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PREV 2016 Year NEXT           PREV 10 October NEXT

환경과조경 2016년 10월

정보
출간일 2016. 10
이매거진 가격 9,000

기사리스트

[에디토리얼] 광교의 호수공원에서
원주민도 아니고 현재의 신도시 주민도 아니고 자주 가볼 기회도 없지만 나는 광교라는 두 글자에 이상하리만치 친근감을 느낀다. 누군가 광교신도시가 참 살기 좋다는 평을 하면 이유 없이 뿌듯하다. 호수공원에서 주말 오후를 보내기 위해 일부러 광교를 자주 찾는다는 지인의 말을 들을 때면 내가 설계한 곳도 아닌데 괜히 우쭐한 마음이 든다. 다른 곳의 아파트 값은 계속 추락하지만 그래도 광교만은 오른다는 부동산 기사를 읽으면 마치 내 재산이 늘어나는 양 즐겁다. 사실 그럴 만한 특별한 인연은 없다. 근 삼십 년 전쯤에 광교호수공원의 전신인 원 천유원지로 몇 차례 MT를 가서 칠흑 같은 밤하늘, 그 침묵의 밤하늘보다 더 짙은 저수지 수면의 고요함을 깨며 부어라 마셔라 디오니소스를 친구 삼았던 게 전부일 뿐. 2008년, 까마득히 잊고 있던 원천저수지의 추억이 되살아난 적이 있다. 경기도시공사의 의뢰로 같은 과의 원로 교수님을 도와 ‘광교신도시 호수공원 국제설계공모’를 진행할 때였다. 이십 년 만에 다시 찾은 그곳의 풍경을 묘사하기엔 상전벽해(桑田碧海)만한 말이 없었다. 신도시의 바탕이 될 부지 토목 공사가 이미 끝나 어디가 어디인지 알아볼 길은 없었지만, 그래도 뽕나무밭이 푸른 바다로 변한 무상한 감정은 들지 않았다. 저수지만은 그대로였기 때문일까. 공모전의 전문위원을 맡은 그 교수님과 여러 차례 현장을 드나들다보니 대화의 소재가 떨어졌다. 멋쩍은 정적을 깰 겸 치기어린 MT 무용담 몇 가지를 들려드렸더니 교수님은 갑자기 짧은 한마디 추억담을 꺼내놓으셨다. “와이프랑 처음 데이트한 곳이 여긴데.” 왜 하필 이 시골 저수지를 산책하셨는지 그 사연은 기억나지 않지만, 평소의 표정과 달리 교수님의 입가엔 로맨틱한 미소가 살며시 번지고 있었다. 그 후로는 원천유원지나 광교호수공원이라는 말을 들으면 이상하게도 한 쌍의 남녀가 수변을 행복하게 걷는 영상이 떠오른다. 내가 데이트를 한 것도 아닌데, 매번 남자 주인공은 나다. 인연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만 생기는 게 아닌가 보다. 아주 짧은 시간이더라도, 아무리 이방인이더라도, 사람과 어느 장소 사이에는 인연이 싹튼다. 이번 달의 광교신도시 특집은 꽤 오래 전에 기획한 아이템이다. 몇 달 전 편집회의 때는 이번에야말로 발로 뛰며 생생하고 입체적인 취재를 바탕으로 지면을 꾸려보자는 야심찬 계획을 세웠었다. 그러나 ‘플랜 B’ 카드를 뽑는다. 계획은 변화에 적응할 때 그 가치를 발휘하는 법, 유연한 계획이 좋은 계획이다. 초여름부터 지금까지 환경과조경은 유례없는 비상이다. 발행인과 편집장부터 편집부, 디자인팀, 마케팅팀 모두가 ‘2016 서울정원박람회’ 기획과 준비에 총력을 쏟아 붓고 있다. 광교 기획을 조금은 축소할 수밖에 없는 형편. 박람회 프로젝트로부터 ‘스스로’ 면제된 나는 그래도 한번은 현장을 가야겠다는 의무감에 침대만을 친구 삼는 일요일 오후의 소중한 루틴을 깨고 잠시 광교신도시를 걷기로 했다. 상전벽해가 따로 없는 새 도시의 낯선 풍경이지만, 원천저수지는 그대로다. 세련된 겉옷으로 갈아입긴 했지만, 깊고 짙은 수면의 고요함과 넉넉함은, 그곳을 거니는 연인들의 웃음은 예전과 다르지 않다. 여느 신도시와 달리 광교에는 생동과 활력이 넘친다는 평가를 받는 데에는 원천저수지의 잠재력을 잘 살린 호수공원이 큰 몫을 했을 것이다. 치열했던 국제설계공모를 거쳐 원천저수지에 새 옷을 입힌 신화컨설팅의 최원만소장과 동료 조경가들은 늘 자랑스러울 것 같다. 짧지만 즐거웠던 광교 산책에서 돌아와 책장 한구석에 처박아놓았던 8년 전 공모전의 설계 설명서들을 다시 펼쳐봤다. 신화컨설팅의 당선작뿐만 아니라 쟁쟁한 여러 국내외 조경가들의 다양한 디자인 해법을 꼼꼼히 다시 살펴봤다. 그때는 동시대 조경의 압축 파일이라 할 만한 그들의 설계 태도나 접근 방식에만 눈이 갔는데 이제야 원천저수지라는 조건 자체가, 장소의 힘이 눈에 들어온다. 이 공모전에 대한 비평문에 나는 어깨에 힘 잔뜩 주고 이런 결론을 적은 적이 있다. “공원에 대한 도시인의 욕망과 수동적…인 공원 사이에 존재하는 등식이 여전히 유효하다면, 그것은 빠져나오기 힘든 공원의 굴레일지도 모른다. 라빌레트 공원을 기점으로 지난 20여 년 동안 새로운 방식으로 공원을 설계하는 접근이 여러 프로젝트에서 실험되어 왔다. 그것은 설계 자체의 변신을 위한 기획이었다기보다는 ‘다른 공원’을 향한 대안적 시도와 노력이었다. 달라지기 위해서는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고 인식한 첫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지만, 광교에서 볼 수 있듯, … 다른 공원의 가치를 실천적으로 제시하는 두 번째 발걸음은 아직 힘들기만 하다.” 취소다. 다시 출판할 기회가 있다면 꼭 수정하기로 마음먹었다. 광교호수공원에는 ‘다른 공원’이 있었다. 중요한 광고 하나 덧붙인다. “정원을 만나면 일상이 자연입니다!” 10월 3일부터 9일까지 월드컵공원 안에 있는 평화의공원에서 ‘2016 서울정원박람회’가 열린다. 월간 환경과조경이 서울시, 환경조경나눔연구원과 함께 정성껏 준비한 이번 박람회에는 작가정원과 주제정원뿐만 아니라 팝업가든 콘테스트, 해설이 있는 정원 투어, 당신의 정원을 디자인해드립니다, 정원에 차린 식탁 등 다채롭고 알찬 프로그램이 풍성하게 마련된다. 많이 오셔서 ‘다른 정원’들을 경험해 보시길!
[칼럼] 광교신도시와 주민의 열망
한국의 신도시 주택은 대부분 아파트다. 순차적인 분양과 공사 기간을 거쳐 입주 때가 되면 한꺼번에 많은 사람이 신도시로 들어오게 된다. 개인에게 아파트 구입은 평생의 큰 거래다. 당연히 그들에게 신도시 계획과 공사 과정은 크나큰 관심의 대상이 아닐 수 없다. 입주자 수가 워낙 많다 보니 관심으로만 끝나지 않고 직접 의견을 제시하는 이들도 많다. 조경도 예외는 아니다. 오히려 조경에 대한 관심과 관여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수목, 시설물, 포장, 생태 하천, 산책로 등 대부분의 조경 공종을 대상으로 다양한 문제가 제기된다. 대개는 개인 단위이지만 정보화 기기의 발달에 힘입어 집단적 관여가 점점 늘고 있다. 입주자가 워낙 많다 보니 그 영향력도 갈수록 커져만 간다. 때때로 항의 방문이나 시위도 하지만 이들의 주된 소통 경로는 인터넷 ‘입주(예정)자 카페’이며 행동 경로는 인터넷 ‘민원 창구’다. 입주자 카페는 인터넷 환경이 대중화된 2000년대 초반부터 활성화되어 근래의 판교, 파주 운정, 청라, 김포 한강, 광교, 제2동탄 등대부분의 신도시 개발 과정에서 활발히 작동했다. 카페 게시판을 통해 서로 정보와 의견을 나누다가 생각이 일치되면 곧바로 집단 행동으로 연결되기도 했다. 관련 자료를 보면 광교신도시 입주자 카페 게시글의 상당수가 조경과 관련된다. 그중 57%는 호수공원과 생태 하천을 대상으로 쓴 글로, 광교신도시의 랜드마크인 호수공원에 대한 높은 비중과 기대감을 잘 보여준다. 게시글의 42%는 정보 교류 목적이었고, 38%는 공사 과정에 대한 비평이나 평가였으며, 20%는 문제 제기를 하고 있었다. 문제 제기 글에 대한 댓글수가 다른 글보다 1.6배 정도 더 많아 이에 대해 관심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입주자 카페를 통해 확인되고 뭉쳐진 의견은 대개 사업 시행자나 지자체에 민원으로 접수된다. 광교신도시의 조경 민원은 입주 전후로 본격화되었다. 조경 공사를 시작한 뒤 준공하여 공원·녹지를 지자체에 인계할 때까지 약 4년간 조경 관련 민원은 1,000여 건에 달했다. 이 중에는 같은 사안에 대한 수십 명의 집단 민원도 있었고, 한두 명이 비슷한 내용을 하루에 몇 번씩 접수하거나 길게는 몇 달 동안 반복한 경우도 적지 않았다. 물론 그 모두가 조경에 대한 높은 관심의 증거다. 그렇지만 일부 공원 시설에 대한 혐오와 기피는 조경 시설도 님비 현상의 대상일 수 있음을 경고한다. 화장실과 빗물 저류조가 대표적이다. 화장실은 디자인에 신경 썼음에도 혐오의 대상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빗물 저류조는 위생성에 대한 걱정과 함께 지상에 돌출된 환기구가 공원 이용에 불편하다는 불만이 쏟아졌다. 판교신도시에서도 같은 문제로 결국 화장실을 최소화했다고 하니 이는 신도시의 공통된 문제임을 알 수 있다. 혁신적인 디자인 개발과 기술 개발로 풀어야 할, 신도시 조경의 과제다. 물론 입주자의 조경 민원은 원칙적으로 타당한 것이 많았다. 그렇더라도 예산과 공사 기간, 관련 법규 등의 현실적 문제와 설계 개념 및 기능과 맞지 않을 때는 수용하기 힘들다. 상당히 공을 들인 생태 하천이었건만 친수 및 경관에 치중한 나머지 생물 서식처 기능이 부족하다는 지적은 꽤 가슴을 아프게 했다. 최신의 포장재에 대한 신통찮은 반응을 보니 재료가 아무리 좋아도 적정한 공간에 적절하게 표현되지 못하면 ‘듣보잡’ 포장으로 전락하는구나 싶었다. 그 외에도 수질 문제와 기능성에 치우쳐 경관적고려가 부족한 토목 공사 구역의 옹벽에 대한 지적도 꽤 있었다. 입주자 카페에서 많이 얘기되었다 해서 모두 민원으로 발전하지는 않는다. 민원은 엄연히 공적 영역이기에 은연 중 자기주장의 공공성을 재고해 보는 것이라 생각된다. 이를테면 가장 많이 언급하는 조경수의 경우 입주자 카페에서는 수종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함께 ‘가격’도 꽤 따지지만 이러한 요구가 그대로 민원이 된 경우는 별로 없다. 지극히 개인적이고 사적인 생각임을 알기 때문일 것이다. 입주자 의견의 공론화 필요성을 느끼게 하는 지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광교 이후에 ‘주민 참여형 조경’을 적극 고려하게 되었다. 행정적인 처리나 전문가주의를 탈피하고 주민의 역할과 참여 폭을 선제적으로 더 넓힌다는 데 목적이 있다. 물론 그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더 들거나 효율성이 떨어질 수도 있다. 그렇더라도 신도시를 개인들만의 ‘개미굴’이 아닌 ‘공동체’로 만들려면 결국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고 생각된다. 그 방법의 하나로 경기도시공사는 ‘조경가든대학’을 2015년부터 개설하여 현재 다산신도시 조성에 2년째 적용하고 있다. 입주자와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14주 교육 프로그램으로, 공원ㆍ녹지의 공익적 가치와 함께 개인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원 만들기와 그 관리법을 알려준다. 신도시 조경 공간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궁극적으로는 주민들의 자율적인 공원ㆍ녹지 관리 역량을 길러주기위함이다. 저출산ㆍ저성장 시대를 맞아 이제 신도시는 과거처럼 양산되기 힘들다. 지금까지 주택이라는 주거 시설 공급에 급급했다면 앞으로는 주거 공동체와 신도시 문화에 대한 고민이 필요해졌다. 특히 신도시의 공원ㆍ녹지는 주민들의 일상적 공간이자 문화의장소다. 이 공간들이 주민들의 소통과 공유 경제에 일조하기 위해서 공청보다 공론에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한 때다.
세인트 패트릭스 아일랜드
세인트 패트릭스 아일랜드St. Patrick’s Island 개선 사업은 캘거리 이스트 빌리지Calgary’s East Village를 위해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재개발 전략의 정점에 있다. 일명 ‘리빙 아일랜드Living Island’라고 부르는 이 계획은 생태계의 활력을 회복하고, 적절히 배치된 커뮤니티 자원과 도시 전역의 레크리에이션 공간을 만드는 자연 경관 인프라스트럭처를 제공한다. 섬의 독특한 도시 환경적 맥락을 고려해서 장소성을 만들고, 섬의 아름다움에 대한 정서적 유대 관계를 형성하며, 건조 환경과 자연 요소 사이에 균형과 조화로움을 추구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섬의 중심부는 다양한 종이 서식하는 평온한 자연 서식지로 회복되었다. 섬을 가로지르는 다양한 용도의 보행로는 보우 강Bow River의 불가피한 홍수에 적응할 수 있는 장기적인 회복탄력성resilience을 유지하면서 캘거리 도심지와 인근 도심을 연결하고 독특한 장소를 만드는 어메니티 기능을 한다. 세인트 패트릭스 아일랜드 125년 전에 세인트 패트릭스 아일랜드와 캘거리 항구는 이 지역의 중심이었다. 그러나 과도기를 거치면서 철로, 고속도로, 산업이 그 주변을 장악했고 섬은 고립되었다. 약 50년 전, 30에이커(약 121,400m2) 규모의 섬은 도심의 주변도 아닌 외진 곳이 되었다. 백 년도 넘는 시간이 흐른 후, 캘거리의 중심에서 거의 잊혀진 이 소중한 공간이 풍부한 어메니티 자원을 갖춘 모든 이용자가 즐길 수 있는 가족 친화적 공원으로 다시 부상할 준비를 마쳤다. 세인트 패트릭스 아일랜드 재생 사업은 보우 강과 엘보우 강Elbow River의 합류점에 있는 캘거리 항 인근의 다운타운 부동산 연합이 추진했다. ...(중략).... Architect·Landscape Architect W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Civitas Design Team Barbara Wilks, Martin Barry, Scott Jordon, Kate Cella Project Manager Neil MacKimmie, Calgary Municipal Land Corporation Local Architect·Landscape Architect IBI/Landplan Civil Engineering IBI/Landplan Environmental Matrix Solutions Lighting Tillet Lighting Ecological Green Shield Ecology Structural Pavilion Guy Nordenson Associates Structural Local Reed Jones Christoffersen Cost Estimating BTY Group Mechanical · Plumbing Weibe Forest Engineering Electrical SMP Engineering Geotech Stantech Collaboration Artists Jeremy Pavka Industries Construction Manager Marmot Concrete Services General Contractor Marmot Concrete Services Client Calgary Municipal Land Corporation Area 31ac Location Calgary, Alberta, Canada Completion 2015 W 아키텍처 앤드 랜드스케이프 아키텍처는 바바라 윌크스(Barbara Wilks)가 1999년에 설립한 건축·조경 설계사무소다. 공간을 창조함에 있어서 건축과 조경의 결합을 강조하고 생태와 어바니즘이 균형을 이루는 것을 추구한다. 뉴욕의 오피스를 기반으로 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등에 걸쳐 국제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환경과조경 342호(2016년 10월호) 수록본 일부
코로 필드
경관이 아름다운 태국의 수안푸엥Suan Phueng에 농지를 소유한 코로 브라더Coro Brother는 농산물과 더불어 농업 라이프스타일을 도시민에게 전달하고자 했다. 수안푸엥은 산비탈에 위치한 지역으로 겨울에는 서늘하고 여름에는 맹렬한 더위와 폭우가 찾아오는 곳이다. 따라서 농업에 적절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경험이 풍부한 농업 종사자와의 협업을 통해 기후적 맥락을 고려해야 했다. 코로 필드의 면적은 약 89라이(1라이는 약 1,600m2에 달한다)이며, 프로젝트는 총 네 단계로 나뉘어 진행됐다. 첫 번째 단계는 도로에 접한 8라이의 부지를 관광과 교육 장소로 개발하는 것이며, 두 번째 단계는 중앙에 위치한 13라이의 부지를 농업 생산지로 조성하는 것이다. 세 번째 단계는 첫 번째와 두 번째 단계에 조성된 곳 사이에 위치한 37라이의 부지를 관광과 교육, 농업 생산을 잇는 장소로 활용하는 것이다. 마지막 단계는 코로 필드의 후면부에 위치한 31라이의 부지를 새롭게 재탄생시키는 것으로, 용도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Landscape ArchitectIF(Integrated Field) Architect IFInteriorArchitect IFLighting DesignerKullakaln GururatanaCorporateIdentity SymbolistStructural · Electrical · Sanitary EngineerKor-IT Structural Design and ConstructionMain ContractorRattanaphon DevelopmentInterior ContractorRattanaphon DevelopmentModular Furniture ContractorThe Brick Design and ConstructionSoftscape ContractorNew TL NatureSignage ContractorBeetwart CNCClientCoro BrotherLocationSuan Pheung, Ratchaburi, Thailand AreaArchitecture1,345m2Landscape8,548m2Design2013. 12.Complete2015. 10. IF(Integrated Field)는 태국에 기반을 둔 디자인 사무소로 2011년 6월 설립됐다. 각 프로젝트에 맞는 특별한 해답을 찾을 수 있다고 믿으며,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고 전 과정을 통해 디자인을 발전시키고 있다. 건축가, 인테리어 디자이너, 조경가 그리고 산업 디자이너로 이루어진 그룹이 함께 사무소를 이끌며 다양한 분야를 통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환경과조경 342호(2016년 10월호) 수록본 일부
거버너스 아일랜드 더 힐즈
거버너스 아일랜드의 ‘더 힐즈The Hills’는 2010년 수립된 거버너스 아일랜드 공원 및 공공 공간 마스터플랜The Governors Island Park and Public Space Master Plan의 일부다. 이 계획안은 거버너스 아일랜드를 관광 명소이자 랜드마크로 바꾸고자 2006년에 진행한 ‘거버너스 아일랜드 공원 및 공공 공간 국제 설계공모전’의 당선작으로, 2013년에 1단계 공사가 완료되어 30에이커 규모의 신규 공원 및 공공 공간이 노스 아일랜드 지역에 조성됐다.2016년 7월에 완공되어 대중에게 개방된 더 힐즈는 뉴욕 항구를 360도 파노라마로 감상할 수 있으며, 육지에서 자유의 여신상을 가장 가까이에서 볼 수 있는 특별한 장소이기도 하다. 더 힐즈의 개관은 버려진 군사 기지였던 거버너스 아일랜드가 뉴요커와 많은 방문자에게 상징적인 장소로 재인식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새로운 지형 조성새로운 지형을 조성해 변화를 추구하는 것은 40에이커에 달하는 거버너스 아일랜드의 주요 설계 원칙 중 하나로, 8~21m의 높이로 조성된 더 힐즈의 핵심이다. 다양한 높이의 언덕들은 예술, 놀이, 자연, 휴식 등 거버너스 아일랜드의 독특하고 드라마틱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또한 높은 언덕은 염분이 많은 지하수로부터 나무를 보호하며 마이크로 비오톱을 개선해 생물 다양성을 향상시킨다. Lead Designer/Prime ConsultantWest 8Landscape ArchitectMathews Nielsen Landscape ArchitectsLead Civil EngineerMagnusson Klemencic AssociatesLocal Civil EngineerAKRFGeotechnical EngineerHart CrowserSignage and WayfindingPentagramLightingTillotson Design AssociatesMEP EngineerDagher AssociatesSoils ConsultantPine and Swallow EnvironmentalIrrigation ConsultantsNorthern DesignsCode ConsultantsCode ConsultingCost EstimatorFaithful & GouldOperations and MaintenanceETM AssociatesSurveyors of RecordLanganClientThe Trust for Governors IslandLocationNew York, USADesign2007~2016Realization2016 West 8은 네덜란드 로테르담을 기반으로 뉴욕과 벨기에에 지사를 둔 도시·조경 설계 전문 오피스다. 1987년 설립된 이래로 대규모 도시 및 환경 설계 프로젝트에서부터 워터프런트, 공원, 광장, 정원, 시설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규모와 성격의 프로젝트를 다루고 있다. 복잡한 디자인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조경가, 건축가, 도시설계가, 산업디자이너 등 70명이 넘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함께 일하고 있으며 종합적이고 다학제적인 접근을 통해 디자인을 수행하고 있다. 로테르담 쇼부르흐플라인(Schouwburgplein), 암스테르담 보르네오 도시설계, 런던의 업무 단지 치스윅 파크(Chiswick Park), 스위스 이베르돈레반 2002 엑스포 등을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환경과조경 342호(2016년 10월호) 수록본 일부
배곧생명공원
배곧, 염전에서 신도시로배곧신도시는 북측으로 월곶 포구와 남측으로 오이도, 서측으로 서해와 면해 있고, 옥구공원과 ‘시흥 늠내길’이 조성되어 있다. 한글 학자 주시경 선생의 한글 교육 장소인 ‘한글배곧’에서 창안하여 ‘배곧’이 도시 브랜드로 명명되었다. 1970년대에는 갯벌과 천일염 생산을 위한 염전으로 이용되었고, 1980년대에는 총포 화약 성능 시험장 용도로 매립되었으며, 1990년대에는 주변 지역의 개발이 본격화되어 2000년대에 화약 성능 시험장을 폐기하고 토지를 매입해 본격적인 개발을 시작했다.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가 연내 착공할 예정이다. 도시 브랜드의 상징시흥 배곧신도시의 삶의 질을 제고하고 도시 브랜드를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오픈스페이스로 공원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관의 일방적 주도가 아닌 시민과 함께 할 수 있는 이용자 중심의 공원, 시민 참여형 도시 공원의 모델로서 단계적으로 만들고 완성하는 미래 지향적 방향이 요구되었다.‘생명도시 시흥’이란 정신 아래 ‘인간을 품은 도시’, ‘자연을 품은 도시’라는 개발 목표에 부합하고 자연 경관을 활용한 환경 친화적인 공원을 조성하고자 했다. 이를 위한 차별화(특화) 전략으로 바다(해수)와 갯벌을 활용하고 조류 서식처를 조성해 생물다양성을 보전할 수 있도록 했다. 설계그룹한 어소시에이트시공상록건설발주시흥시위치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일원면적232,464m2(근린공원1)완공2015그룹한(대표 박명권)은 1994년 창립 이래, 경제 발전의 피로에 찌든 도시인에게 자연과 호흡하는 아름다운 삶의 방식을 제시해왔다. 그룹한의 디자인은 삭막한 주거 환경의 한복판에 고향에 대한 향수와 어린 시절의 추억, 그리고 자연에 대한 그리움이라는 가치를 구현해 왔으며, 여유와 즐거움이 넘치는 문화 환경을 헌정해 왔다. *환경과조경 342호(2016년 10월호) 수록본 일부
오버펙 파크 마스터플랜
대상지가 위치한 뉴저지New Jersey 주는 가든 스테이트Garden State, 즉 정원의 주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오랜 기간 뉴욕 시와 인근 메트로폴리탄 지역의 채소와 축산물 공급처였으며, 뉴욕 시민들이 즐겨 찾는 자연과 휴양 시설이 풍부한 까닭이다. 그중에서도 북부 뉴저지는 미국 최대의 공업 지역 중 하나로 광대한 고속 도로망과 정유 시설, 발전 시설, 공항과 항만 및 배후지, 대형 유통 창고, 환승 센터 등이 밀집된 면모를 보여준다. 뉴저지는 미국 경제의 엔진이었으며, 현재 한국의 유수한 기업들 또한 이곳에 북미 시장을 총괄하는 본부를 두고 있다. 활발한 공업 활동의 여파로 수많은 브라운 필드와 슈퍼 펀드superfund 사이트가 생겨났으며, 대표적 수자원이라 할 수 있는 해컨섹Hackensack과 퍼세이크Passaic 강은 전국에서 가장 오염이 심한 강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설계의 배경북부 뉴저지의 이미지를 개선하고 주민들이 느끼는 삶의 질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논의는 오래전부터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인접한 뉴욕 시와 비교했을 때 턱도 없이 모자라는 예산과 인적 자원, 리더십이 부족한 행정으로 인해 그나마 있는 공원조차 제대로 운용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불만을 가진 시민 단체와 전 카운티 청장 캐슬린 도너번Kathleen Donovan은 민관 협력 사업을 통해 이를 타계하고자 했고, 나는 나의 뉴욕 전시를 관람한 환경 운동 단체 ‘그린클럽Green Club’의 멤버와 정치인들을 소개받아 오버펙의 재생에 대한 전체적 마스터플랜 수립 작업에 착수하게 되었다.그러나 도너번 청장이 차기 선거에서 낙선한 후, 사업은 한동안 동력을 잃고 지지부진해졌다. 하지만 새 정부의 공원국 체제가 정비되고, 시 의원 조안 보스Joan Voss의 적극적인 지지로 공감대가 형성되어 이제 새로운 탄력을 받고 있다. 설계최이규, Michael Chaveriat발주Green Club New Jersey위치Bergen County, NJ, USA면적805ac 최이규는 1976년 부산 생으로 뉴욕에서 10여 년간 실무와 실험적 작업을 병행하며 저서 『시티오브뉴욕』을 펴냈고, 북미와 유럽의 공모전에서 수차례 우승했다. UNKNP.com의 공동 창업자로서 뉴욕시립미술관, 센트럴 파크, 소호 및 대구, 두바이, 올랜도, 런던, 위니펙 등에서 개인전 및 공동 전시를 가졌다. 현재 계명대학교 도시학부에 재직하며 울산원도심 도시재생 총괄코디네이터로 일하고 있다. *환경과조경 342호(2016년 10월호) 수록본 일부
[공간 공감] 연남동 골목길
연남동과 인연을 맺은 건, 5년 전 사무실을 연남동으로 이전하며 살던 집도 함께 옮기면서부터다. 평소 좁은 골목길을 다니며 이곳저곳 두리번거리는 것을 좋아하는 나에게 연남동은 너무 좋은 ‘나만의 놀이터’ 같은 곳이다. 어린 시절 동네 친구들과 밤늦게까지 골목을 누비고 숨어 놀던 기억이 떠오른다. 다른 동네의 아이와 골목길을 사이에 두고 연탄재 싸움을 하던 장면도 생각난다. 나뿐만 아니라 골목길은 많은 사람에게 추억거리일 것이다. 골목길은 예측하기 어려운 돌발성과 다변성을 지니고 있고, 이는 궁금증을 유발해 사람들의 시선을 집중시킨다. 실제로 골목길은 공간 디자인의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기도 한다. 연희동에서 분리된 연남동(延南洞)은 1970년대에 연희동의 남쪽에 있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도시 정비 계획이 잘 이루어져 주택과 주택 사이에 그리 좁지 않은 골목길들이 있다. 연남동 골목길이 유명해지기 시작한 계기는 ‘경의선숲길’ 조성이었다. 이전엔 경의선 철길로 인해 동네가 단절됐을 뿐만 아니라 소음과 공해도 발생해 좋지 않은 요소로 여겨졌다. 하지만 경의선숲길이 조성된 후 동네는 서로 연결되어 사람들을 소통하게 만들었고, 소음과 공해 대신 좋은 공기를 마시며 새가 지저귀는 소리를 듣게 됐다. 연남동에 오아시스가 생긴 것이다(이곳은 현재 연트럴파크라 불리고 있다). 사람들이 모여들자 주변 주택가도 서서히 변하기 시작했다. 기존 주택을 리모델링하거나 건물을 새로 짓고자 하는 투자자들의 발길이 이어지면서 압구정 가로수길, 혜화동 거리, 성수동, 이태원 경리단길처럼 연남동에도 예쁜 카페와 외국의 맛있는 음식을 맛볼 수 있는 다양한 음식점이 들어섰고, 그 사이사이에 작은 책방과 꽃집이 자리 잡았다. 친구나 가족 혹은 연인이 함께 즐기고 싶은 오감이 즐거운 거리는 금세 핫플레이스로 떠올랐다. 특히 지하철 홍대입구역 3번 출구 부근은 공항철도와도 연결되어 있어 외국 관광객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3번 출구에서 이어지는 연남동 골목길 주변의 주택가에는 게스트하우스가 많아 외국에 온 듯한 기분이 들 때도 있다. ...(중략)... * 환경과조경 342호(2016년 10월호) 수록본 일부 이 연재를 위해 factory L의 이홍선 소장, KnL 환경디자인 스튜디오의 김용택 소장, 디자인 스튜디오 loci의 박승진 소장 그리고 서울대학교 정욱주 교수와 서울시립대학교 김아연 교수 등 다섯 명의 조경가가 의기투합하여 작은 모임을 구성했다. 이들은 새로운 대상지 선정을 위해 무심코 지나치던 작은 공간들을 세밀한 렌즈로 다시 들여다보며, 2014년 1월부터 한 달에 한 번씩 유쾌한 답사 모임을 이어가고 있다.
광교신도시의 교훈
2013년 12월, 지방자치단체가 기획하고 지방 공기업이 실행한 광교신도시 개발 3단계가 마무리되었다. 광교는 ‘누구나 살고 싶어 하는 도시’라는 슬로건 아래, ‘자족적 신도시’, ‘43.8%의 공원 녹지’, ‘친환경 도시 체계’ 등 다른 신도시와 차별화를 꾀했다. 또한 공원 계획에 있어서 디자인 커미셔너 제도를 도입하는 등 특색 있고 일관된 방향을 수립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으며, 실제 조성된 광교호수공원은 이미 많은 시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기도 하다. 본지는 신도시 개발이 마무리되고 입주민들이 새로운 도시에 적응해 가고 있는 이 시점, 광교신도시 조성 과정을 되짚어보고 신도시 개발의 모델로서 그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한 신도시 _ 경기도시공사 광교 그린플랜, 녹색 도시 실현의 효시가 되다 _ 이상문 광교호수공원을 보다 _ 전영옥 오래된 나의 신도시, 광교 _ 강준구 ‘한국형 신도시’ 모델은 유효한가? _ 이인성 *환경과조경 342호(2016년 10월호) 수록본 일부
[광교신도시의 교훈]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한 신도시
광교신도시는 경기도와 수원시, 용인시, 경기도시공사 등 네 개의 사업시행사가 있다. 광교신도시는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한 최초의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인 동시에, 네 마리 말이 끄는 사두마차로 볼 수 있다. 네 개의 사업시행사는 각자의 내부 사정이 있었지만, 거버넌스를 형성하고 광교신도시 사업을 수행했다.수원시는 이의동 지역에 컨벤션센터를 짓기로 계획하고 아파트 2,300세대를 지으려고 했지만 계획대로 잘 되지 않았다. 용인시는 상현동 쪽에서 아파트 분양이 잘되자 계속 수원 쪽으로 내려오면서 개발을 확장했고, 이에 따라 광교도 개발 압력을 받게 되었다. 경기도는 당초 신도시 계획이 없었지만, 경기도청 이전 계획과 함께 행정타운 건설을 추진하고 있었다. 당시 수원시는 현대 측과 MOU를 맺고 광교 쪽 500만 평에 소규모 개발을 하겠다는 구상이었다. 그럴 바에야 광교가 두 개의 저수지와 녹지축, 좋은 입지를 가지고 있으니 지자체가 제대로 한 번 해보자는 의미에서 경기도가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에 신도시 지구 지정 신청을 했다. 그동안 우리나라 신도시들은 대부분 중앙정부가 주도하면서, 수도권의 택지 개발로 벌어들인 돈을 지방에 투자하는 식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에 지방자치단체인 경기도가 중심이 돼서 수익을 내려는 목적이 아니라, 이익금은 다시 경기도와 광교신도시에 투자함으로써 제대로 된 신도시를 만들어보기로 한 것이다. 특히 광교는 원천저수지와 신대저수지가 있어 잘 이용한다면 좋은 도시가 될 수 있었다. 환경 단체와 시민 단체들과의 협의, 건설교통부의 계획안 수정 보완 요구 등을 이유로, 지구 지정을 받을 때까지 자그마치 2년의 기간이 소요되었다.결국 지구 지정을 받고 네 개의 공동 시행사가 택지 개발을 시작하게 되었다. 정책 결정 기능은 네 개 기관이 협의해서 조정하되 도지사가 모든 것을 대표하고, 집행 기능은 경기도시공사가 하기로 했으며, 토지이용계획 및 기타 사항은 전체 회의를 통해서 의사결정을 하기로 했다. 네 마리의 말이 힘을 합해 광교신도시라는 대형 마차를 끌고 갈 준비를 마친 것이다. ...(중략)... *환경과조경 342호(2016년 10월호) 수록본 일부
[광교신도시의 교훈] 광교 그린플랜, 녹색 도시 실현의 효시가 되다
신도시 계획 과정에서 광교가 다른 신도시와 차별화된 것은 관행적인 개발 계획에만 의존하지 않고 별도로 그린플랜을 수립한 점이다. 도로, 토지이용, 기반 시설 등 택지 개발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기 전에 환경 보전 및 창출에 관한 그린플랜을 작성하여 이를 신도시 개발 전 과정에 반영했다. 사업 단계별로 녹색 도시를 실현할 수 있도록 그린플랜을 관련 계획의 기본 지침으로 삼은 것은 광교만의 특이점이다. 그린플랜은 도시의 생물 다양성과 기후 안정을 극대화하고, 새롭게 조성되는 공간이 자원 순환과 에너지 자립 공간이 되게끔 사업의 추진 체계와 실천 수단을 친환경적으로 강구하는 전략적이고 기술적인 계획이다. 특징적인 것은 녹색 도시 조성을 목표로 사업 초기부터 생태적 가치가 높은 토지를 보전하고 복원하는 데 심혈을 기울였다는 점이다. 개발 이후에도 도시가 지속가능하도록 1990년대부터 논의된 생태 도시 계획 원리와 요소를 전격 도입한 체제였다. 시행자가 구축한 ‘선 환경, 후 개발’이란 지향 체계를 바탕으로 개발 계획과 그린플랜이 협동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광교는 한국형 생태 도시설계의 효시가 되었다. 이는 다른 신도시에도 널리 보급되어 중앙정부가 일정 규모 이상의 택지 개발을 추진할 경우 환경 계획 수립을 의무화하는 제도의 전범이 되었다.광교는 수원시의 얼마 남지 않은 녹지로 그간 개발을 제한받아 왔다. 그런데 이 지역의 미래를 둘러싸고 두가지 다른 입장이 충돌했다. 건설 정책 입안자들은 시가지와 연접한 이 지역을 주택 공급 잠재력이 높은 개발 유보지로 여겼고, 시민이나 환경론자는 광교산 주변의 양호한 환경을 품은 보전 지대라 생각했다. 특히 시민 단체는 대상지가 광교산 녹지축에 자리하고 있고, 그 축에는 대규모 저수지와 수변 공간이 있기 때문에 보전 가치가 높은 곳이라 주장했다. 그러던 중 2002년 ‘수원도시개발 기본계획’을 수립하면서 이 지역을 시가화 용지로 편입했고, 여기에 신도시 개발 구상을 포함시켰다. 이 계획은 곧바로 시민과 환경 단체의 개발 찬반론을 불러 일으켰다. 반대론자들이 내세운 것은 이 지역은 큰 산림 생태계의 가장자리로서 생태학적으로 생물 다양성이 높은 지대라는 점이다. 한편 사업의 시행을 맡은 경기도시공사가 개발 지구 지정을 위한 정부 협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환경부로부터 산림 녹지축, 물길 보전, 바람통로, 광교산 조망축 보전 등 환경 대책을 수립하라는 주문을 받게 된다. 공사는 시민 단체와 환경부의 의견을 수용하여 개발 이전에 환경 보전을 먼저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했는데, 이것이 그린플랜의 출발점이다. ...(중략)... *환경과조경 342호(2016년 10월호) 수록본 일부 이상문은 2004년부터 5년간 광교신도시 환경계획의 책임자로 참여하여 생태 보전, 녹지 체계, 자원 순환, 에너지 자립, 생활 유산 발굴 등 생태 도시 실행 과제를 발굴하고 이를 도시설계에 반영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2009년부터 현재까지 광교의 계획·설계, 환경 부문, 개발 백서 등에 대해 전문가로서 계속 자문하고 있다.
[광교신도시의 교훈] 광교호수공원을 보다
필자는 광교신도시에 대한 계획이나 설계에 참여한 것은 아니지만, ‘과정의 기록’이라는 측면에서 광교신도시가 만들어진 전 과정을 지켜볼 수 있었다. 광교신도시와 필자와의 인연은 200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광교신도시 기공식이 2007년 11월에 있었으니까 공사가 시작되기 직전이었다. 그린플랜Green Plan의 일환이었던 환경상세계획 중 광교신도시의 개발 전 모습을 어메니티amenity 자원이라는 측면에서 기록을 남기는 일이었다. 광교신도시 사업 지구를 7개 권역으로 나누고 개발이 시작되기 전의 도시 콘텐츠를 기록하기 위해 마을과 저수지를 오갔다. 아직도 그때의 원천저수지와 신대저수지에 대한 기억이 생생하다. 원천저수지는 유원지로 난개발이 되어 주변에 각종 위락 시설과 숙박업소 등이 들어서 있었다. 보트와 수상 가옥, 수영장, 대규모 야영장과 심신 단련장, 원천그린랜드, 원천호수랜드, 물 위를 지나는 케이블카와 관광호텔 등이 었다. 신대저수지는 낚시터로 이용되어서 조용한 편이었으며 주변 산림과 잘 어우러져 있었다. 두 저수지의 서로 다른 모습은 나중에 광교신도시의 호수공원설계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2004년 10월에 있었던 제5차 MP 회의에서도 당시 원천저수지와 신대저수지의 성을 반영하여 전체적으로 녹지축을 보존하고 자연환경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유원지 시설이 집중되어 있던 원천저수지는 활동적 기능을 맡게 하고, 신대저수지는 보존을 중심으로 한정적인 기능만 부여해 차별화하자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졌다. 광교호수공원 국제설계공모를 하기 전, 개발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2008년 1월부터 7월까지 9번에 걸쳐 공동 시행자 실무자 회의를 열었고 원천저수지는 활기차고 도시적인 장소로, 신대저수지는 조용하면서도 정적인 장소로 조성하는 콘셉트를 다시 한 번 확인하여 설계공모 지침을 내놓았고, 이에 따라 광교호수공원 설계안이 나올 수 있었다. 광교호수공원이 두 개의 테마를 가지게 된 것은 광교가 원래 가지고 있던 맥락과 맞닿아 있다고 볼 수 있다. ...(중략)... *환경과조경 342호(2016년 10월호) 수록본 일부 전영옥은 1988년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하고, 다음 해 조경학에 입문하여 1998년 서울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삼성경제연구소에서 지역 발전, 도시 문제 등을 새로운 각도에서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2007년 이후 현재까지 도시환경연구센터 소장직을 맡고 있으며 인문학, 공학, 마케팅 등을 넘나들며 삶을 담는 그릇으로서의 도시와 농촌 지역을 연구하고 있다.
[광교신도시의 교훈] 오래된 나의 신도시, 광교
광교신도시는 광교산을 뒤로 하고 원천저수지와 신대저수지를 품에 안고 있는 형상이다. 광교신도시의 이름 역시 이 광교산에서 비롯되었다. 광교산은 원래 광악산光嶽山이었으나, 고려 태조 왕건이 후백제 견훤을 정벌하고 돌아오는 길에 이 산 정상에서 신비로운 광채가 하늘로 솟아오르는 것을 보고 큰 깨달음을 얻어 ‘빛의 가르침’을 뜻하는 광교산光敎山으로 명명토록 하여 오늘에 이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광교산이 광교신도시 안에 위치하는 것은 아니고, 광교산 인근에서 광교라는 지명을 법정 동명으로 오랫동안 사용해 오던 터라 ‘광교’라는 지명 사용에 대해서 광교산 인근 주민의 반발을 가져오기도 했다. 2007년 11월 착공하여 2011년 6월에 입주를 시작하면서 광교신도시는 도시로 기능하기 시작했다. 수많은 행정적 변화 속에서도 신도시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표 아래, 교통·주거·교육·녹지·문화·의료 등이 집약된 인프라와 업무·상업·위락 시설 등을 혼합 배치해 자족성을 갖춘 명품 신도시를 향한 노력이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2018년 이후에는 주민 입주, 공공 청사의 입주, 상업 용지의 활성화 등 도시의 기능이 완성될 것으로 계획했다. 그러나 현재 경기도청 신청사계획은 난항을 겪고 있고, 컨벤션센터와 광역 상업 시설인 파워센터 등 자족적 기능을 담당해야 할 사업은 폐기된 상태로 새로운 변화가 절실한 시점이다. ...(중략)... *환경과조경 342호(2016년 10월호) 수록본 일부 강중구는 아주대학교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건축과 도시를 전공하고 EDAW/AECOM 뉴욕, 베이징, 홍콩 오피스에서 다양한 스케일의 도시 프로젝트를 다뤄왔다.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과 아주대학교의 도시, 건축 디자인 스튜디오에서 도시 속의 공간과 건축에 대해 가르치고 있다. 현재 광교신도시에 거주하고 있으며 다양한 도시에서의 삶과 경험을 바탕으로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변화에 관심이 있다.
[광교신도시의 교훈] '한국형 신도시' 모델은 유효한가?
2000년대 초 우리나라의 급속한 성장이 국외의 주목을 받으면서, 성장에 따른 주택 문제를 단기간에 해결한 ‘한국형 신도시’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불과 수년 만에 허허벌판 위에 수백만 평의 도시를 ‘뚝딱’ 만들어내는 한국의 신도시들은, 비슷한 문제를 눈앞에 두고 있던 개발 도상국에게는 도깨비방망이 같이 보였을 것이다. 당시 국내 시장의 포화로 구조조정을 앞두고 있던 정부 투자 단체와 일부 건설사들은 이와 같은 관심을 등에 업고 한국형 신도시를 수출하려는 움직임을보이기 시작했다. 그 후 몇몇 국내 건설사가 간헐적으로 외국 신도시의 시공 과정에 참여하기는 했지만, 한국형 신도시의 수출은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최근에 와서야 정부가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에 ‘세계 선도형 스마트시티 구축사업’을 포함시켜, 이에 대한 관심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정부는 ‘K-스마트시티(한국형 스마트시티)’가 건설 분야와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정보 통신 기술)의 융합이란 측면에서 창조 경제에 최적일 뿐 아니라 침체된 국내 경기의 돌파구인 수출까지 연계할 수 있다고 보고 이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환경과조경 342호(2016년 10월호) 수록본 일부 이인성은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도시설계 전공으로 환경조경학 석사를, 일리노이 대학교(어버너-섐페인)에서 지역 및 도시계획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등에서 연구원으로 일했으며, 1996년부터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의 조경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고현재 한국도시설계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그들이 설계하는 법] 우리에겐 정원이란 없어
창밖에 비가 내린다. 오랜만에, 그 지긋지긋한 여름의 뜨거운 햇볕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이 비 끝엔 서늘한 가을이 다가올까? 아직 가시지 않은 더운 열기를 20년 된 선풍기 바람이 밀어내고 있다. 그런 것 같다. 숨을 멎게 하는 더위, 곰팡이가 필 것 같은 습기, 손끝을 오그라들게 하는 추위. 이런 것들은 우리를 힘들게 하지만, 갈라지는 갈증을 가라앉히는 비, 눅눅한 습기를 날려버리는 햇볕, 뜨거운 더위를 밀어내는 바람, 그리고 살 에이는 추위를 달래는 온기는 다시 우리를 살게 만든다. 살리던 것들이 숨통을 죄고, 그 옆에 것이 다시 밀려와 살려내고. 그리고 그것들을 우린 어떻게 할 수가 없다. 하지만 기어이 어떻게든 통제하려 한 것이 인간의 역사 아니었나. 집을 짓고 도시를 만들고 서로의 영토를 넓히고 다투고 방어한 인간의 역사가 대략 1만 년이다. 무수히 많은 욕망이 서로 부딪혔지만 그 근저에 깔린 가장 근원적인 욕망은 ‘살자’는 욕망이었을 것이다. 그 욕망은 끊임없이 숲을 파괴하고 대지를 긁어내고 물길 돌려가기를 그치지 않았고, 그 행동에 자연은 더 혹독한 대가를 요구했다. 처절하게 서로 반목하며 밀어내고 밀려다니던 싸움에서 평화를 외친 자가 나타났다. 바로 조경가다(이런 관점에서 조경가라는 명칭은 정말 잘 어울리지 않는군). 정말 즐거운 마음으로 대학 시절부터 지금까지 조경 설계 일을 해 왔다. 그런데 지금 돌아보니 설계를 어떻게 했나 잘 기억나지 않는다. 심지어 설계 방법론을 다룬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오히려 그간 나의 설계가로서의 여정을 돌아보니 의아함이, 풀리지 않는 숙제가, 그리고 마음 한가득 궁금함이 남아 있음을 느낀다. 왜 좋아하는 일이 이렇게까지 힘들고 외면받고 빛을 보지 못하고 있는가. 그럼 에도 불구하고 나는 왜 이 일을 멈추지 못하는가. 앞으로 3회에 걸쳐서 조경 설계에 대한 나의 생각을, 그리고 우리가 한 설계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일을 계속해 나가려는 이유를 중심으로. 나는 어떤 ‘방법’을 연구하고 실험하고 창안해내는 사람이 아니고 그냥 원칙과 태도를 가지고 묵묵히 실천하는 사람이라 ‘당신은 어떻게 설계하세요?’라고 묻는 말에 해 줄 말이 없다. ‘그냥 하는데요?’라고 할 밖에. 하지만 만일 내게 ‘당신은 무슨 생각으로 설계를 합니까?’ 또는 ‘당신이 생각하는 조경 설계, 혹은 설계가는 무엇입니까?’라고 묻는다면 할 이야기는 있다. 어쩌면 그 이야기 속에 내가 설계하는 방법이라는게 보일지도 모르겠다. 원칙이나 태도 같은 게 보일지도 모르겠다. 조경은 필요 없어 설계를 하면서 만난 많은 클라이언트가 한 이야기 중 잘 이해하지 못한 말이 있었다. 아니 어쩌면 들으면 왠지 기운이 빠지고 뭔가 내가 큰 잘못을 지은 것처럼 느껴지는 말이 있었다. ‘눈앞에 숲이 있고 산이 있는데 왜 여기다 비싼 돈을 들여 쓸데없이 나무를 심고 치장을 해야 하나?’ 법이 정하고 있으니 어쩔 수 없이 한다거나 건물을 지었으니 뭐라도 꾸며야 할 것 같다는 정도의 말이 그 뒤에 오갔던 거 같다. 물론 내게 상처를 주기 위해 악의를 가지고 한 말은 아니었을 것이다. 우리 조경이라는 분야가 이 세상에 얼마나 다양한 그리고 긍정적인 영향을 끼쳐 왔고 전 세계적으로 활발한 활동을 해왔는지 모르는 것이라고, 그땐 그렇게 생각했다. 사실은 내가 몰랐던 거다. 왜 이 짓을 해야 하는지. 왜 이 짓이 쓸모없는 행위로 인식되고 있는지 내가 잘 몰랐던 거다. 그냥 대학에 들어오면서 뭔가 이 일이 사람들에게 좋을 일이라는 생각과 외국의 스타 조경가들이 만들어 내놓은 화려한 사진들에 마음이 움직였던 거였다. 이 일을 하면서 아파트 조경의 공원 같은 녹지와 화려한 포장 패턴을 보며 저건 아닌데 하면서도 뭐가 아닌지는 몰랐다. 건축가들이 그려놓은 배치도에 그들이 요구하는 그림을 그리면서 이건 아닌데 싶었지만 뭐가 아닌지는 잘 몰랐다. 한국의 특수한 설계 환경이라는 것이 존재함을 인식하지 못하고 그냥 외국의 설계가들처럼 하려던 게 아니었을까? 잠시 이 부분에 대해 이야기하고 넘어가야겠다. 뭐가 다른 건지에 대한 나의 생각 말이다....(중략)... *환경과조경342호(2016년10월호)수록본 일부 박준서는 ‘Link Landscape with Life’라는 모토로 디자인엘을 설립해운영하고 있는 조경 설계가다. 조경이란 근원적 삶의 터전으로서의 자연을 문화적으로 해석해 일상에 녹여 내는 행위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에서 조경 설계의 사회적 역할을 바로 세우기를 바라고, 지어지는 설계를 실천하고자 한다.
[조경의 경제학] 경관의 공급, 미적인 경관은 왜 부족한가?
(ⓒT.Dallas / shutterstock.com) 경관 공급의 모습 경제학 교과서를 보면 공급은 곧 생산을 의미한다. 경제학 이론들이 대량 생산의 제조업을 염두에 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생산자는 소비자에게 공급할 목적으로 토지와 노동과 자본을 투입한다. 공급량은 소비자의 수요량과 균형을 이루는 수준에서 결정된다. 주류 경제학자에 의하면 이 균형점(균형가격과 균형수량)에서 자원 배분의 효율성과 경제적 후생의 극대화가 달성된다. 그렇다면 경관에 있어서도 공급은 이러한 모습일까? 지난 호에서 경관은 스스로 존재하는 조망 대상, 그것에 의존하는 조망점, 그곳에서 함께 제공되는 유무형의 조망 조건 등의 세 요소로 공급되고 사람들이 대가를 지급하고 이를 체험함으로써 소비된다고 했다. 여기서 조망 조건은 조망 대상을 향한 시야와 함께 조망점을 구성하므로, 크게 보자면 경관은 조망 대상과 조망점 두 요소로 공급된다고도 할 수 있다. 이들은 경관의 공급에 필수적인 것으로서, 어느 하나라도 결핍되면 경관 체험이 불가능해진다. 문제는 조망 대상과 조망점의 공급자나 생산 목적이 전혀 다르다는 데 있다. 조망점의 경우 특정한 공급자가 소비자에게 판매할 목적으로 생산한다. 반면 조망 대상의 경우 불특정 다수의 공급자가 누구에게 판매할 의도 없이 생산한다. 어쩌면 그것을 생산이라고 부르는 것조차 부적합할 수도 있다.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조망 대상은 그것을 만든 사람들의 의도와 무관하게 형성되어 다른 사람들의 눈에 보이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연재를 꼼꼼히 읽어 온 독자라면 이것이 왜 문제인지 알 것이다. 경관 체험을 위해서는 조망 대상과 조망점이 모두 필요한데, 이 두 요소가 각기 다른 메커니즘에 의해 공급된다면 경관 시장의 균형이라는 것이 달성될 수 없기 때문이다. 자원 배분의 효율성과 경제적 후생의 극대화라는 이상도 꿈같은 이야기가 되고 만다. 주류 경제학자의 입장에서 본다면 난감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경관의 공급에 대해 조망점과 조망 대상을 나누어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 조망점의 공급과 시장실패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재화나 서비스의 적정 가격과 수량(생산량 및 소비량)이 결정되고, 이 균형점에서 자원 배분의 효율성과 경제적 후생의 극대화가 달성된다는 주류 경제학자의 생각이 항상 실현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는 시장기구의 메커니즘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주류 경제학자도 인정하는 시장실패의 대표적인 원인에는 외부효과, 공공재, 독점 등이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면 시장은 스스로 바람직한 균형점을 찾아가지 못한다. 외부효과에 대해서는 정원의 경제학에서, 공공재에 대해서는 공원의 경제학에서 이미 살펴본 바 있다. 조망점에 있어서는 마지막으로 남은 독점이 문제가 된다. 어느 한 주체가 재화나 서비스의 공급을 독점하면 그(녀)에게 가격을 결정할 힘이 생긴다. 그런데 독점적 공급자가 임의로 결정한 가격이 바람직한 가격, 즉 다수의 수요자와 공급자 간 경쟁 때문에 달성되는 균형가격과 일치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 실제로 독점적 공급자는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가격을 고집하게 되는데, 이는 균형가격보다 높기 마련이다. 수요자는 선택의 여지가 없으므로 이 가격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수요자가 할 수 있는 결정은 ‘그래도 살 것인가, 아니면 말 것인가’가 전부다. 결과적으로 시장에서 거래되는 재화나 서비스의 수량(수요량과 공급량)이 바람직한 수량에 비해 적어지는 것은 불가피하다. 어떤 재화나 서비스가 ‘균형가격보다 비싸게, 균형수량보다 적게’ 거래되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바람직한 상태에 비해 더 적은 사람이 더 큰 부담을 지고 재화나 서비스의 효용을 누리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자원 배분의 효율성과 경제적 후생의 극대화를 달성하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독점은 시장실패를 초래하고, 세계 각국은 독점 금지에 관한 법을 시행하고 있다. 조망점의 공급은 ‘사용’의 제공과 ‘소유’의 제공 두 가지 형태로 이루어진다. 사용의 제공이란 조망점의 소유자가 타인으로부터 대가를 받고 일정 시간 조망점에서 경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허락하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경관 소비는 입장료를 내고 전망대를 즐기거나 전망 좋은 카페의 창가에서 차를 마시는 것 등의 모습일 것이다. 소유의 제공이란 조망점의 소유자가 타인에게 조망점에 해당하는 부동산을 매도하는 것을 말한다. 매수자가 그 조망점을 혼자 즐기던 다시 타인에게 사용을 제공하여 돈을 벌든 상관이 없다. 여기서 부동산의 가치 중 경관이 차지하는 가치, 즉 조망점소유의 가치는 조망점 사용의 가치에 근거한다. *환경과조경342호(2016년10월호)수록본 일부 민성훈은 1994년 서울대학교 조경학과를 졸업하고 조경설계 서안에서2년간 일했다. 그 후 경영학(석사)과 부동산학(박사)을 공부하고 개발, 금융, 투자 등 부동산 분야에서 일했다. 2012년 수원대학교로 직장을 옮기기 전까지 가장 오래 가졌던 직업은 부동산 펀드매니저다.
[리질리언스 읽기]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한 도전, 도시 리질리언스
더 이상 지속가능하지 않은 도시 사나울 폭(暴), 불꽃 염(炎), 날이 몹시 더운 상태를 의미하는 폭염이 올해 여름 한 달 이상 대한민국을 강타했다. 소방방재청은 최근 기상 재해 중 폭염을 가장 큰 재해로 선정했는데, 폭염으로 인한 사망자가 급속도로 증가하는 추세에 비해 국민들은 물론 정부조차 폭염에 대한 위기의식이 없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많은 도시에서 에어컨이나 선풍기 등의 냉방 시설 없이 천막만 설치해 놓은 무더위 쉼터를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허술한 방역 시스템으로 콜레라나 식중독이 발생하기도 했다. 그뿐만 아니라 심각한 가뭄과 농업용수 고갈로 인한 농업 시스템 마비, 농수산물 가격 상승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 증가, 예측 불가능한 기후 예보 시스템 및 근시안적인 재해 대책 등이 줄지어 사회적 문제로 등장했다. 무더위로 말라비틀어진 도시들은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사상 최대의 지진을 경험했다. 지난 9월 12일 규모 5.8과 5.1의 강력한 지진과 200회가 넘는 여진이 발생하여, 경북 경주시를 비롯한 주변 지역의 도시민들이 불안과 공포에 휩싸였다. 대한민국 대부분의 도시는 한 번도 겪어보지 못한 급작스러운 재해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했으며, 곳곳에서 피해가 급증했다. 원활하지 않은 통신 시스템으로 인한 사회적 네트워크(연결성, connectivity) 마비는 재해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감을 증대시켰다. 또한 재해 시 대피 장소로 활용이 가능한 방재 공원과 같은 다기능성을 지닌 장소(중복성, redundancy)가 부족했으며, 지진이라는 재해를 예측하고 적응할 수 있는 계획이나 설계 방안(적응적 계획, adaptive planning)이 미흡했다. 그뿐만 아니라 지진 발생 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한 다양한 학습과 매뉴얼(다양성, diversity) 등 충분한 사전 조치가 없었다. 위 사례와 같이 오늘날 도시는 더 이상 지속가능하지 않다. 도시 시스템은 예측 불가능하고 강력한 재해에 의해 언제 붕괴될 지 모르는 풍전등화의 상황에 처해 있으며, 도시의 사회적·경제적·생태적·공간적 요소인 연결성, 중복성, 적응적 계획, 다양성 등의 부족은 재해에 취약한 도시를 만들었다. 이에 많은 계획가와 설계가가 기존의 도시설계와 계획에서 벗어나 새로운 도시설계 및 계획의 패러다임인 도시 리질리언스를 위한 도전을 시작했으며, 아무리 큰 재해가 오더라도 도시의 기능과 구조가 유지될 수 있는 회복력 있는 도시로의 첫걸음을 뗐다. 도시 리질리언스 리질리언스는 생태학에서 태동하여 사회학 및 경제학 분야로 확장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분야가 융합되어 사회생태적 리질리언스 개념으로 발전됐다. 이는 인간 사회가 자연환경에 속해 있다는 ‘자연 속 인간 모델(Human-in-Nature model)’과 인간 사회의 구조와 기능은 주변 자연환경에 의해 결정된다는 ‘환경 결정론’ 등을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사회생태적 리질리언스 개념이 도시계획 및 설계 분야로 확장되었으며, 도시 리질리언스라는 새로운 개념이 등장하게 되었다. 도시 구조의 파괴와 무분별한 도시 확장으로 많은 조경가는 ‘지속가능한 도시란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을 품었다. 그들은 이러한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과 ‘도시생태학’에 집중했다. 조경과 건축 분야에서 발전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은 도시설계에서 부수적인 요소로 간주됐던 경관을 중심 요소로 격상시켰다. 또한 ‘경관생태학’을 기반으로 발전된 ‘도시생태학’은 경관을 도시 생태계의 구조적·기능적 단위로 바라보았고, 도시의 생태학적 패턴 및 프로세스를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 토지이용의 변화를 이용했다. 신선하고 창의적인 두 이론은 그린인프라스트럭처 등을 통해 도시 내 조경 공간으로 구현됐으며, 지속가능한 도시를 설계하는 데 좋은 실마리를 제공했다. 그러나 최근 도시들은 기후 변화로 급증한 수많은 재해에 의해 무너질 수 있는 ‘지속가능하지 않은 도시’의 징후를 보이기 시작했다. 이는 대기 및 수질 오염, 생태계 파편화, 열섬 현상 등과 같은 문제를 동반했고 지진, 태풍, 홍수, 가뭄 등에 의한 피해를 심화시켰다. 많은 학자는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전략이 부족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과 주로 토지이용만을 다루는 ‘도시생태학’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이를 융합한 ‘생태적 어바니즘’을 새로운 대안으로 내세우며 연구를 진행했다. 또한 예측 불가능한 교란을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인 도시 리질리언스을 갖춘 회복력 있는 도시를 구현하고자 했다.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의 조경학 교수인 앤 스펀(Anne Spirn)은 생태적 어바니즘은 회복력 있는 도시를 설계하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이를 바탕으로 도시 환경을 설계하는 조경가는 도시 리질리언스를 증진시킬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회복력 있는 도시를 조성하고자 하는 조경가는 생태적 어바니즘을 기반으로 도시 시스템을 다섯 가지 렌즈를 통해 바라볼 수 있다. 첫째, 도시를 자연환경의 일부로 바라볼 수 있다. 둘째, 도시를 생태계의 원리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도시란 동태적이고 상호 연계된 복잡계다. 넷째, 그 도시만이 가진 고유한 역사와 맥락이 있다. 마지막으로 도시설계는 미래의 변화에 대한 적응을 위한 강력한 도구라는 점이다. 즉 생태적 어바니즘은 도시를 하나의 역동적인 생태계로 바라보고 있으며, 이러한 관점은 도시가 예측 불가능한 재해에 적응할 수 있는 회복력 있는 도시를 실현을 가능하게 한다. 회복력 있는 도시를 구축하기 위해 록펠러 재단은 2014년부터 ‘100 리질리언트 시티(100 Resilient City)’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그들은 서울을 포함한 전 세계 100개 도시를 선정하여 도시마다 취약한 재해 혹은 교란의 종류를 분석하고 이에 적응할 수 있는 전략과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재정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환경과조경342호(2016년10월호)수록본 일부 전진형은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환경생태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습지생태계 조성과 생태환경회복기술 개발,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한 도시 내 저탄소 경관 디자인 요소 개발 및 야생생물 군집 변화 모델링등 생태계 복원 및 설계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생태학적 이론과 과학적 데이터를 근거로 한 다양한 디자인 시뮬레이션을통해 설계 단계부터 시공 후까지 생태계 변화를 예측하여 대상지가 지속가능할 수 있는 생태적 조경 설계와 유지관리 방안을 연구하고 교육하고있다. 최근에는 생태환경의 보존과 인간의 이용 및 개발의 조화라는 패러독스를 해결하기 위해 디자인을 통한 생태회복성(eco-resilience)에관심을 갖고 이를 조경 분야에서 적용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시네마 스케이프] 플라워 쇼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 자연을 가장 가까운 곳에서 체험할 수 있는 정원 문화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한 편의 영화가 곧 개봉한다. 원생의 자연을 정원 예술로 승화시킨 메리 레이놀즈(Mary Reynolds)의 실화를 그린 영화 ‘플라워 쇼’는 자연의 위대함을 예찬하며 시작한다. 메리는 정원 ‘켈트족의 성소’로 2002년 첼시 플라워 쇼에서 금메달을 수상했다. 그녀의 나이 28세 때다. 영화를 계기로 들여다 본 첼시 플라워 쇼는 우리에게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한다. 스타 가든 디자이너, 오랜 준비와 기획, 막대한 예산과 스폰서, 정원 문화에 대한 관심과 파급 효과 등이 그것이다. 메리는 오래된 산사나무와 야생화, 켈트족의 흔적으로 둘러싸인 아일랜드 초원에서 뛰어놀며 자랐다. 어릴 때부터 자연을 벗 삼아 자란 사람에게는 꽃과 나무를 책으로 배운 사람과는 다른 어떤 정서가 있다. 배꽃 향기가 하루 중 어느 때 제일 진한지, 산길 모퉁이 빨간 열매는 얼마나 시큼한지 직접 체험하지 않고는 알 수 없다. 어릴 때부터 요정의 들판이니 땅의 정령이니 하는 것을 상상하며 자란 메리가 야생화를 기반으로 지역 정체성을 반영한 정원을 디자인하게 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도시 변두리 골목에서 동네 아이들과 술래잡기와 땅 따먹기를 하면서 자란 조경하는 어떤 여자는 아직도 벌레 한 마리 등장에 기겁을 한다나. 감독은 자신의 집 정원 디자인을 메리에게 의뢰한 것이 계기가 되어 자서전을 토대로 영화를 만들었다. 정원 디자이너의 꿈을 키우던 메리는 부푼 꿈을 안고 더블린에 가서 취업했다가 좌절을 겪고 난 후 첼시 플라워 쇼에 도전하기로 마음먹는다. 첼시 플라워 쇼는 1827년에 치스윅 가든에서 처음 열린 치스윅 페트(Chiswick Fete)로 시작한 행사로 그 역사가 깊다. 영국에서는 크고 작은 꽃, 정원 관련 전시회가 연중 1천 회 이상 개최된다. 영국 왕립원예협회(RHS)는 네 개의 정원(Wisely, Rosemoor, Hyde Hall, Harlow Carr)을 소유하여 관리하고 있다. 이 정원들을 통해 교육과 연구를 지속하고 가드너를 배출한다. 협회가 개최하는 첼시 플라워 쇼는 메리와 같은 열정을 가진 디자이너라면 꿈꿀 만한 영국의 대표적인 플라워 쇼다. ...(중략)... *환경과조경342호(2016년10월호)수록본 일부 서영애는 ‘영화 속 경관’을 주제로 석사 학위를 받았고, 한겨레 영화 평론 전문 과정을 수료했다. 조경을 제목으로일하고 공부하고 가르치고 있으며 영화를 삶의 또 다른 챕터로 여긴다. 영화는 경관과 사람이 구체적으로 어떻게관계 맺는지 보여주며 인문학적 상상력을 풍부하게 만들어주는 텍스트라 믿고 있다.
[떠도는 시선들, 큐레이터 뷰] '전선'에서 건축이 나아갈 길
제15회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의 주제는 ‘전선에서 알리다(Reporting from the Front)’로, 여느 비엔날레보다도 사회적 분쟁 속에서 건축의 역할에 주목한다. 지난 호에서는 65개 국가관에서 다루는 이슈를 통해 각국의 현실과 동시대 건축의 사회적 제안 방식들을 살펴보았다. 사회적 위기에 맞선 건축의 메시지는 총감독의 지휘 하에 기획된 본 전시에서 88팀의 건축 프로젝트로 제안되었다. 이번 글에서는 본 전시를 통해 동시대 위기의 실체와 건축이 이로부터 모색하는 사회적 대응 방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건축이 ‘전선’에 나섰다. 이 선전 포고는 올해의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 총감독인 칠레 건축가 알레한드로 아라베나(Alejandro Aravena)가 내건 것이다. 아라베나의 접근은 2012년 데이비드 치퍼필드(David Chipperfield), 2014년 렘 콜하스(Rem Koolhaas)보다도 더 현실적이고 적극적인 방식으로 건축의 사회 참여를 강조한다. 이러한 아라베나의 견해는 작년 베니스 비엔날레 미술전 감독인 오쿠이 엔위저(Okwui Enwezor)의 관점과도 연결된다. 작년의 비엔날레는 ‘모든 세계의 미래(All the World’s Futures)’라는 주제로 동시대적 분쟁과 정치적 상황으로부터 예술의 사회적 발언을 불러 모았다. 작년과 올해 근 2년간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비엔날레가 사회 정치적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이다. 베니스 비엔날레뿐만 아니라 전 세계 곳곳의 예술 행사와 전시들에서 분쟁, 경제난, 재난, 테러 등의 위기로부터 예술의 현주소를 모색하는 장면을 심심찮게 볼 수가 있다. 오늘날 세계는 미학적 질서가 지배적이었던 주류 건축계마저도 사회적 역할을 내세울 정도로 각종 위기 상황에 봉착해 있다. 이번 비엔날레가 모색하는 건축의 역할은 도시와 주거, 건축의 범주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는 아라베나가 글에서 언급하듯, ‘불평등, 지속가능성, 불안, 분리, 교통, 환경 오염, 폐기물, 이주, 자연재해, 비정형, 주변부, 주거난’ 등 인간의 기본적 요구와 인권이 걸려 있는 문제다. 건축의 경각심: 폐자재로부터 건축으로 아르세날레(Arsnale) 본 전시장에 들어서자마자 마주하는 공간 설치 작업은 비엔날레 주제를 첫 진입부터 강렬하게 전달한다. 전시의 인트로에 해당하는 이 공간은 큐레이터 팀이 구성한 것으로, 작년 비엔날레의 공간 구조물이었던 폐자재 100톤을 재활용한다. 전시장을 둘러싼 1만m2의 석고 보드는 그 양을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수평적인 층으로 벽에 빼곡히 쌓인다. 천장에 가득히 매달린, 모두 합쳐 14km에 달하는 철골은 전선의 위기감을 철재의 거친 물성과 수직적 형태로 구현해 보인다. 건축의 엄청난 폐자재는 사회, 경제, 환경적 문제에 일조하는 큰 골칫거리다. 지난 비엔날레의 폐자재를 활용하는 설치물은, 오늘날 건축 환경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운다. 인간은 건축으로 인해 발생하는 산업 폐기물을 계속 생산할 것인가? 최초의 생산자인 건축이 이를 다시 재활용할 수 있는 다른 방안은 없는가? 아라베나는 이 공간에 전시 준비 과정을 담은 영상을 설치하고, 88명의 본 전시 참여 건축가들과 논의한 서신 자료들을 공개한다. 감독과 건축가들이 주고받은 이메일 서신에는 전시를 준비하며 대화한 질문과 답신, 논의의 과정이 담긴다. 인트로 공간에서는 폐자재가 내뿜는 강렬한 메시지와 더불어 관객과의 섬세한 교류가 시작된다. ...(중략)... *환경과조경342호(2016년10월호)수록본 일부 심소미는 독립 큐레이터이며 미술과 도시 관련 비평을 쓰고 있다.‘신지도제작자’(2015), ‘모바일홈 프로젝트’(2014) 등 현대 미술과 도시 연구를 매개한전시 기획을 해왔으며, 도시 개입 프로젝트 ‘마이크로시티랩’(2016)을 선보일 예정이다.2016년 난지창작스튜디오 연구자 레지던시에 입주해 활동 중이다.
베를린 인디 공간, 어벤져스 파티!
8월 한 달 동안 31개의 독립 예술 공간이 오픈 스튜디오를 진행하는 축제가 베를린에서 열렸다. 바로 ‘베를린 프로젝트 스페이스 페스티벌(Project Space Festival Berlin, 이하 PSF)’이다. PSF는 2014년 베를린에서 시작되어 올해 3회를 맞았다. ‘프로젝트 스페이스’의 개념을 한국식으로 쉽게 설명하자면 대안 예술 공간에 가장 가깝다. 하지만 단순한 전시 기능 외에도 생계형 스튜디오의 특성을 지니거나 다양한 독자 프로젝트가 진행된다는 점에서 ‘독립 예술 공간’으로 보는 편이 더 옳다. 독립 공간이란 대규모 상업 자본이나 관 혹은 시에서 주도하는 형태가 아닌, 예술 독립군들이 제멋대로 운영하는 공간이며 개별적인 성격과 목소리를 가진다는 점에서 중요한 언더그라운드 문화 집결소로 주목할 만하다. 베를린과 언더그라운드 문화의 긴요한 관계 언더그라운드 문화와 현대 예술의 최전방 도시답게 베를린 시에 존재하는 프로젝트 공간만 무려 200개가 넘는다고 한다. 매년 100여 곳이 이 페스티벌에 참가 신청서를 접수하고 그중 심사를 통해 선정된 31개 공간이 페스티벌에 참여한다고 하니, 가히 ‘인디 공간 어벤져스 파티’라고 칭할 만하다. PSF는 베를린의 작은 대안 공간 ‘인시투(nsitu)에서 시작됐다. 2012년 1980년대생 젊은 큐레이터 세 명이 만든 이 공간은 큐레이토리얼적 실험과 퍼포먼스, 비디오 상영, 전시 등 현대 예술에 관한 실험을 선보이는 비영리 예술 공간이며 현재까지도 운영되고 있다. 그러던 중 2014년부터 베를린의 실험적 공간 30여 곳을 모아 페스티벌을 벌이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한 것이 PSF다. 매해 다른 테마가 선정되고 심사위원도 이에 따라 새로 뽑힌다. 심사위원은 아티스트, 페스티벌 운영 위원, 큐레이터, 저널리스트 등으로 구성되며, 올해의 주제는 노마드다. 이에 따라 베를린 외부에 위치한 브루흐 & 달라스(Bruch & Dallas), 코미디 클럽(Comedy Club), 토코노마(TOKONOMA)가 참여했는데, 디아스포라(diaspora)를 정체성으로 둔 공간이 대거 참여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번 페스티벌은 처음으로 베를린 시에서 시티 택스(city tax) 지원을 받게 되었는데, 특히 이 지원금이 베를린 광관 조세에서 기인했다는 점이 의미가 깊다. 시티 택스란 관광 숙박비에 매겨진 일정 금액의 세금으로, 올해에는 이 중 일부를 페스티벌에 지원해 참여자에게 참가비를 받지 않고 오히려 소정의 아티스트 피(fee)를 지급했다는 점이 고무적이다. 즉, 베를린 시가 “베를린의 프로젝트 스페이스들이 베를린 시에 기여하고 있으므로 시의 지원을 받는 것이 정당하다”라는 PSF 측의 주장을 받아들였다는 이야기다. 베를린 시의 독립 예술 공간에 대한 지원은 상당히 관대한 편이다. 베를린은 매년 실험 공간 한 곳을 선정하여 3만 유로의 상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인디 문화와 공간에 대해 인식하고 공존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인디 공간들은 끊임없이 자신의 목소리를 드러내는 데 에너지를 아끼지 않는다. PSF는 31개 공간에 24시간을 공평하게 제공하고, 그들의 목소리를 대중에게 확장하는 장을 활짝 열어젖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프로젝트 공간과 베를린이라는 도시가 어떤 관계냐고 묻는다면, 베를린의 특수한 역사를 언급할 수밖에 없다. 동독과 서독의 장벽이 허물어지면서 형성된 도시 베를린은 예술과 저항 정신이 살아 숨 쉬는 곳이다. 스쾃(squat) 운동가들은 버려진 건물을 점거하고 예술 활동을 벌였으며, 베를린 장벽이 허물어질 당시에는 온갖 예술가가 모여 벽화를 그리고 게릴라 콘서트를 열었다. 베를린 거리를 걸으면 이런 인디 정신이 자연스럽게 느껴진다는 점이 신기할 뿐이다. 또한 전 세계의 이민자가 모이는 디아스포라 도시답게 프로젝트 스페이스의 수도 많고 운영 형식이나 성격도 매우 다양하다. 31개 공간은 베를린 전역에 흩어져있다. 위치만큼이나 성격도 다양하고 분명하며, 다양한 젠더와 인종 어젠다를 내걸고 있다. ...(중략)... *환경과조경342호(2016년10월호)수록본 일부 조숙현은 연세대학교 영상 커뮤니케이션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영화 전문지 『Film 2.0』과 미술 전문지 『퍼블릭아트』에서 기자로 일했으며, 저서로는 『내 인생에 한 번, 예술가로 살아보기』(스타일북스, 2015)와 『서울인디 예술 공간』(스타일북스, 2016)이 있다. 젠트리피케이션에 깊은 관심을 두고 있으며, 서울이 예술가가 공존할 수 있는 도시가 되기를 꿈꾼다.현재 현대 미술의 희망 도시 베를린에서 표류 중이며, 인디 공간의 미래를 베를린에서 찾을 수 있기를 바라는 희망찬 마음으로 이 글을 썼다.
몬트리올 미술관 앞 ‘미로’
아스팔트 도로 틈에서 피어난 민들레는 봄의 시작을 알리는 꽃이다. 회색빛 도로 위에서 빛나는 노란 꽃잎에서 우리는 생명력을 느낄 수 있다. 무채색 건물이 줄지어 선 셰르브루크Sherbrooke 거리에도 민들레처럼 톡톡 튀는 색채를 자랑하며 활기를 내뿜는 공공 예술 작품이 나타났다. 바로 몬트리올 미술관Montreal Museum of Fine Arts 앞에 설치된 NIP 페이자주NIP Paysage의 작품 ‘미로Labyrinth’다. 캐나다 몬트리올에 위치한 셰르브루크 거리는 대학교와 박물관, 미술관 등이 모여 있는 문화의 거리로, 이곳에 자리 잡은 몬트리올 미술관은 1860년대에 세워진 캐나다에서 가장 오래된 미술관이다. 미술관은 렘브란트, 피카소, 모네 등 20세기 이전의 유럽 미술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신관, 장-노엘 데스마레이즈 파빌리온Jean-Noël Desmarais Pavilion과 캐나다의 현대 미술 작품을 비롯해 퀘벡 출신 화가의 컬렉션을 볼 수 있는 구관, 미할 & 레나타 호른스타인 파빌리온Michal & Renata Hornstein Pavilion으로 나뉜다. 두 개의 파빌리온은 교차로 하나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고 있는데, ‘미로’는 이 교차로 위에 설치되었다. ...(중략)... *환경과조경 342호(2016년 10월호) 수록본 일부
매직 브리즈
인도 전통 건축 양식이 현대적인 스타일의 미로 정원으로 재해석됐다. 베이징과 빈을 기반으로 한 건축, 도시, 조경 스튜디오인 펜다Penda 스튜디오는 동양과 서양의 다양한 문화적 기반을 하나의 디자인 언어로 해석하는 프로젝트를 주로 수행하고 있다. 펜다는 인도 부동산 개발 회사인 푸자 크래프티드 홈즈Pooja Crafted Homes로부터 의뢰를 받아 인도의 하이데라바드Hyderabad에 있는 주거 단지의 조경 프로젝트를 맡게 되었다. 네남퍼Neknampur 호수를 마주보고 있는 대상지는 자연 친화적인 고급 주거 단지로 개발될 예정이다. ...(중략)... *환경과조경 342호(2016년 10월호) 수록본 일부
[편집자의 서재]로드
때때로 배경은 인물의 표정이나 대사보다 많은 것을 전달한다. 주인공의 눈물 대신 하늘에서 폭우가 쏟아지기도 하고, 가로등 불빛만이 유일한 조명인 골목길은 스릴러 영화의 단골 소재다. 뜨거운 햇볕이 내리쬐는 여름 풍경은 청춘의 상징으로 곧잘 사용된다. 영화 ‘러브레터’에서 여주인공이 잘 지내냐는 외침을 던지는 장소가 짙푸른 수목이 우거진 산이었다면, 설산의 풍경을 배경으로 두었을 때만큼의 감동을 줄 수 있었을까? 끝없이 펼쳐진 하얀 눈밭은 영화의 분위기와 상대에게 닿을 수 없는 물음을 더욱 먹먹하고 아련하게 그린다. 『로드The Road』의 배경은 잿빛이다. 잿빛은 파괴된 도시의 모습과 희망이 없는 미래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모든 것이 전부 불에 타버린 도시에는 색이 없다. 부서진 아스팔트, 바람에 날리는 재, 금이 간 건물, 신발에 끈끈하게 달라붙는 정체를 알 수 없는 무언가 등 명도나 질감에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 모두 회색빛이다. 일반적으로 희망이나 생명력을 상징하는 나무도 이 책 속에서는 어둡고 무거운 분위기를 연출할 뿐이다. 숯덩이처럼 타버려 하늘을 향해 뻗은 날 선 나뭇가지가 메마른 느낌을 더하고, 검은 상록수 숲 사이에서는 알 수 없는 무언가가 튀어나올 것 같아 긴장을 늦출 수 없게 한다. 유일하게 색을 지닌 것은 조리된 고기의 단면에 맺힌 핏물이나 고장 난 자판기에서 발견한 코카콜라 캔(붉은 물체 중 가장 선명하게 묘사되는데, 책의 저자인 코맥 매카시는 과거 코카콜라의 지원금을 받아 생계를 유지할 수 있었다고 한다) 등의 먹을거리와 계속해서 도시를 태우고 있는 불길과 소년의 마음속에 있다는 ‘불’이다. 모든 생명체를 비롯해 문명, 인간성까지 파괴된 세계에서 생명력 또는 희망을 품은 것만 색을 지니고 있다. 한 남자와 그의 아들의 언제 끝날지 알 수 없는 흑백의 여정 사이에서 툭툭 튀어나오는 색들은 어둠에 지친 마음을 달래준다. 회색빛 세계에 『로드』의 불친절한 전개 방식은 막막함을 더한다. 일반적인 재난, 지구 종말을 다룬 작품과는 달리 이 책은 세계가 불타버린 이유를 설명해주지 않는다. 소설 ‘눈먼 자들의 도시’에서처럼 원인을 알 수 없는 전염병이 사람들의 눈을 멀게 했다는 수준의 설명은커녕, 언제부터 세계가 타기 시작했는지도 알려주지 않는다. 이야기가 시작될 때부터 남자와 소년은 당연하다는 듯이 파괴된 도시 위를 걷고 있었다. 둘의 관계나 이름 하나 나오지 않지만, 둘의 대화에서 ‘아빠’라는 호칭이 오가는 것으로 부자 관계라는 것을 짐작할 뿐이다. 여정의 목적이 무엇인지도 알 수 없다. 이야기에는 어떤 극적인 요소도 없다. 먹을 것을 찾고, 잠자리를 찾고, 바닷가로 향하는 길을 찾는 일이 반복되며 시간은 흐른다. 수식어구 하나 없는 문장으로 표현된 풍경과 담담한 대화를 통해 이들의 여정을 따라가다 보면 자연스레 마음이 답답해진다. 그 긴 시간을 “한 해가 저물어 갔다. 몇 월인지는 알 수 없었다”라는 두 문장만으로 표현하는 대목에서는 어떤 공포감마저 느껴진다. 영화 ‘그래비티’에서 스톤 박사가 어디가 끝인지,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 수 없는 우주에 홀로 남겨졌을 때처럼. “제가 죽으면 어떡하실 거에요? 네가 죽으면 나도 죽고 싶어. 나하고 함께 있고 싶어서요? 응. 너하고 함께 있고 싶어서. 알았어요.” 부자의 담담한 대화에는 부성애와 더불어 고독에 대한 두려움이 함께 녹아있다. 식량을 약탈하려는 사람이나 인육을 먹는 사람과 마주했을 때 느끼는 공포와는 다른 종류다. 긍정적인 일을 상상할 수 없는 참담한 현실 속에서도 이들의 여정은 계속된다. 그저 길이 있기 때문에 걷고 있는지도 모르지만, 어두운 현실 때문에 소년의 가슴 속 희망을 상징하는 ‘불’이 더욱 귀하게 느껴진다. 살아남기 위해 상대를 해쳐야 하는 상황 속에서 “그 작은 아이 기억나요, 아빠?”, “그 아이 괜찮을까요?”, “길을 잃었던 걸까요?”, “길을 잃었던 걸까봐 걱정이 돼요”라며 지나쳐온 아이를 걱정하는 아이의 대사가 밝게 빛난다. 소설 초반부, 남자는 우연히 자신이 살았던 집을 방문하게 된다. 집 안의 가구를 손으로 쓸어내리며 과거를 추억하는 모습에 나 역시 어린 시절 살았던 동네를 떠올렸다. 같은 동네 안에서 서너 번 이사를 다녔던 탓에 집보다는 골목에 쌓인 추억이 많은데, 체계적인 계획 없이 만들어져 삐뚤빼뚤한 형태로 조성된 골목길은 숨바꼭질을 즐기기에 안성맞춤이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골목은 말끔한 선을 따라 재정비되었고, 몸을 숨길 수 있었던 낮은 벽돌담은 범죄 예방을 위해 허물어졌다. 때때로 옛 동네를 지나갈 때면 아파트에 사는 아이들보다 주택에 사는 내가 더 많은 추억을 가졌을 거라는 생각이 얼마나 건방진 것이었나 생각하게 된다. 아파트를 허무는 일이 주택을 허무는 일보다는 어려우니, 추억을 되새김할 수 있는 시간도 길 테니 말이다. 이번 달의 특집인 광교신도시에 사는 아이들은 어디에 추억을 쌓게 될까. 아파트 단지 뒤쪽으로 펼쳐져 있는 사라질 염려가 없는 호수공원이 문득 부러워진다.
[CODA] 11만2천5백
남기준 편집장의 코다를 오매불망 기다리고 계실 독자 여러분께 죄송하게도 이번 달도 코다를 쓰고 있다. 편집장과 번갈아 쓰고 있는 이 지면을 석 달째 붙들고 있는 이유는 두 가지다. 우선 지난달에도 말씀드렸듯 10월 여러분께 찾아갈 ‘2016 서울정원박람회’ 때문이다. 지금 이순간도 박람회 준비로 동분서주하고 있는 편집장의 낭랑한(!) 전화 통화 목소리가 귓가를 간지럽힌다. 그리고 다른 이유는 편집장이 동심원의 20주년 기념 작품집 제작 역시 총괄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조경계에서 한 설계사무소가 20년을 버텨왔다는 것도 축하할 일이지만, 그 기록을 남긴다는 점도 반길 만하다. 20주년을 기념하는 책자라면 한 기업의 사적 기록이기도 하지만 조경계의 역사라고 부를 법하다. 최근 몇몇 설계사무소에서 작품집을 만들기 위해 사진작가에게 작품 촬영을 의뢰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조경계가 어렵다고들 하지만 크고 작은 사무실들이 작품집을 만든다는 소식은 좋은 징조처럼 보인다. 책을 만드는 과정은 과거를 정리하고 반추하며, 미래를 위해 장점과 강점을 찾아가는 과정과 다르지 않을 테니 말이다. 스스로의 작업을 존중하고 아끼지 않는다면 누가 우리를 존중하겠는가. 결론은 그래서 이번 달도 바쁜 편집장을 대신해 코다를 쓰고 있다는 이야기다. 그리하여 서울정원박람회 오픈이 코앞에 다가온 지금, 그 뒷이야기로 이 지면을 채워볼까 한다. 식물을 경험하는 또 다른 감각 성황리에 사전 접수가 마감된 ‘해설이 있는 정원 투어’는 서울정원박람회장에 조성된 정원을 전문 가드너와 함께 돌아보며 식물과 자연스럽게 친해질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김성식 국립수목원 식물클리닉센터장, 노회은 제이드가든 가드너, 남수환 천리포수목원 가드너, 한택식물원의 강정화 이사, 그리고 더가든의 김봉찬 대표와 김장훈 전문정원사까지 총 6명의 전문가가 흥미로운 정원 식물의 세계로 여러분을 안내할 예정이다. 그런데 이 프로그램에는 본래 독특한 디테일이 더 있었다. 기획자인 이형주 기자가 장애인을 위한 정원 투어를 제안했다. 감각에 제한이 있는 사람도 정원을 통해 자연과 접하는 기회를 만들어보자는 의도였다. 저널리스트 고규홍에게 투어 해설을 부탁드렸다. 고규홍은 시각 장애인 피아니스트 김예지와 나무 바라보기를 시도한 경험을 담은 『슈베르트와 나무』라는 책을 펴냈고, 이 기자는 이 두 사람의 사례에 감화된 상태였다. 정원 투어 요청에 대해 이 기자가 받은 답변은 이러했다.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여러 사람과 짧은 시간에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아니다. 고규홍은 김예지와 1년 가까이 교감한 덕택에 그녀가 나무를 느끼는 데 중계자 역할을 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 관계도 한쪽이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이 아니었으며, 두 사람 모두 식물에 대한 또 다른 시각을 배우는 과정이었다는 전언은 인상적이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장애인과 교감하는 방식에 관해 특강을 열어보는 게 어떻겠냐는 제안을 역으로 해주기도 했다. 조경가나 전문가들에게 정원을 조성하는 데 색다른 시각을 던져주고 싶다는 것이 이유다. 여러 여건상 그 특강은 이번 박람회에서 성사되지 못했지만 이 일련의 대화는 우리에게도 의미 있는 과정이었다. 오팔지 휘날리며 그리고 많은 고민과 토론, 시행착오 끝에 점차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그늘막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박람회의 개ㆍ폐막식, 정원 음악회를 비롯한 각종 공연, 영화 상영 등이 벌어질 박람회장 중앙무대 앞 광장에 그늘막을 설치하는 미션에 관한 이야기다. 200여 평에 달하는 면적을 가려야 하므로 기성품으로는 해결하기 힘들었다. 처음에는 천막을 치듯 광목천을 씌우려고 했지만 천의 무게를 감당하는 기초의 천문학적(!) 제작비 때문에 좌절되었다. 그다음 등장한 아이디어가 헬륨 풍선으로 그물망을 지탱하는 안이었다. 그러나 헬륨 풍선은 7시간 밖에 못 견딘다는 한계 때문에 탈락. 그럼 이번엔 일반 풍선. 애드벌룬 업체에서는 바람이 불면 그물을 지탱하던 풍선이 터져 버린다며 고개를 저었다. 이어진 난상토론 끝에 나온 아이디어가 그럼 가벼운 셀로판지를 달자는 것이었다. 반신반의하던 차에 L.A.의 퍼싱 스퀘어(Pershing Square)에 설치된 ‘Liquid Shard’가 확신을 주었다. 그물망에 불투명한 셀로판지를 달아 하늘로 날리는 영상은 우리에게 한줄기 빛처럼 다가왔다. 그물망에 투명한 셀로판지를 달아 타프(tarp)를 치듯이 지지하기로 결정하고 좋은 아이디어라며 환호성을 질렀다. 기쁨도 잠시, 그늘막 디자인을 맡았던 C 실장은 매번 초조한 얼굴로 편집부 문을 밀고 들어왔다. C 실장은 셀로판지를 달 그물망을 찾아 전국을 뒤졌다. 새를 막는 방조망부터 차량 덮개용 그물, 운동 경기용 네트까지 알아본 끝에 부산에서 적당한 어망을 발견했다. 그물코를 계산해 어망을 제작하니 이번에는 셀로판지가 문제로 떠올랐다. 도대체 어느 정도 간격으로 몇 장이나 달아야 할까. 이때 쓰인 셀로판지의 이름은 업계 용어로 ‘오팔지’, 쉽게 설명하면 사탕 포장지다. 환경과조경 사무실 한쪽 구석에서 마케팅팀의 P 부장과 H 대리가 그물망과 씨름하며 적당한 모듈을 찾아냈다. 그 모습을 보고 있자니 옛 동기가 떠올랐다. 졸업 후 유명 패션 디자이너의 휘하에 들어간 지 한 달 만에 파리 패션쇼 준비를 한다기에 모두들 부러워했다. 그런데 비즈(beads) 2천 개를 일일이 달고 있다는 말을 듣고 모두들 다시 한 번 놀랐던 기억이 있다. 그러나 2천 개 쯤은 별거 아니라는 결론이다. 계산 결과 11만2천5백 조각의 오팔지가 필요했다. 그 다음의 제작 과정은 독자들의 상상에 맡기겠다. 제발 청명한 가을 하늘에 오팔지가 만국기처럼 휘날리기를 기원하며 이 글을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