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서울숲 ; 서울숲 조성계획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서울숲 ; 서울숲을 바라보다_뚝섬 생태숲
    이곳은 중랑천의 합류지점으로 퇴적물이 형성되어 있던 장소로 예부터 ‘저자도’라 불리었다. 강남 개발과 동시에 폐천 부지로 남게 되었던 이곳을, 한강과 중랑천을 연계하여 야생동물이 서식할 수 있는 건강한 생태숲으로 조성하였다. 서울근교의 우량한 자연 생태숲을 모델로 유사한 수종과 식재밀도를 적용하고, 야생동물의 서식에 적합한 수종 및 은신처를 제공하였다. △ 보행가교(전망보행교). 생태숲의 공중을 가로지르는 보행교를 걷다보면 방사된 야생 동물도 보고, 넓게 조성된 생태 연못 위도 지나게 된다. 독특한 시각체험을 유도하고 있다
  • 조경비평을 위한 우리들의 공모(共謀)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서울숲 ; 공원, 천박한 차별화를 넘어 생동하는 마당으로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책을 사보자-독서와 집필의 한 고비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경기영어마을 양평캠프 설계 현상공모 당선작
    경기도에서는 실용 영어교육의 저변확대와 생활 속에서 영어문화체험을 목표로, 천혜의 자연조건을 활용한 자연친화형 영어마을을 조성하고자 경기영어마을 양평캠프 설계 현상공모를 개최하였다. 이에 지난 7월 22일 최종 발표된 (주)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주)디자인 로직의 당선작을 소개한다.개요ㆍ위치 :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다문리 산 32-1 일대ㆍ대지면적 : 102,206㎡(30,917평)ㆍ건축면적 : 13,475㎡(4,079평)ㆍ연면적 : 19,128㎡(5,789평) 계획방향ㆍ놀이를 즐기며 배우는 영어마을(Entertainment)ㆍ환경을 배우는 영어마을(Environment)ㆍ이국적 생활을 체험하며 배우는 영어마을(Experience)ㆍ놀이, 환경, 체험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교육(Education)으로 이어지는 Edutainment Park 디자인 개념알파벳의 기원, 서양의 위인, 서양의 명절 및 축제를 모티브로 한 공간과 시설을 배치하고 자연스러운 경사를 따라 내려가는 지형에 시간의 흐름을 도입하여 플라톤에서 세익스피어까지 서양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체험의 공간 조성.
  • 한남동 주택정원
    · 위치 : 서울 한남동 UN빌리지 내· 면적 : 300여평· 건축설계 : SKM 설계사무소· 조경기본계획 : Katherine Spitz Associates Inc.· 설계· 시공 : 도연조경(주)(대표 안재우)· 사진 : 김태우 실장한강의 멋진 경관을 조망할 수 있는 이 주택은 시원스럽게 한강의 전경을 끌어들이면서 정원안에서는 식물군이 주는 위요감 속에 다양한 지피, 초화류를 즐길 수 있도록 조성되었다.주진입부에 들어서면 마치 공중정원에 온 듯한 착각이 든다. 넓고 푸른 잔디밭 너머 시야에 들어오는 것이라고는 푸른 하늘뿐이기 때문이다. 이는 부지의 반 이상을 정원으로 조성하여 넓은 공간을 확보했을 뿐더러 한강을 굽어보는 경사지에 자리한 입지적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한강으로의 열린 조망을 꾀해 주택 내부에서도, 정원에서도 가장 우세한 경관을 여과없이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확 트인 개방감을 주는 첫인상과 달리 몇걸음 정원으로 들어서면 언제 그랬냐는 듯 방문객의 한걸음에 파릇이 긴장하는 작은 식물들의 아기자기한 매력에 순식간에 빠져들게 된다. 한걸음 한걸음 아기자기한 지피, 초화류의 향연속에 정원으로 거닐다 보면 포장석 사이사이에서 비죽이 얼굴을 내밀고 있는 이끼류에 가던 걸음을 멈추게 된다. 깊은 산 속 바위틈에서나 잠시 만날 수 있을 법한 이끼들이 너무도 자연스럽게 자리를 잡고 있어 더욱 돋보이기도 해 순간 어떻게 발걸음을 떼야할지 당황하게 되는데, 물론 건강하게 생육하며 잔디와는 또 다른 푸르름과 신선함을 제공하는 이 이끼들은 모두 의도된 것.포장석과 분위기를 맞출 수 있는 대형 자작나무는 건물군과 작은 식물들을 경관적으로 연계해주는 매개체가 되고 있으며, 유난히 수피가 아름다운 러시아산 백자작과 어우러진 지피, 초화류는 계절의 변화에 따라 거스르지 않는 자연의 색으로 한껏 멋을 낸다. 화단 측면으로는 부담없이 또는 주변의 지피, 초화류와 어울리는 작은 수경공간이 조성되어 있고 수생식물을 식재해 감상할 수 있도록 했으며, 정원의 가장 안 쪽에는 목재데크를 깔아 간이 휴게시설을 조성해 놓았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2005년 뮌헨 조경박람회 (Bundesgartenschau 2005 in Muenchen)
    귀부인들이 튤립을 옷섶에 매달아 자랑하듯 그 남편들은 자기 “재산”을 다른 방식으로 과시하고 싶었을 것이다. 그렇게 귀족과 부유한 상인들이 자신들의 정원을 자랑삼아 일반에게 개방하기 시작한 것이 오랜 조경박람회의 기원이다. 조경박람회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여러번 변천과정을 겪고 지금과 같은 방대한 규모와 다원성에 도달하긴 했지만 시작은 개인정원이었고 그 중심에는 한 송이 황금튤립이 서 있다. 이렇게 과거 한 때 부와 명예의 상징이었고 태양왕 루이 14세의 궁에서 귀부인들의 아름다운 가슴을 장식했던 튤립은 시간이 흐르는 동안 수만 송이로 번성하였고 2005년 뮌헨 조경박람회의 오프닝을 담당했다 (국내에서 알려져 있는 “조경박람회”라는 명칭은 전시회의 성격으로 봐서 옳은 번역이기는 하지만 독일에서는 아직도 ‘Gartenbauausstellung(Garden Exhibition)’이라 부르며 정원이 그 주인공임을 잊지 않고 상기시킨다). 유럽 사람들의 꽃에 대한 사랑과 열정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다. 이는 에덴동산에 대한 믿음에서 시작되었다고도 한다. 18세기 계몽주의가 등장하기 전까지 에덴동산은 이야기가 아니라 실존하는 것이었고 그들은 낙원에서 쫓겨났다는 것을 사실로 굳게 믿고 있었다. 그들이 끊임없이 지어 부르던 목가(牧歌)가 낙원을 향한 그칠 줄 모르는 그들의 그리움을 대변해 준다. 날씨가 나쁜 나라일수록 꽃에 대한 사랑과 열정이 더욱 많은데, 그러다보니 꽃의 나라 홀란드를 위시하여 독일, 벨기에, 덴마크, 영국 등 일년 내내 햇빛 보기 힘든 나라에서 해마다 육종되고 가꾸어지고 전시되는 화초의 종류를 이제는 헤아리기조차 힘들다. 잿빛 하늘을 배경으로 투박한 흙 속에서 튤립이나 장미가 탄생하여 아름다움을 빛낼 때 그 누가 에덴동산을 느끼지 않으랴.조경박람회의 의미 - 조경박람회는 대략 5년에서 10년의 준비과정을 거친다. 올림픽처럼 도시를 순회하며 개최되는데 2001년에는 포츠담에서 연방박람회가, 2003년에는 로스톡에서 국제박람회가 개최되었었고, 올해 2005년에는 뮌헨에 차례가 돌아왔다. 뮌헨시는 1987년부터 부지를 이미 정해 놓고 차례가 오기를 기다리고 있었고 1999년 나무들을 심어 숲을 조성해 놓았었다. 함부르크는 2013년에 열릴 국제 조경박람회 준비에 벌써부터 부산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렇게 격년 혹은 4년의 간격으로 열리는 연방이나 국제차원의 박람회 외에도 주(州)차원으로 해마다 여기저기서 전시회가 열리고 있어 독일의 관련박람회를 일일이 다 찾아보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늦어도 2001년, 즉 포츠담에서부터 전례가 없던 방법의 컨셉과 진행을 계기로 하여 이제 독일의 조경박람회는 새로운 조경소재와 작품을 소개하는 범주를 훨씬 뛰어넘어 도시개발의 중요한 도구로까지 부상하고 있다. 어차피 개발되어져야 할 도시구역을 조경박람회와 한데 묶어 개발함으로서 도시의 질과 품격도 같이 높이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노린다는 것이다. 특히 구조가 빈약한 도시일수록 조경박람회가 둘도 없는 기회를 제시한다는 사실을 포츠담이 증명했기 때문이다. 포츠담은 박람회의 주 전시장이 되었던 거대한 Park을 축으로 하여 아예 신도시를 개발하였을 뿐 아니라 예로부터 문화경관으로 유명한 도시의 구석구석을 하나의 맥락으로 새 단장하여 실은 포츠담시 전체가 박람회장이 되었었다. 오히려 도시가 축소되어 가고 있는 독일의 추세이고 보면, 그래서 녹지가 도시경관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점점 더 커져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해 보면 현명한 판단이었다고 볼 수밖에 없다. 뮌헨은 물론 동독에 속했었던 포츠담과는 비교되지 않으리만큼 탄탄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에도 그 예를 따르고 있다. 뮌헨의 동쪽 끄트머리 림구에 위치한 박람회장은 1992년까지 비행장이 들어서 있었다. 1939년 세계 제2차대전의 발발과 함께 세워졌던 림비행장은 시설이 낙후했을 뿐 아니라 도심에서 비교적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어 1960년 비행기 추락사고가 있은 후 민원이 빗발치듯했다. 1986년 비행장 이전이 확정되고 이 560ha 부지의 이용문제가 대두되었을 때 뮌헨시는 일단 “박람회의 도시”라는 기본개념을 잡고 종합박람회장을 중심으로, 주거단지, 상업지구 그리고 총 면적의 삼분의 일 이상을 차지하는 부지에 공원을 조성한다는 것으로 기본방향으로 정했다. 1991년 현상공모를 통해 기본계획을 구체화시켰고 그 결과 1997년 박람회장이 제일 먼저 준공되었으며, 총 7천세대로 계획된 주택도 상당부분 건설되었다. 도시의 짜임새를 보면 중앙에 자리한 택지를 공원이 동, 서 그리고 남, 세 방향에서 감싸고 있으며 북쪽 머리 부분에 횡으로 종합박람회장이 놓여 있다. (고 정 희 Go, Jeong Hi, 삼성에버랜드 환경개발사업부 주거조경팀)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히바 고성의 미나레트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동양 파라곤 옥상정원
    · 위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면적 : 40여평(아래층 30여평, 윗층 10여평)· 조경설계 및 시공 : 자연과 사람(대표 이승원)· 준공 : 2005년 4월· 사진 : 남기준 기자고층 아파트의 펜트하우스인 이곳은 복층 구조로, 윗층과 아래층 2곳에 각각 옥상정원이 조성되었다. 설계자는 2곳의 정원을 통일된 느낌으로 꾸미기 보다, 각기 다른 색감의 데크를 이용해 차별화를 시켰다. 한정된 공간이지만, 최대한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설계자가 가장 주안점을 둔 부분은 관리의 편의성이다. 그래서 옥상정원 전체에 목재데크를 깔고, 자동으로 제어되는 관수시스템을 설치했다. 대신 목재데크의 면적이 넓어 자칫 단조롭거나 삭막한 느낌이 들 수 있는 점을 감안해서 곳곳에 플랜터를 설치, 정원에 푸르름을 주고자 했다. 또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해 플랜터를 벤치 겸용으로도 쓸 수 있도록 했다.전체 면적은 넓지 않지만 최대한 다양한 즐거움과 재미를 주기 위해, 가족 단위의 모임을 할 수 있는 아래층 정원에는 곳곳에 아기자기한 첨경물과 장식물을 때로는 감추듯이 설치해 놓았다. 숨은 그림찾기를 하듯이 찬찬히 정원을 둘러 볼 수 있도록 한 것. 또 아래층 정원에서는 가족 단위의 모임이 가능하도록 바비큐 시설을 갖추어 놓기도 했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