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한지형 잔디 축구장 관리
    한국잔디같은 난지형 잔디에 비해 한지형 잔디는 관리가 까다로운 단점이 있어 잔디에 대한 지식뿐 아니라 식물생리, 토양, 농약, 비료, 병충해, 잡초, 기상, 장비 등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을 습득하는 것이 체계적인 관리의 선행조건이라 하겠다. 한지형 잔디는 유럽이 원산지로 생육적온이 15℃~25℃ 내외이며 병충해에 약하고 우리나라의 여름기후(기온 30℃ 이상, 습도 60%이상, 잦은 강우와 집중호우)에는 특히 생육이 저하되고 치명적 병 발생의 위험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세심한 주의와 관찰이 요구된다. ※ 키워드 : 이강군, 관리, 한지형잔디, 난지형잔디, 축구장 ※ 페이지 : 42-45
  • 청나래고사리, 개면마, 야산고비
    청나래고사리 _ 우드풀(Woodsiaceae)과에 속하는 청나래고사리는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알래스카 일부, 북미 동부, 스칸디나비아, 유럽중부, 러시아 등 널리 분포하며 영국에는 귀화식물로 알려져 있다. 조경용 지피식물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습지나 우드랜드의 생태형 조경이나 음지의 화단에 바탕 식재용 소재로 적당하며 배경식물로 우수하다. 교목의 집단 식재지 하부, 계류, 개울가, 연못 주변, 축축하고 물이 차는 음지 등에 노루오줌 또는 비비추와 같은 숙근초와 어울려 심으면 좋고, 청나래고사리가 무성해지는 시기에는 휴면에 들어가는 이른 봄에 피는 연영초, 수선화, 엘레지 등과 혼식하는 것도 권장할만 하다. 개면마 _ 청나래고사리등과 같이 우드풀(Woodsiaceae)과에 속하는 개면마는 빛이 어느정도 닿거나 투과되는 산지의 숲 속이나 숲 가장자리에 자라며 청나래고사리와 유사하지만 포자엽이 거의 수평으로 늘어지는 것이 다르다. 청나래고사리 못지 않게 조경소재로서의 가치가 뛰어나지만 주로 한국, 중국, 일본에 자생하는 이유로 서양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비교적 최근에 재배되어 보급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앞으로 그 재배와 이용가치가 충분할 것으로 생각된다. 야산고비 _ 우드풀(Woodsiaceae)과에 속하는 야산고비는 논둑이나 습지 등 주변에서 가장흔히 볼 수 있는 양치식물로 한국 등 동아시아와 북미 남부에 자생하며 서유럽에는 귀화식물로 알려져 있다. ※ 키워드 : 송기훈, 지피식물, 청나래고사리, 개면마, 야산고비 ※ 페이지 : 100-105
  • 에코블럭, 에코파크, 에코플레이트
    최근 친환경적인 자재에 대한 요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이의 일환으로 개발한 자연소재를 이용한 바닥재인 에코블록, 에코파크와 경량형 옥상녹화 소재인 에코플레이트를 소개한다. ※ 키워드 _ 에코블럭, 에코파크, 에코플레이트 ※ 페이지 _ 114~115
  • 자연생태복원기사 시험 출제경향 ; 경관생태학, 생태복원학, 자연환경 관계법규 과목의 출제경향
    경관생태학의 기본적 이론의 바탕을 위해서는 경관 모자이크를 형성하는 요소인 경관조각(patch), 통로(corridor), 기질(matrix)의 개별적 특성과 요소간의 상호관련성 파악이 필요하다. 생태복원공학에서는 다양한 복원이론과 더불어 시민 참여에 의한 복원 접근 방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생태복원을 위한 생태조사, 분석, 평가방법을 항목별로 구분하여 주요한 내용을 파악하여야 한다. 자연환경 관계법규는 크게 자연보전에 관한법령과 토지이용에 관한 법령으로 구분되는데 법규 문제의 경우 중요한 내용을 포함한 전문을 여러번 읽어서 외우는 것이 요구된다. ※ 키워드 _ 자연생태복원기사, 덕성기술학원, 생태복원공학, 경관생태학, 자연환경관계법규 ※ 페이지 _ 92~95
  • 우리꽃 ; 축구경기장용 인조잔디 제품
    세계에는 엄청나게 많은 품종이 있고 아직 찾아내지 못한 품종들을 발견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하고 있다. 모든 직원들이 힘을 합쳐 세계 각국의 품종들을 찾아내고 우리 것으로 만들어내고자 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 키워드 _ 우리꽃, 박공영, 우리꽃 야생화 ※ 페이지 _ 86~87
  • 청계천 복원공사 시공일지 ; 하천경관 조성계획
    시점부에서 하류부로 갈수록 도시적 이미지에서 점차 자연성을 증진시미는 방향으로 경관계획을 수립하였으나 청계천복원은 하천이라는 명제가 있으므로 이를 간과한 경관계획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경관계획은 홍수시의 안전성 확보, 녹지총량의 증대와 자연성 증진, 도시와 자연의 공생, 친수활동과 자연체험의 공간 마련, 시민휴게 공간의 조성,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하천의 유지관리 등을 전제로 수립되었다. ※ 키워드 _ 청계천 복원공사, 청계천 하천경관 만들기, 청계천복원 ※ 페이지 _ 26~35
  • 서울숲 조성공사 시공일지 ; 시설물 식재 공사
    시설물은 이용행태, 공간구조 등을 고려하여 성격별, 기능별 구분에 따른 설계 및 배치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서울숲의 독특한 이미지표현을 위해 숲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자연스러운 소재를 디자인 요소로 도입하였다. 특히 외부환경으로의 노출을 고려하여 철재의 사용을 피하고 시각적으로 부드러운 목재와 돌 등 자연소재를 사용하였다. 서울숲에는 교목 67종 12,902주, 관목 31종 234,521주, 지피 및 초화류 78종 605,159본이 식재되었으며 3,000여주 이상의 수목이 식재되었다. ※ 키워드 _ 서울숲 시설물공사, 서울숲 식재공사, 이식공사, 경관숲, 생태숲, 서울숲 ※ 페이지 _ 36~45
  • 못 믿을 수목지주대 ; 과연 지주로서의 역할은 가능한가?
    거의 대부분의 지주목은 형식적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가령 지주목이 수목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땅속 깊숙이 고정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땅속에 묻힐 정도까지만 고정되고 있다. 또한 수목과 지지대를 결속할 때도 대부분 시방서나 설계서에 제시된데로 설치하기에는 시간과 비용이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부실하게 결속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한다. ※ 키워드 _ 지주목, 부실한 지주목, 수목지주대 ※ 페이지 _ 70
  • 축구경기장 인조잔디 ; 축구경기장용 인조잔디의 필요성 및 현황
    인조잔디구장이 천연잔디구장의 단점을 보완하여 사용한다고는 하나 결과적으로는 10년 이상 사용하면 폐기 처리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다는 것도 발주자는 고려하여야 할 항목이다. 다만, 인조잔디 축구장의 조성은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 자연환경에서 자라나는 청소년에게 항시 사용가능한 운동 공간을 확보하여 준다는 기능면에서, 또 일반인들도 쉽게 축구를 접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국내 축구의 발전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 키워드 _ 인조잔디구장, 축구경기장 인조잔디, 인조잔디와 천연잔디 ※ 페이지 _ 75~77
  • 축구경기장 인조잔디 ; 축구경기장용 인조잔디 제품
    Astroplay는 인조잔디의 전체적인 내구성 및 수명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3겹이상의 안정적인 기포재 사용한다. EURO50은 여러가지 색상의 라인이 제작되므로 여러 종목에 따라 사용할 수있으며 별도 라인마킹이 필요없다. everGreen-Magic Grass은 천연잔디에 비해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전천후 사용이 가능하고, 완벽한 충격 흡수를 통하여 천연잔디와 같은 경기력을 유지시킨다. FTOS-2S, FTOS-1S는 우수한 견고성을 가진다. 이음부 처리방식은 EWING(재봉)으로 견고하고 하자 발생률이 낮다. Limonta Soccer Pro 900는 수명이 길고 내마모성이 좋다. TB5000은 인체에 미칠 수 있는 여러 요인을 사전TEST하여 가장 이상적인 구장으로 컨디션 부여한다. ※ 키워드 _ 인조잔디, Astroplay, everGreen-Magic Grass, FTOS-2S, FTOS-1S ※ 페이지 _ 78~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