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도의 개발과 환경보전
제주도 개발특별법과 제주도종합개발계획의 시행으로 제주도 환경보전의 골격은 갖추어져 있고, 지역주민이나 행정관청의 시행의지도 강하기 때문에 제주도 고유의 자연환경은 유지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와 계획의 결과로 제주도 전체면적의 50% 이상이 여려가지 형태의 제한을 받고 있어 지역주민의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실제로 이에 대한 민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제주도 과제는 환경은 보전하면서, 지역주민의 생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지역의 경제가 성장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을 찾는 것이다. ※ 키워드 : 제주도, 환경보전 ※ 페이지 : 92-97
-
전라북도의 녹색 네트워크와 환경보전 전략
전라북도의 녹색플랜전략은 환경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그린 네트워크화 구상의 일환으로 지방행정당국에서 세부적인 추진계획을 세워 시행해야 한다. 이의 추진계획은 크게 2가지로 나누어 추진할 수 있으며 그 하나는 그린의 면적단위를 설정하여 이들 상호간의 네트워킹을 이루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린이 속하는 환경요소에서 각기 독특한 그린 네트워킹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 키워드 : 전라북도, 환경보전 ※ 페이지 : 82-91
-
광주 전남의 녹색플랜과 환경보전
광주 전남의 환경문제를 해결하여 쾌적한 자연환경을 조성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첫째 환경보전 문제의 해결에 있어서 시민, 정부, 기업의 의식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 환경오염의 주체는 가정 사회 거입이든 개개인이기 때문에 개개인의 의식전환이 없이는 처리시설을 설치하더라고 환경개선 효과를 제고하기는 어렵다.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시민 스스로가 생활하수, 쓰레기, 에너지 등을 절감하는 등의 실천 활동을 전개하지 않으면 안된다. ※ 키워드 : 광주, 전남, 환경보전 ※ 페이지 : 72-81
-
조경가의 위력과 참조경가의 사명은
원색적이거나 아니면 거칠고 음산한 식물들이 가로변에 나열된 오늘날의 도로를 달리는 국민들이 이미 역겹지 않다는 사실 그 자체가 곧 그러한 부류 식물들의 품성을 닮아있다는 현상이기에 더더욱 심각한 사회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제는 우리의 국토를 바로 알고 우리스럽게 바로 가꾸어야할 때다. 나라의 지도자는 물론 뼈대 있는 조경가들의 획기적인 시도가 요구된다. 특히 조경가들이 이나라의 국민성까지도 은연중에 뒤집어 놓을 수 있다는 점을 깊이 인식하여야 한다.
※ 키워드: 참조경가, 사명
※ 페이지 : 52-53
-
지난 3월호를 보고
일반이 구독할 수 있는 잡지되길, 환경보호에 앞장서는 매체되길, 체계적인 연재물 기획
※ 키워드: 3월호
※ 페이지 : 50
-
한국전통의 도시공원 ; 읍수
첫째로 읍수가 주로 위치한 곳은 대체로 읍의 중심이 되는 각종 건물과 시설주변이거나 읍경계를 이루는 성곽, 종교시설 등으로 결국 읍수는 읍의 중심과 경계를 강화함으로써 읍의 장소성을 돋보이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과거의 읍은 통치시설을 중심으로 읍이 형성됨으로써 관아중심적이고 관 주도적인 경향을 갖고 있으며 수직상의 배치에서도 중심건물외에는 고도제한을 하는 권위주위적 배치가 이루어져 왔다.
※ 키워드: 읍수
※ 페이지 : 140-147
-
국내 리조트개발의 성립과 전개 ; 워커힐을 사례로
한국의 전후에 있어서 리조트의 최초 발생지인 워커힐의 발전과정의 고찰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963년 개관한 국책 호텔로서 한국정부는 국가자본의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외화 획득을 목표로 하였다.
특히 주한 미군을 겨냥한 보양 레크리에이션 시설의 종합 휴양지인 리조트 호텔을 조성한 것이다. 워커힐은 1960년대부터 1970년에 걸쳐 한국관광발전의 선국적 역할과 1980년대의 한국호텔산업의 단계적 상승과 국제화에의 발전적 변화를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는 측면에서 커다란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워커힐은 외화획득이라는 경제적 효과 뿐만 아니라 본격적인 리조트나 호텔 문화를 서울 시민들의 눈앞에 보여준 효과가 대단히 컸다고 볼 수 있다.
※ 키워드: 리조트, 워커힐
※ 페이지 : 154-159
-
사철푸른 한지형 잔디의 특성, 이용 및 조성법
본격적으로 잔디를 정원에 이용하기 시작한 것은 구한말 문호개방과 함께 서양 문물이 들어오면서 부터라고 생각된다. 덕수궁에 서양풍의 정원이 생겨나 잔디가 식재되었으며, 1900년에는 원산에 외국인들을 위한 6홀 규모의 골프코스가 생겨나기도 하였다.
해방이후 산업사회로 접어들면서 잔디의 사용량은 급격히 늘어나 각종 정원 및 공원을 비롯, 도로비탈면, 경기장, 골프장 등 다양한 곳의 녹화용으로 잔디가 사용되었다.
※ 키워드: 한지형 잔디
※ 페이지 : 148-153
-
프랑스의 조경계획
다중에 의해 이해되고 수용되고 승인되는 목표를 갖지 않는 한 법은 물론 그 어떤 수단도 효력을 지니지 못한다. 같은 지역에 대한 조경계획이 여러 다른 절차에 의해 진행되고 그 중에서도 자발적 절차가 핵심적 역할을 차지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프랑스에서 한 도시나 다수 시 당국에 대한 기본적인 계획과정 마스터플랜은 따라서 혼합적인 것이다. 그것은 근본적으로 법적수단이며 종국적으로는 법조문으로 이어지는데, 지방 토지이용계획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 키워드: pierre marie tricaud, 프랑스 ※ 페이지 : 180-187
-
조경설계 시공시 고려해야 할 재료별 특성
효율적인 목재보전을 위해서는 조경용 목재의 규격화, 절제된 목재사용, 목제체결 방법의 개선 및 철저한 사후관리체계의 수립등이 심도있게 논의되어야 하며 세계적인 추세가 과거의 맹독성, 중독성의 방부처리에서 환경에 악영향이 적거나 거의 없는 저독성, 무독성의 방부방법으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에도 부합되어야 할 것이다.
이렇듯 목재보전을 위해서는 종합적인 분석과 이를 토대로 정확한 기준의 설정 및 지속적인 유지노력 등 어느 한분야도 소홀히 할수 있는 부분이 없으며 기본적으로 목재의 속성을 생명체의 연장으로서 바라보는 시각이 우선되어져야 할 것이다.
※ 키워드: 조경설계, 재료
※ 페이지 : 166-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