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포한강공원의 설계개념은 ‘달(Moon)’로 시작됐다. 이곳에서 이미 조선 초 때부터 달을 보기 좋았다고 한다. 한강변에서 관악산에 걸리는 달을 보는 게 일품이어서인지 임금의 정자인 제천정도 인근에 소재했다고 한다. 설계안을 대표할 수 있는 설계 캐치프레이즈나 슬로건은 그래서 ‘반포만경(盤浦萬景)’이었다. ‘ 반포만경’이란 말이 달빛에 비친 강, 달빛을 머금은 물결, 달빛을 품은 나무, 초지 그리고 꽃, 달빛을 바라보는 언덕과 마당, 달빛 아래의 물가 산책로, 달빛을 더 크게 튕겨내는 분수의 포말들을 종합적으로 상징하는 어휘이기를 바랬다.
달빛광장과 초승마루
중심광장인 달빛광장에는 잠수교를 사이에 두고 동쪽에 2개, 서쪽에 3개의 초승마루가 있다. 초승마루는 초승달이 보름달로, 보름달이 다시 초승달(그믐달)의 모양으로 변하는 달의 모양변하기를 형상화하고 있다. 흑색, 진회색과 회색 등 무채색 계열의 칼라콘크리트 포장, 역시 흑색과 회색 계열의 ILB 포장은 초승마루의 사면에 사용된 황색 철평석(골든 슬레이트석)이 달빛의 색을 표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었으면 했다. 다행히 어둔 하늘에서 환하게 빛나는 보름달처럼 황색 철평석은 어둔 회색의 포장면에서 선명히 드러나 보인다. 완경사면에 적용된 푸른 잔디도 황색 철평석과 어울렸음 했고 어느 정도는 예상치를 만족하고 있다.
초승마루는 사람들이 그곳에서 달도 보고 또 분수도 보는 언덕이었으면 했다. 사람들이 모여 들어 연을 날리거나 그냥 망연히 쉬기도 하는 그런 강변 언덕이었으면 했다. 바깥쪽 언덕부터 높은 언덕이 시작되어 광장 중앙으로 올수록 언덕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했는데, 그래야 중앙광장의 개방성이 효율적일 것이라 생각했다. 또한 그래야 분수를 보기에, 그리고 광장의 활동을 조망하기에 유리할 것으로 생각했다. 가장 서쪽에 있는 초승언덕이 5m로 시작해서 3m, 2m로 서쪽 언덕들이 구성되고, 동쪽의 언덕들은 차례로 2m와 3m의 높이로 구성됐다. 각 언덕의 가장 높은 부분인 정상부에는 마루라는 이름에 걸맞게 천연방부목으로 깔았고 평상형 앉음데크를 놓아 사람들이 부담없이 앉아 쉴 수 있도록 했다.
달빛브릿지
원래 잠수교는 전체 폭원을 전부 보행화하는 계획이었다. 초기의 턴키설계 당시에도 그리고 이후의 현상설계에서도 잠수교 전면 보행화 계획은 변함이 없었더랬다. 한참 설계를 진행하는 와중에 발주처로부터 2개 차선만 보행화하라는 지시가 내려왔다. 그 자세한 연유는 아직도 모른다. 단지 교통소통에 대한 교통전문가들의 우려, 교통운영을 맡고 있는 경찰청의 예상되는 반대 등이었다는 얘기를 전해 들었을 뿐이다. 2개 차선을 차도로 그대로 유지하는 바람에 잠수교 보행화와 잠수교 출입구의 처리 등의 설계내용은 뒤죽박죽 엉망이 됐다. 보도와 차도를 구분하는 시설을 할 수 없이 두어야 했고 게다가 보도 내에는 자전거동선도 소화시켜야 했다. 보도에서 강쪽으로 교호로 내기로 했던 강변 데크도 덕분에 모두 사라졌다
제대로 남아 있는 것은 상부 반포대교 하단에 달아 놓은 웨이브 타공판 뿐이다. 웨이브 타공판은 열악한 상황의 반포대교 상판 하부를 가려주고 긴 선형공간에 시각적 변화를 주기 위해 사용되었다. 시공 후 그 효율성은 어느 정도 입증된 것 같다. 타공판들이 겹치면서 더 다양한 타공 무늬를 보여주고 있고 또 야경 때 바닥에 타공 무늬 그림자가 떨어지는 것도 나쁘지 않다.
설계 _ (주)CA조경기술사사무소, (주)대우엔지니어링
시공 _ 남영건설(주)
조경시공 _ (주)태림랜드
수경시설 _ (주)HSM엔조이워터, (주)협신엔지니어링, (주)일등산업
조명 _ (주)누리플랜
위치 _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동~서초구 반포동 일원(반포대교/잠수교 일원)
면적 _ 394,000㎡(남단 376,000㎡, 북단 18,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