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화문광장과 세종로 ; 광화문 광장이 문화광장으로 태어나려면
세종로는 육조거리이었다도시에서는 그 도시의 상징 공간, 상징축, 건물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이 상징공간은 가로일 수 있고, 광장 또는 건물일 수 있다. 도시는 저마다의 빛깔과 향기를 가진 상징물이 필요하다. 서울의 기념비적 거리는 광화문 앞의 세종로로 보아야 옳을 것이다.
광화문 광장은 힘, 활력, 혁신, 권위를 상징하고 있다. 세종로는 지난 600년간 왕과 대통령이 국민 위에 군림하면서 호령해 온 거리이다. 이곳은 행정, 정치, 경제의 중심지이다. 세종로는 관가로서 주제(主制)에 따라 광로로 건설되었고, 비록 도로의 포장은 되어있지 않았지만 토질이 좋아서 우마차가 통행하는데 큰 불편이 없었다고 한다. 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라는 육조가 세종로 좌우에 떡 버티고 서 있었다. 왕들이 궁궐 밖을 행차하면서 으레 이 육조거리를 지나갔다. 현재의 광화문 앞 거리는 정도전이 설계한 주작대로의 방향에서 약간 빗나가 있다. 일제가 조선총독부 건물을 지으면서 세종로의 방향을 관악산이 아닌 남산으로 틀어버린 것이다. 당시 남산에는 일제의 신사(神社)인 조선 신궁이 있었다.
현재는 후진적 교통체계가 판치는 광화문 거리
거리는 시민들에게 문화, 정서, 역사, 상상력을 자극하는 최선의 장소적 매체이다. 그렇기 때문에 거리는 시민 모두가 향유할 수 있어야 하며 누구나 편하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세종로는 그렇지 못하다. 우선 폭 100m, 길이 600m의 공간은 시민들에게 위협감을 준다. 한마디로 공포의 대상이다. 이 길을 건너려면 컴컴하고 스산하기 이를 데 없는 지하도의 계단을 오르내려야 한다. 차로로 둘러싸인 광화문은 광화문과 도심 간의 맥을 끊어놓고 있다. 광화문의 정문으로 가려면 우선 방황하기 일쑤다. 광화문 앞에는 횡단보도라는 것을 눈을 비비고 보아도 없다. 자동차만 쌩쌩 지나가는 황량하기 그지없는 광장이다.
서울 최대의 후진성은 사람과 자동차의 대접이 거꾸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세종로와 같은 10차로 이상의 차량소통 위주의 도로는 외국도시에서는 보기 힘들다. 모든 교차로에서 횡단보도 신호등이 20초도 채 되지 않아 깜박깜박 거린다. 길 건너는 시민들은 횡단보도에서 마구 뛰어야만 한다. 세종로는 오랫동안 자동차에 의해 짓밟혀 왔다, 그래서 보행자가 철저히 무시되어 온 것이다. 비인간적인 도시계획의 대표적인 예다. 보행자와 같은 약자를 배려하고 보호하려는 노력이 일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유럽도시의 선진성에 비하면 형편없는 일이다. 거리에서 사람의 자존심과 인간에 대한 존중을 지키려는 유럽도시의 도시 교통정책에 높은 평가를 보내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세종로를 보면 도로와 자동차 이외의 것들은 무시해도 된다는 의식이 그동안 얼마나 철저히 우리들에게 자리 잡아왔는지 알 수 있다.
원제무 Jaimu 한양대 도시대학원장(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초벌그림그리기, 손으로 쌓아가는 가능성
지난 2007년 12월 제5회 조경비평상의 수상작이 선정되었다. ‘환경과조경’에서 ‘조경비평 봄’으로 주최를 옮긴 이번 조경비평상 공모에는 총 다섯 편의 평문이 접수되었으며, 조경비평 봄 회원들의 최종심사결과 이경근, 최영준의 응모작을 각각 가작으로 선정하였다. 심사기준은 주제 또는 문제의식 선택의 안목과 평문의 완성도, 비평가로서의 발전가능성 등이었다. 이에 본지는 두 편의 수상작을 수록한다.
초벌그림 그리기. 손으로 쌓아가는 가능성이수학의 초벌그림 그리기에 대한 고찰이경근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졸업예정
그에 대한 스케치설계 수업을 처음들을 당시, 하루 종일 대상지인 세종문화회관을 맴돌았던 적이 있다. 해가 지고 있었는데 아무것도 생각나는 것이 없었다. 배가 고팠다. 나에겐 조경보다 허기가 먼저 왔다. 1년이 흐르고 또 다른 설계수업이 찾아왔다. 그저 시간이 흐른 만큼 익숙해져서 시대의 흐름을 흉내내보기도 하고, 그럴듯한 수식을 더해도 보지만 왠지 작품은 생기가 없었다. 많은 개념이 모여 설계안을 이루는 과정에서 설계란 작업은 점점 모호하게만 느껴졌다. 1년 전에 느꼈던 허기를 그동안 너무 많은 말들로 채운 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었다.그러던 중, 학교에서 마련해 준 <아뜰리에 나무> 이수학 소장의 특강을 듣게 되었다. 막 도착했을 때는 마침 시청 앞 광장 공모전에 관한 이야기가 진행 중이었다.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것은 트레싱지를 가득 매운 그의 스케치였다. 스케치들은 특강이 계속되는 동안 화면에 머물렀다. 때로는 발상의 도구로, 때로는 공간에 들어찰 실체하는 존재로 그 선들은 설계의 시작부터 끝까지 자리매김해 있었다.
흔히들 작가의 손에 대해 얘기한다. 손은 상상과 작품을 이어주는 연결고리라 말하기도 하고 스스로 작품이 되고자 하는 몸의 연장(延長)으로 보기도 한다. 스케치 또한 손의 연장이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그의 설계는 손으로, 몸으로 진행된 것이다. 설계자와 설계 사이에 데이터나 논리에 앞서, 손의 흔적이 놓여있다는 것은 생경하면서도 믿음직스럽다. 그것은 여과되지 않은 날것 그대로 그를 보여준다. 따라서 그의 설계과정은 설득이 아니라 표현에 가깝다 하겠다.
자신의 설계를 보여주는 동안 말이 길어지곤 하면 그는 어김없이 웃음으로 설명을 얼버무리곤 했다. 일견 프로페셔널 하지 못한 모습 같지만, 그 웃음으로부터 이 글은 시작한다. 그 웃음에서 느껴진 것은 안일한 작가주의나 무책임이 아니라 겸연쩍음이었다. 말은 손의 언어와는 다를 수밖에 없다는 그 나름의 신중함과 말로 인한 과잉을 염려한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어휘 이전에 떠오른 것-트레싱지 위에 난 무수한 선은 말을 대신한 무수한 손의 작업에 다름 아니었다. 말하자면 그것은 어휘로 치환하지 못한 겸연쩍음, 어휘로 표현하지 못한 얼버무림 같았다. 그는 그 속에서 어떤 가능성을 보고 있었는지 궁금했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SASAKWA HILL LODGE
WATG에서 계획 설계한 사삭화 힐 랏지는 아프리카 탄자니아의 세렌게티 지역내 35만 에이커 규모의 그루메티 사냥 구역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7동의 카테이지 및 빌라 건물군은 언덕 위에 위치해 최고의 전망을 즐길 수 있으며 야생 사냥 구역내 동물및 야생가축 (얼룩말, 영양)등의 계절별 이동이나 서식지를 직접 구경할 수 있는 이상적인 장소다. Sustainability에 중점을 둔 마스터 계획 및 건물 설계 초안은 기존에 존재하는 자연환경에서 그 아이디어를 가져왔으며 자연에 서식하는 경관의 이미지에 색상이나 건물군을 조화롭게 어울리도록 최대한 고려했으며, 현존하는 자연 및 경관을 최대한 덜 파괴하며 자연과 조화롭게 개발하는데 역점을 맞추었다. 또한 부지내 아름다운 수목들을 피해 건물들을 설계했으며, 문제가 되는 부분의 수목들은 자르기보다는 조심스럽게 옮겨 그 가치를 보존토록 했다. 또한 대부분의 조경 재료들은 현지에 자생하는 식생 재료들로 조경 재료의 현지화에 중점을 두어 물이 귀한 지역에서 관수 시설이 필요 없도록 절수하는 계획을 했다. 7동의 카테이지 및 빌라 건물들(스파, 레스토랑, 야외 수영장 등등)은 세기초의 동 아프리카의 랜치 홈 스타일에서 영감을 받아 설계했으며, 나무 패널이나 고전적인 가구들 및 인피니티 에지 수영장들도 이러한 설계영향을 받았다.
프로젝트 건설 시행 단계에서는 공사 부지내 두 군데의 채석장을 설치하고 현지 주민들을 교육시켜 공사에 인부로 채용하여 철저히 현지화에 중점을 두었으며, 또한 소규모의 콘크리트 공장을 세워 현지 주민들로 하여금 프로젝트에 필요한 콘크리트 블럭들을 직접 생산토록 하여 주민들에게 경제적 이익이 돌아가게 했다. 또한 이러한 부지내 시설물들은 야생자연구역내에 건설 관련 교통량을 현저히 감소 시겼으며, 현지에서 교육받고 인부로 일한 주민들은 공사 완공후 정직원으로 채용되어 시설물 관리 등의 임무를 맡게 했다. 이 프로젝트는 초기 단계부터 철저히 Sustainability development에 촛점을 맞추어 계획 설계 시공 되어졌으며,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자연 환경 파괴의 최소화와 현지화에 성공한 프로젝트로서 현지 주민의 적극적인 지지를 받았고, 경제화에 성공된 모델로써 The World’s 100 Ultimate Escapes, Travel+Leasure의 Global Vision Award, 15 to Watch등에 이름을 올렸다. Stats_ 7 free-standing cottages, including 6 suites and 1 luxury villa; 1 restaurant and 1 bar; 297,000-acre site. Features_ Spa; business centre, wi-fi available throughout; 2 tennis courts; infinity pool; Colonial Trading Post; library; wine room; billiard's room; sport's pavilion; equestrian center. Client/Owner_ VIP Safari Club Architect_ WATG Associate Architect_ MD Consultancy Landscape Architect_ The Really Useful Landscape Company Interior Designer_ Interiors Designs Company Ltd. Photography_ Courtesy of Singita Grumeti Reserves
-
광화문광장과 세종로 ; 역사문화도시는 과정부터 문화적으로
총론 없는 각론은 숲 없는 나무다
서울시의 광화문 앞 광장조성과 4대축 조성 사업은 도심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회복하는 것이 애초의 목적 중 가장 큰 것일 텐데, 무엇이 역사적인 것이고 무엇이 정체성을 회복하는 것인지에 대한 큰 그림과 구체적인 내용이 없는 숲 없는 나무가 되어 버렸다.
서울시의 역사·문화축 계획은 주변 블록이 일부 포함되어 있지만, 기본적으로 선(line)적인 것인데, 이 축에 대한 논의는 서울 전체의 역사문화에 대한 마스터플랜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콧날을 세운다고 얼굴 전체가 낳아지는 것이 아닌 이치와 같다. 숲을 살리려면 진입로를 고치는 정도가 아니라 숲 전체의 역사적 자연사(natural history)를 회복해야 한다.그렇다면 경복궁-서울광장-숭례문-서울역-남산의 역사문화축이 과연 진정성 있는 역사문화축인가? 조선 풍수에서 주산과 안산을 잇는 것은 물리적 길이 아니라 지형적 경관배치가 아니었던가. 이 지형적 경관 축에 길을 놓아 물리적 축을 만든 것은 일제에 의해서이다.
조선의 주 길은 서울시가 말하는 ‘역사 문화축’이 아니라 경복궁-광화문(표석위치)―보신각-광교-숭례문 축이었다. 조선풍수관점에서 상지(相地, 땅의 생김새를 관상한 후 길흉을 예견)하고 포치(布置)한 후 조영(造營)한 것을 서구식 물리적 축으로 해석해서 바꾸려는 것은 크나큰 착각이다. 오늘날 서울시의 공간(도시건축)정책은 상지(相地), 포치(布置), 조영(造營)은 없고 오로지 천박한 자본논리만 존재한다.
공공의 권리인 조망권(문화 경관)은 넓은 직선도로를 강조하여 확보하는 것보다 산의 등선(맥)으로 이루어진 경관을 가려버린 고층건물들에 대한 정책적 고려로 풀어야 하지 않을까 한다. 예를 들어 행정도시 이전 후 정부청사 건물과 주변 고층건물에 대한 재배치(철거포함) 및 디자인 문제로 아직까지 착공도 못하는 서울시청사 포기까지 담고 있어야한다.
서울의 도심개발의 시작은 보기 싫은 블록 내부를 가리는 빌딩들을 건설하는 것에 불과했다. 1966년 존슨 대통령 방한 이후 도심 재개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고, 1972년 남북대화 개최를 계기로 과시형 도심 재개발 사업이 본격 시행되었다. 플라자 호텔을 통해 도심 슬럼가였던 남산 판자촌과 소공동 중국인촌을 가린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처럼 서울 도심개발은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리기 위한 '가림막' 설치에 불과하였다.폭력적인 가림막 안에서 서민은 고통 속에 버림받고 있다. 오늘날 한국의 현대 건축을 도배하고 있는 “가림막 건축”은 도시를 이루며 켜켜이 역사와 생명의 선을 이어온 땅의 - 땅은 토건자본이나 행정가(서울시), 전문가(건축. 설계사)들에게는 자신의 이권을 채우는 수단일지는 모르지만 민중에겐 생명 그 자체이다 - 주체 들을 한낮 울타리 속의 관상용 동물로 전락시켜버렸다.
황평우문화연대 문화유산위원회 위원장, 한국문화유산정책연구소장, 문화재청 문화경관분야 문화재전문위원(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건원릉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애매모호한 디자인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광화문광장과 세종로 ; 하늘과 만난 광화문광장, 권력과 지배의 공간을 넘어 일상의 문화 장소로
2009년 여름, 광화문 앞 세종로 일대가 광장으로 변신한다. 조선 유생들의 항소가, 4.19혁명의 데모가, 87년의 피 끓는 민주 항쟁이, 군무와도 같은 월드컵의 응원이, 최근의 각종 촛불시위가 있었던 곳이다. 광장이 아니지만 광장의 역할을 했던 도로 공간, 이른바 “광장 없는 광장”이 이제 광화문광장이라는 정식 이름을 얻고 제대로 된 광장의 옷을 입게 된 것이다.
일상의 하늘과 만나는 광장서울시가 민선 4기 5대 주요 프로젝트의 하나인 ‘도심재창조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여 2007년 12월 설계안을 확정한 광화문광장 조성 사업은 국가를 상징하는 가로축을 만들고 월대와 육조거리를 회복하여 역사문화공간을 창출하고 차량보다는 인간의 보행 위주 공간을 만들어 청계천 못지않은 관광명소로 세종로를 탈바꿈시킨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나는 광화문광장이 가져다 줄 최고의 선물은 ‘하늘’이라고 생각한다. 서울이 하늘을 가질 수 있게 된다―하늘을 보기 힘든 도시 서울, 이 서울의 한복판에서 마음껏 하늘을 경험한다는 것, 얼마나 기쁘고 멋있는 일인가. 16차선의 세종로가 광화문광장으로 바뀐다 해서 공간의 수직적 성격과 외양이 크게 달라질 것은 없다. 북악산 쪽 경관 프레임에서 하늘의 면적이 별반 늘어나지도 않는다. 그렇지만 이제는 두 발로 걷고 때로는 멈춰서거나 앉아서, ‘일상적으로’ 하늘을 볼 수 있게 된다. 단지 경복궁과 북악산 쪽의 경관이 시원해지는 차원이 아니다.눈에 보이는 것의 반은 땅이고 나머지 반은 하늘이다. 그렇지만 사람들은 땅에 살고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땅만 본다. 땅은 생활은 물론 생존과도 직접 관계된다. 그러나 하늘은 인간에게 부여된 또 다른 영토이다. 삶을 구속하는 땅을 벗어나 확장의 여유와 초월의 기대를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하늘을 보는 행위이다. 하늘은 보는 것만으로도 누구나 소유할 수 있다. 보는 일과 가지는 일이 등식을 이룬다.
서울에서 하늘을 일상적으로 소유할 수 있는 곳은 거의 없다. 좁은 골목으로 짜인 구시가지나 군사처럼 도열한 아파트촌이나 하늘이 없기는 마찬가지이다. 산이나 전망대에 올라 만나는 하늘은 특별하고 예외적인 하늘이다. 초고층건물의 최상층에 거주하지 않는 한 서울 같은 도시에서 하늘과 여유롭게 만나기란 아주 어려운 일이다. 전망이 좋다는 말은 하늘이 많이 보인다는 말과 거의 같은 뜻이다. 감동을 불러일으키는 멋진 랜드스케이프(landscape)는 실은 랜드(land)에 의해 결정되기보다는 스카이(sky)에 의해 좌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망은 어쩌면 “스카이스케이프(skyscape)”에 다름 아닐지도 모른다. 전망이 좋고 조망이 뛰어난 아파트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훨씬 비싼 이유는 결국 하늘을 '일상에서' 많이 소유할 수 있기 때문이 아닌가.
우리는 광화문광장을 거닐며 서울의 대표적인 하늘을 눈높이에서 마음껏 볼 수 있을 것이다. 서울만의 하늘을, 그 스카이스케이프를 보고 소유할 수 있을 것이다. 이곳에서 만나는 하늘은 특별한 예외가 아니라 아주 평범한 일상이라는 점에서 우리의 삶과 소통할 수 있을 것이다. 땅 위의 일상이 하늘과 만나는 것이다. 광화문광장이 기다려지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배정한서울대학교 조경학과 교수(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광화문광장과 세종로 ; 광화문광장 조성사업 턴키설계경기 당선작
서울시는 도심의 획기적 재탄생을 위해 “도심재창조 사업”의 일환으로 차량 위주의 세종로를 역사·문화 등 인간중심의 공간으로 바꾸기 위한 “광화문광장 조성사업”을 본격 추진하기 위해 지난해 8월 23일 설계 및 시공업체 선정을 위한 입찰공고를 실시하였으며, 지난해 12월 13일 최종설계안을 확정 발표했다. 이에 본지는 당선작으로 선정된 ‘대림산업+조경설계 서안’의 안을 소개한다. - 편집자주 -
600년 서울의 꿈 광화문광장대림산업+조경설계 서안
국가의 정통성과 역사의 제모습 찾기_광화문 복원과 함께 역사가 살아숨쉬는 국가의 역사성 회복산과 궁, 도시를 잇는 경관 만들기_서울의 대표적인 경관회복과 도시문화를 담아내는 상징적 공간조성세계속에 서울을 명소화 하기_한국문화의 대표적 표상으로 서울의 세계적인 브랜드 창출기본계획 및 P.M_조경설계 서안(대표 정영선, 소장 신현돈)자문_조경진(서울대 환경대학원)건축_(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토목_(주)한국종합기술경관_(주)EDI환경디자인조명_(주)누리플랜수경_레인보우스케이프(주)문화재_삼부, 무진시공사_대림산업, 삼성에버랜드(주)
보다 자세한 사항은 본지 2008년 2월호(통권 238호) 112~121면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
강북대형공원 기본구상안 공모전
서울시는 강북구 드림랜드 부지 일대 90만여㎡ 규모의 강북대형공원 조성을 위한 시민고객 아이디어공모와 대학생·전문가 기본구상안 공모전을 실시하여 수상작을 발표하였다. 시민고객 아이디어 공모에는 총 20편이 제출됐고 이 중 15편이 수상아이디어로 선정되었으며, 대학생·전문가 기본구상안 공모에는 총 13점이 제출되어, 이 중 최우수작 1점, 우수작 8점이 선정되었다. 이에 본지는 최우수작을 소개한다. 아울러 '강북대형공원'은 국내 조경기술사 및 건축사 사무소와 최근 5년간 건축계획 등 실적이 있는 외국업체가 공동으로 응모하는 “마스터플랜 국제현상공모”를 시행할 예정이다.
최우수작 Expansion of Land김수용, 김상현, 장유경(홍익대학교 도시공학과)
보다 자세한 내용은 본지 2008년 2월호(통권 238호) 168~173면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
김포마송·양곡지구 도시기반시설조경설계공모
대한주택공사에서는 김포지역 신도시의 이미지를 고양하고 지속가능한 미래지향적 공원모델을 제시하여 지역의 정체성 및 장소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공원을 조성하기 위하여 김포 마송 및 양곡지구 도시기반시설 조경설계안을 공모하여 지난해 12월 18일 당선작을 발표했다. 이에 마송지구 당선작과 양곡지구 당선작을 소개한다.마송지구 최우수상여백의 발견(주)채움조경기술사사무소양곡지구 최우수상WOODY NEST조경설계 어리연보다 자세한 내용은 본지 2008년 2월호(통권 238호) 152~167면에 수록되어 있습니다.