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찰스 젱크스의 엘리멘틀 하우스
    엘리멘틀 하우스는 민국 동,중서부의 혹한과 혼잡한 도시로부터 항상 바닷가의 맑은 날씨를 즐길 수 있는 자연의 옥외생활로 도피하고자 하는 이상에 부응하고 있다. 거기에서 엿볼 수 있는 중심 사상은 세련된 원초주의(primitivism)이다. 7개의 구조물들로 구성된 엘리멘틀 하우스에서 개개의 구조물은 정형적으로 만들어졌지만 전정과 수영장이 있는 중정 주위에 혹은 정원 공간 안에 비정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 키워드 : 찰스 젱크스, 엘리멘틀 하우스, 대지의 문, 물의 퍼빌리언, 대기의 퍼빌리언, 침울한 사람의 정원, 은자의 집 ※ 페이지 : p98~p103
  • “조경이란 도시와 인간 그리고 자연의 조화” - 나기정 청주시장
    「조경이란 자연과 인간, 도시건축물과의 조화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지금 청주를 비롯한 각 도시환경구조 속에서 조경은 악세사리에 불과합니다. 앞으로는 도시구조와 문화사업을 추진 할 때 조경관계인도 참석해 진정한 도시가꾸기 작업에 들어가야 할 때입니다.」 비록 경제학을 전공한 그이지만 그의 조경과 문화환경에 대한 남다른 식견은 첨단사업부지가 들어서는 공단 부지 조성에도 한몫하고 있다.「불란서 지중해 연안 부근의 ‘니스’라는 도시에 첨단산업이 조성되어 있는데 그곳이 자연의 형태를 살린 곳입니다. 청주의 첨단공단부지도 이와 같은 기법을 적용해 지금 착공 중에 있습니다.」또한 건물을 짓고 시설물을 설치하는데 있어 편의위주로 해야 되지만 그 이전에 미적 감각이 있어야 된다는 것이 그의 도시환경 지론이다. ※ 키워드 : 조경, 도시와인간, 자연의조화 ※ 페이지 p166~167
  • 6백년 수도서울, 도시환경의 맥을 짚어본다 ; 풍수로 본 서울 도시공간의 합리성
    -풍수의 보편성 문제 서울이란 땅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이 그 자리에 있다. 하지만 서울이 거쳐온 역사는 단순하지 않다. 전근대적인 왕조시대의 중심지에서 자본주의의 중심지로 탈바꿈했다. 도시의 역할과 구조가 혁명적으로 변해왔다. 봉건시대에 있어서 서울을 만든 풍수의 놀 리가 이미 질적 변화를 경험한 거대도시 서울에 대하여 더 이상 의미를 가질 수 있을지가 불분명한 것이다. -음양론과 역의 사상 음양론과 역이라는 풍수사상의 기반을 살펴볼 때 생명가치의 존중과 인간과 자연의 조화와 화해를 통한 삶의 지속성 추구가 중시됨을 알 수 있다. 이것이 풍수의 정신이며 서울은 이러한 정신이 투영되어 비로소 원형을 갖게 된 것이다. -서울의 풍수 서울의 땅은 삼각산과 한강의 만남으로 이루어진다. 이들이 음양의 두 중심축인 셈이다. 삼각산은 서울 강북지역의 전역에 산맥을 뻗어 지기를 흘려보낸다. 한강은 서울 전역에서 흘러나온 물을 모아 흘러간다. 삼각산에서 뻗은 주맥이 만든 서울의 중심이 북악산이다. 삼각산이 서울전체를 주관한다면 북악산은 사대문(四大門) 즉 이 내명당(內明堂)이다. 내명당의 물은 청계천으로 모여들어 한강과는 역방향으로 흐른다. 내명당은 인왕산과 낙산 그리고 남산으로 보호된다. 좌우용호(左右龍護)와 주산(主山)인 북안, 안산(案山)인 남산은 각각 짜여진 도시이다. 전후좌우, 안과 밖 그리고 위 아래의 균형이 잘 잡혀있다. 이중환(李重煥)이 택리지(擇里志)에서 ‘온 나라 산수의 정교함과 신령함이 모인 곳’으로 서울을 묘사한 이유도 음양의 조화가 치밀했던데 있었다고 보여진다. -서울 풍수의 의의 일제 식민지 시절부터 서울의 공간은 음양의 조화가 파기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 음을 상징하는 ‘자연’ ‘보전’ ‘비움’ ‘소박’ ‘전통’ 등과 같은 가치들은 쇠퇴하고 ‘성장’ ‘인공’ ‘채움’ ‘화려함’ ‘현대’ 등의 양(陽)의 가치만 강조되어졌다. 도시화에 따른 여러 가지 부작용들은 풍수적 입장에서 음양의 조화를 무시한 데서 기인한 것으로 이해된다. 현재 서울의 공간은 풍수로는 되돌릴 수 없는 지경에 까지 이르렀다. 상황이 이와같음에도 풍수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이 있다면 과거의 맥을 되짚어 봄으로써 당면한 문제를 제대로 볼 수 있는 안목을 기르는 것이다. -건강한 서울을 위한 풍수의 제언 서울의 도심에서 쇠락하는 기능들이 발생하고 이들이 공간이동 혹은 소멸하는 경우에 그들이 점유했던 공간을 새로운 기능으로 채울 것이 아니라 그냥 비워 두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학교, 군부대, 공장, 등이 이전하고 난 뒤 생기는 공간은 자연생태로 복원하기 위해 비워두는 것이다. 이것이 어려우면 최소한 구릉지대나 산줄기에 위치한 기능들이라도 소멸하면 이곳만이라도 비어워야 한다. 비움은 잠재력을 재충전하는 것이며 변화속에서 살아남은 융통성을 남겨두는 것이다. 비워진 공간은 서울에 고갈된 음(陰)의 성격을 살려주고 나아가 사람들의 가치관에도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키워드 : 풍수, 음양론 ※ 페이지 : p74~p79
  • 국제정원박람회를 다녀와서
    - Rosenstein Park :이 곳은 Munchen에 있는 영국의 풍경식 정원을 모델로 하여 조성한 곳으로 아늑하고 조용하며 높은 나무들과 넓은 잔디밭과 차분한 분위기를 가지고 있으며 질감이 곱게 처리되어 있어 마음에 와 닿는 공원으로 조성하려고 하였다. Carl백작(1737~1793)이 처음 이 공원을 조성, 빌헤름 I세(1816~1864)때에 이르러서 공원 이름을 Kahlen-stein에서 Rosenstein Park로 바꾸었다. 빌헤름 I세는 궁정 정원사인 J.W Bosch를 영국에 반년동안 파견하여 영국정원 기법을 배워 오도록 하여 그 결과와 자기의 Idea를 합쳐 공원을 조성하게 되었다. -Leibfriedscher garten : 이 지역은 옛날에 시청과 Villa Moser있었던 자리로서 Moser-Roht가 1875년 2.6ha의 땅을 구입하여 정원으로 꾸미기 시작하였던 역사적으로 유서깊은 곳으로 건물 이외의 지역은 아주 낭만적인 곳이었다. 또한 이 구역은 정원 조성에 있어서의 실제 Sample을 만들어(건축물+식재(교목,관목,지피류)+조경시설물) 전시하고 있었다. -Wartberg : Wartberg는 자연과 경관, 문화적으로 중요한 지역으로서 옛날부터 이 지역에는 고성(古城), 과수원, 울타리, 수림지 등이 펼쳐졌던 곳이었다. Wartberg입구부에는 광대한 수경시설이 조성되어 있었는데 cascade, 환경조형 분수(ex. 지구의 모양등··), Program분수 등이 주변 초화류와 어울려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하고 있었다. 수경시설을 위해 쓴 돈이 6백만 DM(한화 30억) 정도 투여되었단다. -Killesberg : 이곳은 지역적으로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하며 1939년에 Hermann백작과 Nilpferd공작 등이 처음에 코끼리, 캥거루 등을 방목하여 기르던 동물원의 형태로 운영하던 곳이었다. 또한 전체부지의 1/3이 과수원으로 꾸며져 있었고 높이 15m의 붉은 색이 나는 돌산과 야생초화류 등이 널려 있던 지역으로 처음부터 무엇을 의도적으로 하려고 만든 지역이 아니고 자연스럽게 공원으로 형성된 지역이란다. ※ 키워드 : Rosenstein park, Leibfriedscher garten, Wartberg, Killesberg ※ 페이지 p88~p91
  • 투수성 포장재 NEO-STONE : 골재 자체 색상으로 자연미 느낄 수 있어
    NEO-STONE은 천연색을 규격별로 선별하여 투수성이 우수한 특수수지와 혼합해 현장에서 직접 타설하는 공법으로 만들었다. 이 NEO-STONE은 골재 자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색상이 주위경관과 좋은 조화를 이루어 자연미를 한껏 느낄 수 있다. 또한 투수성 바인다와 프라이마는 내후성 내수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며 특수경화수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시공성이 매우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 키워드 : NEO-STONE, 자연의 색, 박층포장 ※ 페이지 p142~p143
  • 일본의 도시경관시책
    - 도시경관이념의 발아기 일본에서 최초로 도시경관이라는 개념이 사용된 것은 1960년대초의 일이다. 이것은 영국의 Gordon Cullen이 쓴 Townscape라는 책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것이다. 도시의 제일 큰 매력의 하나는 다양성이다. 도시를 기능적으로 분석해서 그것들을 평면적으로 재편성하려고 한 근대 도시계획은 인간의 도시체험의 본질을 만족시키지 못했다. 도시경관 시책은 이차원의 도시공간을 되찾으려고 하는 도전이였다. -도시경관시책의 계보 高藏寺 New Town 1960년대의 도시 경관 시책을 대표하는 예의 하나로 高藏寺 New Town(Kozoji New Town)계획이 있다. 이 New Town은 10만명의 계획인구를 가지고 나고야시(名古屋市)의 교외에 건설된 일본에서 두 번째로 큰 신도시이다. 일본에서 최초의 New Town인 千里New Town(Senri New Town)이 고전적인 근린주구이론을 기초로 계획된 것임에 비하여 高藏寺 New Town은 도시경관을 생각하는 방법을 받아들여 삼차원의 공간을 상징적으로 계획했다. -도시경관시책의 Key Concept --거리의 Context 도시는 물리적인 면과 공간적인 면에서도 또 그 배후에 존재하고 있는 사회적 관계의 면에서도 긴 세월에 걸쳐 형성된 고유의 Context/Fabric을 갖고 있다. 뛰어난 도시경관 시책을 진전시키기 위하여는 이러한 Context/Fabric을 무시하지 말고 그것을 정확하게 읽고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간을 위한 공간 도시경관 시책의 목적중의 하나는 사람들을 끌어들여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하는 도시공간을 만드는 것이다. 그것에는 도시공간을 특히 가로를 인간의 손에 되돌려줄 필요가 있다. --역사의 Stock 고도경제 성장을 계기로 도심에는 번쩍번쩍 빛나는 빌딩이 차례차례로 세워지고, 전국 어디에 가도 같은 풍경이 사람들을 기다리고 있으며 어느 것도 깔끔하지만 이상에 남는 거리는 좀처럼 만날 수 없었다. 역사적 건물과 구조물은 이러한 거리에 정취있는 깊이와 개성을 줄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보존할 가치가 있는 문화재 이외의 낡은 것은 도시발전의 방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존되는 문화재는 ‘동결’되어 버리는 것이 예사였다. 그러나 우리들이 필요로 하는 것은 “포르말린으로 절인”역사가 아니고 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된 역사이다. --자연의 Network 도시속의 자연,특히 물과 녹은 도시경관 시책의 기본적인 요소로서 널리 쓰여지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연못과 분수, 또 잔디나 가로수와 같은 점과 선을 사용하는 것을 중심으로한 면적인 Network로서 거리속에 자연의 요소를 받아들이고 있는 예는 많지 않다. 오히려 거리속에 남겨져 있던 낡은 수로망과 구릉의 사면의 녹은 도시화의 파도에 밀려 급속히 모습을 감추게 되었다. --이야기가 있는 거리 주변의 거리가 같은 Concept를 기초로 정비되어 “일본대정촌”의 이야기가 거리의 표정에 윤기를 더해갔다. 많은 사람들이 거리를 방문하게 되고 철도도 주변의 마을이 출자해 존속하게 되었다. 주민의 지혜가 매력있는 주제를 창조해 그들의 열의가 거리의 이야기에 피를 통하게 했다. - 무대로서의 도시공간 매력적인 거리에는 생기있는 생활이 있다. 거리가 생기있는 생활의 무대가 되기 위해서는 그 맥락을 정확하게 읽어 인간을 위한 공간을 실현하는 정비가 필요하다. 역사와 자연은 인간을 위한 공간을 만드는 귀중한 자원이다. 그리고 점과 선의 정비를 면의 경관정비에 확대해 거리에 이야기를 짜넣는 일이 가능하면 무대는 한층더 매력적으로 빛나게 될 것이다. ※ 키워드 : 도시경관, 도시공간, 거리 ※ 페이지 p80~p87
  • 대천시 동대교 기본계획(안) 현상공모 수상작
    -기본구상--구조상의 고려점 : 기능성, 내구성, 안정성, 경제성, 교통처리방법--도시경관의 고려점 ---상징성 부여 : 동대교는 대천시의 가장 대표적인 구조물로서 대천시민 뿐만아니라 외래관광객, 그리고 21번국도를 이용하는 통과차량 탑승객, 장항선 이용승객 등 많은 이용자들의 주 시각대상이 되는 것으로, 21C 서해안 시대의 중추도시로 발전해 나가는 대천시의 상징성을 부각시켜 지역의 상징요소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조형미 연출 : 기능성을 위주로 한 기존의 교량과는 달리 주변환경과의 조화 및 지역경관을 선도해 나갈 수 있는 조형미의 연출로 이용자들에게 심미성과 쾌적성을 부여토록 한다.-교형계획동대교 주변의 경관은 낮은 구릉과 저층건물이 이루는 완만한 스카이라인을 배경으로 매우 평탄한 경관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주요 특징이므로 본 계획에서는 교량의 형태가 현재의 경관에 조화되도록 하면서도 동대교의 위계상 지역의 상징요소가 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조경계획--조경공간의 디자인 개요동대교가 위치하고 있는 대천천은 대천시의 대표적 하천으로서 대천시의 주요한 산업용수이자 대천시 미기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변화요인이다. 아울러 현재 대천천의 남단 고수부지는 넓은 초지가 형성되어 있어 대천시의 중요 오픈스페이스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개별여지에 따라 그 잠재력은 무한하다 하겠다. 그러므로 본 계획에서는 대천시민의 주 동선인 동대교로부터 대천천으로의 이용패턴을 연장시켜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시민들의 휴식공간을 확보하며 아울러 동대교의 이미지 부각에 기여하려 한다. ※ 키워드 : 상징성, 조형미 연출, 교형계획, 조경계획, 조경공간※ 페이지 : p104~p105
  • 6백년 수도서울, 도시환경의 맥을 짚어본다 ; 민가정원
    민가란 우리 조상들이 살아왔던 주거공간이요, 민가정원이란 주거공간 속에서 자연을 노래하고, 자연을 벗삼아 풍류를 즐겼던 대상이었으므로 대단히 중요한 문화유산임에 틀림없다. 그럼에도 도시화와 개발이라는 명분하에 대개의 주거문화유산들은 흔적조차 없이 사라져 버렸으며 도시내에 기록과 유적마저도 찾아볼 길이 없다. 본고에서는 이런 측면에서 뿌리찾기작업의 일환으로 조선시대 서울의 민가와 민가정원에 대해 기록에 의해 더듬어보고 그나마 남아서 유형문화재 및 민속자료로 지정된 유산들에 대해 정리 언급하면서 향후 이들 민가정원의 발굴 및 복원 계승의 필요성과 과제들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조선시대 서울의 사회적 배경신분계층에 따른 주거의 위치와 주택규모는 적어도 기록상에 나타나는 사대부 또는 서민주택의 원형과 정원의 규모를 짐작하는데 도움이 되며, 이중에서 문화가치가 높은 민가와 정원을 발굴하고 복원하는데, 또 그 유적을 보전하는데 참고가 되리라고 생각된다.-민가주택 및 정원의 기록과 원형--개괄적인 서울의 주거문화 형태19세기 이후의 서울의 주거형태를 보면 고래등같은 큰 기와집과 게딱지같은 작은 초가들이 한데 모여있고 관청이나 왕실, 사당과 같은 관 건물과 일반사가집들이 역시 한데 어울려서 크고 작은 건물, 관과 민의 건물들이 뒤섞인 모습을 보였다. 1896년 이후 10년간의 호적대장에 의하면 당시 성안의 서린방이나 장통방같은 곳에는 1백칸을 넘는 가옥들이 여럿 있었고 50칸을 넘는 집들은 전체 성안에 2백체를 웃돌고 있었다고 알려져 있다. 동시에 10칸 이하의 집들도 성안 전체의 절반 이상이 되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다양한 규모의 집들이 서로 혼재되어 한쪽 1백여칸 집이 있는 바로 곁에 10칸에 20, 30칸짜리 집들이 뒤섞여 있었던 것이다. 당연히 그중에는 기와집이 있는가 하면 초가집들도 서로 섞여 있게 마련이었다.-기록에 나타난 민가와 민가정원여기에 소개하는 민가와 민가정원들은 소유자가 조선 6백년을 통털어 대표성이 있는 인물이고, 정원에 관한 기록이 반드시 있고, 문헌적・고증적 자료의 수집이 가능한 것으로서 향후에도 서울의 민가정원을 이해하고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되는 서울 600년사와 기타 기록에 의한 사례들을 모아 정리하고 도신화해 본 것이다.-현존하는 고주택・민가정원서울시내에 남아 있는 주택과 정원중에서 가치가 있는 것들은 대개 사적, 지방 유형 문화재나 민속자료로 지정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중심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현재 서울에 남아있는 대표적인 민가와 민가정원은 사적1점 지방 유형문화재3점과 민속자료 22점뿐으로 이중 대표적인 민가정원은 성락원(城樂苑), 석파정(石波亭), 부암정(付岩亭)이다. -서울의 지형경관적 조건과 민가정원의 위상청계천을 따라 1910년 고종 당시 도성내에 있던 다리의 숫자만도 76개 도성외 10개가 있었다고 하니 개천이 얼마나 컸고 깨끗하였으며 주변경관이 좋았는가를 짐작 할 수 있다. 다라서 사대부집 민가의 배치는 주로 산세와 수경관이 겸비된 곳에 배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민가는 건축적으로 조정(朝庭)에서 정해준 규모를 초과해서 짓지는 않았지만 대지의 규모와 주변 풍광은 크게 재재를 받지 않았으므로 자연을 벗하고 노래할 수 있는 곳에 택지를 택하여 가치있는 것들이 많았다.민가는 사람이 살았던 생활공간이요. 그 정원은 생활의 장으로써 외부공간이다. 세계 어디를 가 보아도 선진국일수록 옛 선조들의 정신을 기리고 관광자원화 하기 위해 역사유적을 중요시하고 있다. 파리가 그렇고 프랑크푸르트, 런던, 로마, 보스톤이 그렇다. 남들은 비록 짧은 역사와 넓지 않은 문화속에서 과거를 들추어내고 보존 전시하여 그 나라를 빛내는데 우리 서울은 있는 것 마저 파괴하고 유념해 두지 않으니 도대체 어불성설인 것이다. ※ 키워드 : 민가, 민가정원, 민가정원의 유적 ※ 페이지 : p52~60
  • 제4회 조경,환경분야 문예,미술,사진 공모 ; 그림부분_청주대 조경학과 4학년 박종진
    환경과 조경에서 실시하는 작품공모의 취지로 보았을 때 젊은 디자이너들이 갖추어야하는 미술가적 시각과 환경의 이미지를 재현해내는 힘, 환경예술가로서 긍지를 드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줌과 동시에 환경, 조경인의 저변확대와 적극적 참여로 증진을 위한 이번 행사는 너무나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심사의 기준은 목적과 취지, 작품성, 미술재료 사용의 능력, 재현, 묘사 등 표현의 가능성과 조경과 환경디자이너가 되는데 수반되어야 하는 잠재성에 주안점을 두어 평가하였다. 여기에는 다음을 위하여 작품의 질적 수준 등을 엄격히 지켜야 하는 전제가 있었음을 부연해 두고 싶다. 모든 전황으로 보아 가작을 한 점 선정하기에 이르렀는데 작품명제 ‘경회루’(청주대 조경과 4학년)를 응모한 박종진군이 영광을 차지하게 되었다. 조경학을 전공하는 학도로서 탁월한 수채화의 표현실력과 구조 및 조형능력이 뛰어난 작품이었다고 격려하고 싶다. 미술은 미술인의 전유물이기 이전에 조경인이 갖추어야 하는 이미지 재현의 필수적 언어표현능력으로 보아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좋은 기회에 적극 참여한다는 것은 조경인으로서 으뜸이 되는 일이기 때문일 것이다. ※ 페이지 : p164
  • 지바(千葉)대학
    -지바대학 원예학부의 역사 지바대학 원예학부는 메이지42년 지바현 원예전문학교를 전신으로 출발하여, 지금까지 약 82년이라는 일본 제1의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발전하는 대학이다. 지바현립 고등원예학교(大正3년 대학명개칭)는 1949년 국립학교설차법에 의하여 지바의과대학등의 여러대학과 함께 지바대학으로 통합되고 지바대학 원예학부가 개설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지바대학 원예학부는 1991년 원예학과, 농예화학과, 조원학과, 환경녹지학과 등 학과가 생물생산학과, 녹지·환경학과, 원예경제학과로 개편되었다. -녹지환경학과 과정   --학부 : 지바대학은 학부중심이 아닌 대학원 중심의 학교이다. 먼저 원예학부 1, 2학년은 니시지바(四千葉)캠퍼스에서 교양과 전공기초를 배우고, 3학년이 되면 마쯔도캠퍼스에서 전공을 배우기 시작한다. 3학년 1년동안 마쯔도에서 생활한 녹지환경학과 학생들은 3학년 가을에 자신의 연구실을 결정, 4학년 1년을 연구실에서 보낸다. --대학원석사과정 : 대학원석사과정은 매년 각 연구실에서 1~2명 정도가 진학하고, 외국인이 1명, 타대학에서 1명정도가 진학해서 전체적으로는 매년 15명에서 20명내의 학생이 10개의 연구실에 들어오게 된다. 각 연구실은 매년 적어도 1명 많으면 3명정도의 학생을 교수가 지도하게 되나 실질적으로는 조교수(한국의 부교수와 비슷함), 조수(조교수)등이 학생들을 지도한다. --대학원 박사과정 : 대학원 박사과정은 석사(원예학부소속)와 달리 자연과학연구과의 소속으로 별도의 심사를 하고 있다. 시험일시와 방법은 석사와 비슷하다. 영어필답과 면접으로 구성되어 있고, 특히 면접의 비중이 크다. 즉 5명의 교수들 질문에 20여분을 답변해야 한다. 질문내용은 석사논문과 박사테마의 내용 및 일관성, 박사과정에 입학동기, 경제력 등이나 식은땀이 나올 정도의 어려운 질문이 가끔 나오곤 한다. -녹지환경학과 연구실--환경디자인 : 환경디자인 강좌는 주로 정원, 도시의 공원,녹지, 자연풍경지 등의 생활공간에 있어서 자연환경과 경관의 창조,육성,보전을 위하여 계획,설계기술을 교육 연구 하고있다. --환경식물학 : 인간생활에 관한 환경기반을 구성하는 식물을 중심으로, 풍요로운 녹지환경을 보전,조성하는 기초적 또는 응용적 교육연구를 하고 있다. 환경식물학강좌에는 녹지식물학연구실, 환경식재학연구실 등이 소속되어 있다. --녹지환경시스템학 : 인간생활 및 생존에 필요한 자연녹지,생산녹지,도시녹지에 대하여 각각의 녹지환경과 인간의 공존을 위한 방법을 자연과학의 입장에서 탐구하고 있다. 미심적인 개별 수림지로부터 거시적인 지구규모의 육상생태계의 보전을 목표로 그것을 구성하는 기상,토양,지형,육수,식생의 각면으로부터 각각의 특징과 구조를 분석하여 보전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교육?연구하고 있다. --개별연구실 : 녹지환경학과의 3개의 강좌에 기존의 10개의 연구실이 소속되어 있다. 각각의 연구실은 강한 개성을 바탕으로 전문분야연구와 함께 인접분야와의 학제적 교류를 진행하고 있다. ※ 키워드 : 지바대학, 원예학부, 녹지환경학과, 학부, 대학원석사과정, 대학원 박사과정, 녹지환경학과 연구실 ※ 페이지 : p138~p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