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강변북로 경관옹벽 조성공사
    위치 : 서울 강변북로 성수대교 북단에서 뚝섬유원지 입구 사이(성수 제3육갑문 ~ 신사지하차도)연장 길이 : 약 1.7㎞발주 :서울시 건설안전본부설계사 : 주)동일기술공사, 주)이공·비욘드스페이스 건축시공사 :쌍용건설(주) 외 3개사협력회사 : 구조물공사(동명조경그룹(주)), 석공사((주)선호조경), 인공암벽공사((주)영광조경), 벽천공사(동서코퍼레이션(주)), 전기공사(송화종합전설(주))감리사 : (주)동일기술공사사업기간 : 2004년 2월 ~ 2005년 11월 30일사업비 : 약 30억원서울숲, 청계천 등 지난 몇 년간 공사가 진행되었던 굵직굵직한 현장들이 올해 완공되어 시민들에게 개방되었다. 시내 한복판에 만들어진 대규모의 공원도, 오랫동안 숨겨져 있던 청계천의 물줄기도 시민들의 큰 환영을 받았고, 이를 반증하듯 시민들의 발길은 끊이지 않고 있다. 그리고 청계천이 합류되는 한강의 주위로 조성된 한강시민공원 역시 개발 이후 오랜 기간동안 시민들의 사랑을 받아온 것이 사실이다.그렇지만 한강시민공원의 경우는 올림픽도로와 강변북로라는 도로시설로 주변 지역과는 분리되어 있어 접근성이 떨어지고, 진입부 및 옹벽에서 발생하는 위화감이 적지 않게 논란거리가 되어오기도 했다.이러한 시민들의 의견이 반영되기 시작한 것일까. 지금 강변북로 성수대교 북단에서 뚝섬유원지 입구 사이 1.7㎞ 구간에는 벽천분수와 인공암벽 등을 갖춘 경관옹벽이 시공되고 있다. 도로와 한강시민공원의 높이차로 인해 발생하는 옹벽에, 그 기능에 더해 미적으로도 아름다운 구간이 생겨나고 있는 것이다.서울시 건설안전본부에서 추진 중인 이 공사는 강변북로 확장공사가 진행 중인 성수대교 북단에서 뚝섬유원지 입구 사이 3㎞구간 중의 약 1.7㎞를 경관 시설로 꾸미는 것으로 강변북로와 한강 시민공원의 경계면 옹벽을 활용하여 벽천, 인공암벽, 조명시설, 휴게시설 등을 도입함으로써 올림픽대로나 한강 유람선, 한강시민공원 등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공원에서 보다 다양한 체험을 하며 즐길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더욱 반가운 것은 서울시는 앞으로도 옹벽이나 방음벽, 터널, 교량 등 각종 콘크리트 재질의 도로 시설물을 설치할 경우, 설계때부터 친환경 디자인 개념을 도입하고 기존 시설물도 넝쿨 등 다양한 식물로 꾸며 도시 미관을 개선해 나갈 예정이라는 점이다. 이번 달에는 이처럼 여러가지 면에서 주목 받고 있는 강변북로 경관옹벽 공사현장을 찾아보았다. ※ 키워드 : 강변북로, 경관옹벽, 옹벽, 공사, ※ 페이지 : 30 ~ 34
  • HS뿌리유도판
    뿌리유도판이란 HS뿌리유도판은 한 마디로 뿌리의 코르셋(corset)이다... 즉,.. 나무의 분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이 제품은 나무의 뿌리가 환상(幻像)으로 자라 지상부로 돌출 혹은 시설물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성장에 이로운 일정 깊이의 토심에자리잡을 수 있도록 뿌리의 성장 방향을 안내해준다...또한 이 제품은 환경친화적인 재활용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져 나무나 토양에 무해하다. 상세도면 좀더 구체적으로 제품의 상세도면을살펴보자... 상세A:.. HS뿌리유도판의 사각 프레임의 양쪽 가장자리는 나무의 분 둘레에 맞춰 유도판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결합용 지퍼로 마무리되어 있다...이러한결합식 지퍼는 간편하고 빠른 조립과 손쉬운 시공을 가능하게 한다... 상세B:.. 제품의 위쪽은 이중 탑 엣지(top-edge)로 제작되어 외부 충격을 완화시켜주고,..동시에 뿌리가 뒤틀린 모양으로 자라거나 지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막아준다... 상세C:.. 뿌리유도판 몸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수직 돌기는 뿌리유도판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이것은 뿌리가 아래쪽 방향으로 자라도록 유도하고,..깊이 있게 뻗어나가서 안정적인 기반을 형성하도록 도와준다... 상세D:..수직 돌기 사이사이에는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안티-리프트 탭(anti-lifttab)이 있다...이것은 뿌리가 성장하는 압력으로 인해 유도판이 솟구치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해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 키워드: HS, 유도판, 뿌리유도판 ※ 페이지 110 ~ 111
  • 비타민
    비타민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처럼 에너지원은 아니므로 아주 적은 양이 필요하지만 고등생물의 성장과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유기화합물을 말한다 한국인의 영양상태에 대한 조사에의하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대부분 비타민을 충분히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65세 이상의 노인들은 비타민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시중에서 판매하는 비타민제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대부분 함량과 효과가비슷하니 어떤 것을 택하거나 별 차이가 없다 비타민은 지방에 잘 녹는 지용성 비타민과 물에 잘 녹는 수용성 비타민으로나눌 수 있다... 비타민 A,.. D,.. E,.. K는 지용성 비타민이고 비타민 B와 C는 수용성 비타민이다... 지용성 비타민을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해롭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수용성 비타민 중에도 지나치게 많이 섭취하면 문제가 되는 것이 있다. 비타민 C를 하루 2g.. 이상 섭취하면 복통,..설사,..구역질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하루에 3g.. 이상 섭취하면 간기능이상,..요산 증가 등의 이상이 생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요로결석이 있었던 사람이 많은 양의 비타민 C를 오랫동안 복용하면 결석이 쉽게 재발하므로 비타민 C를 너무 많이 섭취하지 않는 것이좋다 성인은 하루에 비타민 C는 2g,.. 나이아신은 1g,.. 니코틴산은 35mg,..비타민 B6은 100mg,..비타민B9은 1mg..이상 섭취하지 않아야 한다비타민 중에서 비타민 A,.. C,.. E가 항산화 작용이 있다... 이들 항산화 비타민을 많이 섭취하는 사람들은 암이 덜 생기고 심장병도덜 생기는 것으로 알려졌다 무턱대고 항산화 비타민을 많이 먹을 일은 아니다...좀 더 좋은 방법이 개발될 때까지는 이런 비타민이 포함된 채소와 과일을 골고루 먹는 것이 암과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 키워드: 비타민 ※ 페이지 116 ~ 117
  • 잘못된 잠복소 설치관행
    관행적으로 설치하는 잠복소의 문제점과 개선방안1. 잠복소잠복소란 월동을 위해 해충이 나무에서 땅밑 은신처로 내려오게 되는데 이때 해충이 겨울을 날 수 있도록 짚이나 새끼 등으로 나무 기둥쯤에 따뜻한 공간을 만들어 주는 것으로 유인된 해충을 봄에 제거하여 태워버림으로써 그속의 해충들을 제거하는 병충해 방제의 한 방법이다. 좀더 자세히 살펴보자면 수목의 지표면으로부터 1.2m 부분에 설치하며 주로 가을철 흰불나방 및 솔나방 등의 방제를 위해 설치를 하는데 나뭇잎을 갉아먹던 벌레들이 겨울을 나기 위해 아래로 내려온다. 벌레들이 아래로 내려오다가 잠복소를 만나면 그곳에 월동처를 마련하고 번데기 등이 되어 겨울을 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봄철에 잠복소를 거두어 들여 일시에 태워버리면서 그 안에 있는 해충까지함께 태워버리는 방제법이다.※ 참고로 해충의 구제목적으로 하는 잠복소와 동해방지를 위해 짚등으로 배롱나무, 감나무,..장미 등을 감싸서 보온하는 짚 쌓아주기 방법과는 구별됨(하단 우측 사진 참조).2. 잠복소 설치가 문제되는 이유잠복소를 이용한 해충방제는 미국흰불나방과 솔나방 같이 가해 후 나무기둥을 타고 내려와 지표 부근의 수피틈이나 지피등에서 월동하는 습성을 가진 해충에 적용하는 방제법이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솔나방의 피해가 거의 없기 때문에 소나무에 설치하는 것은 무의미하고 미국흰불나방이 주로 가해하는 수종인 포플러류, 양버즘나무,벚나무등에 피해가 있을 경우 설치하여야 한다. 미국 흰불나방의 경우에도 1950년대 후반 북미지역으로부터 우리나라에 처음 침입하였을 때는 천적이 존재하지 않았던 시기였고, 지금처럼 해충방제 약제도 많이 보급되지도 못한 실정이 있어 그 시절 정부에서 잠복소 설치를 권장하였다.필자도 이 글을 쓰면서 어린시절 학교다닐 때 동원되어 나무에 잠복소를 설치한 기억들이 되살아나곤 한다. 1980년대에 들어 잠복소 내의 미국흰불나방 번데기에 기생하는 천적이 맵시벌 11종과 침파리 2종, 포식성천적 거미류 8종등 총 30여종 이상으로 증가하는 등 우리나라에도 토착 천적이 많아지고 피해발생도 현저하게 줄어든 이후부터는 잠복소 설치를 산림청에서도 권장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3. 잠복소 설치사례와 문제점지난 가을부터 겨울동안 유심히 잠복소설치 지역을 관찰해본 결과 설치된 곳들이 대부분·관공서 또는 공공기관 위주의 녹지내·빌딩앞 녹지의 조경수목·주요 도심 녹지 및 공원·백화점주변 녹지·관광지변 가로수·고급주택가 정원등에 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설치지역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본 공통점은 주로 조경관리에 신경을 쓰고 있는 대상지역들로서 수목관리에 예산과 인력이 있는 지역에서 매년 관행적으로 이를 행하고 있으며 설치시기는 초겨울인 11월에서 12월경에 주로 설치하고 새봄이 오는 2월말에서4월초에 철거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이들 지역의 수목관리자들 대부분은 관행적으로 잠복소를 설치하면·병해충을 구제할 수 있다는 막연한 생각 ·잠복소를 설치하면 나무관리를 잘하고 있구나 하는 생색 및 상급자들에 대한칭찬(실제 그런 경우가 많음)·설치 시기와 상관없이 동절기가 돌아오면 설치하는 관행적 유형·또한 연말 수목관리 잔여 예산을 마무리 정리하여 지출하는 측면 등의 경향이 많다는 공통적 느낌을 받았다. ※ 키워드 : 잠복소, 설치관행※ 페이지 : 91 ~ 93
  • 장흥다목적댐 배면부 친환경 녹화
    추진 배경장흥다목적댐은 2000년대 서남권 해안지역 개발과 산업도시 조성 등 지역발전에 따른 용수 수요확보, 지역내 홍수피해 경감및 가뭄에 대비하고자 건설되었다. 그러나 수자원 확보를 위한 대규모 다목적댐 건설은 문화유산의 손실뿐만 아니라 산림훼손, 자연생태계 변화 등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환경파괴를 최소화하기 위해 주변의 자연환경과 조화되고 지역의 향토문화를 접목시키기 위한 환경친화적댐 건설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최근 준공한 부안댐, 보령댐, 밀양댐을 건설하면서 수몰지내 수목이식을 이용한 녹화, 식물생태계 모니터링 등 수몰지내 생물자원을 재활용하는 녹화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오고 있다. 장흥다목적댐 녹화공사는 수몰지역의 자원조사를 통하여 자연훼손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수몰예정지 생물자원을 최대한 재활용하여 댐 배면부에 자연식생구조 및 경관을 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행하였다.대상지 개요- 댐형식 : 콘크리트표면차수벽형 석괴댐- Parapet well : EL. 86.0m(댐마루 높이 85.0m)- 마루 폭 : 10.0m- 상류면 경사 : 1:1.4- 하류면 경사 : 1:1.8- 길이 : 403.0m- 높이 : 5�3.0m- 체적 : 1,506,000㎥ ※ 키워드 : 장흥, 다목적댐, 장흥다목적댐, 배면부, 친환경, 녹화, 댐※ 페이지 : 36 ~ 41
  • 조경포장에서 발견되는 옥의티 벤치나 가로등 등의 구조물은 포장의 걸림돌?
    주로 공원, 광장, 가로 등에 설치되고 있는 각 포장재의 종류로는 투수성 아스팔트 포장재,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 포장재, 인조잔디 포장재, 컬러 세라믹 포장재, 콘크리트 블록, 석재, 타일 등이 있다. 이들 포장재들의 재료와 문양 등은 노면처리가 모두같아지는 것을 피하고 장소에 알맞은 공간이 될 수 있도록 각각의 특성과 기능에 맞도록 선택되어져야 한다. 각 포장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장물 유무 및 지하매설물의 위치와 형상, 기타 원지반의 조건에 맞게 보조기층, 기층 포설 등의 하층구조와 경사도 등이 조정되어야 하며, 한가지 빼놓을 수 없는 것으로 배수를 들 수 있다. 비가오게 되면 항상 문제가 되는 배수를 용이하게 하려면 포장을 배수구나 배수로 방향으로 기울여 적정 기울기가 되게 하고, 배수구와 측구, 수로 등을 두어 야 한다. 이들 조건들은 포장이 만들어지기까지의 단계중 설계에서 계획되고, 시공에서 이를 현실로 만들어 낸다. 시공단계에 들어서면 도면에맞게 각종 구조물을 세운후 하층구조를 만들어 그 위에 포장을 하게 된다. 문제는 소형고압블럭, 점토블럭 등이 포장재로 쓰여질때 나타난다. 블록을 포장할 때는 한쪽 면을 기준으로 끝선을 맞춘후 한 장씩 놓아가며 바닥 면을 채워가는데, 도중에 벤치나 가로등 등의 기초를 가진 구조물이 나타나면 문제가 시작된다. 일반적으로 블록을 절단해야 할 경우 기계를 이용해 잘라내는데, 이때 경계면의 모양과는 상관없이 편한대로 대충 잘라 놓아 그 모양이 가지 각색으로 나타나게 된다. 또는 시간과 비용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망치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망치를 이용할 경우 절단면이 불규칙하게 깨져나가 미관상 좋지 않고, 접촉면에 틈새가 생겨 발이 빠지거나 쓰레기들이 틈에 집중되는 현상을 볼 수 있다.<본 원고는 요약문 입니다>
  • 정원만들기 포장
    콘크리트블록 포장대부분의 콘크리트 블록은 미리 공장에서 생산된 프리캐스트(Precast)제품이다. 콘크리트 블록은 다져진 지표면이나 콘크리트 기초 위에 모래를 깔고 다진 다음 여기에 블록을 까는 과정으로 진행이 된다.우리나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형고압블록(ILP블록:..Interlocking..pavement)은 형태와 색이 다양하므로 적절한 것을 선정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최근에는 빗물이 토양층으로 자유롭게 투수되는 투수블록이 개발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블록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인 정원을 만드는 것도 바람직하다.]자갈 및 분쇄목 포장자갈 및 분쇄목 포장은 시공이 용이하고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포장방법이다. 분쇄목은 시간이 경과되면 부패하거나 해충이 서식할 수 있으므로 2~3년을 주기로 교체해주면 좋다.점토벽돌 포장점토벽돌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지만 시각적 효과가 뛰어나고, 따뜻한 느낌을 주는 좋은 재료이다. 마찰력이 높아 미끄럼 방지효과가 크며, 관리가 용이하여 최근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과거에는 보통 붉은 벽돌을 포장재로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최근에는 미색이나 연적색의 포장용 점토벽돌의 사용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점토벽돌은 제품의 종류에 따라 형태, 색, 질감이 달라 다양한 포장패턴을 연출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사용할 제품의 특성을 명확히 파악하고 포장계획을 세워야한다.자연석 판석 포장자연석 판석은 색과 질감이 다양하며, 자연스런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내구성이 높은 포장재이다. 판석은 일반적으로 모래나 모르타르 위에 놓여지지만 두께가 두껍고, 큰 판석은 무겁기 때문에 흙 위에 바로 놓여질 수 있다.타일 포장석재타일이나 화강석 타일은 대체적으로 값이 비싼 재료이다. 외부공간에 사용되는 타일은 미끄러지지 않도록 표면이 거친 것을 사용해야 하며, 눈부심이 적은 것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대부분의 타일이 두께가 얇고 가벼우므로 반드시 튼튼한 콘크리트기초가 필요하며 여기에 모르타르로 고정시켜야 한다 ※ 키워드 : 정원, 정원만들기. 포장, 콘크리트, 자갈, 분쇄목, 점토벽돌, 자연석, 타일※ 페이지 : 86 ~ 90
  • 조경시설물공사를 위한 몇가지 지침
    시공전 준비사항 - 도면 및 설계서를 토대로 공사에 투입될 예산을 산정한다. - 현장소장(대리인)..선정 및 현장팀 구성 - 착공계를 작성하여 발주처나 원도급 업체에 제출한다 - 공사계획서, 작업일보, 공사주보, 시공확인서, 기성청구서류 등 현장에서 필요한 서류를 준비한다. - 현장조사를 통해 지하매설물 및 지상지장물 조사, 조경공사 부지확보를 위한 협의 등을 진행한다. - 현장조사 결과를 토대로 세부예정공정표를 작성하고 발주처나 원도급업체에 제출한다. - 선급금이 있을 경우 신청한다. - 공사에 필요한 자재와 시설물(기성제품) 등에 대한 자재승인서류를 준비한다. 시공과정에서의 점검사항 - 토목 및 건축마감선을 확인하고 조경시설물 부지를 확보한다. - 각 분야의 기능공이나 작업반장, 외주회사 담당자와 현장의 운영에 대한 사전 협의를 한 다. ※ 키워드: 조경시설물, 조경, 시설물공사, 지침 ※ 페이지 42 ~ 45
  • 노단 조성을 위한 정지작업 방법(2)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마삭줄과 백화등
    마삭줄 Trachelospermum asiaticum(SIEB.& ZUCC.) NAKAI마삭줄은 종소명인‘asiaticum’으로 알 수 있듯이 아시아지역에 분포하며,..특히 한국과 일본에 주로 자생한다...백화등(白花藤),..낙석등(絡石藤),..운영(云英),..내동(耐冬),..귀번요,..또는 마삭나무 등으로도 불리는 마삭줄의 일본명은 マサキノカズラ이고,..영명은 Dwarf..Jasmine,..Small-Leaf..Confederate Jasmine,..yellow..star..jasmine..또는 Asiatic..Jasmine이라고 하며,..털마삭줄과 비교하여 잎도 작고 전체적으로 소형인 점을 가리키고 있다...우리나라는 제주도와 남부 도서지방에 주로 자생하며,..숲속 바닥에 퍼져 자라거나그늘진 바위 표면 또는 나무 줄기에 붙어 자란다. 상록덩굴식물로 철사같이 가늘지만 억센 줄기가 뻗어나가며 뿌리가 내려 다른 물체에 붙어 올라가며 자란다...매끄러운 줄기는 붉은 빛이 도는 다갈색이며 부러지면 우유 빛의 끈끈한 수액이 흐른다...혁질의 작은 잎들은 줄기를 따라 마주나며,..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양끝이 뾰족하다...잎 표면은윤기가 있는 짙은 녹색으로 엽맥이 뚜렷하며,..뒷면은 털이 있거나 없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잎의 모양이나 크기는 지역 변이나 품종에 따라 큰 것은 길이 12㎝에 너비 3㎝까지 각각 다르며 다양하지만,..길이가 보통 3~6㎝에 너비가 1.5~3㎝ 정도이다...엽병은 길이가 3~7㎜이다...지역에 따라 5~6월경 가지 끝이나 엽액에 취산화서로 모여 피는 바람개비 모양의 꽃은 흰색에서 점차 노란색으로 변하고,..재스민 향과 같은 달콤한 향기를 뿜는다. 꽃받침과 꽃잎은 끝이 5개로 갈라지고,..수술은 5개이다...꼬투리 모양의 열매는 길이 12.22㎝로서 2개씩 달리며 9월에 익는다...털마삭줄에 비해 수술은 화통 위쪽에 붙고,..꽃밥은 화통 후부에서 현저히 나오며,..꽃받침은 소형으로 화통협부보다 훨씬 짧다. 백화등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majus(NAKAI)OHWI 변종명인‘majus’가 암시하듯이 꽃과 잎 등 전체가 마삭줄보다 더욱 큰대형이다. 털마삭줄 Trachelospermum jasminoides var. pubescensMAKINO 종소명인‘jasminoides’는 재스민과 같이 향기가 좋다는 것에서 유래했으며,..변종명인‘pubescens’는 털이 있음을 뜻한다...우리나라에는 남쪽 섬에자라며 중국,..일본 및 인도 동부에 자생하는 털마삭줄의 영명은 Confederatejasmine..또는 Star..Jasmine이다...미국이나 유럽 등에서 조경소재나 관상식물로 널리 재배 이용된다...일반적으로 마삭줄보다 잎이 크고 다화성이며,..마삭줄이 지피성이 강한 반면에 털마삭줄은 덩굴성이 강하다...따라서 생육이 왕성한 마삭줄이 잡초처럼 자랄 수 있는데 비하여 털마삭줄은 내한성까지 다소약하여 지나치게 번성할 우려가 적다고 할 수 있다...2개씩 붙는 열매가 마삭줄은 평행하거나 예각으로 붙는 반면에 길이가 다소 짧으며 직각 이상으로 벌어지는 점이 다르다 ※ 키워드: 마삭줄, 백화등 ※ 페이지 100 ~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