교정욱주 교수와 서울시립대학교 김아연 교수 등 다섯 명의 조경가가 의기투합하여 작은 모임을 구성했다. 이들은 새로운 대상지 선정을 위해 무심코 지나치던 작은 공간들을 세밀한 렌즈로 다시 들여다보며, 2014년1월부터 한 달에 한 번씩 유쾌한 답사 모임을 이어가고 있다.
-
[디자인 노트] 갯골에서 찾은 경관 김기천
A Landscape Discovered from Tidal Channel
시흥시는 개인적으로 이런저런 프로젝트 경험이 많은 도시다. 얼마 전 공원의 일부를 준공한 배곧신도시의 중앙 및 수변 공원을 비롯해 LH에서 시행한 시흥 은계지구, 그리고 이번 장현지구 조경 설계공모 등에 참여했다. 덕분에 잊을 만하면 방문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 변해가는 도시의 모습을 꾸준히 확인할 수 있었다. 시흥에 방문할 때마다 놀란 적이 한두 번이 아닌데, 그만큼 최근 몇 년 사이에 도시경관적 차원에서 큰 변화를 겪고 있는 곳이다. 그럼에도 시흥시는 전략적으로 지역성을 보존하고 유지하려는 노력이 상당해 도시의 특성이 분명하다. 때문에 대상지의 디자인 방향을 끌어내는 과정이 비교적 빨리 진행됐다.
갯벌 담은 공원
시청과 서해 바다의 초입을 연결하는 갯골길(늠내길 2코스), 긴 언덕인 장현長縣, 새재마을 등의 지명은 갯골, 갯등, 언덕 등 고유의 자연 환경에서 비롯됐다. 이 자연 요소를 디자인 언어로 삼아 설계를 진행했다. 과거의 지명인 ‘잉벌노仍伐奴’는 뻗어나가는 장소라는 뜻이며 ‘늠내’는 이를 우리말로 표현한 것이다. 드넓은 경작지를 통해 물과 뭍으로 열려 있는 풍경은 시흥시의 경관적 특징과 스케일을 보여 준다.
현장 답사 때 둘러본 대상지는 좁은 폭 때문에 실제보다 협소해 보였다. 폭은 좁고 길이는 긴 개별 공원 부지에 기능적으로 접근하게 되면 안 그래도 좁아 보이는 공원이 더욱 작게 느껴지리라 생각됐다. 통일된 디자인 언어를 바탕으로 대상지가 하나로 읽혀야 장현천을 중심으로 한번에 읽히던 개발 전 경관의 스케일이 유지될 수 있을 터였다. 뿐만 아니라 공원의 상징성과 존재감을 위해서도 일체화된 디자인 언어는 필수적이었다.
김기천은 서울대학교를 졸업한 후 그룹한에 입사하여 현재 전략디자인본부를 맡아 이끌고 있다. 2007년 행정중심복합도시 국제 공모전 이후 현재까지 국내외 다양한 형태의 도시공원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작업으로는 서울대공원 재조성, 시흥 군자 배곧신도시 수변 공원, 브루나이 워터프런트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공공 오픈스페이스를 통한 도시 환경의 변화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
장려작: 바라지 시흥 그리고 장현 사람 소통터
시흥장현 공공주택지구 조경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 설계공모
‘바라지’는 ‘돌보다’, ‘돕다’, ‘기원하다’라는 뜻을 가진 순우리말이다. 예부터 시흥의 방죽, 논, 간척지를 가리켜 ‘바라지’라 불러왔으며 바라지물길은 시흥시를 대표하는 새로운 도시 브랜드다. 바라지물길은 늘 같은 자리에서 시흥 사람의 삶을 보듬으며 수많은 생명을 품어왔다. 장현 사람 소통터가 바라지물길처럼 늘 장현의 사람들과 자연을 돌보고 시흥시의 중심 도시로서 무한한 생명력을 가지길 기대한다.
설계 목표
마을 내음을 간직한 도시: 마을 사람들이 소통했던 장소인 우물터, 도시 개발로 잊힌 능소화 길, 유실수가 많던 너믄들, 삼대 시장 중 하나인 능곡삼거리장터 등 장현 사람들의 이야기와 마을 풍경이 고스란히 배인마을 내음을 간직한 도시를 만든다.
지속가능한 마을: 다른 도시보다 2~3% 정도 높은 이주율은 시흥시가 70만 인구의 대도시로 변모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다. 애향심, 마을 문화, 도시 정체성의 확립을 위해 시흥시가 추진하고 있는 희망마을만들기, 바라지물길 브랜드 사업 등의 정책과 상응하는 계획으로 지속가능한 마을을 제안한다.
전략 1. 도시 브랜드 바라지 시흥
시흥시의 대표 브랜드 ‘바라지물길’과 연계한 도시 이미지를 정착시키고 역사와 함께 숨 쉬며 미래 100년을 내다보는 시흥광장을 조성한다.
- 조경설계비욘드 / 조경설계비욘드 / 2016년05월 / 337
-
우수작: 시흥始興 초록바라지
시흥장현 공공주택지구 조경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 설계공모
‘바라지’는 ‘돌보다’, ‘기원하다’라는 뜻을 가진 우리말이다. ‘방죽’을 이르는 말이자 소금기가 가득해 농사를 지을 수 없는 땅에 붙인 이름이기도 했다. 300년 간척의 역사와 함께 해온 시흥 호조벌은 땅과 자연에 순응하는 옛 시흥 사람들의 지혜의 결실이다. 현재 기능적인 개발로 격자 형태가 된 도시 위에 사라져버린 땅, 산수 경관의 기억과 흔적을 재배열하여 사람과 자연이 교감하는 새로운 시흥바라지로 거듭나게 한다. 시흥 장현의 옛 지명에서 드러나는 우리 고유의 경관을 바탕으로 산山, 수水, 곡谷, 고개峙, 들野에 순응하는 공간을 계획했다.
- 서안알앤디조경디자인 + 최정민 / 서안알앤디조경디자인 + 최정민 / 2016년05월 / 337
-
최우수작: 늠내골 시오리, 갯향기의 추억길
시흥장현 공공주택지구 조경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 설계공모
굽이굽이 끝없이 펼쳐진 시흥의 넓은 갯벌은 서해 낙조의 아름다운 풍경 중 하나다. 수많은 철새와 바다 생물에게는 소중한 생명의 땅이며 예로부터 이곳을 지키며 살아온 갯마을 사람들의 삶의 터전이다. 긴 고개를 뜻하는 ‘장현長峴’이라는 지명처럼 바다로 향하는 길고 굴곡진 옛 길의 흔적은 삶과 풍경, 생명이 어우러진 이 땅의 색다른 매력을 선사한다.
땅이 전하는 이야기를 통해 갯골의 흔적, 갯등 위의 생명의 쉼터인 숨골, 바다를 향해 굽이쳐 흐르는 긴 고갯마루 길의 풍경과 그와 관련된 기억을 되살려 대상지가 가진 고유한 잠재력을 최대한 이끌어 낸다. 이를 통해 땅이 가진 과거의 기억, 현재의 가치, 미래의 개발 사이에서 역동적인 작용을 이끌어 내고자 한다.
- 그룹한 어소시에이트 + 건화 / 그룹한 어소시에이트 + 건화 / 2016년05월 / 337
-
시흥장현 공공주택지구
조경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 설계공모
설계공모 경과와 심사평
지난 3월 8일, LH 본사의 3층 2회의실에서 ‘시흥장현 공공주택지구 조경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 설계공모’의 심사가 진행됐다. 심사는 1차와 2차로 나뉘어 이루어 졌으며 1차 심사를 통해 총 7개의 출품작 중 2차 심사에 진출할 3개의 작품이 선정됐다. 2차 심사의 결과 최우수작으로 그룹한 어소시에이트와 건화의 ‘늠내골 시오리, 갯향기의 추억길’이, 우수작으로 서안알앤디조경 디자인과 최정민의 ‘시흥始興 초록바라지’가, 장려작으로 조경설계비욘드의 ‘바라지 시흥 그리고 장현 사람 소통터’가 선정됐다.
시흥장현 공공주택지구는 남쪽과 북쪽, 서쪽의 세 면이 군자산 자락으로 둘러싸인 곳이다. 부지 내에는 완만한 구릉지가 분포하고 있으며 부지의 왼편에는 장곡천이, 오른편에는 장현천이 남쪽에서 북쪽을 향해 흐르고 있다. 이런 지형적 특징을 활용하고 자연 요소를보존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이번 공모의 목표 중 하나다. 장곡천과 장현천의 경우 수변 학습 공간, 저류지 활용 방안 등을 통해 테마별 친수 공원으로 조성해야 한다. 이 같은 생태 환경적 특화계획을 통해 구축되는 그린-블루 네트워크의 구체성도 설계안의 평가 요소다.
부지의 중앙에는 장현천을 기준으로 왼편에 시흥시청, 오른편에 시흥시청역이 위치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는 문화의 거점이 될 것으로 예상돼 장현천을 따라 흐르는 선형 공원과 시청 맞은편의 중심 광장을 시흥시의 상징적 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이는 공모의 가장 큰 목적으로, 평가 항목 중 ‘지역 특성을 감안한 특화 용도 제안의 독창성 및 명소화 가능성’이 100점 만점 중 20점을 차지해 심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최우수작
늠내골 시오리, 갯향기의 추억길
그룹한 어소시에이트 + 건화
우수작
시흥始興 초록바라지
서안알앤디조경디자인 + 최정민(순천대학교)
장려작
바라지 시흥그리고 장현 사람 소통터
조경설계비욘드
-
올보르 워터프런트 2단계
Aalborg Waterfront Phase II - House of Music Areas
올보르 워터프런트의 2단계 마스터플랜은 1단계에서 도출된 여러 원칙에 기반을 두고 있다. 또한 피오르fjord 경관의 특별한 특징인 사구와 평평한 해변 사이의 만남에서도 영감을 이끌어냈다. 기존의 항구가 비교적 낮은 높이이기 때문에 콘서트홀, 캠퍼스, 학생용 기숙사 등 새로운 건물은 효율적인 홍수 방지를 설계의 핵심 요소로 고려할 수밖에 없었다. 2단계 과정의 핵심적인 아이디어는 대상지 전체를 하나로 묶는 역할을 하는 프롬나드를 일종의 ‘습지’로 활용하고 완만한 곡선의 플린스plinth를 이용해 그 위에 독립적으로 세워진 독특한 건물들이 마치 솟아오른 사구와도 같은 경관을 형성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조화 속에서 콘서트 홀 주변에 들어선 광장은 직사각형 형태의 독립적 플린스에 의해 부각되게 된다.
도시의 플린스는 홍수에 대한 방비책이 되는 동시에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일련의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플린스의 측면은 바람을 피할 수 있는 장소가 되며, 사람들이 앉을 수 있는 계단식 좌석이 마련된다. 널찍한 광장들이 프롬나드의 한 부분으로 통합되며, 노스 유틀란트North Jutland 피오르 경관의 토착 식물로 구성된 빽빽한 수목을 바탕으로 풍성한 녹지 공간을 제공한다.
Landscape ArchitectC.F. Møller Landscape
EngineerCOWI
CollaboratorÅF Hansen & Henneberg(lighting design)
ClientAalborg Municipality
LocationAalborg, Denmark
Size170,000m2(total)
Year of Competition2012
Construction Period2013~2015
PhotographsJoergen True
- C.F. Møller / C.F. Møller / 2016년05월 / 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