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장수첩(5) - 비탈면 녹화공사
- 천안-논산간 고속도로 비탈면 녹화공사 -
비탈면은 자연의 섭리에 의해 생기는 자연비탈면과 인간이 편리를 위하여 발생하는 인공비탈면으로 나누어진다. 이번호에는 인공비탈면의 생성과 그 보완에 대하여 알아보겠다.
토목공사에서 절토 또는 성토를 하면 인공적으로 조성된 사면이 생긴다. 사면을 그대로 방치해두면 빗물 및 바람에 의한 침식으로 토사가 유실되고 이로 인해 사면의 붕괴 및 목표물의 유실이 발생되며 대형사고의 원인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비탈면 녹화의 목적은 토양보존 및 자연환경의 파괴에 대한 환경보존, 훼손경관의 보전 및 새로운 자연경관의 조성에 그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비탈면 녹화공사에 사용되는 식물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빨리 성장하고 번성하는 것(양잔디류 - 특히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 토양에 대한 적응력이 강한 것(재래종 - 참싸리, 비수리 등)
· 양묘가 쉽고 대량확보가 가능한 것(양잔디, 싸리류)
· 내음성이 강한것(양잔디 - 훼스큐류)
· 파종과 식재시기의 제한이 없는 것(양잔디류)
이상과 같은 모든 조건을 만족시키는 수종이나 초종은 없기 때문에 시공의 조건이나 경관을 고려하여 어느 조건을 구비하는 것이 필요한가를 생각해서 그것에 적합한 식물을 선택해야 하고 식재지반의 토양이 절토부위인 경우 상태에 따라 인공토양이나 녹화보조제를 사용하여 비탈면 녹화에 힘써야한다.
▲ 상토면 면고르기-성토면 거적덮기 후 - 3개월 후 녹화된 모습
계약
21C는 서해안의 시대라는 말과 함께 서해안고속도로와 더불어 1996년 수도권과 서해안을 좀 더 편리하게 절약된 시간으로 연결해주는 천안-논산간 고속도로가 착공되었고, 고속도로의 마무리라 일컫는 비탈면보호공사의 경우 2000년 6월 주관사의 계약과 동시에 천안-논산간 고속도로 감리단의 감리원, 원청사의 공사과장, 그리고 시공사의 현장소장인 필자는 천안-논산간 고속도로 5공구 비탈면 보호공사의 완벽시공을 위하여 현장 실태조사에 들어갔으나 세 당사자간 각자의 이해타산이 얽혀서 해결책을 찾는 것은 어려웠으나 적정한 협의하에 시공할 수 있었다.
다음은 협의과정에서 논의되었던 사항들이다.
· 완벽한 녹화를 위한 법면의 재정리 요구(감리단 요구사항)
일반적으로 잔디(줄떼, 평떼)공사에 있어서는 잔디를 심으면서 면정리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면정리 비용이 공사금액에 포함되지만 시드스프레이 작업은 조성되어 있는 면을 가능한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시공사 입장에서는 면정리를 할 의무가 없고 세 당사자의 궁극적 목적인 완벽한 비탈면의 녹화에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감리단에서 요구하고 있는 골파기 및 면 재정리 작업은 시공상 불필요한 공종임을 수차례에 거쳐 설득한 결과 토공에서 1차 정리한 비탈면에 골파기를 생략한 면정리 작업만을 보완한 후 시드스프레이 하는 것으로 어렵게 합의점을 찾을 수 있었다.
· 녹화보호 덮개용인 거적 규격의 문제점(감리단)
감리원은 당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거적이 아니라 거적을 비탈면에 깔았을 때 흙이 전혀 보이지 않을 정도의 두꺼운 거적으로 시공을 하라고 지시하였다.
이에 필자는 시드스프레이 작업시 거적은 씨앗의 이탈을 방지하고 보온보습 작용을 해서 식물의 발아 및 생장을 촉진시키고 추후 볏집이 썩어서 거름이 되면 식물의 활착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비탈면에 덮는 것이지만 너무 두꺼운 거적은 식물이 발아되었을때 뚫고 올라오지 못할수도 있으니(특히 떡잎식물, 참싸리 등) 적절한 두께의 거적이 두꺼운 거적보다 낫다고 설득을 하였다. 이 항목의 경우 결국 감리원의 지시를 수용하여 거적공장과 합의하에 특수제작된 거적으로 작업을 하기로 했다.
·현장에 적합한 초종선택
먼저 성토면의 경우 한국도로공사에서 만들어 놓은 시드스프레이 종자 배합비를 기준으로 현장에 적합한 초종의 선택에 들어갔다. 감리단에서는 미관을 중시해서 양잔디는 초종이 짧은 TURF-TYPE의 사용을 요구하였으나 당사는 TURF-TYPE 종자는 초종이 짧기 때문에 미관은 수려하나 여름에 하고현상이 일어나기 쉽고 또한 뿌리 및 잎사귀가 일반종에 비해서 짧기 때문에 녹화의 어려움 및 법면 유실에 문제가 된다는 입장을 밝혔고 감리단과 시공사간의 충돌은 상단기간 지속되었다. 미관이냐 비탈면의 보호냐의 기로에 서서 서로의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결국은 더 이상 공정을 미룰 수 없어 감리단의 책임하에 요구사항을 수용해 TRUF-TYPE의 종자를 주종으로 작업을 시작했다. 또한 절토면의 경우 재래종 사용여부가 문제가 되었다. 절토 비탈면은 성토비탈면에 비해서 붕괴 및 유실이 되었을 때 그 피해가 휠씬 크므로 당사는 미관보다 안전을 고려하여 한국도로공사 시방기준에 따라 재래종의 사용을 요구했으나 감리단은 미관뿐만 아니라 곡선구간에서 참싸리, 비수리 등 재래종 사용은 운전자의 시야를 가릴 수 있기 때문에 사용금지를 요청하였다. 따라서 절토면에 재래종의 사용을 자재하고 법면 유실 및 붕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손파종 및 면고르기로 녹화에 최선을 다하고 원청사도 토공작업 후 법면이 오랜기간 풍화되어 유실 및 붕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적절한 공사시기의 조절을 약속했다.
김 정 일 Kim, Chung Il · (주)신해룡개발 이사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중국 북경의 호수가 있는 공원(4)
- 옥연담(玉淵潭) 공원, 도연정(陶然亭) 공원, 일단(日壇) 공원-
옥연담(玉淵潭) 공원은 원래 금(金)대부터 북경 서북 교외의 유명한 풍경유람명승지였으며 1960년에 지금의 이름이 정해졌고 면적은 140.79만 ㎡(수면 61.47만 ㎡, 육지 79.32만 ㎡)이며 북경시 해정구(海淀區)에 위치하고 있는 자연야취(自然野趣), 전원풍광(田園風光)의 종합공원이다. 북경 중앙 텔레비젼 방송국(CCTV)의 탑에서 호수의 전모를 내려다 볼 수 있다.
▲ 일단공원의 석방지
용담(龍潭)공원은 1985년 만들어졌고, 면적은 46만 ㎡이며, 그 중 수면이 17만 ㎡인 종합 공원으로 북경시 숭문구(崇文區) 용담로(龍潭路) 8호에 위치하고 있다. 공원 전체 계획은 중국의 전통 조원 형식을 따르고 있으며 산과 물이 주 골격이 되고 용이 주제가 되며 공원내의 등용각(騰龍閣)이 중심이 되고 용금각(龍吟閣), 용담(龍潭), 용자석림(龍字石林), 용문(龍門), 연당화서(蓮塘花嶼) 등 돌출된 용이 특징적인 5개 경관구역의 연안에 분포하고 있다. 2300여 m의 호안선, 호안선의 굴곡, 고저기복(高低起伏), 풍부한 변화, 호수 안에 있는 4개의 소도, 4개의 반도, 3곳의 얕은 웅덩이, 6곳의 녹지, 석양의 경치 등으로 많은 유람객들의 흥취를 더하고 있다.
일단(日壇)공원은 1530년에 조성된 오랜 역사를 가진 공원이며, 면적은 20.6공경(公頃:1경=2만 여 평)으로 북경시 조양구외일단(朝陽區外日壇) 북로에 위치하고 있다. 일단(日壇) 공원의 중심 구역인 석방지(石舫池)에서는 빼어난 돌 처리 기법을 느낄 수 있으며 호안선을 돌 처리한 기법과 첩석으로 된 석가산이 특히 훌륭하다.
박 경 자 Park, Kyung Ja·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겸임교수, 환경디자인 연구소 피앤에이 대표이사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우리 벧엘유치원 옥상엔 개구리가 살아요!"
- 서울 행당동 벧엘유치원 옥상, 시 지원받아 체험환경교육의 장으로 조성 -
· 발주 : 행당동 벧엘 몬테소리 유치원
· 설계·시공 : (주)경동개발 신환경기술팀
· 면적 : 약 400㎡(약 122평)
지난 12월 20일, 쌀쌀한 날씨 속에서 서울시 지원 옥상녹화 대상지 중 하나인 서울 행당동 벧엘 몬테소리 유치원 옥상정원의 개장식이 있었다. 벧엘유치원은 서울시 옥상녹화 지원사업의 그 첫 번째 대상지로 선정된 11개소 중 하나로서 의의를 지닐뿐더러 유아들의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적극 도입한 생태 옥상정원이라는 데에 다른 옥상녹화 사이트와 차별화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도심지역 유치원들의 경우 대개 아파트 혹은 주택단지 속에 위치하고 있어 유아기의 교육과정에 필수적으로 경험하여야 할 환경과 생태계의 변화, 자연의 소중함을 일깨울 수 있는 녹지공간을 어린이들의 놀이공간 외에 별도로 확보하여 새로운 교육공간을 조성하기란 쉬운일이 아니다. 더구나 버려진 공간이라 생각되는 유치원 옥상의 경우도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 거의 이용하지 않고 굳게 닫아놓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벧엘유치원에서는 교사와 학부모에게는 설문과 토의를 통해, 어린이들의 경우는 이야기나누기, 그림그리기 등의 교육활동을 통해 대상지를 주로 이용하게 될 어린이들의 대상지에 대한 생각과 이들이 원하는 공간에 대한 생각들을 알아본 후 버려져 활용되지 못하던 유치원의 옥상공간을 과감히 변화시키기로 결정하게 되었다. 뿐만아니라 그 과정에서 도출된 사항들을 계획과 설계에 반영, 미취학 아동들에게 자연과 친해질 수 있고,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소중함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되도록 하며, 자연에 대한 체험·관찰을 통해 도심속에서도 생태지향적 환경교육을 경험할 수 있도록 생물서식이 가능한 비오톱으로 조성하게 된 것이다.
벧엘유치원의 경우 실제 옥상녹화공사에 소요된 시간은 그리 길지 않았지만 지난해 3월 서울시에 옥상녹화 지원사업 신청서를 제출한 후 공사가 시작되기 이전부터 미리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프로그램 개발팀을 운영하며 조성할 옥상에 대한 많은 생각들을 도출해 낼 수 있도록 꾸준히 어린이들이 자연과 접할 수 있도록 산책이나 에코가이드 교육을 실시하는 등 사전환경교육에 주력한 점이 돋보이는데 4단계로 실시된 환경교육프로그램(표 참조)은 다음과 같다.
▲ 마스터 플랜
1단계의 경우 옥상의 온도재기, 크기 알아보기, 옥상에 사는 친구 찾아보기, 옥상의 현재 그리기 등의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다른 곳의 옥상을 비교해보는 견학 프로그램이 함께 진행되어 현재의 유치원 옥상에 대한 모습과 환경을 파악한 후 옥상에 다른 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드는 변화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게 하였다. 2단계에서는 산책을 위주로 생태공원이 만들어지고 난 후 옥상에 출현하게 될 수 있는 곤충과 식물 등을 주변에서 미리 탐색하고 알아봄으로서 옥상과 주변서식처와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했다. 3단계에서는 유아들이 옥상생태공원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보고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토록 했고, 4단계에서는 옥상생태공원이 만들어 진 후 계절의 변화와 적극적으로 생태계를 체험할 수 있는 행동프로그램을 실시하도록 계획되었다.
이러한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동안 많은 사람들이 제안하고 계획시 가장 중요하게 반영된 점은 이 대상지가 유아들의 자연학습공간의 성격을 지녔다는 점으로, 기존 방식처럼 유치원 놀이터에서 동화나 책을 읽으며 했던 학습과는 차별화 된, 오감을 통해 스스로 직접 관찰하고 느끼며 체험하고 참여함으로서 보다 적극적이고 실제적으로 자연생태계에 대해 알아갈 수 있도록 하기위한 참여형 프로그램이 보다 많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사항을 중점에 두고 옥상생태공원을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하여 습지비오톱을 조성하여 관찰데크를 설치하고, 초지원을 가로지르는 산책로와 그 중간중간에 야생초지 비오톱을 설치한 생태계 관찰공간, 세덤과 매트 등을 이용한 경량녹화 구간, 텃밭을 조성하여 직접 식물을 경작하는 즐거움을 맛볼 수 있도록 한 학습 및 체험공간 등으로 조성하였다. 또한 유아들의 공간인 만큼 중간중간 유아들의 흥미를 도모할 수 있는 낙엽놀이터, 나무집과 자연재료를 이용한 터널 등을 설치하기도 했다. 외곽으로는 자갈을 포설하여 배수로를 조성하였고, 난간을 설치하고 관목을 식재하여 어린이들의 안전을 기했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포천황포온천 및 용인영진테마파크
쉼 그리고 재충전... 溫泉프로젝트 2題 - 온천은 예로부터 목욕이나 요양, 민간요법의 측면에서 이용되어져 왔으며, 최근에는 보건휴양, 관광자원으로 급속히 개발되어 가고 있다. 온천법에 의하면 온천은 일종의 지하수로서 지표에 자연 용출되거나 인공적인 착정 시추하여 끌어올린 지하수로서 수온이 그 지역의 연평균 기온 또는 그 지역의 얕은 지층의 지하수 수온보다 높은 물로 정의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 온천이라 함은 지하로부터 용출되는 섭씨 25도 이상의 온수로서 그 성분이 인체에 해롭지 아니한 것을 말한다. 서양과 동양의 온천이용은 휴양·오락·병약자의 치료라는 목적은 같으나, 서양에서는 동양인들처럼 열탕에 들어가지 않고, 저온탕에서 장시간 입욕하며, 야외에서 노천탕에 들어가 일광욕을 즐기는 경향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여가활동에 대한 욕구가 맞물려 물을 주제로 한 워터테마파크가 조성되고, 상업적 논리에 부응하여 중소규모의 온천에 대한 투자가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개발의지는 무분별한 온천개발로 번져 과다한 채수와 관리 소흘로 인해 자원의 고갈을 초래하기도 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건강과 보양, 재충전과 쉼이라는 현대의 사회·문화적 흐름과 지역관광자원이라는 지방자치단체의 개발정책과 연계되어 복합문화공간이라는 또 다른 유형의 워터파크를 제공하고 있기도 하다. 그래서 목욕문화가 발달하고 화산섬 특유의 천혜온천이 형성된 이웃나라 일본처럼 온천을 복합문화공간으로 계획하고자 하지만, 상업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주변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우리의 온천개발문화의 한계에 부딪쳐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 우리의 실정이다. 특히 노천탕의 경우 온천 이용의 역사는 오래되었으나 그 이용 문화는 비교적 최근의 일이기 때문에 더욱 세심한 고려가 필요하다. 노천탕은 목욕, 보건휴양문화가 발전되어 좀 더 자연과 가까이 접촉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구를 반영한 복합문화공간으로 본래의 기능과 함께 필연적으로 주변환경과의 연계성, 경관성이 제고되어야 하는 공간이다. 이에 조경가의 시각으로 조금은 생소한 분야에 대한 접근을 해보았다. 포천 황포온천 · 대지위치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 지역/지구 : 도시계획지역 외 · 대지면적 : 20,057㎡(조경면적 : 3,858㎡) · 구조 : 지상 3층 철근콘크리트조 보여진 땅, 풍경들 대상지는 경기도 포천군에 위치한 온천으로 계획 당시 주변에 비슷한 규모의 온천시설들이 산재해 있었고, 후발 주자로서 새로운 개념을 모색하던 기회에 건축설계자의 소개로 본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었다. 대상지는 도로에서 진입하여 실내온천탕의 3층 건물에 면한 노천탕이다. 부지 주변은 논으로 대상지보다 표고가 2∼3m 낮고 멀리 원경으로 주변이 조망되는 비교적 경관성이 뛰어난 곳이다. 또한 대상지 내에는 주변 농경지와 인접부지와의 경계에 관리되지 않은 몇 그루의 관상수가 식재되어 있다. 관계 그리고 연결 노천탕으로 예정된 부지는 약 1,900㎡의 비교적 작은 면적이어서 노천탕으로서의 효용성은 다소 미흡한 규모이나 통로형의 부지형태와 조망권은 계획에 따라 매우 훌륭한 이용요소이다. 노천탕의 이용유형은 크게 2가지로 남탕과 여탕의 구분을 명확히 한 후 실내외를 자유롭게 이용하거나,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여 별도의 장소에서 수영복을 대여한 후 옥외공간을 남녀 혼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황포온천의 경우 전자를 선택하여 공간이용과 조망권을 고려하여 세미오픈형으로 계획하였다. 변화와 기대 남탕과 여탕은 중앙 서비스 통로를 중심으로 분리하여 개방형 노천탕으로 조성하였고, 실내에서 노천으로 이동하는 주 진입부 공간은 각각 온실형으로 계획하였다. 세미오픈형은 개방형과 온실형을 혼합한 형태로 온실형은 유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지붕의 캐노피가 조성된 구조로 겨울철 외기(外氣)에 직접 노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실내조경용 식물을 도입하여 자연스러운 경관을 연출할 수 있다. 용인 영진테마파크 · 대지위치 : 용인시 삼가동 421-3번지와 3필지 · 지역/지구 : 도시계획지역 외(농림, 준농림지역) · 대지면적 : 6,343㎡ · 구조 : 지상 3층 철근콘크리트조 현재완료... 다가서기 용인에 위치한 영진테마파크는 약알칼리 단순천으로 골프연습장과 퍼팅 연습용 미니 9홀로 구성된 기존의 공간에 옥외수영장, 유아풀장, 실내온천, 노천탕, 관광농원을 연계시켜 조성하는 프로젝트이다. 본 대상지는 주간선도로에서 약 2㎞ 안쪽의 숲 속에 위치하고 있어 접근성이나 인지도가 뛰어나지 않지만 기존 골프연습장이 인근에 널리 알려져 위터파크와 연계시킨 테마파크로 개발잠재력이 매우 크다. 노천탕으로 조성될 부지는 실내온천과 산림으로 위요된 공간으로 주변경관이 참나무, 소나무와 잡목림으로 우거진 숲이 넓게 펼쳐져 있다. 실내온천탕은 3층의 건물로 1층 옥상면이 노천탕과 연계된 공간으로 활용되며 부지 조성을 위해 전면의 구릉이 법면으로 노출되었다. 초대를 준비하며... 실내온천탕은 남탕과 여탕이 구분되어 있지만, 노천탕은 수영복을 대여 한 후 자유롭게 공간을 이용할 수 있는 개방형으로 설정하였다. 건축주는 남녀 별도의 폐쇄된 옥외공간으로 일반적인 노천탕의 공간을 요구하였으나, 주변 고지대에서의 시각적 노출과 이용객들의 프라이버시를 고려하여 수영복을 입고 이용하는 형태로 조정되었다. 개방형 노천탕의 경우, 겨울철 이용을 고려하여 보행로에 전열선을 설치하여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하거나, 온수를 이동 동선에 흘려 겨울철 이용에 지장이 없도록 해야 한다. 본 계획에서는 겨울철 이용을 고려하여 온수를 보행로에 흐르도록 계획하고, 주변 이용공간과의 연계를 도모한 놀거리, 볼거리, 보양, 휴식 등의 활동을 수용하고자 하였다. ▲ 디자인 스터디3 에필로그 온천프로젝트는 개인적으로 조경분야에서 약간은 낯설다고 생각되었지만 그 생소함이 선물하는 신선한 자극은 조경의 또 다른 흥미를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특히 조경의 시각에서 디자인되어진 아이디어에 건축주들은 많은 관심과 배려를 아끼지 않았다. 황포온천의 경우 많은 날을 고심했지만 부도로 인하여 설계가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 아쉬움이 내내 마음에 남아 있다. 용인의 영진테마파크는 현재 기본설계가 끝나고 실시설계가 진행되고 있는데 조경이 접근하는 특정의 공간과 소재를 떠나 사람들이 편안하고 쾌적하게 즐길 수 있는 장소가 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낯설지만 간과되어온 삶의 공간들에 대한 조경가들의 계획참여가 더욱 필요함을 다시 한 번 강조해 본다. 김정수(주)환경디자인 아르떼 소장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동절기 조경공사 ; 조경 포장공사
포장공사에서는 찬기온과 찬바람으로 대변되는 겨울철의 계절적 특성이 큰 난제중의 하나이다. 겨울철에 조성되는 건설공사는 시공관리는 물론 품질관리 측면에서도 극복하기 힘든 제한요소를 지니고 있다. 건설공사의 모든 공종이 그렇지만 겨울철에 진행되는 조경포장공사도 공법면에서 극히 제한적이다. 겨울철에 포장공사를 진행해야 한다면 잘해야 본전일 수밖에 없다는 현실을 이해하고 임해야 할 것이다.겨울철 포장공사에서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설계와 시공, 유지관리 등 모든 측면에서 존재한다. 하자의 원인도 대개가 기초적인 사항을 무시한 사소한 것에서 기인하며, 포장재의 문양과 선형의 디자인에 치우쳐 기술적인 사안을 놓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포장은 얼굴에 화장을 하듯이 습관적으로 땅을 덮는 작업 이상의 노력을 필요로 한다. 포장재와 기층재의 결빙, 포장용 결합재의 기능저하, 노상의 동결, 다짐의 한계, 물 사용의 제한 등 겨울철 포장공사에서는 기술적인 측면이 외관의 치장보다 중요한 부분이다.조경공사의 포장은 보행, 자전거와 같은 통행을 위한 이용 행태와 광장, 휴게소, 운동장 등 과 같은 단위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영역적인 이용 행태를 담는 그릇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능적인 역할 외에 조성되는 공간의 이미지와 경관에 어울리는 디자인도 갖춰져야 한다. 기능과 미를 갖춰야 할 포장이 하자와 부실로 인해 땜질 투성이의 누더기 포장으로 나타나는 것을 보면 기술자들의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이하 생략)
정해문 Joung, Hae Moon 대한주택공사 건설관리처, 조경기술사(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동절기 조경공사 ; 지피공사의 요령
동계 지피공사의 한계 추운 겨울철에는 식재공사를 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지만 부득이 한 경우 충분한 대비책과 지피식물의 식재 지식을 가지고 공사에 임하면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잘 끝마칠 수도 있다.지역과 날씨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보통 12월 중순이 되면 겨울철 추위로 인하여 조경공사를 중단하게 된다. 특히 동계 지피식물의 식재공사는 추위로 인한 공사의 어려움 속에서 생명체를 안전하게 다루어야하는 작업으로 매우 신중해야하며 식재전 식물의 특성과 자연환경과의 관계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야만 한다.
동계 지피공사의 극복지표 동결방지법공사기간중 땅이 얼게 되면 공사에 어려움이 많고 특히 지피식물은 식재 할 수가 없게 된다. 그러므로 추위가 닥치기 전에 보온기자재(보온덮개, 짚, 비닐, 목재칩, 왕겨 등)로 지표면을 피복하여 동결을 방지해야한다. 공사 전에는 토양을 과습하지 않게 관리하는 것이 좋다.초종 선택 방법첫째, 내한성이 강한 초종을 선택해야한다(표2참조). 내한성 정도를 고려하지 않고 식재 할 경우 이듬해 봄이되면 대부분 동해가 나타나 매년 다시 심어야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둘째, 같은 초종(草種)이라도 건실하게 자란 것을 선택한다. 하우스 재배보다 노지 재배된 것이 내한성이 강하며, 햇빛이 적은 음지나 과다 시비로 웃자란 것은 동해에 약하므로 동계 공사시 피하는 것이 좋다. 셋째, 포트재배된 묘를 사용하여 식재하고 뿌리를 자르거나 정리하는 등 상처를 입지 않아야 한다. 포트 단위가 아닌 분얼이나 촉수, 구(球) 등의 규격 단위로 유통되는 종류는 노지에서 재배하던 것을 뽑아서 흙이 털어진 상태로 식물체만 유통되어 공사현장에서 그대로 식재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는 식물의 이식스트레스가 높으므로 활착이 늦고 뿌리에 상처가 많이 생겨 동해를 쉽게 받게 되므로 가능하면 포트재배된 묘를 사용해야 동해를 최소로 줄일 수 있다. 넷째, 적당한 묘령(苗齡)에 이른 묘를 선택한다. 너무 어리거나 오래된 묘는 내한성이 약하여 동사(凍死)하는 경우가 많다.
식재 방법겨울철 식재 공사는 가능하면 바람이 없고 따뜻한 날을 선택해서 공사를 실시한다. 하루 중 오전 10시부터 3시까지가 좋으며 늦어도 4시까지는 식재공사를 마치는 것이 좋다. 식재후 관수는 13시전에 마치는 것이 좋고 늦어질 경우 다음날 11시∼13시 사이에 관수 하는 것이 좋다. 만약 토양과 포트묘의 수분상태가 적당하다면 관수를 몇 일간 늦춰도 상관없으며 식재 때 날씨가 추워서 얼어붙을 염려가 있으면 피복해 두었다가 오히려 몇 일 후 따뜻한 날 관수하는 것이 더 좋다.식재 때 토양이 동결과 융해의 반복으로 떠들리지 않게 적당히 잘 눌러주고 식물이 상처받지 않게 식재해야한다. 수생식물도 한파가 오기전에 식재된 토양에 모두 새뿌리가 내려야만 동해의 위험이 줄어들므로 일단 겨울이 오기전에 식물이 건실하게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부득이 겨울철 공사를 하게될 경우 식재 후 수심을 높게 하여 뿌리와 근경이 얼지 않게 한다.설계변경설계변경을 하여 내한성이 약한 종을 내한성이 강한 것으로 변경하고 식재 위치도 바꾸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동해(凍害)는 남향이라고 해서 북향보다 따뜻하고 덜 받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찬바람과 동결·융해가 심하여 더 많이 받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차가운 북풍을 막아주고 기온변화가 적고 따뜻한 곳이 좋으므로 내한성에 따라 식재방향과 위치, 주위 환경도 변경하는 것이 좋다.
동계 공사시 발생하는 하자 및 대책동계지피식재공사는 여러 가지 대책을 강구하여도 식재 후 이듬해 봄이 되면 고사하는 경우가 있다.해동이 되어 땅속 뿌리부분을 확인할 수 있을 때가 되면 즉시 동해여부를 조사하여 보식 대책을 세워야한다. 상록성은 지상부를 보고 수시로 동해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지상부가 얼기 시작하면 즉각 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한두번 정도 지상부가 얼었다고 해서 금방 동해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만약 동해로 지상부가 일부 고사한 경우는 봄에 동사한 지상부만 제거하면 되고 뿌리까지 고사한 경우는 새로 보식을 해야한다. 상록성의 경우 동해를 방지할 목적으로 거적이나 짚 등으로 덮어두는 경우가 있는데 장기간 빛을 차단하여 덮어두는 경우는 좋지 않으며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비닐이나 부직포 등으로 터널을 만들어 겨울철에도 충분한 햇빛을 받을 수 있게 해야 봄철 동해피해를 줄일 수 있다. 식재후 지피식물의 동계 관리요령(월동대책)지피식물의 동계식재는 식물체의 뿌리가 토양에 완전히 활착하지 못한 상태에서 추운 겨울을 나야하므로 다른 시기에 식재한 것보다 내한성이 떨어지므로 좀더 세심한 주의와 철저한 보온대책을 마련해야 하자를 최대한 줄이면서 건강하고 안전하게 월동시킬 수 있다. 동해 일반대책으로는 보온 및 방풍시설을 하는 등의 입지조건 개선, 개화나 전엽의 시기가 늦어서 동상해를 회피할 수 있는 품종의 선택, 보온 재배나 파종시기를 조절하는 등의 재배적 대책이 있다.(표1참조)겨울철 동해에 대체로 강한 초종(草種)도 관리를 소홀히 하면 동해를 크게 받게 되는데 그것은 대체로 동결과 결빙이 지나치게 반복되어 세포조직이 파괴되고, 토양의 수분 완충작용이 거의 없어 겨울철 건조에 의한 식물체의 탈수가 잘 일어나는 나대지나, 공원, 도로변 등 표층에 얕게 식재되어 있는 경우에 잘 나타난다. 그렇기 때문에 저온에 대한 관리도 중요하지만 겨울철 건조에도 주의를 해야 한다. 특히 결빙에 의해 토양이 솟아 오르게되면 더욱 피해가 심해지므로 답압(踏壓) 등으로 떠들린 토양과 식물체를 눌러주도록 하고, 바람이 심한 곳은 바람을 막을 수 있는 방풍시설을 하여 겨울철건조를 막아야 한다. 온도가 서서히 떨어지게 되면 식물체는 스스로 추위에 대비하게 되는데 동계식재의 경우는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다. 내한성이 강한 종이라도 동해 대비를 철저히 하는 것이 좋다. 보통 종에 따라 내한성(耐寒性)에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식재위치, 토양, 기후 등에 따라 겨울철 관리를 철저히 하여야만 봄이 되었을 때 본래의 형태 또는 그 이상의 생육상태를 기대할 수 있다. 식물체의 내한성 정도를 이해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관리를 하게 되면 저온에 약한 개체는 봄이 되었을 때 그 피해가 크게 나타난다. 특히 식물원 등 규모가 크고 여러 종류들이 한꺼번에 식재 되어있는 경우 내한성의 차이(표2참조)가 다양하므로 반드시 월동불가능개체를 중심으로 하여 최소한의 동해 대비책을 세워야한다. 특히 온도가 영하 10℃이하로 자주 내려가는 지방에서는 반드시 짚 등으로 피복을 해야만 동해를 줄일 수 있다. 동절기 토양의 물리적 상태와 적당한 퇴비 시용도 월동에 매우 중요한데 동계식재 전에 토양의 물리성을 좋게하는 것은 토양 환경개선과 식물체의 내한성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장 형 태 Jang, Hyung Tai (주)대한종묘조경 대표
-
그린스톤 플로
- 다양한 식물이 식재가능한 녹화용 옹벽블록 -
특징
구조적 안정성
그린스톤플로의 설치구조는 그린스톤플로와 트렁크바, 앵커조인트로 구성되어 구조적으로 안전한 중력식공법으로서 토목섬유를 사용하는 보강토옹벽공법에 비해 절토지역등 뒷공간이 협소한 지역에서도 시공이 가능하고 수직이 아닌 약 15°각도의 후퇴각(Set Back)을 이루어서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이룬다.
시공의 간편성
자유곡선등 다양한 형태로 시공이 가능하며 조립식으로 현장에서의 시공이 매우 간편하다. 또한 기존 제품인 그린스톤 I형 및 C형과도 조합시공이 가능하여 제품간의 호환성이 높아 다양한 형태의 연출이 가능하다.
친환경적(생태적인) 녹화가능
그린스톤플로는 일반적인 옹벽면녹화와는 방법자체가 다르다. 기존의 일반적인 옹벽면의 녹화방법은 흡착 및 덩굴식물을 이용하여 옹벽면을 덮는 방법이기 때문에 녹화방법 및 사용가능한 식물의 종류가 제한적이지만 그린스톤플로는 블록자체에 식재구가 있어 초본에서 관목까지 다양한 식물의 사용이 가능하며 원하는 식물종의 사용과 경관연출이 가능하여 주위환경에 적합한 식물종을 사용한 녹화가 가능하다.
또한 면적당 녹지율이 높아 시각적으로도 풍성한 녹화효과를 볼수 있으며 절대적으로 녹지가 부족한 도심내에서 적용하여 시각적으로도 삭막한 수직면을 경관적으로 아름답게 처리하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저관리형 녹화가 가능
그린스톤플로는 완성시 블록내부의 토양이 옹벽의 뒷면의 토양과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블록내 식재공간과 기존토양과의 연결로 지속적인 수분의 공급이 가능하여 식물의 자생적 생육조건을 확보하였다. 생육기반조건의 확보에 따라 적용가능한 식물의 종류가 많으며 식재후에 특별한 관리없이 식물의 생육이 가능하여 원활한 생태계를 지속유지할 수 있다.
적용가능한 공간
그린스톤플로는 경관적, 생태적으로 중요한 곳의 절토 및 성토면과 도로변 등 적용지의 범위가 넓으며 최근 환경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그 대상지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그린스톤플로는 구조적으로 안정하면서 다양한 목적의 녹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생태공원, 학생들을 위한 교육시설, 아파트 단지내. 휴양시설 등 경관적으로 중요하거나 생태적으로 중요한 곳에 적용되면 부족한 녹지를 늘리는 효과 외에도 Biotop(도심내 생물서식공간)의 기능 역시 수행할 것이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황토마대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제3회 늘푸른 환경조경설계 공모전
대상(환경부장관상)광화문 르네상스조용철, 김철현, 이문석(예술디자인학부 환경조경디자인전공)PrologueThink of Network 문화도시는 시민들이 특정한 장소에서 문화를 느낀다기 보다는 일상 생활에서 문화를 느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장소는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OECD최하위권) 그러나 현대도시에서의 이용 가능한 토지자원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그 결과 현재 대안으로 거론되는 공간은 환승역(Traffic Node) 주변이나 도시개발 중에 남겨진 작은 공간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환승역 주변 등의 공간은 실천 가능한 장소로서 좋은 접근성과 경제성을 가질 수는 있으나 중심적인 공간은 될 수 없을 것이다.네트워크는 중심이 되는 서버(Server)와 지역적인 호스트(Host)의 유기적인 관계에서 이루어지고 그렇게 되어야 본 기능을 다 할 수 있다. 이를 문화네트워크 관점에서 생각해 볼때 중심공간과 지엽적인 공간이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들의 유기적인 관계가 이루어져야 그 기능을 다할 수 있지 않을까...What and How 우리가 사는 도시에서 시민들이 문화와 자유를 즐기고 그러한 문화공간들이 네트워크되는 모습을 단계별로 계획하고 그 문화의 중심이 되는 공간의 기본구조를 제안한다.
최우수상(서울특별시 시장상)제5대 문명의 발상지 (The 5th Cradle)김진태, 김정훈, 김경환, 이은기(고려대 원예과학과)계획의 개요배경 - 예로부터 도시에 있어서의 하천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도시의 생명선이면서 도시경관의 형성 요소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하천은 도시 내에 있어 귀중한 자연환경으로서의 공간이며 수변공간은 이러한 자연공간과 도시활동의 접점이 되었다.유럽에서는 일반적으로 도시하천들이 교통수단으로서 수로로 이용되기 때문에 호안이 잘 정비 되어있고 곳곳에 아름다운 교량들이 가설되어 있어 도시에 낭만을 가져다주는 공간이 되고 있다. 하지만 한강은 고도의 경제성장과 급속한 도시화의 진전과정에서 강변 고속화도로와 경제적 교량의 가설, 강변 아파트 조성 등으로 급격히 변모되어 수변환경은 악화일로를 거쳐왔다.한강은 서울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커다란 오픈 스페이스이지만, 강변도로로 이중 삼중으로 주변지역과 차단되어 있어 위치적 중요성에 걸맞는 역할을 수행해내지 못하고 있으며, 강변에 이르는 접근로는 턱없이 부족하고 불편한 실정이다.도시내의 하천은 자연환경과 인간환경의 접점으로서 도시하천으로의 자연의 길과 인간의 길을 만들어 줌으로써 풍요롭고 질 높은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쾌적한 생활 공간으로 재창조되어야만 한다.
최우수상(한국조경학회 회장상)Mobile Space김혜진(서울시립대 조경학과),정혜령(전남대 산림자원조경학부 조경학전공)
Prologue남대문∼을지로, 소공로∼태평로로 연결되는 4개의 도로가 없어지면서 생겨나는 시청앞 교통광장을 지하보도와 지하철등 지하구조물을 하나로 묶는 다중적 멀티레이어 구성 ‘Red-Generation’은 월드컵을 통해 나타난 신세대적 취향과 문화에 나타나는 특성을 일컫는 신조어로 월드컵 당시 그 질서성과 열광적 에너지의 적절한 조화는 세계언론의 찬사 대상이 되었다. 이를 문화가 행태로 적극 표출된 예시로 포착하여 이를 이슈화.자발적으로 일어난 ‘거리 응원’은 아침이 고요한 나라 한국의 정적인 이미지를 역동적이고 적극적인 이미지로 바꾸어 놓았다. 역사상 처음으로 거리를 온통 축제의 공간으로 바꾸어 놓았으며 다양한 즐길 꺼리의 맛보기가 되었다. 세계인의 축제 월드컵이 끝나고 그들은 이제 ‘일상속의 축제’를 바라고 있다.월드컵 기간동안 거리에서는 남녀노소가 편견없이 한데 어우러지는 응원전이 펼쳐졌다. 그들은 자신을 표현하는데도 거리낌이 없으며, 외래문화에도 개방적인 태도를 보였다. 신세대는 표현하고 수용하는 것에 익숙하며 같은 문화를 향유하는 사람들과 함께 즐기기 위한 동호회 활동에 적극 참여하는 경향을 보인다.차가운 개인주의적 매체로 인식되던 TV, Internet 등이 오히려 시간과 공간을 넘어 공동체를 하나로 묶는 역할을 하였으며 질서의식을 고취시켰다. 이제는 디지털 매체와 분리할 수 없는 생활속에서 서울 시청 앞 광장에 편리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디지털 시설물을 적극 도입한다.
최우수상(대한주택공사 사장상)틈이상수, 이인기, 김지선, 공희란(건축도시조경학부 조경학전공)
Prologue본래 서울은 여덟 개의 산(외사산, 내사산)과 두 물줄기(한강, 청계천)에 바탕을 두고 이루어진 ‘생태도시’였다. 그러나 서울의 이런 면모도 일제시기부터 크게 훼손되기 시작하여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전개된 도시의 팽창과 무분별한 난개발로 인해 도심환경은 심각하게 파괴되었다. 50여 년 간 개발 우선의 정책으로 인한 양적인 성장과 외형적 도시팽창의 과정속에서 녹지의 가치에 대한 인식 부족현상은 점차 심화되었다. 그 결과 도시내에 녹지 면적이 줄어들었으며, 하나의 Network를 이루어야 할 녹지들의 단절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인구집중에 따른 도시기반시설의 확충정책은 교통위주의 도로건설이나 주택공급위주의 택지건설 등의 모습으로 나타나 자연과의 균형을 잃은 콘크리트 위주의 회색도시로 만들었다.도심에 남아있는 마지막 여지. 주택가 건물 사이로 거미줄처럼 형성되어 있는 틈새 공간...적극적인 녹지 공간 창출을 위해 우리는 주택가의 건물과 건물사이에 버려져 쓰이지 않는 틈새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여, 도심지 내에 거미줄과 같은 Green Network 체제를 형성하려고 한다.
-
DS 라이트 시스템
- 신개념 조명 시설물 -
LIGHT 시스템
고휘도 LED를 발광체로 하여 알루미늄 케이스 내부에 RGB LED를 PCB에 고정시킨 후 전자용 특수 수지를 경화시켜 단단한 강화유리로 마감하여 전기적 제어장치인 Controler에 의해 다양하게 면 조명을 연출하는 새로운 기술의 조경시설물이다.
특징
Main Controler에 의하여 다양한 색상을 제공하며 표현하고자 하는 형상과 의미를 부각시키고 조명 공간 연출을 통해 야간조경의 극치를 이룰 수 있다.
저 전압(28V 이하)의 전기가 사용됨으로 외부설치로 인한 전기적인 안전 사고에는 100% 안전하며 내부에 사용되는 화학수지는 방수 효과 뿐만아니라 제품을 견고하게 내부에서 잡아주며 특히 발광체를 고정시켜 어떠한 충격에도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상부 덮개는 유리를 800도 이상에서 열처리 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미끄러지지 않도록 크리스탈로 에칭처리 하였다.
장점
· 완전한 방수처리로 전기적 안정성 확보 및 내구성 확보
· 특수 화학수지 및 광확산제를 이용한 면조명 연출
· micro processor에 의해 동작상태등 다양한 색상연출
· 알루미늄 후레임과 강화유리 재질의 제품의 견고함과 깔끔함
· LED를 이용한 전력소모의 경제성과 우수한 첨단 시설물
LIGHT LINE
테마공원, 놀이공원, 광장 등의 주요부분에 조형물과 더불어 함축된 의미의 공간 표현으로 전체의 조경미를 부각시킬 수 있음
규격 : 100×1000×100H, 200×1000×100H, 300×1000×100H(설치장소나 연출방법에 따라 SIZE 조절이 가능함)
사진2- 제품사진, 사진3-시공사례
LIGHT BLOCK
광장중앙이나 주요 외부공간에 Line이 아닌 Block형의 면 조명으로 여러 가지 모양과 색상을 연출하며 새로운 분위기를 연출
규격 : 100×100×100H, 200×200×100H, 300×300×100H, 500×500×100H(설치장소에 따라 SIZE 조절이 가능함)
사진4-제품사진, 사진5,6(추후 해상도 높은걸로 교체할 것임)
LIGHT BOLLARD
규격 : ø200×900H(위치나 크기에 따라 조절이 가능함)
사진7 - 전통 한국형 Light Bollard
LIGHT STORN, UP(DOWN) LIGHT
규격 : ø200×100H(규격은 현장 설치여건이나 설치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제작 가능함)
사진8,9 - 다양한 칼러의 수목등
LIGHT POINT
규격 : ø61× 70H
LIGHT 시스템 구성 요소
후레임(알루미늄 합금), LED(RGB), PCB, 전자용 에폭시, 아크릴, 강화유리, 전원장치, 실리콘, Controler (Power Supply , Timer 등), 케이블선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